KR101232740B1 - 파고라용 기둥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파고라용 기둥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740B1
KR101232740B1 KR1020120054147A KR20120054147A KR101232740B1 KR 101232740 B1 KR101232740 B1 KR 101232740B1 KR 1020120054147 A KR1020120054147 A KR 1020120054147A KR 20120054147 A KR20120054147 A KR 20120054147A KR 101232740 B1 KR101232740 B1 KR 101232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pagora
engaging
core
finishing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180A (ko
Inventor
최용수
Original Assignee
최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수 filed Critical 최용수
Priority to KR1020120054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7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ing Wal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고라용 기둥에 관한 것으로,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어진 코어기둥(1)과: 다수개의 장식돌기(21,31)가 형성되고 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장식재(22,32)가 부착되는 한편 선단에 결합돌기(23,33)가 각각 마련된 좌우 외부 마감재(2,3) 및; 상기 코어 기둥(1)의 바깥 양쪽에 결합된 좌우 외부 마감재(2,3)의 사이에 끼워져 외부 마감재(2,3)의 결합돌기(23,33)와 걸려지는 좌우 양쪽의 걸림돌기(41,42)를 갖춘 결합대(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파고라용 기둥은 적은 부품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제작 비용에 적게 소요되고, 종래의 파고라용 기둥 구조에 비하여 결합돌기(23,33)가 코어기둥(1)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저장 및 이동 작업이 간편해짐은 물론, 필요한 경우에 결합대(4)를 좌우 외부 마감재(2,3)에서 길이 방향으로 당겨만 주면 쉽게 빼낼 수가 있으므로 필요한 외부 마감재(2,3)의 분해 작업이 간편해지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파고라용 기둥 구조 및 그 조립 방법{A pole construction of pergola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본 발명은 파고라용 기둥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면서 조립하기가 쉽고 분해하기도 용이하게 한 파고라용 기둥구조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고라"는 쉼터의 용도로, 경치나 전망이 좋은 곳에 아담하게 지은 정자, 원두막, 정각 등을 일컫는다.
이러한 파고라는 다각형의 지붕을 여러 개의 기둥이 받치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여기에 사용하는 기둥은 사각이나 원형 등으로 형성된 목재, 철재 및 알루미늄재의 단일재질로 만들어진 기둥을 사용하거나, 철재 및 알루미늄재의 기둥골조에 목제 마감재를 피스 내지 볼트,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하여 만들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파고라 기둥에서 단일 재질로 만들어진 기둥은 그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외관을 만들 수가 없어 외관상 미관을 좋게 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일 재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나무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외부 마감재를 코어 기둥(내부 심재)에 고정한 구조의 기둥에서는 변형과 형상의 변화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마감재의 형상을 다양하게 함에 따라 기둥의 외관 디자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나무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재질을 사용한 외부 마감재를 이용하여 외관을 꾸민 기둥에서는 외부 마감재가 일부 파손되거나 오염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 외부 마감재를 내부 심지에 고정한 고정수단을 해체한 후에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기둥 위에 지붕이 씌워진 파고라의 구조적 특징상 기둥의 해체 작업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파고라 기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특허등록 10-1029360호의 "파고라 기둥구조"에서는,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기둥 코어의 원주면에 외부 마감재 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기둥커버를 분할 배치하고, 이들 기둥커버 사이에 연결커버를 배치하며, 기둥커버와 연결커버에 연결대를 끼워 조립하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대에는 반경의 바깥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곡돌기가 갖추어져 있고, 기둥커버와 연결커버에는 연결대의 절곡돌기와 결합하는 끼움홈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발명의 파고라 기둥구조는 원형의 기둥에 적합한 구조이기 때문에 사각형에는 기본적으로 적용시키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기둥 코어의 원주면을 따라 기둥커버와 연결커버를 차례대로 배치하고, 이들 기둥커버와 연결커버 사이에 연결대를 끼워 넣어 회전시키면서, 연결대의 절곡돌기가 기둥커버와 연결커버의 끼움홈에 끼워지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둥커버와 연결커버 및 연결대의 제작 치수가 정확해야만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 단가가 비싸진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제작되었다 하여도 연결대의 조립 작업이 간단하지 않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에 다수개의 절곡돌기가 갖추어진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대를 연질 재질로 만들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연질재질로 만든다 하여도 구부릴 수가 없기 때문에 완전 조립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의 상태에서 연결대를 빼낼 수가 없으므로 조립 후 분해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파고라용 기둥과 가장 근접한 기술중의 하나로서, 특허 10-1106922호로 등록된 "외장재의 교체가 용이한 기둥구조체"라는 발명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 발명에 따른 기둥구조체는 파고라 기둥의 외부 마감재가 일부 손상되었을 때, 이 외부 마감재를 기둥의 측면에서 분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외부 마감재를 심재의 측면에서 서로 끼워 맞추어 결합하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발명의 내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도면 7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발명에 따른 파고라 기둥은 내부 코어부(100)와, 이 내부 코어부(100)의 바깥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외면에 제1걸림부(111)와 제2걸림부(11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의 외부 둘레에 서로 반쪽씩 끼워져 결합되는 제1마감재(120)와 제2마감재(130) 및, 상기 제1마감재(120)와 제2마감재(130)에 결합되어 전체 기둥의 외면을 장식하는 장식재(140,1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재(120)와 제2마감재(130)의 선단에는 상기 제1걸림부(111)와 제2걸림부(112)에 걸려져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는 걸림돌기(121, 131)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발명의 기둥은 먼저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부(100)의 바깥에 지지부(110)를 끼워 넣은 다음 피스(101)로 조여 고정함으로써, 코어부(100)와 지지부(110)가 하나의 몸체와 같이 결합되게 한다.
이렇게 코어부(100)와 지지부(110)를 결합시키면 걸림부(111,112)가 지지부(110)의 양쪽 맞은 편에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장식재(140,150)가 미리 나사로 고정 결합된 제1마감재(120)와 제2마감재(130)를 도면 9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10)의 양쪽에서 끼워 넣으면, 제1마감재(120)와 제2마감재(130)의 선단에 돌출된 걸림돌기(121,131)가 지지부(110)의 양쪽 걸림부(111,112)에 끼워져 결합되어 완성되게 된다.
이렇게 조립 완성되면, 도면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는 코어부(100)는 물론 지지부(110)와 걸림부(111,112) 및 걸림돌기(121,131) 등은 전혀 보이지 않고 오직 제1마감재(120)와 제2마감재(130)의 표면에 부착된 장식재(140,150)와 장식돌기(141,151)만 보이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발명에 따른 파고라 기둥은 조립하기가 간단하다는 편리함이 있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이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바, 이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 코어부(100)에 지지부(110)가 바깥으로 끼워지는 2중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마감재(120,130)를 결합하기 위한 심재가 2중 결합된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상기 지지부(110)에 외부 마감재(120,130)를 결합하기 위한 제1걸림부(111)와 제2걸림부(11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마감재(110)를 제작한 후에 돌출된 양쪽 걸림부(111,112) 때문에 보관하기에도 나쁘고 이동하기에도 곤란하다는 등의 단점이 있으며, 잘못 다루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만들어진 상기 제1걸림부(111)와 제2걸림부(112)가 부러져 외부 마감재(120,130) 자체를 못 쓰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가 있다.
셋째, 상기 지지부(110)의 양쪽에 걸림부(111,112)를 돌출 성형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높은 철재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는 만들 수가 없고, 대개 알루미늄재질을 사용하여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만들어야 하는바, 이와 같이 알루미늄재질로 지지부(110)를 만들면 기본적으로 강도가 약하게 되기 때문에 그 내부에 강도가 높은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어진 내부 코어부(100)를 끼워 결합함으로써 강도를 보충해 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상기 발명에 따른 기둥은 내부 코어부(100)와 지지부(110)가 2중으로 끼워져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넷째, 외부 마감재(120,130)를 지지부(110)의 양쪽에 끼워 결합할 때, 마감재(120,130)의 선단에 마련된 걸림돌기(121,131)와 결합되는 걸림부(111,112)가 지지부(11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마감재(120,130)를 지지부(110)의 양쪽 바깥에서 서로 끼워 결합시키고 난 후에는, 걸림부(111,112)에 단단하게 결합된 걸림돌기(121,131)를 기둥의 바깥쪽에서 빼낼 수가 없으므로 원천적으로 외부 마감재(120,130)를 지지부(110)에서 분리해 낼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명에 따른 기둥에서는 제1,2마감재(120,130) 자체가 손상되거나, 이들 마감재(120,130)에 결합된 장식재(140,150)가 손상된 경우에 마감재(120,130)를 교체한다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있지 못하다는 모순이 있는 것이다.
삭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파고라 기둥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비교적 간단한 부품으로 정확하고 단단하게 조립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부품을 생산단계에서부터 저장 및 조립현장에까지 이송하기가 용이하며, 조립한 후에도 문제가 있을 경우에 간단하게 외부에서 분해하기 쉽게 한 파고라용 기둥구조와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고라용 기둥은,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어진 코어기둥과, 다수개의 장식돌기가 형성되고 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장식재가 부착되는 한편 선단에 결합돌기가 마련된 좌우 외부 마감재, 상기 코어 기둥의 바깥 양쪽에 결합된 좌우 외부 마감재의 사이에 끼워져 외부 마감재의 결합돌기와 걸려지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좌우 양쪽의 외부 마감재를 결속하는 결합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파고라용 기둥의 조립방법은, 먼저 좌우 마감재를 알루미늄재질로 다이캐스팅의 방법으로 장식용 돌기와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나무로 만들어진 장식재가 부착된 좌우 외부 마감재를 준비하는 외부 마감재 준비과정과,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어진 코어기둥의 바깥면 좌우에 외부 마감재를 끼워 맞추는 외부 마감재 삽입과정, 상기 코어 기둥의 바깥에 끼워진 좌우 외부 마감재 사이에 결합대를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 결합대의 걸림돌기가 좌우 외부 마감재의 결합돌기에 걸려져 좌우 외부 마감재가 코어기둥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붙잡아 주게 하는 결합대 삽입과정 및, 상기 좌우 외부 마감재 사이에 삽입된 결합대의 상하 선단에 고정 나사를 박아 결합대가 기둥의 상하로 임의대로 이동하지 못하게 잡아 주는 결합대 고정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와 방법을 통하여 제작되는 본 발명의 파고라용 기둥은 코어기둥이 강도가 높은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어진 하나의 기둥 부재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관련 제품에 비하여 코어기둥의 부품 수가 적어지게 되고, 좌우 외부 마감재를 결합하여 붙잡아 주는 걸림수단이 코어 기둥에 직접 돌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어기둥의 저장과 이동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걸림수단의 파손으로 인하여 코어기둥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또한, 좌우 외부 마감재를 결속하여 붙잡는 걸림수단이 별개의 부품인 결합대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이 결합대를 코어기둥의 바깥쪽 좌우에 끼워진 좌우 외부 마감재 사이로 밀어 넣어 결합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대를 쉽게 구부려지면서 잘 파손되지 않을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고라 지붕 아래에 수직으로 설치된 기둥의 상하에서 간단하게 구부리면서 빼낼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외부 마감재에 손상이 발생된 경우에 쉽게 구부려질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결합대를 빼내면 간단하게 좌우 외부 마감재를 분리해 낼 수가 있어, 좌우 외부 마감재를 보수 교환하기가 가능하다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고라용 기둥구조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고라용 기둥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고라용 기둥의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코어기둥의 좌우측에서 좌우 외부 마감재를 끼워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코어기둥의 좌우측에 끼워진 외부 마감재 사이에 결합대를 삽입하여 끼우는 과정을 나타내 사시도,
도 5는 좌우 외부 마감재 사이에 결합대를 삽입하여 끼워 넣은 다음, 상하단의 끝 부분에 고정나사를 박아 결합대가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파고라용 기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의 파고라용 기둥의 구성 부품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파고라용 기둥에서 내부 코어부의 바깥에 지지부를 끼워 넣은 다음 나사로 조여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파고라용 기둥에서 내부 코어부의 바깥에 끼워진 지지부의 좌우측에 외부 마감재를 끼워 넣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파고라용 기둥에서 좌우측에서 끼워져 결합된 좌우 외부 마감재의 선단에 마련된 걸림돌기가 지지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에 끼워져 단단하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고라용 기둥구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고라용 기둥의 결합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고라용 기둥은 강도가 높은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어진 코어기둥(1)과: 다수개의 장식돌기(21,31)가 형성되고 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장식재(22,32)가 부착되는 한편 선단에 결합돌기(23,33)가 각각 마련된 좌우 외부 마감재(2,3) 및; 상기 코어 기둥(1)의 바깥 양쪽에 결합된 좌우 외부 마감재(2,3)의 사이에 끼워져 외부 마감재(2,3)의 결합돌기(23,33)와 걸려지는 좌우 양쪽의 걸림돌기(41,42)를 갖춘 결합대(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코어기둥(1)은 강도가 충분하게 높은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어진 단일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파고라 지붕의 하중을 충분하게 지지할 수가 있으면서 휨강도로 건축 구조물로서 적합한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사이즈로 선택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외부 마감재(2,3)는 파고라 지붕의 하중을 직접지지하는 부분이 아니고 단지 기둥의 외부 장식을 담당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강철이나 스테인레스 재질과 같은 강도를 가질 필요는 없지만, 그래도 쉽게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튼튼하면서 성형하기에 용이한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여 만든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알루미늄은 다이캐스팅 성형 방법을 사용하면,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간단하게 만들 수가 있으면서 무게도 무겁지 않기 때문에 다루기가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여 좌우 외부 마감재(2,3)를 성형할 때, 그 장식돌기(21,31)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가 있는바, 예컨대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돌기(21,31)를 외부 마감재(2,3)의 중앙부에 배치하고, 양쪽 코너부에는 나무로 만든 장식재(22,32)를 설치하게 할 수도 있고, 도면 6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서와 같이, 장식돌기(21,31)를 코너부에 배치하고, 중앙부분에 나무로 만든 장식재(22,23)를 설치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결합대(4)도 큰 하중을 받아 지탱하는 부품이 아니고, 좌우 외부 마감재(2,3)를 지지하는 정도의 하중만 지탱하면 되기 때문에, 성형성이 좋으면서 적당한 강도를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좌우측 걸림돌기(41,42)가 일체로 형성되게 만들면 된다.
예컨대, 상기 결합대(4)를 성형하는 재질로서,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만들 수도 있고,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만들어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양쪽의 외부 마감재(2,3)를 물어 잡아 지탱하는 결합대(4)를 별도의 부품으로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이 결합대(4)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양쪽의 외부 마감재(2,3)에 부분적으로 손상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결합대(4)를 기둥의 아래쪽 혹은 위쪽에서 강제로 빼내면 외부 마감재(2,3)를 분리할 수가 있으므로 외부 마감재(2,3)의 교체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기 결합대(4)를 연잴 재질로 만들어 사용하면 기둥이 파고라 지붕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외부 마감재(2,3)의 손상으로 인한 교체 작업시에 간단하게 결합대(4)를 구부리면서 빼낼 수가 있기 때문에 분해 작업이 용이해지게 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파고라용 기둥은, 먼저 좌우 외부 마감재(2,3)의 몸체를 알루미늄재질로 다이캐스팅의 방법으로 형성시키는데, 이때 상기 외부 마감재(2,3)의 몸체에 장식용 돌기(21)와 결합돌기(23)가 일체로 성형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마감재(2,3)의 몸체에 나무로 만들어진 장식재(22,23)를 볼트나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 부착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좌우 외부 마감재(2,3)를 도면 3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어진 코어기둥(1)의 바깥면 좌우에 외부 마감재를 끼워 맞춰지도록 삽입한다.
그 다음,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코어 기둥(1)의 바깥에 끼워진 좌우 외부 마감재(2,3) 사이에 결합대(4)를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 결합대(4)의 걸림돌기(41,42)가 좌우 외부 마감재(2,3)의 결합돌기(23,33)에 걸려져 좌우 외부 마감재(2,3)가 코어기둥(1)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분리되지 않게 붙잡아 주게 한다.
이렇게 좌우 외부 마감재(2,3) 사이에 삽입된 결합대(4)의 상하 선단에 도면 5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나사(5)를 박아 결합대(4)가 코어기둥(1)의 상하방향을 따라 임의대로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대(4)를 고정하는 고정 나사(5)를 좌우 외부 마감재(2,3)의 사이게 끼워진 결합대(4)의 상하 양쪽 선단에만 박아 고정하게 함으로써, 간단하게 결합대(4)를 고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조립된 본 발명의 파고라용 기둥구조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좌우 외부 마감재(2,3)를 코어 기둥(1)의 전체 길이 보다 약간 짧게 하여 전체 기둥의 중간 부분만 장식을 이루게 하는데, 좌우 외부 마감재(2,3)의 상하단에는 커버(도시 안 됨)를 씌워 마감 처리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파고라용 기둥을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조립한 다음 파고라를 설치할 장소에 조립하여 세운 다음, 기둥 위에 지붕체를 조립하면 파고라의 제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파고라의 사용중에 외부 마감재(2,3)의 나무로 만들어진 장식재(22,32) 또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만들어진 장식돌기(21)가 외부의 큰 충격으로 인하여 훼손된 경우에, 기둥의 하단에 씌워진 커버(도시 안 됨)를 벗겨 내고 결합대(4)를 아래로 빼내면 좌우 외부 마감재(2,3)를 코어 기둥(1)에서 간단하게 분리해 낼 수가 있어 외부 마감재(2,3)를 교체 또는 보수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파고라용 기둥구조와 그 조립방법에 따르면, 적은 부품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제작 비용에 적게 소요되고, 종래의 파고라용 기둥 구조에 비하여 결합돌기(23,33)가 코어기둥(1)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저장 및 이동 작업이 간편해짐은 물론, 필요한 경우에 결합대(4)를 좌우 외부 마감재(2,3)에서 길이 방향으로 당겨만 주면 쉽게 빼낼 수가 있으므로 필요한 외부 마감재(2,3)의 분해 작업이 간편해지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 코어 기둥 2,3 - 좌우 외부 마감재
4 - 결합대 5 - 고정 나사
21,31 - 장식돌기 22,32 - 장식재
23,33 - 결합돌기 41,42 - 걸림돌기

Claims (3)

  1. 내부의 중심이 되는 코어기둥(10)의 외부에 결합돌기(23,33)를 갖춘 좌우 외부 마감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파고라용 기둥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코어 기둥(10)이 하나의 단일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 기둥(1)의 바깥 양쪽에 결합된 좌우 외부 마감재(2,3)의 사이에 외부 마감재(2,3)의 결합돌기(23,33)와 걸려지는 좌우 양쪽의 걸림돌기(41,42)를 갖추면서 알루미늄 재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결합대(4)가 끼워져 결합되게 함으로써, 양쪽의 외부 마감재(2,3)에 부분적으로 손상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결합대(4)를 기둥의 아래쪽 혹은 위쪽에서 구부리면서 강제로 빼내서 외부 마감재(2,3)를 분리하여 외부 마감재(2,3)의 교체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용 기둥구조
  2. 삭제
  3. 알루미늄재질로 장식용 돌기(21,31)와 결합돌기(23,33)가 일체로 형성되고, 나무로 만들어진 장식재(22,32)가 부착된 좌우 외부 마감재(2,3)를 준비하는 외부 마감재 준비과정과;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어진 코어기둥(1)의 바깥면 좌우에 외부 마감재(2,3)를 끼워 맞추는 외부 마감재 삽입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고라 기둥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기둥(1)의 바깥에 끼워진 좌우 외부 마감재(2,3) 사이에 결합대(4)를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 결합대(4)의 걸림돌기(41,42)가 좌우 외부 마감재(2,3)의 결합돌기(23,33)에 걸려져 좌우 외부 마감재(2,3)가 코어기둥(1)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붙잡아 주게 하는 결합대 삽입과정과; 상기 좌우 외부 마감재(2,3) 사이에 삽입된 결합대(4)의 상하 선단에 고정 나사(5)를 박아 결합대(4)가 코어 기둥(1)의 상하방향을 따라 임의대로 이동하지 못하게 잡아 주는 결합대 고정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양쪽의 외부 마감재(2,3)에 부분적으로 손상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결합대(4)를 기둥의 아래쪽 혹은 위쪽에서 구부리면서 강제로 빼내서 외부 마감재(2,3)를 분리하여 외부 마감재(2,3)의 교체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라용 기둥의 조립방법
KR1020120054147A 2012-05-22 2012-05-22 파고라용 기둥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KR101232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147A KR101232740B1 (ko) 2012-05-22 2012-05-22 파고라용 기둥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147A KR101232740B1 (ko) 2012-05-22 2012-05-22 파고라용 기둥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180A KR20120073180A (ko) 2012-07-04
KR101232740B1 true KR101232740B1 (ko) 2013-02-13

Family

ID=4670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147A KR101232740B1 (ko) 2012-05-22 2012-05-22 파고라용 기둥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8284A (zh) * 2013-12-18 2014-04-30 安徽森泰塑木新材料有限公司 集成房屋多功能立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134B1 (ko) * 2020-02-17 2020-09-17 양희숙 조립식 난간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141U (ko) * 2007-12-17 2009-06-22 비엔지 주식회사 간이구조물용 조립식 기둥
KR101037725B1 (ko) 2010-07-23 2011-05-27 이용국 기둥 구조물
KR101067629B1 (ko) 2010-11-16 2011-09-26 (자) 어반스케이프 파고라의 기둥구조
KR101106922B1 (ko) * 2009-08-17 2012-01-25 한태환 외장재의 교체가 용이한 기둥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141U (ko) * 2007-12-17 2009-06-22 비엔지 주식회사 간이구조물용 조립식 기둥
KR101106922B1 (ko) * 2009-08-17 2012-01-25 한태환 외장재의 교체가 용이한 기둥구조체
KR101037725B1 (ko) 2010-07-23 2011-05-27 이용국 기둥 구조물
KR101067629B1 (ko) 2010-11-16 2011-09-26 (자) 어반스케이프 파고라의 기둥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8284A (zh) * 2013-12-18 2014-04-30 安徽森泰塑木新材料有限公司 集成房屋多功能立柱
CN103758284B (zh) * 2013-12-18 2015-10-28 安徽森泰塑木新材料有限公司 集成房屋多功能立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180A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7330B2 (en) Shelving with molded end caps
KR101253462B1 (ko) 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US8342348B2 (en) Storage box
KR20090001153A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KR200451029Y1 (ko) 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KR101232740B1 (ko) 파고라용 기둥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KR20140134546A (ko) 조립식 앵글 진열대
KR101423244B1 (ko) 조립식 옷장
KR20110007758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 패널
KR101805368B1 (ko) 지주용 프레임
KR101196031B1 (ko) 조립식 기둥 구조체 및 조립식 외장재 구조체
KR101072007B1 (ko) 정자와 파고라를 포함하는 조경 시설물용 기둥
KR20120007371U (ko) 버스 승강장의 기둥 마감부재
CN104871865A (zh) 能够快速拆装的绿化墙系统
KR102015877B1 (ko) 조립 선반
KR200451005Y1 (ko) 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US20140245686A1 (en) Fence and siding system
CN204741966U (zh) 能够快速拆装的绿化墙系统
JP2019507263A (ja) 韓屋及び寺院の組物組立構造
KR200398302Y1 (ko) 차량 장식용 꽃 배열판
KR200464797Y1 (ko) 지지구가 구비된 마네킹
CN209121606U (zh) 一种座椅脚架
KR101190540B1 (ko) 기둥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고라
KR101879452B1 (ko) 서포트 거푸집의 틈새 보강 구조체
KR20130059603A (ko) 파티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