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499A - 이동형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499A
KR20130058499A KR1020110124534A KR20110124534A KR20130058499A KR 20130058499 A KR20130058499 A KR 20130058499A KR 1020110124534 A KR1020110124534 A KR 1020110124534A KR 20110124534 A KR20110124534 A KR 20110124534A KR 20130058499 A KR20130058499 A KR 20130058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ain body
unit
photographing apparatus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905B1 (ko
Inventor
임철규
송영도
김동희
임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페스
Priority to KR102011012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90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촬영장치의 착탈이 용이하고,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촬영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이동형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부와, 본체부에 구비되며, 장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본체부에 구비되어 대상체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촬영장치 {MOVABLE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형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촬영장치의 착탈이 용이하고,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촬영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이동형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촬영장치는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대상체에 대향되게 설치되거나 대상체가 이동되는 경로에 설치된다.
특히, 도로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 또는 교통법규 위반 차량을 감시하기 위한 촬영장치는 주로 신호등이나 표지판이 설치되는 철주에 도로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철주는 인도에 수직방향으로 직립되는 수직부재와, 수직부재로부터 도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촬영장치는 수평부재에 설치된다.
수평부재에 설치되는 촬영장치는 도로를 지나는 차량을 촬영하여 영상신호와 제어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므로 도로의 교통상황이나 교통법규 위반 차량을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0632호(2001년 4월 16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다방향 무인 촬영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촬영장치는 신호등이나 표지판이 설치되는 철주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승강장치에 탑승하여 철주의 수평부재에 인접하도록 승강장치를 구동시킨 후에 설치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촬영장치의 설치작업, 교체작업 및 수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 있으며,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촬영장치의 착탈이 용이하고,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촬영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이동형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장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대상체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안내부를 따라 장착위치와 탈착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장착부재에 상기 장착부를 고정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체결력향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해제부재; 및 상기 잠금해제부재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탈착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고정부재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탈착위치에서 상기 장착위치로 이동시 상기 이동부재의 움직임을 멈춤시키는 멈춤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촬영부는 카메라부재 또는 움직임감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를 승강시키는 장대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대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는 작업자가 지상에 선 채로 철주에 촬영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승강장치 없이 한 명의 작업자가 촬영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촬영장치의 설치작업, 교체작업 및 수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교통체증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는 한 명의 작업자가 별도의 승강장치 없이 촬영장치를 철주에 용이하게 설치하고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촬영장치의 설치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장착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잠금부 잠금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잠금부 해제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장착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구비되며, 장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부(50)와, 장착부(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30)와, 본체부(10)에 구비되어 대상체를 촬영하는 촬영부(9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재가 신호등이나 표지판이 설치되는 도로의 철주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부재가 장착부재로 활용될 수 있다.
장착부(50) 내부에 장착부재가 삽입되도록 본체부(10)를 이동시킨 후에 장착부(50)를 작동시키면 장착부(50)의 작동에 의해 장착부재와 장착부(50)가 결합되므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본체부(10)를 장착부재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체부(10)에 설치되는 촬영부(90)는 장착부재의 주변을 촬영한 영상신호와 제어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여 센터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할 수 있도록 한다.
장착부(50)는, 본체부(1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60)와, 안내부(30)를 따라 장착위치와 탈착위치로 이동되며, 고정부재(60)와 연동되어 장착부재에 장착부(50)를 고정시키는 이동부재(7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수직방향으로 길고 중앙부에 홀부가 구비되는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이동부재(7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부(30)가 연결된다.
본체부(10)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패널(12)이 설치되고, 연결패널(12)의 저면에는 촬영부(90)가 설치된다.
따라서 촬영부(90)의 모든 방향의 영상을 촬영 및 제어하여 송신 및 수신 할 수 있게 된다.
고정부재(60)는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대(62)가 본체부(10)의 상단에 결합되고, 한 쌍의 고정지지대(62)의 외측 단부 사이에 봉 모양의 고정연결대(64)가 설치된다.
이동부재(70)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지지대(72)가 안내부(3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의 이동지지대(72)의 외측 단부 사이에 이동연결대(74)가 설치된다.
한 쌍의 이동지지대(72)의 내측 단부 사이에는 이동잠금대(76)가 설치되어 후술될 잠금부(80)에 의해 이동부재(70)가 구속되도록 한다.
한 쌍의 이동지지대(72)의 내측 단부에는 안내부(30)를 따라 이동되는 복수 개의 롤러(72a)가 설치된다.
고정부재(60)와 이동부재(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장착부(50)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체결력향상부재(77)를 더 포함한다.
체결력향상부재(77)는 고정지지대(62) 또는 이동지지대(72)의 오목한 내측에 설치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고정부재(60)와 이동부재(70) 사이에 장착부재가 삽입되면 장착부재에 체결력향상부재(77)가 밀착된다.
따라서 촬영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장착부재에 체결력향상부재(77)가 밀착되므로 장착부재와 고정부재(60) 및 이동부재(70)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체결력향상부재(77)의 단면 형상은 튜브 모양으로 형성되고, 고정지지대(62) 및 이동지지대(72)와 같이 곡선 모양을 이루므로 고정지지대(62)와 이동지지대(72) 사이에 장착부재가 삽입되면 체결력향상부재(77)가 압축되면서 장착부재의 외벽에 밀착된다.
다른 실시예로 체결력향상부재는 장착부재와 장착부(50) 사이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톱니 형상은 고정지지대(62) 또는 이동지지대(7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착탈 가능하게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탈착위치에서 이동부재(70)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잠금부(80)를 더 포함한다.
이동부재(70)를 본체부(10)의 하측으로 이동시켜 장착부재의 구속이 해제되면 잠금부(80)가 이동부재(70)를 구속하여 이동부재(70)와 고정부재(60) 사이에 장착부재의 두께 또는 지름보다 큰 간격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장착부재로부터 용이하게 고정부재(60) 및 이동부재(7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잠금부(80) 잠금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잠금부(80) 해제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잠금부(80)는, 고정부재(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해제부재(82)와, 잠금해제부재(82)의 동작에 연동되어 탈착위치에서 이동부재(70)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구속부재(84)를 포함한다.
잠금해제부재(82)는 좌우 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잠금해제부재(82)의 일측은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잠금지지대(14)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잠금지지대(14)는 잠금해제부재(82)의 일측에 치우치게 편심되도록 연결되므로 잠금해제부재(8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잠금해제부재(82)의 타측이 잠금지지대(14)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잠금해제부재(82)의 타측 단부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걸림홈부(82a)가 형성되므로 잠금해제부재(82)의 타측 단부가 하측으로 회전되면 걸림홈부(82a)가 고정연결대(64)에 걸리게 되어 잠금해제부재(82)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속부재(84)는 잠금해제부재(82)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구속부재(84)의 하측이 잠금지지대(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잠금해제부재(82)의 일측 단부는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므로 잠금해제부재(82)의 타측 단부가 하강하면 잠금해제부재(82)의 일측 단부가 본체부(10)의 후방으로 이동되고, 잠금해제부재(82)의 타측 단부가 상승하면 잠금해제부재(82)의 일측 단부가 본체부(1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잠금해제부재(82)의 일측 단부가 본체부(10)의 후방으로 이동되면 구속부재(84)의 상단도 본체부(10)의 후방으로 이동되고, 본체부(10)의 하단은 잠금지지대(14)를 통과하여 본체부(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잠금지지대(14)를 통과하여 본체부(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속부재(84)의 하단은 이동잠금대(76)의 상면에 걸리므로 이동부재(70)가 상승되지 않도록 구속하여 이동부재(70)와 고정부재(6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60)와 이동부재(70) 사이의 공간으로 장착부재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고정부재(60) 및 이동부재(70)를 장착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동부재(70)를 고정부재(60)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88)가 더 구비된다.
탄성부(88)는 본체부(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고정편(17)과 이동잠금대(76)에 설치되는 제2고정편(78) 사이에 설치되므로 이동부재(7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탄성부(88)가 인장되면서 이동부재(70)의 복원력이 생성된다.
이동부재(70)가 구속부재(84)에 걸린 상태에서 고정부재(60)를 장착부재에 걸게 되면 장착부재가 잠금해제부재(82)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잠금해제부재(82)의 타측 단부가 본체부(1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구속부재(84)의 하단을 본체부(10)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동잠금대(76)의 상면에 걸렸던 구속부재(84)의 하단이 본체부(10)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이동잠금대(76)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때, 탄성부(88)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재(70)가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장착부재의 하측에 밀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동부재(70)가 탈착위치에서 장착위치로 이동시 이동부재(70)의 움직임을 멈춤시키는 멈춤부(18)가 더 구비된다.
멈춤부(18)는 고정지지대(62)와 이동지지대(72) 사이에 개재되도록 본체부(10)에 설치되므로 탄성부(88)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재(70)가 상승될 때에 고정지지대(62)와 이동지지대(72) 사이에 멈춤부(18)가 개재되면서 이동부재(70)의 상승을 멈추게 한다.
촬영부(90)는 카메라부재(92) 또는 움직임감지부재(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부재(92)에 카메라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주변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감지부재(94)에 제어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주변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 저장, 전송 할 수 있다.
따라서 움직임감지부재(94)에 제어장치가 설치되면 제어부(100)에서 분석하여 판단하고, 판단한 데이터를 센터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촬영부(90)는 차량의 흐름 녹화, 교통법규 위반차량 단속, 시위현장을 녹화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체부(10)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브래킷(16)이 설치되고, 브래킷(16)에는 카메라부재(92)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출력부(104)에 전송하는 송신부(102)가 설치된다. 이외에도 촬영부(90)로 상술한 실시예들 이외에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체부(10)에 구비되어 본체부(10)를 승강시키는 장대부재(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대연결부(19a)가 더 구비된다.
장대연결부(19a)는 본체부(10)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9)에 설치되고, 베이스부(19)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모양으로 형성된다.
장대연결부(19a)의 둘레면에는 가이드홈부(19b)가 형성되고, 가이드홈부(19b)는 상하 방향의 직선 모양과, 수평 방향의 직선 모양이 연결되어 다수 차례 굴곡된 모양을 이룬다.
장대부재(20)의 상단에는 장대연결부(19a)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고, 홈부의 내벽에는 체결부재가 돌출되어 가이드홈부(19b)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장대부재(20)와 장대연결부(19a)를 연결할 때에는 장대부재(20)에 설치되는 체결부재가 가이드홈부(19b)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장대부재(20)를 배치시킨 후에 장대부재(20)를 상승시키면 체결부재가 가이드홈부(19b)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장대연결부(19a)가 장대부재(20)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후에, 체결부재가 가이드홈부(19b)의 굴곡부분에 걸리면 장대부재(20)를 회전시킨 후에 다시 상승시켜 장대부재(20)와 장대연결부(19a)의 결합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촬영장치를 도로에 구비되는 철주에 설치할 때에는 이동부재(70)를 하측으로 당겨 구속부재(84)의 하단이 이동잠금대(76)의 상면에 걸리도록 한다.
이때, 탄성부(88)는 하단이 이동잠금대(76)와 같이 하강하면서 인장되어 이동부재(70)의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장대부재(20)를 장대연결부(19a)에 끼운 상태에서 장대부재(20)를 철주의 수평부재 측으로 상승시켜 수평부재에 고정부재(60)의 고정지지대(62)를 걸면 수평부재가 잠금해제부재(82)를 상측으로 밀게 된다.
이때, 잠금해제부재(82)는 잠금지지대(1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일측 단부가 본체부(10)의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구속부재(84)의 상단도 본체부(1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구속부재(84)의 상단이 본체부(10)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잠금지지대(14)를 중심으로 구속부재(84)가 회전되면서 구속부재(84)의 하단이 본체부(10)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이동잠금대(76)의 구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탄성부(88)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재(70)가 안내부(30)를 따라 상승되면서 수평부재를 고정부재(60)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탄성부(88)에 의해 이동부재(70)가 수평부재를 고정부재(60) 측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고정부재(60) 및 이동부재(70)가 수평부재에 걸린 상태가 유지되어 본체부(10) 및 촬영부(9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후에, 작업자는 장대부재(20)를 하강시키면서 장대연결부(19a)와 분리시켜 촬영장치의 설치를 완료하므로 작업자가 별도의 승강장치 및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철주의 수평부재에 촬영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촬영장치를 철주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작업자가 장대부재(20)를 장대연결부(19a)에 삽입하여 연결한 후에 장대부재(20)를 상측으로 더 밀면 수평부재에 의해 이동부재(70)가 하측으로 가압되면서 안내부(30)를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동부재(70)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잠금대(76)가 구속부재(84)의 하단 밑에 배치되면 잠금해제부재(82)가 이동연결대(74) 측으로 하강하면서 구속부재(84)의 하단이 본체부(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구속부재(84)의 하단이 이동잠금대(76)의 상승을 구속하므로 이동부재(70)와 고정부재(6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어 작업자는 수평부재로부터 쉽게 고정부재(60) 및 이동부재(70)를 분리시켜 촬영장치의 분리작업을 행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촬영장치는, 본체부(110)에 구비되며, 장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부(50)와, 장착부(50)가 장착부재에 장착 또는 탈착되도록 장착부(5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70)와, 장착부(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30)와, 본체부(10)에 구비되어 대상체를 촬영하는 촬영부(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이동부재(70)의 이동이 구동부(17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구동부(170)는, 본체부(10)의 상단에 설치되는 모터(172)와, 모터(172)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볼트부재(174)와, 이동부재(70)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74)에 볼트결합되는 너트부재(176)를 포함한다.
모터(172)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볼트부재(174)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볼트부재(174)에 볼트결합되는 너트부재(176)가 볼트부재(174)의 회전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볼트부재(174)에 연결되는 이동부재(70)가 안내부(30)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반대로, 모터(172)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볼트부재(174)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볼트부재(174)에 볼트결합되는 너트부재(176)가 볼트부재(174)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부(170)에 의해 이동부재(7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 일 실시예의 잠금부(80) 및 탄성부(88)가 생략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촬영장치의 착탈이 용이하고,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촬영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이동형 촬영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70)가 볼트-너트 방식으로 이동부재(7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링크 방식이나 기어 방식, 벨트 방식, 와이어 방식이 채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이동형 촬영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동형 촬영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촬영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12 : 연결패널
14 : 잠금지지대 16 : 브래킷
17 : 제1고정편 18 : 멈춤부
19 : 베이스부 19a : 장대연결부
19b : 가이드홈부 20 : 장대부재
30 : 안내부 50 : 장착부
60 : 고정부재 62 : 고정지지대
64 : 고정연결대 70 : 이동부재
72 : 이동지지대 72a : 롤러
74 : 이동연결대 76 : 이동잠금대
78 : 제2고정편 80 : 잠금부
82 : 잠금해제부재 82a : 걸림홈부
84 : 구속부재 88 : 탄성부
90 : 촬영부 92 : 카메라부재
94 : 움직임감지부재 100 : 제어부
102 : 송신부 104 : 출력부

Claims (9)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장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대상체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안내부를 따라 장착위치와 탈착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장착부재에 상기 장착부를 고정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체결력향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촬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해제부재; 및
    상기 잠금해제부재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탈착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촬영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고정부재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탈착위치에서 상기 장착위치로 이동시 상기 이동부재의 움직임을 멈춤시키는 멈춤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촬영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카메라부재 또는 움직임감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촬영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를 승강시키는 장대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대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촬영장치.
KR1020110124534A 2011-11-25 2011-11-25 이동형 촬영장치 KR10127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534A KR101279905B1 (ko) 2011-11-25 2011-11-25 이동형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534A KR101279905B1 (ko) 2011-11-25 2011-11-25 이동형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499A true KR20130058499A (ko) 2013-06-04
KR101279905B1 KR101279905B1 (ko) 2013-06-28

Family

ID=4885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534A KR101279905B1 (ko) 2011-11-25 2011-11-25 이동형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9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129A (ko) *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 아이디스 감시카메라의 선실드 시스템
KR102522901B1 (ko) * 2022-09-27 2023-04-18 시티아이랩 주식회사 장대를 이용하여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하고, 지지물에 교통관제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332Y1 (ko) * 2006-08-10 2006-10-20 정연덕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KR100928870B1 (ko) * 2009-04-08 2009-11-27 청우산업조명 주식회사 승강식 지주대
KR101034219B1 (ko) 2010-11-25 2011-05-12 주식회사 누리플랜 지능형 방범설비
KR101074084B1 (ko) 2011-04-13 2011-10-17 주식회사 대로 씨씨티브이(cctv)용 승강식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129A (ko) *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 아이디스 감시카메라의 선실드 시스템
KR102522901B1 (ko) * 2022-09-27 2023-04-18 시티아이랩 주식회사 장대를 이용하여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하고, 지지물에 교통관제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905B1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1483B2 (en) Ground milling machine having a replaceable milling part and method for replacing a milling part of a ground milling machine
WO2020029988A1 (zh) 钢筋弯弧弯曲机
KR101510338B1 (ko) 차량용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의 검사 장치
KR100978064B1 (ko) 무대구동장치
JP6240385B2 (ja) 車両用知能型サイドステップ装置
CN105817755A (zh) 一种桥壳等离子切割机
KR101279905B1 (ko) 이동형 촬영장치
KR101435960B1 (ko) 케이블 포설장치
KR100896200B1 (ko)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101260986B1 (ko) 이동형 촬영장치
CN104588485B (zh) 安装于夹具上的冲孔装置以及冲压件的加工机构
CN109205192B (zh) 一种用于皮带传输机的驱动皮带调试装置
KR20190008664A (ko) 주행이 자유로운 이동식 영상촬영장치
KR200457930Y1 (ko) 차량사고예방용 유도비상등 시스템
KR10208203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개수 방법
KR101291249B1 (ko)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휠체어 고정장치
CN116607407A (zh) 悬臂机构及桥梁检测装置
CN105967108A (zh) 前移式叉车蓄电池脱钩装置
CN216040856U (zh) 一种三波型护栏巡检设备
CN104276400B (zh) 一种分流装置及自动分流机构
JP2007278000A (ja) キャリアプレー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6678383B2 (ja) 車両検査装置
CN219930890U (zh) 液压抓梁和启闭机
JP2019062698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受電設備並びに給電設備
CN206692043U (zh) 卷材提取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