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735A - 카트리지(cartridge)형 오일 분리기 - Google Patents

카트리지(cartridge)형 오일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735A
KR20130058735A KR1020137005516A KR20137005516A KR20130058735A KR 20130058735 A KR20130058735 A KR 20130058735A KR 1020137005516 A KR1020137005516 A KR 1020137005516A KR 20137005516 A KR20137005516 A KR 20137005516A KR 20130058735 A KR20130058735 A KR 20130058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separator
container
components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4173B1 (ko
Inventor
베르너 코스로우스키
요하네스 신스테드텐
헤르베르트 쉬렌스케르
안드레아스 오스트가데
Original Assignee
베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58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01D29/5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01D29/5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9/00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 F16N39/002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by dea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혼합물로부터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에 관한 것으로, 용기(2), 유입구(3) 및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6)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3)는 상기 배출구(6)위에 정렬되고, 분리기는 구성 요소를 결합시키고 유입구(3)와 배출구(6) 사이에서 용기(3) 내에 정렬되는 여과재(7)를 포함하여 유량이 여과재(7)를 통과한다. 여과재(7)는 용기(3) 내에 삽입되는 카트리지(4) 내에 정렬된다.

Description

카트리지(cartridge)형 오일 분리기{CARTRIDGE OIL SEPARATOR}
이 발명은 액체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가 있는 분리기를 대상으로 한다.
이 발명은 액체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가 있는 분리기를 대상으로 한다.
- 이때 용기에는 최소 한 개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있어야 하며, 이 유입구는 배출구 위에 정렬되고,
- 예를 들어 오일과 같은 구성 요소를 결합시키는 여과재가 있으며,
- 이 여과재는 용기 내부의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를 통해 흐른다.
액체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 또는 액체를 별도로 걸러내기 위한 분리기는 잘 알려져 있다. 실용신안 DE 90 040 19.8은 액체 분리기에서 분리된 경액의 흡수를 위한 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이러한 장치는 별도의 용기가 내장된 하우징의 형태를 지닌다. 이 용기에는 기름 흡착제가 들어 있는 자루가 있다. 기름 흡착제는 폴리우레탄 폼을 기초로 하는 물에 뜨는 성질의 과립이다. 용기의 기름 흡착제가 크게 포화 상태가 되지 않는 한, 이 용기는 경액층으로 아주 살짝 내려가게 된다. 경액이 용기를 완전히 침투해 기름 흡착제가 있는 자루에까지 들어오면 이 경액은 기름 흡착제를 통해 흡착된다. 기름 흡착제의 포화도가 증가하면 자루의 무게도 증가해, 용기는 점점 아래로 가라앉게 된다. 용기가 가장 깊은 위치에까지 다다르게 되면 기름 흡착제는 경액으로 과포화가 되어 자루는 교체돼야 한다. 흡착되지 않은 액체는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간다. 기본적으로 이 장치의 원리는 의미가 있지만, 이 장치는 자체적으로 매우 소모적이고 문제 발생률이 높다. 예를 들어 액체 혼합물의 전체 유량이 실질적으로 자루를 통과할 수 있는지도 보장되지 않는다. 즉, 완전한 여과(filtering)가 반드시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DE 600 04 523 D2은 이러한 장치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밀도의 액체 분리기 및 분리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기술되고 있는 장치는 기본적으로 같은 원리로 작동된다. 즉, 두 가지 액체 중 하나를 흡착제를 통해 가두고 다른 액체는 가라앉히는 원리이다.
하지만 이 장치는 전체 유량이 흡착하는 재료로 구성된 분리영역을 통과한다는데 상당한 차이가 있다. 분리영역은 용기의 전체 단면을 완전히 채우도록 정렬된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의 단점은 분리영역과 용기 사이의 마찰에 있다. 흡착량의 증가와 및 분리영역의 오염으로 인한 온도변화와 압력변동을 통해 마찰률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다시금 여과 및 이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것은 장치의 잦은 고장과 높은 유지 보수 시간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장치의 규모가 커지면 분리장치 또는 오일/물 분리기는 흡착하는 재료의 교체 전 배수 시간이 매우 길어지고, 흡착제 및 이러한 재료를 갖는 필터의 무게도 많이 늘어날 것이다.
이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통해 여과재의 간단하고 신속한 교체가 가능한 분리기를 생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특히 이때 여과재의 흐름이 균일하게 이뤄져야 한다. 또 다른 과제는 분리기가 다양한 공간적 여건에 맞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분리기는 유량 및/또는 흡착되는 액체의 양과도 맞아야 한다.
이러한 과제는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의 특징을 지닌 분리기를 통해 해결된다. 따라서 여과재는 용기에 삽입된 카트리지에 정렬된다.
카트리지에 여과재를 정렬함으로써 액체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여과재의 교체가 보다 쉬워진다.
여과재의 세부사항과 관련해서는 여기서 제시된 명칭으로 요약된 신청서 DE 102005012718에서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것은 다공성 재질이나 섬유 재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는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며, 유입구 및 용기의 배출부를 통해 액체를 유도하는 배출구까지 연결된다.
이 카트리지를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더 이롭다. 이것은 한 개의 용기에 여러 개의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 부분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한 개의 카트리지로 사용할 수 있는 양을 여러 개의 작은 카트리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는 서로 나란히 또는 위로 겹쳐서 정렬될 수 있어서 사용되는 설치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직각 사각 단면으로 이뤄진 용기의 경우 카트리지는 각각 삼각의 단면을 갖게 해, 네 개의 서로 나란히 정렬된 카트리지를 통해 용기의 사각 단면을 최적으로 채울 수 있다. 또한, 수평으로 나누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카트리지는 위로 겹쳐서 정렬할 수 있다.
다음에서 카트리지라는 개념은 카트리지 자체뿐만 아니라 카트리지 부분에도 사용된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액체 및 액체 혼합물이 유입되는 자체 유입구를 지닌다. 가장 효율적인 유형은 각각의 카트리지를 용기의 액체 위치까지 함께 담그는 것이다. 이것은 모든 카트리지에 액체를 최적으로 분배하는 이점을 지닌다. 이를 통해 더 나은 분리 결과 및 각각 카트리지의 균등한 사용을 가져온다. 즉, 카트리지 내 여과재가 동일한 시점에 포화 상태가 돼 모든 카트리지를 한 번에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각각의 카트리지를 액체 및 응축물이 우선 첫 번째 카트리지를 통과하고, 그곳에서 두 번째 카트리지의 유입구를 통과해 흐르도록 정렬할 수도 있다.
위로 겹치도록 또는 열로 나란히 정렬된 카트리지는 중앙관 또는 상승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승관은 각각의 카트리지를 통해 같은 축으로 확장하고, 카트리지를 통과한 액체는 상승관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것은 특히 카트리지를 위로 겹치게 정렬하는 경우 실행 가능하다. 이때 카트리지는 상승관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되고, 액체 및 응축물은 카트리지 벽의 해당 카트리지 입구를 통해 위, 아래 또는 반지름 방향에서 카트리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는 용기에 담긴 액체 안에 완전히 잠기게 된다.
발명의 특별히 유리한 실행 유형은 여러 개의 카트리지를 위로 겹치게 정렬하고 난 후 추가로 나란히 정렬하는 것이다. 즉, 용기 내에 각 여러 개의 카트리지로 이뤄진 탑들을 나란히 정렬할 수 있다.
용기 내 카트리지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것들은 용기 내에서 서로 완전히 독립적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위에서 기술된 여러 개의 카트리지가 이동하는 상승관을 사용하는 실행 유형의 카트리지들은 각각 상승관에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카트리지 간의 연결도 가능하다. 카트리지가 뜨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것은 카트리지를 상승관에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다.
또 다른 유리한 실행 유형은 카트리지들이 밀봉 링이 있는 중앙 입구를 갖는 것이다. 이 입구를 통해 상승관 내에 카트리지들이 삽입될 수 있다. 접합부를 통해 카트리지가 뜨는 것을 방지된다.
카트리지와 용기 간의 분리 가능한 연결을 위한 재료이자 이와 마찬가지로 카트리지가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가 선호된다. 이러한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구성에 수동 개입이 필요하다. 카트리지의 상단에 이 장치를 정렬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장치에 접합부 또는 고정부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어떠한 추가 개입도 필요하지 않다.
밀폐력을 유지하기 위해 카트리지를 아래로 누를 필요가 없으며, 카트리지를 아래로 유지하는 것은 다시금 카트리지가 뜨는 것을 막는 것과 관련된다.
카트리지와 용기 간의 분리 가능한 연결은 예를 들어, 고정 막대, 추가 중량 또는 제동 기구와 같은 장치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이것들은 각 구성에 따라 카트리지의 하단, 상단 또는 측면에 정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배출구에 정화된 액체의 유도를 위해 상승관으로 이어지는 한 개의 배출관이 연결된다. 응축물이 정화수 쪽으로 흐름 없이 카트리지를 교체하기 위해 이 배출구를 잠그거나 배출관과 상승관을 환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완전한 배수 없이 상승관에 추후에 연결된 급수지수전까지 카트리지의 교체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분리기의 흐름 시간 및 카트리지 교체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발명에 따라 용기 바닥에 한 개의 제동 기구를 장착하는 것은 특히 좋은 실행 유형이다. 탄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멈춤쇠가 있는 밀봉 링은 한 개의 카트리지가 뜨는 것을 막기 위한 충분한 홀딩(holding)력을 지닌다. 하지만 이러한 탄성력으로 인해 각각의 카트리지가 밀봉 링을 통해 위로 당겨질 수 있으며, 이것은 멈춤쇠의 변형을 야기한다. 각각의 카트리지 내에 정렬된 상승관은 바닥에 있는 밀봉 링에 장착 된다. 이때 밀봉 링의 멈춤쇠는 해당 입구 또는 언더컷(undercut)에 고정된다.
밀봉 링은 수직으로 위치한 상승관 또는 용기에 고정된 카트리지의 입구에도 정렬될 수 있다. 밀봉 링의 멈춤쇠는 용기의 상승관에 정렬된 언더컷 또는 해당 입구에 고정된다. 이러한 유형은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부분 교체 시, 밀봉 링의 지나친 마찰을 피하기 위해 밀봉 링도 마찬가지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닌다.
발명에 따른 상류 또는 하류 흡입 또는 압력 펌프가 장착된 분리기는 유량제어 조절기로 사용될 수 있다. 유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때 펌프를 유량제어 조절기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리기의 유지 시간이 확실히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특히, 이것은 규칙적인 유지보수 간격을 계획하거나 계획한 유지보수 기간 내 필터 구성요소의 교체를 피할 수 있다는 이점을 지닌다. 이 펌프는 레벨이나 시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레벨의 조절은 분리기 내 용량이 완전히 포화 상태가 되었을 때, 펌프가 켜지는 것을 의미한다. 무엇보다도 분리기로의 일정한 유입 시 펌프가 특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이 두 가지 방법의 조합도 가능하다.
카트리지는 발명에 따라 대체로 이등변 또는 직각 삼각 단면을 지닌다. 2, 4, 6, 16개의 카트리지를 이용해 항상 사각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일정한 카트리지의 정렬을 통해 용기 크기에 1:2:4의 단면 비율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단면적과 둘레 사이의 최적의 비율이다.
펌프의 사용을 통한 또 다른 이점은 펌프를 반대 방향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이를 통한 역세정으로 분리기의 세척도 가능하다.
그 밖의 유용한 구성은 각 관련 청구항의 대상이다. 청구항에 개별적으로 기술된 특성들은 기술적으로 의미 있는 방식으로 임의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발명의 또 다른 구성들도 제시된다.
다음의 도면을 통해 발명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다. 제시된 실행 예들은 단지 예시적으로 이해 가능하며, 발명을 제시된 특성들에 제한해서는 안 된다. 제시:
도1: 분리기의 발명에 따른 첫 번째 실행 유형,
도2: 용기 내 카트리지의 첫 번째 정렬 유형,
도3: 용기 내 카트리지의 두 번째 정렬 유형,
도4: 용기에 카트리지를 고정하기 위한 다운 홀더(down holder)의 첫 번째 실행 유형,
도5: 다운 홀더의 두 번째 실행 유형,
도6: 용기에 정렬된 두 개의 카트리지의 또 다른 제시도,
도7: 용기에 정렬된 네 개의 카트리지의 두 번째 제시도,
도8: 바닥 측면에 다운 홀더가 있는 카트리지의 단면,
도9: 용기에 카트리지를 고정하기 위한 발명에 따른 밀봉 링,
도10: 용기 내 카트리지 정렬의 또 다른 실행 유형,
도11: 용기 내 카트리지 정렬의 또 다른 실행 유형,
도12: 용기 내 카트리지 정렬의 또 다른 실행 유형.
도1은 분리기의 발명에 따른 실행 유형을 제시한다. 용기 2에는 여과재 7로 충전된 여러 개의 카트리지 4가 있다. 액체 또는 액체 혼합물은 유일한 유입구 3을 거쳐 용기 2로 지속적으로 진행해 카트리지 4가 잠기는 용기의 상태 5를 형성한다.
여과재 7은 용기 3으로 유도된 액체의 구성요소를 예를 들면 물-기름-혼합물에서 기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분리된 액체는 혼합된 액체보다 미세하지만 특별한 밀도를 지닌다. 이 액체는 카트리지 4에 장착된 유입구 8을 통해 여과재 7을 통과한다. 카트리지의 각 배출구는 액체를 유도하기 위해 용기 2의 각 배출구 6과 연결되고, 여과된 액체의 유도를 위해 이용된다. 액체의 흐름 과정은 화살표를 통해 표시된다.
도 2 및 도 3은 용기 2 내 카트리지 4의 다양한 정렬 방식을 나타낸다. 도 6과 도 7은 이에 속하는 구성 도면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타원형의 유입구 8과 레버 9가 제시된다. 이 레벨은 분리 가능한 연결 및 액체 내 카트리지의 부력에 대한 반작용을 위해 한편으로는 입구 8과 결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용기 2에 제동 기구를 통해 고정된다.
도 4는 단순한 통합형 경첩 모양의 레버 9”의 경첩형 구성을 나타낸다. 통합형 경첩의 한쪽 판을 카트리지 4의 해체를 위해 뒤집을 수 있다. 또한, 용기 측면의 고정부를 보완하며, 분리 가능한 연결을 위한 고정부 11이 있다. 손잡이 귀 10을 통해 카트리지의 제거가 쉽다.
도 5는 용기와 카트리지 4 사이의 연결 수단으로 사용되는 카트리지 4의 입구에 간단하게 다시 삽입 가능한 레버 9를 나타낸다. 9는 레버의 또 다른 정렬 방법으로 반대편으로의 정렬도 가능함을 보여준다.
도 8은 카트리지 4와 용기 2 사이의 바닥면 제동 기구를 통한 분리 가능한 연결을 나타낸다. 용기 2의 바닥에 형성된 상승관 12는 카트리지 4의 배출구 17로 삽입된다. 이를 통해 카트리지 4와 용기 2의 배출부 6 사이에 액체를 유도하는 연결이 생성된다.
둘레 전체를 감싸는 밀봉 립 14가 있는 밀봉 링이 카트리지 4의 배출구 17에 사용된다. 이러한 밀봉 립 14는 상승관12의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멈춤 돌출부13 뒤에 고정되고 이를 통해 분리 가능한 연결이 생성된다.
도9는 도8의 밀봉 링 15의 전면도를 나타낸다. 내장된 밀봉 립 14 이외에 배출구 17 내 밀봉 링 15를 고정하는 외부에 정렬된 멈춤 쇠 19도 볼 수 있다. 이러한 멈춤 쇠는 입구 또는 해당 언더컷에 결합된다.
도 10은 용기 2 내 카트리지 4의 정렬을 아주 간단하게 보여준다. 카트리지 4는 위로 겹치게 정렬되고 중앙에 정렬된 카트리지 입구를 사용함으로써 중앙 상승관 12에 장착된다. 유입구 3을 통해 액체 혼합물이 용기 2에 유입되고 위의 실행 예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해당 유입구 24를 통해 카트리지로 흘러 들어 간다. 이 액체는 여과재 7을 통과해 상승관 입구 25를 통해 상승관 12에 이른다. 배출관 20 및 연결된 상승관 22를 통해 액체가 유도된다. 상승관 12의 카트리지 4 장착은 상승관 12에 카트리지 4를 간단하게 삽입함으로써 가능하다. 밀봉을 위해 주로 카트리지용 밀봉 링 26이 사용된다. 상승관 12의 끝 부분은 밀봉해 액체가 카트리지 4를 통해 상승관으로 흐르게 한다.
도 11은 카트리지 4가 상승관 12에 마찬가지로 삽입되는 형태의 정렬을 지닌 비슷한 실행 유형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행 유형의 경우 액체 혼합물이 아래에서부터 유입구 24를 통해 카트리지 부분 28에 흘러 들어간다. 제시된 실행 예에서 유입구 24는 카트리지 부분 28의 아래에 위치하며, 배출부 6을 향하는 쪽에 정렬된다. 카트리지 부분 28은 액체 혼합물 내 완전히 잠기게 된다. 여과된 액체는 상승관 12를 거쳐 그 아래 위치한 카트리지 부분 34에 도달하고 상승관 입구 25를 거쳐 보통은 밀폐된 카트리지 부분 34의 여과재 7로 유도되어, 이 액체는 결국 상승관 12를 거쳐 이 카트리지 부분 34로 흘러 들어 간다.
카트리지 부분 34 내에는 자체 유입구 24가 있는 사이면 36이 있다. 유입구 24를 통해 유입된 액체는 균일하게 여과재 7로 유도된다. 다른 상승관 입구25를 통해 새로 여과된 액체가 다시 상승관 12로 유입되고 분리기 1에서 배출된다. 이러한 실행 유형의 경우 상승관 12의 끝부분은 밀폐되지 않고 오히려 용기 2에서 밖으로 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용기의 상승관 22이 경우에 따라 추가적으로 액체를 유도할 수 있게 한다. 카트리지 밀봉 링 26은 상승관 및 그 주변의 액체 혼합물이 카트리지부분 28, 34에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도 12는 용기 2 내 카트리지 4 정렬의 또 다른 실행 유형을 제시한다. 유입구 24를 통해 액체 혼합물이 흘러 들어오는 유입 카트리지 부분 28도 마찬가지로 제시한다. 제시된 실행 유형의 유입구 24는 유입 카트리지 부분 28의 상단에 위치하며, 배출부 6의 반대 면에 정렬된다. 상승관 12는 장착되지 않고, 유입 카트리지 부분 24는 액체 혼합물 내 완전히 잠긴다. 유입 카트리지 부분 28은 그 아래 정렬된 카트리지 부분 34의 유입부 32와 병합되는 카트리지 배출부 30을 지닌다. 그렇지 않을 경우 카트리지 부분 34는 액체가 새지 않도록 밀폐되어 액체가 카트리지 유입부 32를 통해서만 흘러 들어 간다. 카트리지 부분34 내에는 마찬가지로 자체 유입구 24가 있는 사이면36이 있다. 유입구 24를 통해 들어온 액체는 균일하게 여과재 7로 유도된다. 카트리지 부분34 도 제시된 실행 예에서 용기 2의 배출부 6으로 병합되는 카트리지 배출부 30을 지닌다.
개별 카트리지 부분 4, 8, 34의 끼워 넣기는 카트리지 배출부 30 또는 카트리지 배출부 32에 정렬된 카트리지 밀봉 링 26의 밀봉을 통해 빠르고 단순하게 이뤄진다.
도10 ~ 도12에 따른 실행 유형에 각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카트리지 4, 유입 카트리지 부분 28 또는 카트리지 부분 34가 구성된다. 특히, 해당 부분 4, 28, 34이 있는 나란히 정렬된 상승관을 여러 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발명은 기술된 실행 유형에 제한돼서는 안 된다. 이것은 발명의 예시적인 설명에만 적용된다.

Claims (12)

  1. 액체 혼합물(5)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에 있어서,
    별도의 용기(2)와,
    용기에 한 개의 유입구(3)와 최소 한 개의 배출구(6)가 있으며(이 유입구(3)는 배출구(6)위에 정렬됨),
    구성 요소를 결합시키는 여과재(7)가 있고,
    여과재(7)는 용기 내부의 유입구(3)와 배출구(6) 사이를 통해 흐르고,
    여과재(7)가 용기(3)에 삽입된 카트리지(4)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물(5)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
  2. 제 1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4) 및 용기(3) 사이에 분리 가능한 연결(9, 9', 12, 13, 14)을 위한 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물(5)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리 가능한 연결을 위한 장치에 레버(9, 9') 또는 경첩 형태의 레버 기구(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물(5)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
  4. 앞선 두 개의 청구항에 있어서,
    분리 가능한 연결(9, 9', 9”)을 위한 장치가 카트리지(4)의 상단에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물(5)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부(6)가 입구 또는 지지대 형태의 수용부(16) 도움으로 카트리지(4)가 삽입되는 바닥 면의 상승관(12)을 용기(3)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물(5)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가능한 연결을 위한 장치로 고정부 및/또는 접합부 예를 들어, 상승관(12)의 고정 돌추부(13) 뒤에 고정된 실링(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물(5)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카트리지(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물(5)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카트리지(4)가 용기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액체로 이뤄진 액체상태(5)에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물(5)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4)가 플라스틱 특히, 폴리스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로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물(5)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3)에 정확히 한 개의 유입부(3)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물(5)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
  11. 제 1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4)가 주로 삼각 단면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물(5)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2)에 여러 개의 카트리지(4)가 위로 겹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물(5)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1).








KR1020137005516A 2010-08-06 2011-08-04 카트리지(cartridge)형 오일 분리기 KR101604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6895.4 2010-08-06
DE102010036895 2010-08-06
PCT/EP2011/063487 WO2012017055A1 (de) 2010-08-06 2011-08-04 Kartuschenölabschei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735A true KR20130058735A (ko) 2013-06-04
KR101604173B1 KR101604173B1 (ko) 2016-03-16

Family

ID=4462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516A KR101604173B1 (ko) 2010-08-06 2011-08-04 카트리지(cartridge)형 오일 분리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57299B2 (ko)
EP (1) EP2600961A1 (ko)
JP (1) JP5860878B2 (ko)
KR (1) KR101604173B1 (ko)
CN (1) CN103068460B (ko)
WO (1) WO2012017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0300B1 (fr) * 2014-12-19 2018-08-31 Novares France Dispositif de separation d’huile
DE102019103508A1 (de) * 2019-02-12 2020-08-13 Fsp Fluid Systems Partners Holding Ag Abscheideelement, Abscheideeinrichtung, Filterelement, Filtergehäuse, Filt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scheiden von Gasblasen aus einer Flüssigkeit
CN113309598B (zh) * 2020-02-27 2023-05-26 康明斯滤清系统公司 具有多个分离器和单个喷射泵组件的分离组件
BE1028246B1 (nl) 2020-04-27 2021-11-30 Atlas Copco Airpower Nv Filter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monteren en demonteren van een dergelijke filterinrichting
TWI799812B (zh) 2020-04-27 2023-04-21 比利時商亞特拉斯可波克氣動股份有限公司 過濾裝置及用於組裝及拆解該過濾裝置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398Y2 (ja) * 1981-06-27 1985-10-14 昌武 加納 油分除去装置
US4419240A (en) * 1982-07-30 1983-12-06 Rosaen Borje O Fluid filtering device
JPS6046192U (ja) * 1983-09-05 1985-04-01 藤井 篤使 浄水器
JPS60168595U (ja) * 1984-04-18 1985-11-08 永野 賢明 浄水器の処理層カートリツジ
US4871455A (en) 1986-06-03 1989-10-03 Facet Enterprises, Inc. Filter assembly with lockable lug means
JPS6377506A (ja) * 1986-09-18 1988-04-07 ハワ−ド・テイ−・デグラ−フエンライド フイルタカ−トリツジ及びフイルタ装置
DE8632189U1 (ko) * 1986-12-01 1987-06-11 Fluid Team Automationstechnik Gmbh, 7750 Konstanz, De
JPH0626390Y2 (ja) * 1989-04-20 1994-07-20 久子 勝沼 水▲ろ▼過装置
DE3939502A1 (de) * 1989-11-30 1991-06-06 Fluid Team Automationstechnik Vorrichtung zur filtration von verunreinigten fluessigkeiten, insbesondere von wasser
DE9004019U1 (ko) 1990-04-06 1990-06-13 Rossbach, Kurt, 7312 Kirchheim, De
JPH0487793U (ko) * 1990-11-30 1992-07-30
GB2273669B (en) * 1992-12-23 1997-09-24 Pall Corp A method of separating an immiscible liquid/liquid mixture and apparatus therefor
US5720874A (en) 1993-05-14 1998-02-24 Infinitex Corporation Ultrafiltration assembly having centrifugal pump and eductor
GB2350571B (en) 1999-06-05 2002-12-18 John Andrew Timmins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separating
JP2001113269A (ja) * 1999-10-19 2001-04-24 Orion Mach Co Ltd 油水分離装置の油吸着槽
CN2401247Y (zh) * 1999-12-08 2000-10-18 成源实业股份有限公司 除油分离机
JP2002210455A (ja) * 2001-01-18 2002-07-30 Nippon Pisuko:Kk 含油排水処理装置
JP2002336847A (ja) * 2001-05-17 2002-11-26 Hitachi Ltd 浄水器
US20030000895A1 (en) * 2001-06-01 2003-01-02 Hensley Jerry Lester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waste water
US20060081518A1 (en) * 2004-10-15 2006-04-20 Yee Philip W Contaminated liquids filtering apparatus
DE102006009542A1 (de) * 2005-03-19 2006-09-21 Beko Technologies Gmbh Abscheidevorrichtung
RU2394626C2 (ru) 2005-05-25 2010-07-20 Лайка С.П.А.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ования воды и вообще жидкостей
DE102006009524A1 (de) 2006-02-28 2007-09-06 Pnp Automotive Gmbh Stabilisato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7038027B4 (de) 2006-08-10 2022-01-05 Aquis Wasser-Luftsysteme GmbH Lindau, Zweigniederlassung Rebstein Wassertank mit Filterpatrone, Filterpatrone zur Verwendung in einem Wassertank und Wassertank zur Verwendung mit einer Filterpatrone
CA2668626C (en) 2006-10-31 2016-01-12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Diatomaceous earth filter apparatus and method
JP2009045588A (ja) * 2007-08-22 2009-03-05 Tokatsu Jushi Kogyo Kk 浄水カートリッジ
JP2009297653A (ja) * 2008-06-13 2009-12-24 Unikas Industrial Inc 油水分離装置および排水制限方法
CN102553302B (zh) * 2012-02-06 2014-04-23 生田(苏州)精密机械有限公司 用于碱脱脂生产线的油水分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57299B2 (en) 2016-10-04
CN103068460B (zh) 2015-09-09
JP5860878B2 (ja) 2016-02-16
JP2013537481A (ja) 2013-10-03
US20130206675A1 (en) 2013-08-15
CN103068460A (zh) 2013-04-24
WO2012017055A1 (de) 2012-02-09
KR101604173B1 (ko) 2016-03-16
EP2600961A1 (de)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620B1 (ko) 복합 필터 소자, 정수기용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와 정수기
CN101287538B (zh) 使用歧管以减少回洗的水过滤装置
JP2008514404A (ja) 炭素片前置フィルタを用いた浄水システム
KR20130058735A (ko) 카트리지(cartridge)형 오일 분리기
KR20100059796A (ko) 필터 조립체 및 방법
WO2009067411A1 (en) Filter with exterior and interior media components and method of filtering
JP2009226374A (ja) 分離膜モジュール
KR101796531B1 (ko) 생활 하수 다단 유수 분리 여과조
EP2802399B1 (en)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1940291B1 (ko) 삼투 여과 시스템
KR20140032488A (ko) 정수기용 카트리지
KR20090024809A (ko) 정수 시스템과 이 시스템용의 필터부재
TW201144230A (en) Water purifier
JP2017192893A (ja) 中空糸膜カートリッジ
JP2010046637A (ja) ペットボトルを活用した簡易濾過式浄水具
JPH11253936A (ja) 浄水器
JP2612217B2 (ja) 浄水器用水栓付き浄水装置
RU26177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CN212878955U (zh) 一种管道饮用水净化装置
KR200216477Y1 (ko) 물탱크 자동취수장치
RU2050920C1 (ru) Адсорб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варианты)
JP2011125833A (ja) 水処理装置
JP5081750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JP5040279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KR100812666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필터가 구비된 위사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