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594A -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594A
KR20130059594A KR1020110125643A KR20110125643A KR20130059594A KR 20130059594 A KR20130059594 A KR 20130059594A KR 1020110125643 A KR1020110125643 A KR 1020110125643A KR 20110125643 A KR20110125643 A KR 20110125643A KR 20130059594 A KR20130059594 A KR 20130059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zsm
fine
medium porosity
pre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691B1 (ko
Inventor
윤민혜
송인규
이중원
송보근
박세호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691B1/ko
Priority to US13/592,414 priority patent/US20130085311A1/en
Priority to CN201210307167.3A priority patent/CN103028433B/zh
Publication of KR20130059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9/00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 B01J29/04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 B01J29/06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12Silica and alumi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9/00Cat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cat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cation exchange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납사 크래킹 공정 후 생성되는 탄소수 4 내지 7의 탄화수소 혼합물을 촉매 접촉분해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실리카 전구체 및 알루미늄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숙성하여 겔(gel)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겔(gel)에 탄소 분말을 첨가하여 교반 후 숙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숙성된 혼합물을 결정화하여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고체 생성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에 인 전구체를 함침 또는 이온교환 방법으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과 그 방법으로 제조된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및 그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을 개시하여, 미세 및 중형기공성 특성을 동시에 지니는 촉매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촉매 특성은 반응물 및 중간 생성물의 확산을 향상시켜 C4 내지 C7 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미세 및 중형기공의 특성을 갖는 ZSM-5 촉매에 강산점의 산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을 최적 함량 도입하여, 최적의 산량을 갖는 ZSM-5 촉매를 제공하고, 이를 C4 내지 C7 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의 제조에 사용시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이며 우수한 활성을 갖는 미세 및 중형기공 ZSM-5 촉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ZSM-5 CATALYST WITH MICROPORES AND MESOPOR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RODUCTION METHOD OF LIGHT OLEFINS THROUGH CATALYTIC CRACKING OF HYDROCARBONS USING THE CATALYST}
본 발명은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납사 크래킹 후 생성되는 탄소수 4 내지 7의 탄화수소 혼합물을 촉매 접촉분해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한 경질 올레핀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ZSM-5 촉매의 물리적 특성 개선을 통한 경질 올레핀의 효율적 제조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 및 프로필렌은 석유화학 제품의 중요 원료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경질 올레핀은 납사를 원료로 800℃ 이상의 고온에서 열분해하여 생산되고 있다. 납사의 열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공정은 석유화학공업이 소비하는 에너지의 약 40%를 소비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 비중이 매우 크며, 다량의 이산화탄소 발생으로 인하여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한편, 원유 가격의 상승과 원유의 중질화로 인해 납사보다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천연가스로부터 에틸렌을 얻기 위한 천연가스 크래커가 증설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는 에틸렌만을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필렌의 수급에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가스 크래커의 증설로 인한 프로필렌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고, 800℃ 이상의 고온 열분해로 인한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으로 촉매를 이용한 접촉분해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촉매를 이용한 접촉분해 기술은 종래 열분해 공정에 비해 대략 50~200℃ 정도의 낮은 반응 온도에서 수행되므로 에너지 소모가 적으며 튜브 내벽의 코크 생성이 억제됨에 따라 플랜트의 가동 사이클 및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생성되는 올레핀의 조성을 수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수급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촉매계는 산 촉매, 염기 촉매, 전이금속 산화물 촉매 등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촉매계의 대표적인 예에 근거하여 각각의 촉매를 분석한 결과 산 촉매를 이용한 접촉분해 공정이 가장 큰 경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이러한 산 촉매를 이용한 접촉분해 공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제올라이트가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제올라이트가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통한 산성도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형상 선택성을 가지고 있어 반응물의 전환율 및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경질 올레핀의 수율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촉매 접촉분해용 제올라이트로는 ZSM-5, USY, REY, β-제올라이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ZSM-5 촉매는 기존의 8-분자환(8-membered ring)의 기공 크기를 갖는 제올라이트 A 및 에리오나이트(erionite), 12-분자환(12-membered ring)으로 기공 내에서 13Å의 거대 기공(super-cage)을 갖는 포우저사이트(faujasite), 제올라이트 X 및 Y나 2차원적 기공 구조를 갖는 모데나이트(mordenite)와는 달리 중간 크기인 10-분자환(10-membered ring)의 기공 크기를 가지며, 5.4×5.6Å 크기의 직선 채널(straight channel)과 5.1×5.5Å 크기의 싸인 채널(sinusoidal channel)의 3차원적인 교차로 이루어지는 기공 구조에 의하여 균일한 기공 크기와 구조를 갖게 되어 다른 제올라이트보다 형상 선택성이 우수하고 비활성 정도가 낮으며 높은 Si/Al비에 따른 열적 안정성도 우수하므로, 메탄올 전환 반응, 톨루엔의 알킬화 반응, 자일렌의 이성화 반응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납사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용 촉매로 사용되고 있다(H. Krannila 외, J. Catal., vol.135, p115, 1992). 또한, ZSM-5 촉매를 이용한 n-헥산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에틸렌 및 프로필렌 제조 반응을 수행한 결과 촉매 활성점의 산세기 및 위치에 따라서 반응 속도와 반응 경로가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이 입증되었다(R. L. V. Mao, Micropor. and Mesopor. Mater., vol.28, p9, 1999). 즉, 촉매의 특성 및 성능에 따라 최종적인 반응 생성물의 선택도 및 수율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목표 생성물에 적합한 촉매를 개발하는 전략이 매우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ZSM-5 촉매는 독특한 구조와 우수한 산 특성으로 인해 촉매 접촉분해 반응, 이성화 반응, 에스테르화 반응을 비롯한 다양한 반응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반응이 진행되는 경우 탈알루미늄에 의해 구조가 붕괴됨과 동시에 산점이 감소하여 촉매의 활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온 다습한 반응 조건하에서 발생하는 촉매의 불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물질들을 도입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0979580호는 고온 다습한 가혹한 분위기에서 납사의 접촉분해를 통해 경질 올레핀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형 촉매에 관한 것으로, 0.01~5.0중량%의 MnO2 및 1~15중량%의 P2O5가 제올라이트, 클레이 및 무기 산화물에 동시에 담지되도록 혼합한 슬러리를 분무 건조 및 소성하여 제조되는 경질 올레핀 제조용 탄화수소 접촉분해 촉매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촉매는 망간과 인이 제올라이트와 무기 산화물을 동시에 수식함으로써, 얻어진 구형 성형 촉매의 수열안정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제올라이트의 산점을 보호하여 납사와 같은 C4 이상의 탄화수소 접촉분해시 비교적 높은 경질 올레핀 수율을 얻을 수 있으나, 다양한 범위의 탄소수를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생성물의 분포가 넓고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선택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5,171,921호는 인을 1~3중량% 함유하며, Si/Al비가 20~60인 ZSM-5 촉매를 10~25중량% 포함하고, 카올린, 베토나이트 등의 바인더를 함유하는 성형 촉매를 제조하여 550~600℃의 반응 온도에서 C3-C20의 파라핀 및 올레핀 화합물로부터 C2-C5 올레핀을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ZSM-5 촉매는 대략 1㎚ 이하의 작은 미세기공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기공 특성 때문에 크기가 큰 반응물이 반응에 참여할 경우 분자 확산에 제약이 있게 되며, 이는 촉매 반응 활성에 제한을 주는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촉매를 이용하여 C3-C20의 탄화수소 혼합물을 촉매 접촉분해할 경우 촉매 활성이 우수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인을 첨가하여 촉매의 수열 안정성을 향상시켰더라도 미세기공 입구에서 탄소 침적이 생길 경우 촉매 활성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등록특허 제6,656,345호는 10~70중량%의 올레핀과 5~35중량%의 파라핀을 함유한 탄화수소로부터 경질 올레핀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촉매의 기공은 약 7Å이고, Si/Al비가 200 이상인 제올라이트(MFI, MEL, MTW, TON, MTT, FER, MFS 등)를 이용하나, 기공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반응물의 확산이 원활하지 않을 것이며, 수열안정성에 대해 고찰하지 않았기 때문에 촉매 비활성화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등록특허 제7,304,194호는 ZSM-5 촉매에 인을 도입한 촉매를 이용하여 알킬화 반응을 수행하는 방법 개시하여 수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인을 도입함과 동시에 스팀 처리한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나, 인을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에 대한 원인을 밝히지 않고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6,835,863호는 ZSM-5 및 ZSM-11 촉매를 5~75중량%, 실리카 또는 카올린을 25~95중량%, 인을 0.5~10중량% 함유한 성형 촉매를 이용하여 납사 접촉분해에 사용하는 공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인의 구체적인 출발물질 및 성형 촉매의 수열안정성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중형기공성 특징을 갖는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비특허문헌 1(X. Gao 외, Solid State Sci., Vol.12, p1278, 2010)에서는 중형기공성 특성을 보이는 ZSM-5 촉매를 제조하여 부텐으로부터 경질 올레핀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중형기공성 ZSM-5 촉매의 제조에 있어 탈실리콘 방법을 이용하여 ZSM-5 구조 뿐만 아니라 산 특성이 크게 작아지게 되어 사용에 제한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특허문헌 2(Z. Song 외, Appl. Catal. A, Vol.384, p201, 2010)에서는 인이 도입된 ZSM-5 촉매를 이용하여 에탄올로부터 프로필렌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인을 도입함으로써 촉매의 산점을 변형하여 프로필렌의 선택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강산점과 약산점을 분리하여 각각의 산점의 역할에 대한 해석이 부족하며, 스팀 처리를 하지 않았을 경우 올레핀의 수율이 크게 저하되므로 추가적인 처리 과정이 요구된다.
비특허문헌 3(T. F. Degnan 외, Micropor. and Mesopor. Mater., Vol.35-36, p245, 2000)에서는 ZSM-5 촉매 접촉분해 반응에 있어서 인을 첨가함으로써 수열안정성이 확보된다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인의 기능에 대해서 높은 반응 온도 조건하에서 ZSM-5 촉매의 프레임웍으로부터 알루미늄이 탈알루미늄되는 것을 방지한다고 기재하고 있으나, 촉매의 산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이에, 납사 크래킹 후 생성되는 탄화수소 혼합물을 인이 도입된 ZSM-5 촉매로 촉매 접촉분해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선택도가 만족할 정도의 ZSM-5 촉매 활성을 보유하면서도 단순 공정으로 이러한 촉매를 제조하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납사 크래킹 후 생성되는 탄소수 4 내지 7의 탄화수소 혼합물을 촉매 접촉분해 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을 제조하기 위한 ZSM-5 촉매 제조에 있어, 기존 촉매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보유하면서도 보다 우수한 기공 특성을 나타내어 경질 올레핀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수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최적 조건을 갖는 ZSM-5 촉매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으로 제조된 촉매 및 이 촉매를 이용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한 경질 올레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납사 크래킹 공정 후 생성되는 탄소수 4 내지 7의 탄화수소 혼합물을 촉매 접촉분해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실리카 전구체 및 알루미늄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숙성하여 겔(gel)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겔(gel)에 탄소 분말을 첨가하여 교반 후 숙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숙성된 혼합물을 결정화하여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고체 생성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에 인 전구체를 함침 또는 이온교환 방법으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의 혼합 용액은, (a-1) 증류수에 1가의 금속수산화물 및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할로겐화물(tetrapropylammonium halide)을 용해하는 단계; (a-2) 상기 실리카 전구체를 첨가하여 균질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a-3) 상기 균질 혼합물에 액상의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를 적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이고,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는 알루민산나트륨(NaAlO2), 질산알루미늄(Al(NO3)3), 알루미늄 세컨더리-부톡사이드(aluminum sec-butoxide), 알루미늄 터셔리-부톡사이드(aluminum tert-butoxide), 알루미늄 트리-세컨더리-부톡사이드(aluminum tri-sec-butoxide), 알루미늄 트리-터셔리-부톡사이드(aluminum tri-tert-butoxide), 알루미늄 에톡사이드(aluminum ethoxide) 및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aluminum isoprop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소 분말은 입자 크기가 직경 2~50㎚인 구형, 정방형, 장방형 및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소 분말은 상기 실리카 전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80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는 Si/Al 원자비가 5~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 단계의 열처리는 300~750℃에서 3~10시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인 전구체를 함침하는 방법은, (e-1) 상기 인 전구체를 물에 수화시키는 단계; (e-2) 상기 인 전구체가 수화된 용액에 상기 (d) 단계에서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을 첨가하여 함침하는 단계; 및 (e-3) 상기 함침된 고체 생성물을 건조 및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 전구체는 인산(H3PO4), 인산암모늄((NH4)H2PO4), 인산이암모늄((NH4)2HPO4) 및 인산삼암모늄((NH4)3P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 전구체는 상기 제조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0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 전구체는 상기 제조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5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e-3) 단계의 열처리는 500~750℃에서 1~10시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 및 (e) 단계 사이에, (d-1) 상기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을 양이온 치환하는 단계; 및 (d-2) 상기 양이온 치환된 고체 생성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양이온 치환은 질산암모늄(NH4NO3), 염화암모늄(NH4Cl), 탄산암모늄((NH4)2CO3) 및 플루오르화암모늄(NH4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용액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2) 단계의 열처리는 400~700℃에서 3~10시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납사 크래킹 공정 후 생성되는 탄소수 4 내지 7의 탄화수소 혼합물을 촉매 접촉분해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에 있어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 전구체를 0.01~10중량부 포함하고, 비표면적이 300~450㎡/g, 직경 1㎚ 이하의 미세기공 부피가 0.05~0.2㎤/g, 직경 2㎚ 이상의 중형기공 부피가 0.05~0.2㎤/g, 암모니아 승온 탈착 실험에 따른 약산점 산량이 80~95μ㏖-NH3/g-catalyst, 강산점 산량이 15~50μ㏖-NH3/g-catalyst 및 상기 촉매를 40시간 반응시킨 후 CHNS 분석에 따른 탄소 함량이 2~7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납사 크래킹 공정 후 생성되는 탄소수 4 내지 7의 탄화수소 혼합물을 촉매 접촉분해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존재하에 300~700℃의 반응 온도에서 상기 탄화수소 혼합물을 중량공간속도(WHSV) 1~20h-1 조건으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를 주형물질로 ZSM-5 촉매를 제조하여 미세 및 중형기공성 특성을 동시에 지니는 촉매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촉매 특성은 반응물 및 중간 생성물의 확산을 향상시켜 C4 내지 C7 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세 및 중형기공의 특성을 갖는 ZSM-5 촉매에 강산점의 산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을 최적 함량 도입하여, 최적의 산량을 갖는 ZSM-5 촉매를 제공하고, 이를 C4 내지 C7 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의 제조에 사용시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이며 우수한 활성을 갖는 미세 및 중형기공 ZSM-5 촉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에서 (a) 단계의 혼합 용액의 제조 과정을 일례를 들어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에서 인 전구체를 함침하는 과정을 일례를 들어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에서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을 양이온 치환하는 과정을 일례를 들어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ZSM-5 촉매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ZSM-5 촉매의 암모니아 승온 탈착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비교예 1 및 2,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ZSM-5 촉매의 반응 시간에 따른 C5 탄화수소 혼합물의 전환율, 경질 올레핀의 선택도 및 수율 변화의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ZSM-5 촉매의 강산점의 산량과 C5 유분의 전환율 및 경질 올레핀 수율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비교예 1, 실시예 2 및 4에 따라 제조된 ZSM-5 촉매의 40시간 반응 후 고분해능 투과현미경을 이용한 촉매의 결정 구조 사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에서 (a) 단계의 혼합 용액의 제조 과정을 일례를 들어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에서 인 전구체를 함침하는 과정을 일례를 들어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에서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을 양이온 치환하는 과정을 일례를 들어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실리카 전구체 및 알루미늄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숙성하여 겔(gel)을 형성하는 단계(S100); (b) 상기 겔(gel)에 탄소 분말을 첨가하여 교반 후 숙성하는 단계(S200); (c) 상기 (b) 단계에서 숙성된 혼합물을 결정화하여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S300); (d) 상기 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고체 생성물을 열처리하는 단계(S400); 및 (e) 상기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에 인 전구체를 함침 또는 이온교환 방법으로 도입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 "미세기공성"이라 함은 일반적인 ZSM-5 촉매가 약 1㎚ 이하의 미세 기공을 가진 것을 고려하여 1㎚ 이하의 기공 크기(직경)를 갖는 특성을 의미하며, "중형기공성"이라 함은 기공 크기(직경)가 적어도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기공 크기를 갖는 특성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기공 크기 수치가 엄격한 의미는 아니며 촉매 제조 조건 등에 따라 상대적인 수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중형기공"은 기공 크기(직경)가 2㎚ 이상인 기공인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는 특히 납사 크래킹 공정 후 생성되는 C4 내지 C7의 탄화수소 혼합물을 촉매 접촉분해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ZSM-5 촉매는 유기 양이온을 주형물질로 하여 알칼리성 실리케이트-알루미네이트 반응 모액에서 수열 합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에 따르면 (a) 단계 및 (b) 단계와 같이 먼저 실리카 전구체 및 알루미늄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숙성하여 겔(gel)을 형성한 후 상기 겔(gel)에 탄소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첨가되는 탄소 분말은 이후 열처리 조작을 통한 소성으로 제거되어 미세기공 뿐 아니라 중형기공을 형성하도록 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a) 단계(S100)는 형성되는 겔(gel)상의 혼합물이 이후 첨가되는 탄소 분말과의 용이한 교반 및 균질하게 결정화되어 고체 생성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겔(gel) 형성을 위한 최적의 혼합 용액 제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의 혼합 용액은 (a-1) 증류수에 1가의 금속수산화물 및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할로겐화물(tetrapropylammonium halide)을 용해하는 단계(S110); (a-2) 상기 실리카 전구체를 첨가하여 균질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S120); 및 (a-3) 상기 균질 혼합물에 액상의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를 적하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가의 금속수산화물로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할로겐화물은 테트라프로필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propylammonium bromide),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propylammonium chlori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1가의 금속수산화물 및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할로겐화물을 증류수에 완전 용해(S110)한 후 실리카 전구체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형성(S120)한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균질 상태로 혼합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실리카 전구체로는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Ludox® HS-40, Ludox® AS-40 및 Ludox® HS-3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균질 혼합물에 알루미늄 전구체를 첨가(S130)한다. 이때,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는 상기 균질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액상의 알루미늄 전구체를 상기 균질 혼합물에 적하하는 방법으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로는 알루민산나트륨(NaAlO2), 질산알루미늄(Al(NO3)3), 알루미늄 세컨더리-부톡사이드(aluminum sec-butoxide), 알루미늄 터셔리-부톡사이드(aluminum tert-butoxide), 알루미늄 트리-세컨더리-부톡사이드(aluminum tri-sec-butoxide), 알루미늄 트리-터셔리-부톡사이드(aluminum tri-tert-butoxide), 알루미늄 에톡사이드(aluminum ethoxide) 및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aluminum isoprop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혼합 용액을 적절히 교반한 후 숙성함으로써 겔(gel)상의 혼합물을 형성(S100)한다. 이러한 겔(gel)상의 혼합물은 상기 혼합 용액을 상온에서 1~3시간 교반한 후 2~10시간 상온 숙성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b) 단계와 같이 상기 겔(gel)상의 혼합물에 주형물질로서 탄소 분말을 첨가(S200)한다. 상기 탄소로는 중형기공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제한적인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구형, 정방형, 장방형, 원통형 등일 수 있다. 다만, 촉매 접촉분해 반응물인 C4 내지 C7의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활성점으로의 원활한 흡탈착을 고려하여 그 크기는 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소는 첨가량에 비례하여 중형기공이 더 잘 발달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함량은 상기 실리카 전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8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탄소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일 경우는 형성되는 중형기공 부피가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으며, 8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는 촉매 활성점이 감소하여 오히려 촉매 활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만, 다량의 탄소 첨가 및 이후의 소성 제거로 중형기공 특성이 향상되더라도 C4 내지 C7의 탄화수소 혼합물, 반응 생성물 등의 흡탈착 공간 크기로 인해 분자 확산 제한 완화에 따른 촉매의 반응 활성 향상은 중형기공 특성에 항상 비례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자들은 상기 첨가되는 탄소 함량에 대해 예의 주시한 결과 상기 실리카 전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80중량부까지는 촉매의 반응 활성이 증가하나, 8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촉매의 반응 활성 향상 정도가 눈에 띄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탄소 분말은 미리 100~150℃에서 1~5시간 건조하여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1~5시간 상온 숙성시켜 결정화 단계를 준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소 분말을 상기 겔(gel)상의 혼합물 형성 단계에서 함께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겠으나, 주형물질로 첨가되는 탄소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밖에 없고 이후 선택적인 제올라이트 결정화가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매우 정밀한 화학적 제어가 필요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겔(gel)상의 혼합물에 정량적인 첨가 후 교반 및 숙성을 통한 간단한 공정으로 보다 우수한 반응 활성을 갖는 ZSM-5 촉매를 제조할 수 있게 됨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조건의 탄소 분말 첨가를 통해 제조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중 Si/Al 원자비(몰비)가 5~300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i/Al 원자비가 5 미만일 경우는 촉매 활성 변화에 크게 영향은 없으나, 촉매의 산량이 증가하면서 코킹(coking) 등에 의한 비활성화의 염려가 있을 수 있고, 300을 초과할 경우는 촉매의 산 특성이 만족스럽지 않아 C4 내지 C7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 반응의 전환율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겔(gel)에 상기 탄소 분말을 첨가, 교반 및 숙성을 거쳐 준비된 혼합물은 이후 결정화함으로써 고체 생성물을 형성(S300)하게 된다. 상기 결정화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예를 들면, 수열합성, 마이크로파 합성, 건식-겔 합성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화를 통해 제올라이트는 주형물질인 탄소 입자를 둘러싸고 커다란 단결정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후, 상기 고체 생성물을 열처리하여 탄소를 제거함으로써 중형기공을 형성(S400)하게 된다. 이때, 전처리 과정으로 상기 결정화로 생성된 고체 생성물을 여과 및 증류수로 수회 세척하고 100~120℃ 정도에서 5~15시간 건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열처리는 건조를 거쳐 생성된 고체 생성물을 파쇄하여 300~750℃에서 3~10시간 소성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탄소의 완전 소성을 위한 바람직한 소성 조건은 500~600℃에서 4~6시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처리를 통해 제올라이트 단결정 구조는 탄소로부터 형성된 중형기공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에 인 전구체를 도입하여 인으로 개질된 ZSM-5 촉매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인 전구체 도입 방법으로 함침 또는 이온교환 방법이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산점, 특히, 강산점 조절에 용이한 함침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 전구체를 ZSM-5 촉매에 함침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상기 인 전구체를 물에 수화(S510)시키고, 수화된 용액에 상기 (d) 단계에서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을 첨가하여 함침(S520)시킨 후 이를 건조 및 열처리(S530)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 전구체를 완전 용해시킬 수 있는 양의 물(증류수)에 인 전구체를 용해(S510)시킨 후 70~90℃에서 5~15분간 교반시키고, 상기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을 투입하여 70~90℃에서 충분히 함침(S520)되도록 교반시킨 후 물이 모두 증발하면 90~110℃의 오븐에서 10~15시간 건조 후 500~750℃에서 1~10시간 소성(S530)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침을 70~90℃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은 상온에서 수행하는 것보다 ZSM-5 촉매의 프레임웍과 인 성분이 결합하기에 유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소성 온도가 500℃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인 전구체에 포함된 유기물 및 무기물 제거가 완전하지 않을 수 있으며, 750℃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입 에너지 효율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열화되어 오히려 인 전구체에 포함된 유기물 및 무기물 제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 전구체 도입 함량은 최종 제조되는 ZSM-5 촉매의 산량 및 촉매 반응에 따른 탄소 침적량과 관련하여 최적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 전구체 도입 함량은 전술한 탄소분말의 첨가 범위에서는 최종 제조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0중량부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3중량부 도입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1~1.5중량부 도입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0.1~1중량부 도입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인 전구체로는 예를 들면, 인산(H3PO4), 인산암모늄((NH4)H2PO4), 인산이암모늄((NH4)2HPO4), 인산삼암모늄((NH4)3PO4)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인 전구체 도입 전에 상기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을 양이온 치환하는 단계(S410)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 치환은 일반적으로 나트륨 이온(Na+)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를 양성자(H+)로 교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양성자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촉매는 다른 양이온에 비해 산 세기가 증가되어 크래킹 반응에 효과적이다. 상기 양이온 치환은 구체적으로 70~90℃의 양이온 치환용 용액에 상기 고체 생성물을 투입하고 동일 온도 조건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양이온 치환된 수용액을 여과 및 세척 과정을 거친 후 추가적으로 1~3회 정도 양이온 치환 과정을 반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양이온 치환에 사용되는 용액으로는, 질산암모늄(NH4NO3), 염화암모늄(NH4Cl), 탄산암모늄((NH4)2CO3) 및 플루오르화암모늄(NH4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 치환된 고체 생성물을 열처리하는 과정(S420)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400~700℃에서 3~10시간 소성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온도가 400℃ 미만일 경우는 제올라이트 촉매에 1차적으로 치환된 암모늄 염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제올라이트의 산 세기가 감소할 수 있고, 700℃를 초과할 경우는 촉매 붕괴 및 브뢴스테드 산점이 소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온도가 3시간 미만일 경우는 충분한 암모늄 염의 제거가 어려울 수 있고, 10시간을 초과할 경우는 전력 손실의 염려가 있다. 여기서, 상기 열처리 이전에 상기 양이온 치환된 고체 생성물을 100~120℃에서 5~15시간 건조한 후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특성을 동시에 지니며, 이러한 촉매 특성은 반응물 및 중간 생성물의 확산을 향상시켜 C4 내지 C7 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는 인을 최적 함량 도입하여, 최적의 산량을 갖는 ZSM-5 촉매를 제공하고, 이를 C4 내지 C7 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의 제조에 사용시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이며 우수한 활성을 갖는 미세 및 중형기공 ZSM-5 촉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 ZSM-5 촉매는 상기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 전구체를 0.1~10중량부 포함하고, 비표면적이 300~450㎡/g, 직경 1㎚ 이하의 미세기공 부피가 0.05~0.2㎤/g, 직경 2㎚ 이상의 중형기공 부피가 0.05~0.2㎤/g, 암모니아 승온 탈착 실험에 따른 약산점 산량이 80~95μ㏖-NH3/g-catalyst, 강산점 산량이 15~50μ㏖-NH3/g-catalyst 및 상기 촉매를 40시간 반응시킨 후 CHNS 분석에 따른 탄소 함량이 2~7중량%인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는 납사 크래킹 공정 후 생성되는 C4 내지 C7의 탄화수소 혼합물을 촉매 접촉분해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존재하에 300~700℃의 반응 온도에서 상기 탄화수소 혼합물을 중량공간속도(WHSV) 1~20h-1 조건으로 반응시켜 경질 올레핀을 제조한다. 상기 중량공간속도가 1h-1 미만일 경우는 전환율을 증가할 수 있으나 부반응으로 인해 선택도가 감소할 수 있고, 20h- 1를 초과할 경우는 전환율이 감소하고 촉매 수명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비교예 1
증류수 150㎖에 수산화나트륨(Samchun Chem.社) 1.6g을 투입 및 용해시킨 후 이 수용액에 ZSM-5 구조유도물질로 테트라프로필암모늄 브로마이드(TPABr, Sigma-Aldrich社) 2.28g을 첨가하여 TPABr이 완전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수산화나트륨 및 TPABr이 포함된 수용액에 콜로이달 실리카(Ludox HS-40, Sigma-Aldrich社)를 서서히 적하시킨 후 균일한 혼합물이 형성될 때까지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한편, 또 다른 증류수 30㎖에 알루민산나트륨(NaAlO2, Junsei社) 0.78g을 용해시칸 후 1시간 동안 교반한 용액을 실리카 전구체(콜로이달 실리카)가 포함된 용액에 서서히 적하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겔(gel)을 형성하였다. 주형물질로 사용할 탄소 분말(EC600JD, KetjenBlack社)을 미리 110℃의 오븐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한 후 상기 겔(gel)에 상기 실리카 전구체 100중량부에 대해 50중량부의 비율로 정량하여 첨가하고 이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교반된 용액을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 넣고 160℃에서 72시간 동안 수열합성하였다. 수열합성 후 생성된 생성물을 여과한 후 증류수로 수회 세척하고 세척된 고체 시료를 11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 후 생성된 고체 생성물을 파쇄하고 650℃에서 10시간 동안 소성하여 주형물질인 탄소를 제거하였다. 소성 후 고체 생성물에 대한 양이온 치환을 위해 1몰농도의 질산암모늄(Junsei社) 100㎖를 준비하여 80℃로 유지한 후 고체 생성물 4g을 투입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양이온 치환된 수용액을 여과 및 세척 과정을 거쳐 추가적으로 2회 더 양이온 치환 과정을 수행하였다. 양이온 치환이 완료된 고체 생성물을 11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후 650℃에서 5시간 동안 소성하여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탄소를 첨가하지 않을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순수한 ZSM-5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에서 제조된 ZSM-5 촉매에 최종 제조되는 ZSM-5 촉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7중량부 포함되도록 정량된 인산을 함침법에 의해 함침하였다. 이를 위해 10㎖의 증류수에 상기 정량된 인산(85%, Sigma-Aldrich社)을 녹인 후 80℃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ZSM-5 촉매 1g을 투입하고 충분한 함침이 일어나도록 80℃에서 계속 교반하였다. 증류수가 모두 증발된 후 100℃의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한 후 650℃에서 3시간 동안 소성하여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인산을 0.3중량부가 되도록 함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인산을 0.7중량부가 되도록 함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인산을 1.4중량부가 되도록 함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인산을 2.7중량부가 되도록 함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 -5 촉매의 특성 분석
(1) 인의 ZSM-5 촉매 결정 구조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의 결정 구조에 인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ZSM-5 촉매의 X-선 회절 분석(D-MAX2500-PC, Rigaku社)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이 도입된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촉매 및 인이 도입되지 않은 비교예 1에 따른 촉매 모두 ZSM-5의 특성 피크가 잘 발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입되는 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ZSM-5의 특성 피크의 상대 감도가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원인은 인이 도입됨에 따라 -Si-O-Al-로 구성되는 ZSM-5의 프레임웍이 탈알루미늄에 의해 일부 변형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입되는 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탈알루미늄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ZSM-5 특성 피크의 상대 감도가 상대적으로 더 감소하게 된다.
(2) ZSM-5 촉매의 미세 및 중형기공 형성 분석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의 미세기공 및 중형기공 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비교예 1 및 2,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ZSM-5 촉매의 비표면적 및 기공 부피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표면적
(㎡/g)
기공 부피 (㎤/g)
미세기공 (micropore) 중형기공 (mesopore)
비교예 1 396.4 0.146 0.131
비교예 2 391.5 0.155 -
실시예 1 391.6 0.145 0.128
실시예 2 387.8 0.148 0.114
실시예 3 384.7 0.132 0.112
실시예 4 368.5 0.140 0.114
실시예 5 346.7 0.105 0.098
표 1을 참조하면, 탄소를 주형물질로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에 따른 ZSM-5 촉매에 비하여 탄소를 주형물질로 사용한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ZSM-5 촉매는 보다 큰 중형기공 부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탄소를 주형물질로 사용한 ZSM-5 촉매는 본 발명의 의도에 부합하는 중형기공을 갖는 촉매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입된 인의 함량이 증가하더라도 촉매의 물리적 특성이 크게 변하지 않다가 실시예 5에 따른 함량 부근에서 비표면적이 다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입되는 인의 함량이 과도할 경우, 도입된 인 성분들이 촉매 표면에 완벽하게 단일층(mono layer)을 형성하여 존재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고, 부분적으로 응집(aggregation)이 일어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기공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미세기공만 가지고 있는 ZSM-5 촉매의 경우, 이러한 도입되는 인에 의한 기공 막힘 현상으로 인하여 미세기공내의 산점은 더 이상 활성점으로 작용하기 어려우나, 중형기공을 갖는 ZSM-5 촉매의 경우, 보다 큰 기공 특성이 인 도입에 의한 기공 블로킹 현상을 억제하기 때문에 촉매 활성 저하가 감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ZSM-5 촉매에 인을 도입하되 중형기공 특성이 반드시 요구되는 점을 구체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후술하는 ZSM-5 촉매의 산 특성 및 탄소 침적량을 모두 고려한 최적 조성 및 함량을 포함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을 제시하였다.
(3) ZSM-5 촉매의 산 특성 분석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의 산 특성에 인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ZSM-5 촉매의 암모니아 승온 탈착 실험(BELCAT-B, BEL Japan社)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고, 도 6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각 촉매의 산량(acidity)을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든 촉매에서 100~150℃와 370~420℃ 위치에서 주요한 탈착 피크가 발견된 것을 알 수 있으며, 100~150℃ 위치에서 나타난 피크를 약산점으로 정의하고, 370~420℃ 위치에서 나타난 피크를 강산점으로 정의하였다.
구분 산량(Acidity)(mmol-NH3/g-catalyst)
약산점 산량 강산점 산량 총 산량
비교예 1 89.6 49.9 139.5
실시예 1 88.5 46.2 134.7
실시예 2 84.3 41.5 125.8
실시예 3 86.1 39.5 125.6
실시예 4 90.3 29.6 119.9
실시예 5 91.4 17.8 109.2
표 2를 참조하면, 도입되는 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산점의 산량은 크게 변화지 않은 반면, 강산점의 산량이 다소 감소한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도입된 인이 산점, 특히, 약산점보다 강산점과 결합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G. Zhao 외, J. Catal., Vol.248, p29, 2007). 따라서, 도입된 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강산점의 산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실험예 2: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 -5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에 의한 경질 올레핀 제조 수율 및 촉매 활성 분석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에 의한 경질 올레핀, 특히,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제조 수율 분석을 위해 하기와 같은 제조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물로 사용되는 탄화수소 혼합물은 C5 탄화수소 혼합물을 사용하였으며 그 조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화학명 구성비 (몰%)
펜탄(pentane) 33.4
이소펜탄(isopentane) 25.0
펜텐(pentene) 8.3
이소펜텐(isopentene) 25.0
사이클로펜탄(cyclopentane) 8.3
[제조 반응례]
상기 C5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 반응을 위해 비교예 1 및 2,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ZSM-5 촉매를 각각 반응기에 충진시키고, 반응 전 질소 가스(40㎖)로 650℃에서 1시간 동안 촉매를 활성화시켰다. 촉매 활성화 이후 반응물이 반응기 내의 촉매층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반응이 진행되도록 하였다. 반응물의 중량공간속도(WHSV)는 3.5h-1로 유지하였으며, C5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 반응 온도는 600℃로 하였다. 반응 후 생성되는 생성물에 대해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각 촉매의 반응 시간에 따른 C5 탄화수소 혼합물의 전환율, 경질 올레핀(에틸렌+프로필렌)의 선택도 및 수율을 계산하고 그 추이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C5 탄화수소 혼합물의 전환율, 경질 올레핀 선택도 및 경질 올레핀(에틸렌+프로필렌)의 수율은 하기 수학식 1 내지 4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탄소를 주형물질로 하여 제조된 ZSM-5 촉매(비교예 1)는 순수한 ZSM-5 촉매(비교예 2)에 비해 보다 우수한 활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반응 활성의 차이는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탄소를 주형물질로 사용하여 제조된 ZSM-5 촉매가 순수한 ZSM-5 촉매에 비해 중형기공이 발달했기 때문이다. 즉, C5 유분의 촉매 접촉분해 반응에 있어서 탄소를 주형물질로 하여 제조된 ZSM-5 촉매의 발달된 중형기공은 1㎚ 이하의 미세기공을 가지고 있는 순수한 ZSM-5 촉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응물, 생성물 및 중간 생성물의 확산 제한(diffusion limitation)을 완화시키며, 이로 인해 보다 우수한 반응 활성을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40시간의 반응 시간 동안 순수한 ZSM-5 촉매는 급격한 촉매 비활성화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반응 중 발생하는 탄소 침적에 의한 것이며, 이러한 탄소 침적의 직접적 원인은 C5 유분의 촉매 접촉분해 과정에서 부반응으로 발생하는 카보늄 이온들간의 고분자화에 의한 것으로, 순수한 ZSM-5 촉매의 미세기공 입구에서 카보늄 이온간의 고분자화로 인해 탄소 침적이 발생할 경우, 미세기공 안쪽에 존재하는 활성점은 더 이상 C5 유분의 분해 반응을 위한 활성점으로 작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탄소 침적이 많아짐에 따라 촉매 활성은 급격하게 감소되는 경항을 보이게 된다.
반면, 탄소를 주형물질로 하여 제조된 ZSM-5 촉매는 반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느 정도 비활성화 경향이 나타나기는 하나 순수한 ZSM-5 촉매에 비해 낮은 편이다. 이는 탄소를 주형물질로 하여 제조된 ZSM-5 촉매의 중형기공 특성에 의한 것으로, 탄소 침적이 기공의 입구에서 발생하더라도 중형기공이 완전히 막히기 전까지는 C5 유분이 충분히 기공 안쪽까지 침투하여 반응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응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탄소 침적이 점점 심해지며 결국 기공이 막히게 되고, 이에 따라 반응 활성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중형기공 특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촉매 비활성화가 최소화되는 ZSM-5 촉매가 요구되어지며, 이는 탄소를 주형물질로 제조된 ZSM-5 촉매에 인을 도입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탄소를 주형물질로 제조된 ZSM-5 촉매에 인을 도입하여 제조된 ZSM-5 촉매(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40시간의 반응 시간 동안 비교적 안정적인 활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도입되는 인의 함량이 다소 낮은 경우(실시예 1) 반응 시간 경과에 따라 비활성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나, 함량이 그보다 더 많은 ZSM-5 촉매(실시예 2 내지 5)의 경우 40시간의 반응 시간 동안 보다 안정적인 반응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ZSM-5 촉매의 산 특성, 특히, ZSM-5 촉매의 강산점의 산량이 반응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ZSM-5 촉매의 강산점의 산량과 C5 유분의 전환율 및 경질 올레핀(에틸렌+프로필렌) 수율의 상관관계를 정리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40시간 반응 후의 C5 유분의 전환율 및 경질 올레핀 수율은 강산점의 산량에 대해 모두 화산형 분포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 따른 ZSM-5 촉매와 같이 강산점의 산량이 상대적으로 큰 ZSM-5 촉매의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활성은 우수하나 40시간 반응 후에는 다소 비활성화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3 내지 5에 따른 ZSM-5 촉매와 같이 도입된 인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40시간 동안 안정적인 반응 활성을 나타내기는 하나 강산점의 산량이 다소 작아져 반응 활성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에 따른 ZSM-5 촉매와 같이 적정 함량의 인을 도입함으로써 강산점의 산량을 조절할 경우 ZSM-5 촉매의 비활성화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경질 올레핀(에틸렌+프로필렌)의 수율을 최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탄소를 주형물질로 하여 제조되는 ZSM-5 촉매에 도입되는 인의 함량이 촉매의 반응 시간에 따른 탄소 침적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ZSM-5 촉매의 40시간 반응 이후 CHNS(CHNS 932, Leco社) 분석을 실시하고 탄소 함량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탄소 침적량(중량%)
비교예 1 9.4
실시예 1 6.8
실시예 2 3.5
실시예 3 3.3
실시예 4 3.4
실시예 5 2.5
표 4를 참조하면, 인이 도입되지 않은 ZSM-5 촉매(비교예 1)의 경우 촉매내 침적된 탄소 함량이 인이 도입된 ZSM-5 촉매(실시예 1 내지 5)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인이 도입된 ZSM-5 촉매의 경우 도입된 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탄소의 침적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C5 유분의 촉매 접촉분해 반응에 있어 탄소를 주형물질로 하여 제조되는 ZSM-5 촉매에 인을 도입할 경우 촉매의 탄소 침적에 의한 촉매 비활성화를 크게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인의 도입에 따라 강산점의 산량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산점의 산량이 큰 ZSM-5 촉매(인이 도입되지 않은 ZSM-5 촉매 또는 도입된 인의 함량이 매우 적은 ZSM-5 촉매)의 경우 40시간 반응 후 반응 활성이 다소 감소된 반면, 강산점의 산량이 작은 ZSM-5 촉매(적정 함량의 인이 도입된 ZSM-5 촉매)의 경우 안정적인 반응 활성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소 침적은 약산점보다는 강산점에 의해서 발생하기 쉽고, 인을 도입함으로써 강산점의 산량을 조절할 경우 탄소 침적에 저항력을 갖는 촉매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과도한 함량의 인을 도입할 경우 촉매의 활성이 다소 저하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적정 함량의 인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비교예 1, 실시예 2 및 4에 따라 제조된 ZSM-5 촉매의 40시간 반응 후 고분해능 투과현미경(JEM-3010, Jeol社)을 이용한 촉매의 결정 구조 사진이다. 도 9에서 C-ZSM5, 0.3P/C-ZSM5 및 1.4P/C-ZSM5는 각각 비교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4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인이 도입되지 않은 ZSM-5 촉매(비교예 1)의 결정 구조 주위에는 촉매의 격자 구조와 다른 형태의 얇은 띠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탄소 침적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띠 구조가 인이 도입된 ZSM-5 촉매(실시예 2 및 4)에서는 관찰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표 4의 CHNS 분석 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이며, 이로부터 탄소를 주형물질로 하여 제조되는 ZSM-5 촉매에 인이 도입된 ZSM-5 촉매의 경우 탄소 침적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7)

  1. 납사 크래킹 공정 후 생성되는 탄소수 4 내지 7의 탄화수소 혼합물을 촉매 접촉분해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실리카 전구체 및 알루미늄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숙성하여 겔(gel)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겔(gel)에 탄소 분말을 첨가하여 교반 후 숙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숙성된 혼합물을 결정화하여 고체 생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고체 생성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에 인 전구체를 함침 또는 이온교환 방법으로 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혼합 용액은,
    (a-1) 증류수에 1가의 금속수산화물 및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할로겐화물(tetrapropylammonium halide)을 용해하는 단계;
    (a-2) 상기 실리카 전구체를 첨가하여 균질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a-3) 상기 균질 혼합물에 액상의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를 적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이고,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는 알루민산나트륨(NaAlO2), 질산알루미늄(Al(NO3)3), 알루미늄 세컨더리-부톡사이드(aluminum sec-butoxide), 알루미늄 터셔리-부톡사이드(aluminum tert-butoxide), 알루미늄 트리-세컨더리-부톡사이드(aluminum tri-sec-butoxide), 알루미늄 트리-터셔리-부톡사이드(aluminum tri-tert-butoxide), 알루미늄 에톡사이드(aluminum ethoxide) 및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aluminum isoprop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분말은 입자 크기가 직경 2~50㎚인 구형, 정방형, 장방형 및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분말은 상기 실리카 전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80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는 Si/Al 원자비가 5~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열처리는 300~750℃에서 3~10시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인 전구체를 함침하는 방법은,
    (e-1) 상기 인 전구체를 물에 수화시키는 단계;
    (e-2) 상기 인 전구체가 수화된 용액에 상기 (d) 단계에서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을 첨가하여 함침하는 단계; 및
    (e-3) 상기 함침된 고체 생성물을 건조 및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 전구체는 인산(H3PO4), 인산암모늄((NH4)H2PO4), 인산이암모늄((NH4)2HPO4) 및 인산삼암모늄((NH4)3P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 전구체는 상기 제조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0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 전구체는 상기 제조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5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3) 단계의 열처리는 500~750℃에서 1~10시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및 (e) 단계 사이에,
    (d-1) 상기 열처리된 고체 생성물을 양이온 치환하는 단계; 및
    (d-2) 상기 양이온 치환된 고체 생성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치환은 질산암모늄(NH4NO3), 염화암모늄(NH4Cl), 탄산암모늄((NH4)2CO3) 및 플루오르화암모늄(NH4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용액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의 열처리는 400~700℃에서 3~10시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16. 납사 크래킹 공정 후 생성되는 탄소수 4 내지 7의 탄화수소 혼합물을 촉매 접촉분해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에 있어서,
    제1항 또는 제13항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 전구체를 0.01~10중량부 포함하고, 비표면적이 300~450㎡/g, 직경 1㎚ 이하의 미세기공 부피가 0.05~0.2㎤/g, 직경 2㎚ 이상의 중형기공 부피가 0.05~0.2㎤/g, 암모니아 승온 탈착 실험에 따른 약산점 산량이 80~95μ㏖-NH3/g-catalyst, 강산점 산량이 15~50μ㏖-NH3/g-catalyst 및 상기 촉매를 40시간 반응시킨 후 CHNS 분석에 따른 탄소 함량이 2~7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17. 납사 크래킹 공정 후 생성되는 탄소수 4 내지 7의 탄화수소 혼합물을 촉매 접촉분해하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6항의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존재하에 300~700℃의 반응 온도에서 상기 탄화수소 혼합물을 중량공간속도(WHSV) 1~20h-1 조건으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KR1020110125643A 2011-09-29 2011-11-29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KR10127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43A KR101279691B1 (ko) 2011-11-29 2011-11-29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US13/592,414 US20130085311A1 (en) 2011-09-29 2012-08-23 Zsm-5 catalyst with micropores and mesopor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roduction method of light olefins through catalytic cracking of hydrocarbons using the catalyst
CN201210307167.3A CN103028433B (zh) 2011-09-29 2012-08-24 具有微孔和介孔的zsm-5催化剂、其制备方法及使用该催化剂催化裂化烃类生产轻烯烃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43A KR101279691B1 (ko) 2011-11-29 2011-11-29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594A true KR20130059594A (ko) 2013-06-07
KR101279691B1 KR101279691B1 (ko) 2013-06-28

Family

ID=4885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643A KR101279691B1 (ko) 2011-09-29 2011-11-29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69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722B1 (ko) * 2013-11-25 2014-11-0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경질 올레핀 제조용 촉매 및 이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WO2015076427A1 (ko) * 2013-11-19 2015-05-2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올레핀 제조방법
KR20180025935A (ko) * 2015-07-02 2018-03-09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프로필렌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6623A (ko) * 2015-07-02 2018-11-27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프로필렌 제조용의 이중 촉매 시스템
KR20190049209A (ko) * 2017-11-01 2019-05-09 한국화학연구원 산 처리된 zsm-5를 통한 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적 에틸렌의 제조방법
WO2019088703A3 (ko) * 2017-11-01 2019-06-20 한국화학연구원 선택적 에틸렌의 제조방법
KR20190105086A (ko) * 2017-01-20 2019-09-11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프로필렌 생산을 위한 이중 촉매 공정 및 시스템
KR20190131447A (ko) * 2018-05-16 2019-11-26 한국화학연구원 프로판으로부터 선택적 에틸렌의 제조방법
US10934231B2 (en) 2017-01-20 2021-03-02 Saudi Arabian Oil Company Multiple-stage catalyst systems and processes for propene production
US10961171B2 (en) 2018-10-10 2021-03-30 Saudi Arabian Oil Company Catalysts systems that include metal co-catalysts for the production of propylene
US11242299B2 (en) 2018-10-10 2022-02-08 Saudi Arabian Oil Company Catalyst systems that include metal oxide co-catalysts for the production of propyle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291B1 (ko) * 2012-05-30 2014-04-1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0303A (en) * 1998-03-11 2000-06-27 Exxon Chemical Patents, Inc. Zeolite catalyst activity enhancement by aluminum phosphate and phosphorus
DK1830956T3 (da) * 2004-12-28 2023-02-06 Neste Oyj Fremgangsmåde til forberedelse af katalytiske materialer
KR101063194B1 (ko) 2009-01-15 2011-09-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조-마이크로 세공을 가지는 나노 세공체 제조방법과 메조-마이크로 세공을 가지는 나노 세공체 촉매
KR20110121474A (ko) * 2010-04-30 2011-11-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층적 메조세공 무기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6427A1 (ko) * 2013-11-19 2015-05-2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올레핀 제조방법
KR101458722B1 (ko) * 2013-11-25 2014-11-0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경질 올레핀 제조용 촉매 및 이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KR20180025935A (ko) * 2015-07-02 2018-03-09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프로필렌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6623A (ko) * 2015-07-02 2018-11-27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프로필렌 제조용의 이중 촉매 시스템
KR20190022925A (ko) * 2015-07-02 2019-03-06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프로필렌 제조용의 이중 촉매 시스템
US10919822B2 (en) 2017-01-20 2021-02-16 Saudi Arabian Oil Company Dual catalyst processes and systems for propylene production
KR20190105086A (ko) * 2017-01-20 2019-09-11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프로필렌 생산을 위한 이중 촉매 공정 및 시스템
US10934231B2 (en) 2017-01-20 2021-03-02 Saudi Arabian Oil Company Multiple-stage catalyst systems and processes for propene production
WO2019088703A3 (ko) * 2017-11-01 2019-06-20 한국화학연구원 선택적 에틸렌의 제조방법
KR20190049209A (ko) * 2017-11-01 2019-05-09 한국화학연구원 산 처리된 zsm-5를 통한 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적 에틸렌의 제조방법
KR20190131447A (ko) * 2018-05-16 2019-11-26 한국화학연구원 프로판으로부터 선택적 에틸렌의 제조방법
US10961171B2 (en) 2018-10-10 2021-03-30 Saudi Arabian Oil Company Catalysts systems that include metal co-catalysts for the production of propylene
US11242299B2 (en) 2018-10-10 2022-02-08 Saudi Arabian Oil Company Catalyst systems that include metal oxide co-catalysts for the production of propylene
US11242300B2 (en) 2018-10-10 2022-02-08 Saudi Arabian Oil Company Catalyst systems that include metal co-catalysts for the production of propyl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691B1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691B1 (ko)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Khanmohammadi et al. Methanol-to-propylene process: Perspective of the most important catalysts and their behavior
Javdani et al. Nano-sized ZSM-5 zeolite synthesized via seeding technique for methanol conversions: A review
Li et al. Facile synthesis of a superior MTP catalyst: Hierarchical micro-meso-macroporous ZSM-5 zeolites
JP5107906B2 (ja) ゼオライト触媒および方法
Álvaro-Muñoz et al. Microwave-assisted synthesis of plate-like SAPO-34 nanocrystals with increased catalyst lifetime in the methanol-to-olefin reaction
US9821299B2 (en) Process for producing phosphorus modified zeolite catalysts
MX2014000850A (es) Aditivo catalizador fcc y método para su preparación.
KR101957373B1 (ko) 인 함유 제올라이트 촉매 및 이의 제조 방법
Ghrib et al. Synthesis of cocrystallized USY/ZSM-5 zeolites from kaolin and its use as fluid catalytic cracking catalysts
CN102557073A (zh) 制备sapo-34分子筛的方法、sapo-34分子筛及其应用
US20130165315A1 (en) Method of forming a hydrocarbon cracking catalyst
Feng et al. Direct synthesis of b-axis oriented H-form ZSM-5 zeolites with an enhanced performance in the methanol to propylene reaction
EP1396481A1 (en) Production of olefins
Zhao et al. Synthesis of high-Si hierarchical beta zeolites without mesoporogen and their catalytic application in the methanol to propene reaction
KR20180069731A (ko) 마이크로다공성 및 메조다공성 계층적 구조의 mfi 제올라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촉매 용도
Saxena et al. Hierarchically nano porous nano crystalline ZSM-5 for improved alkylation of benzene with bio-ethanol
KR101386291B1 (ko) 미세 및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탄화수소 혼합물의 촉매 접촉분해를 통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US10301184B2 (en) Zeolitic materials having a distinctive single crystal macroporosit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262549B1 (ko)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García-Ruiz et al. Synthesis of 10 and 12 ring zeolites (MCM-22, TNU-9 and MCM-68) modified with Zn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the reaction of methanol to light aromatics and olefins
Broach et al. Tailoring zeolite morphology by Charge Density Mismatch for aromatics processing
CN114433197B (zh) 一种用于烯烃异构化反应的负载金属催化剂及其制备方法
Zhang et al. Tailoring structure and acidity of ZSM-5 zeolite by algae carbon modification: Promoting effect in the MTO reaction
US20230077288A1 (en) Synthesis of finned zeolite cryst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