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765A - 모바일 전자장치 및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모바일 전자장치 및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765A
KR20130057765A KR1020110123669A KR20110123669A KR20130057765A KR 20130057765 A KR20130057765 A KR 20130057765A KR 1020110123669 A KR1020110123669 A KR 1020110123669A KR 20110123669 A KR20110123669 A KR 20110123669A KR 20130057765 A KR20130057765 A KR 20130057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electronic device
mobile electronic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명
오윤제
금동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7765A/ko
Priority to US13/667,135 priority patent/US20130135512A1/en
Publication of KR2013005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수용 공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내부에 방향제를 구비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 캡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전자장치 및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Mobile electronic device and docking stage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모바일 전자장치 및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 캡슐을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장치와 이를 위한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모바일 전자장치는 현대인이 항상 휴대하는 필수품이 되었다. 모바일 전자장치는 영상을 촬영하거나 통신을 수행하거나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등, 전자장치의 본래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이외에도 생활의 필수품으로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측면에서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1994-084444호는 향기를 발산하는 카메라 기술을 개시한다. 이러한 카메라 기술에서는 향기를 발산시키기 위해 다공질 부재나 섬유성 부재를 이용하는데, 카메라에서 향수가 누설될 수 있어서 향기를 발산하는 향수를 관리하기가 어렵고 다공질 부재의 교체가 어렵다. 또한 향수의 교환 시기를 알 수 없어, 사용자가 수시로 향수의 양을 확인해야 한다.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의 목적은, 향기를 발산함으로써 사용상의 쾌적함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의 다른 목적은 조명부의 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의 목적은, 모바일 전자장치의 방향 캡슐을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전자장치의 전기 충전, 데이터 통신, 데이터 저장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수용 공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내부에 방향제를 구비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 캡슐을 구비한다.
모바일 전자장치는,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며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조명부와, 본체에 배치되며 조명부에 신호를 인가하여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는, 방향 캡슐을 교체한 이후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교체 시기를 알리는 타이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조명부에 의해 발광되는 광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조명부는 본체의 표면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 형성돌 수 있으며, 제어부는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부분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광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는 수용 공간을 덮도록 본체에 결합되는 덮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덮개는 개방 면적이 조절되는 개방구를 구비할 수 있다.
방향 캡슐은, 방향제가 수용되는 개구부를 갖는 용기와, 적어도 일부분이 방향제와 접촉하도록 개구부를 통해 용기에 삽입되어 향을 발산하는 봉과,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마개를 구비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는 본체에 배치되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조정되는 줌렌즈 경통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제어부는 줌렌즈 경통의 돌출 높이의 변화에 따라 조명부의 광을 변화시킬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제어부는 음향 발생부를 제어하여 곤충이 싫어하는 소정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소리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은, 방향제가 저장된 방향제 저장부와, 방향제 저장부에 연결되어 방향제 저장부의 방향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한다.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방향제 저장부의 방향제를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수동펌프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은 배출구에 방향 캡슐이 연결된 후,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방향제 저장부의 방향제를 배출구를 통해 방향 캡슐로 배출시키는 자동펌프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은, 외부의 모바일 전자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통신부와 데이터 저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저장부와 통신부를 제어하는 스테이션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은, 외부의 모바일 전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모바일 전자장치를 전기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에서는 본체로부터 향기가 발산되므로 사용자 및 주변 환경에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전자장치의 조명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줌렌즈 경통이나 방향 캡슐의 작동과 연동하여 제어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더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함으로써 방향 캡슐의 방향제를 신속하면서도 편리한 방법으로 충전할 수 있고, 모바일 전자장치의 전기 충전 중에도 조명부의 광을 제어함으로써 충전 상태에 대한 알림을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방향 캡슐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덮개이다.
도 5는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의 작동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의 작동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의 작동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모바일 전자장치의 도킹 스테이션의 작동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 및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는, 본체(10)와 본체(10)에 장착되는 방향 캡슐(50)을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100)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로 구현된 구현예이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러한 구현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플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장치 등 휴대가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는 모바일 전자장치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둘러싸 보호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본체(10)는 방향 캡슐(50)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1)을 구비한다.
방향 캡슐(50)은 내부에 방향제를 구비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체(10)의 수용 공간(11)에 수용되어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본체(10)의 수용 공간(11)에 방향 캡슐(50)을 장착한 후에는, 본체(10)의 수용 공간(11)에 덮개(12)가 설치된다. 덮개(12)는 방향 캡슐(50)이 본체(1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방향 캡슐(50)을 지지함과 아울러 방향 캡슐(50)에서 발산된 향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덮개(12)는 개방 면적이 조정되는 개방구(12b)를 구비한다.
본체(10)의 전면에는 줌렌즈 경통(110)이 설치된다. 줌렌즈 경통(110)은 렌즈(112)를 구비하며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작동함으로써, 촬영을 위해 줌배율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체(10)의 외부의 전면에는 조명부(70)가 설치된다. 조명부(70)는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광을 방출한다. 조명부(70)는 줌렌즈 경통(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링부(71)와, 링부(71)에서 본체(10)의 표면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직선부(72)를 구비한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촬상부(120)는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100)의 본체(10)에 설치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부(120)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화상 변환부(141)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제어부(140)의 촬영 제어부(147)는 촬상부(120)를 제어함으로써 촬영 동작을 실행한다.
촬상부(120)의 앞에 배치되는 광학계를 형성하는 줌렌즈 경통(110)은 복수 개의 렌즈(112)를 구비하여 외부의 영상광을 촬상부(120)의 촬상면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줌렌즈 경통(110)은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100)의 본체(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모바일 전자장치(100)를 렌즈 교환식으로 설계할 경우에는 줌렌즈 경통(110)이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렌즈(112)는 서로의 간격이 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렌즈(112)의 간격이 변동되면 줌 배율이나 초점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렌즈(112)는 광축(L)을 따라 배치되는데, 광축(L)은 렌즈(112)의 광학적 중심을 잇는 가상의 직선을 말한다.
렌즈(112)는 줌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수단을 갖는 렌즈 구동부(111)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서로에 대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렌즈(112)는 피사체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키는 줌렌즈와,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렌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111)는 제어부(140)의 렌즈 제어부(142)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작동하여 렌즈(112)가 복수 개의 확대 배율들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렌즈(112)의 위치를 제어한다.
촬상부(120)는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여, 렌즈들(112)을 통과하여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부(120)는 촬영 제어부(147)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화상 변환부(141)는 촬상부(120)의 전기적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화상 처리를 행할 수 있게 하거나 메모리(115)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화상 변환부(141)는 촬상부(120)의 전기적 신호를 RGB 데이터로 변환한 후, RGB 데이터를 휘도(Y) 신호 및 색차(UV) 신호를 포함하는 YUV 신호와 같은 형태의 원시 데이터(raw data)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촬상부(120)의 전기적 신호가 화상 변환부(141)에 의해 변환되는 과정은, 예를 들어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DS 회로)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에 포함된 촬상부(120)의 구동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자동이득제어회로(AGC회로)에 의해 노이즈 저감 후의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단계와, A/D 변환기를 이용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디지털 신호에 대한 픽셀 결함 보정, 게인 보정, 화이트 밸런스 보정, 감마 보정 등의 신호 처리와 같은 세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DS 회로)나, 자동이득제어회로(AGC회로)나, A/D 변환기 등은 별도의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촬상부(120), 렌즈 구동부(111), 표시부(150), 타이머(80), 사용자 입력부(170), 메모리(115), 조명부(7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들 구성 요소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화상 변환부(141)와, 렌즈 제어부(142)와, 메모리 제어부(143)와, 표시 제어부(144)와, 신호 수신부(145)와, 조명 제어부(146)와, 촬영 제어부(147)와, 입력 수신부(148a)와, 통신 제어부(148b)와, 음향 제어부(148c)와, 화상 압축부(149)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 칩이나, 마이크로 칩을 구비하는 회로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4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들은 제어부(140)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나 회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제어부(143)는 메모리(115)에 대한 데이터 기록과, 기록된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을 제어한다.
메모리(115)는 휘발성 내장 메모리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DRAM(synchronous DRAM) 등의 반도체 기억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115)는 화상 변환부(141)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 기능 및 데이터 처리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작업 메모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5)는 비휘발성 외장 메모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모리 스틱, SD/MMC 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나, HDD 와 같은 저장 장치나 DVD 또는 CD 와 같은 광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15)에는 화상 압축부(149)에 의해 JPEG 파일, TIF 파일, GIF 파일, PCX 파일 등과 같은 형태로 압축 변환된 화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화상 데이터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본체(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 발광장치(OLED) 등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0)는 셔터 버튼이나 메뉴 조작용 버튼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제어부(140)는 입력 수신부(148a)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부(170)의 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구성 요소의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타이머(80)는 도 1의 방향 캡슐(50)의 교체 시기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향 캡슐(50)을 교체할 때에 타이머(80)를 리셋하고, 방향 캡슐(50)의 수명에 해당하는 기간이 경과하면 타이머(80)가 작동하여 기간 경과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타이머(8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신호 수신부(145)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방향 캡슐(50)을 교체하여야 함을 알릴 수 있다.
제어부(140)는 표시부(150)에 화상이나 텍스트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방향 캡슐(50)의 교체 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또는 조명부(70)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세기나 색상 등을 조정함으로써 교체 시기를 알릴 수 있다.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와 타이머(80)가 연결되는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타이머(80)와 제어부(140)를 연결하지 않고, 타이머(80)는 제어부(140)로부터 독립되어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방향 캡슐(50)을 교체한 시기에 사용자가 타이머(80)를 리셋하면, 방향 캡슐(50)의 수명에 해당하는 기간이 경과했을 때 타이머(80)가 자체적으로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광을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조명 제어부(146)는 조명부(70)의 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명 제어부(146)는 조명부(70)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광량을 조정하거나 광의 색상을 조정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48b)는 모바일 전자장치(100)와 외부 장치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통신 제어부(148b)는 예를 들어 커넥터를 이용한 유선 통신을 제어하거나,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음향 제어부(148c)로부터 음향 발생부(190)에 신호가 인가되면, 음향 발생부(190)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80)에 의해 방향 캡슐(90)의 수명에 해당하는 기간을 알리는 신호가 발생한 경우, 음향 발생부(190)를 통해 음성 또는 특별한 소리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음향 발생부(190)는 곤충이 싫어하는 소정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방향 캡슐(90)이 구비하는 방향제의 종류에 따라서 모바일 전자장치(100)의 주변으로 곤충이 모일 수 있지만, 음향 발생부(190)를 작동시켜 곤충이 싫어하는 주파수를 갖는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곤충을 퇴치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방향 캡슐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방향 캡슐(90)은 개구부(51a)를 구비하며 내부에 방향제(59)가 수용되는 용기(51)와, 용기(51)에 삽입되어 향을 발산하는 봉(52)과, 용기(51)의 개구부(51a)를 덮는 마개(58)를 구비한다.
용기(51)의 일측에는 캡슐 지지부(56)가 결합된다. 캡슐 지지부(56)는 방향 캡슐(90)을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한다. 캡슐 지지부(56)는 용기(51)의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주 지지부(56a)와, 주 지지부(56a)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 마개(56b)를 구비한다. 충전 마개(56b)를 주 지지부(56a)로부터 분리하면, 용기(51)의 충전 주입구(51b)가 외부로 노출된다. 충전 주입구(51b)를 통해 용기(51)의 내부로 방향제(59)를 주입할 수 있다.
방향제(59)는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봉(52)의 일단(52b)은 방향제(59)와 접촉하고, 봉(52)의 타단(52c)은 용기(5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봉(52)은 용기(51)의 개구부(51a)에 대응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날개부(52a)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방향 캡슐(90)은 용기(51)에 수용된 방향제(59)와 접촉한 봉(52)에 의해 방향제(59)의 향이 용기(51)의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향으로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모바일 전자장치(100)에 다른 종류의 방향제를 갖는 방향 캡슐(90)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방향제가 컴팩트한 방향 캡슐(9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므로 방향제가 누설될 염려가 없다.
도 4는 도 3의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덮개이다.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100)의 수용 공간(11)에 설치되는 덮개(12)의 일측에는 개방구 조절판(12d)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개방구 조절판(12d)은 덮개(12)의 개방구(12b)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는 개방구 조절판(12d)을 회전시켜 개방구(12b)의 개방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개방구(12b)로부터 발산되는 방향 캡슐(90)의 향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의 작동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모바일 전자장치의 작동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모바일 전자장치(100)의 줌렌즈 경통(110)의 작동과 연동하여 조명부(70)가 방출하는 광을 제어하면, 줌렌즈 경통(110)을 작동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줌렌즈 경통(110)이 작동하여 줌렌즈 경통(110)이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높이의 변화에 따라 조명부(70)의 광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줌렌즈 경통(110)이 본체(10)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조명부(70)의 직선부(72)에서 발광되는 부분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줌렌즈 경통(110)이 본체(10)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직선부(72)의 발광되는 부분의 길이도 함께 증가시키고, 도 6에서와 같이 줌렌즈 경통(110)이 본체(10)로부터 최대로 돌출되었을 때에는 직선부(72)의 발광되는 부분도 최대로 형성할 수 있다.
줌렌즈 경통(110)의 작동과 조명부(70)의 광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변형하여 예를 들어 조명부(70)의 광의 세기를 변형하거나, 조명부(70)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200)은, 방향제가 저장되는 방향제 저장부(220)와, 방향제 저장부(220)에 연결되어 방향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31)를 구비한다.
방향제 저장부(220)는 케이스(2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210)에는 방향제 저장부(220)의 방향제를 배출구(231)로 배출시키는 자동펌프장치(230)가 설치될 수 있다.
자동펌프장치(230)는 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테이션 제어부(240)에 배선(231a)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테이션 제어부(240)에 의해 제어되어 작동할 수 있다.
케이스(210)의 외부에는 방향제 저장부(220)의 배출구(2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충전용 포트(214)가 설치된다. 충전용 포트(214)에 방향 캡슐(50)이 결합되면, 방향 캡슐(50b)의 충전 주입구(51b)가 방향제 저장부(220)의 배출구(231)와 연결된다. 따라서 자동펌프장치(230)의 작동에 의해 배출되는 방향제 저장부(220)의 방향제가 방향 캡슐(50b)로 주입될 수 있다.
충전용 포트(214)에는 배선(241a)을 통해 스테이션 제어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 스위치(241)가 설치된다. 방향 캡슐(50)이 충전용 포트(214)에 장착되면 접촉 스위치(241)가 이를 인식하므로, 스테이션 제어부(240)가 자동펌프장치(230)를 작동시켜, 방향 캡슐(50b)에 대한 방향제 충전 작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자동펌프장치(230)에 의해 충전 작동이 이루어지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을 변형하여 케이스(210)에 수동펌프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방향제 저장부(220)에 저장된 방향제를 배출구(231)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된 리드(14)를 제거하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로부터 방향 캡슐(50)의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방향 캡슐(50)에서 도 3에 도시하였던 충전 마개(56b)를 제거함으로써, 방향 캡슐(50)을 도킹 스테이션(200)의 충전용 포트(214)에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바일 전자장치(100)를 도킹 스테이션(200)의 케이스(210)에 결합시킴으로써 모바일 전자장치(100)의 내부에 있는 방향 캡슐(50)을 충전시킬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200)은 모바일 전자장치(10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충전부(250)는 배선(250b)을 통해 스테이션 제어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210)에는 배선(250a)을 통해 충전부(250)에 연결되는 충전용 단자(251, 252)가 설치된다. 케이스(210)에는 모바일 전자장치(100)가 전기 충전을 위해 장착되는 장착홈(213)이 형성된다.
도 9는 도 7의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의 작동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모바일 전자장치(100)가 전기 충전을 위해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작동예를 도시한다. 모바일 전자장치(100)는 배터리(60)와, 배터리(60)와 도킹 스테이션(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충전 커넥터(61)를 구비한다. 모바일 전자장치(100)가 전기 충전을 위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면, 모바일 전자장치(100)의 배터리(60)는 도킹 스테이션(200)에 의해 전기 충전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100)의 전기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조명부(70)의 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자장치(100)의 전기 충전량을 나타내도록 조명부(70)의 직선부(72)에서 발광되는 부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100)를 도킹 스테이션(200)에 장착하였을 초기에는 전기 충전량이 적으므로, 직선부(72)의 발광되는 부분의 길이를 작게 하고, 모바일 전자장치(100)의 전기 충전량이 증가함에 따라 직선부(72)의 발광되는 부분의 길이를 증가시키다가, 모바일 전자장치(100)가 완전히 충전되었을 직선부(72)의 전체 영역에서 발광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전자장치(100)의 충전 상태를 조명부(70)에서 발광되는 광의 모양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100)의 전기 충전 작동과 조명부(70)의 광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변형하여 예를 들어 조명부(70)의 광의 세기를 변형하거나, 조명부(70)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조명부(70)의 링부(71)에서 발광되는 영역을 변화시키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7의 모바일 전자장치의 도킹 스테이션의 작동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모바일 전자장치(100)와 도킹 스테이션(200)의 사이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작동예를 도시한다. 도킹 스테이션(200)은 모바일 전자장치(100)와 도킹 스테이션(200)의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해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 제어부(240)는 무선 통신 연결에 의해 모바일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핸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연결에 의해 모바일 전자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의 데이터가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자동적으로 전송되거나 복사되는 작업이나, 전송과 복사 작업 이후에 모바일 전자장치(100)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작업 등이 자동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연결에 의해 도킹 스테이션(200)에 저장되어 있는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모바일 전자장치(100)로 자동 전송하고, 모바일 전자장치(100)에서 영상을 감상하거나, 편집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100)와 도킹 스테이션(200)의 사이에 통신 연결은 상술한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모바일 전자장치(100)와 도킹 스테이션(200)을 통신 연결하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 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발명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0: 본체 112: 렌즈
11: 수용 공간 115: 메모리
12d: 개방구 조절판 120: 촬상부
12b: 개방구 140: 제어부
12: 덮개 141: 화상 변환부
14: 리드 142: 렌즈 제어부
50: 방향 캡슐 143: 메모리 제어부
50b: 방향 캡슐 144: 표시 제어부
51a: 개구부 145: 신호 수신부
51: 용기 146: 조명 제어부
51b: 충전 주입구 147: 촬영 제어부
52a: 날개부 148c: 음향 제어부
52: 봉 148a: 입력 수신부
52b: 일단 148b: 통신 제어부
52c: 타단 149: 화상 압축부
56a: 주 지지부 150: 표시부
56b: 충전 마개 170: 사용자 입력부
56: 캡슐 지지부 190: 음향 발생부
58: 마개 200: 도킹 스테이션
59: 방향제 210: 케이스
60: 배터리 213: 장착홈
61: 충전 커넥터 214: 충전용 포트
70: 조명부 220: 방향제 저장부
71: 링부 230: 자동펌프장치
72: 직선부 231: 배출구
80: 타이머 240: 스테이션 제어부
90: 방향 캡슐 231a, 241a, 250a, 250b: 배선
100: 모바일 전자장치 241: 접촉 스위치
110: 줌렌즈 경통 250: 충전부
111: 렌즈 구동부 251, 252: 충전용 단자

Claims (16)

  1.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수용 공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내부에 방향제를 구비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 캡슐;을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며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조명부;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조명부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캡슐을 교체한 이후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교체 시기를 알리는 타이머를 더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에 의해 발광되는 광의 광량을 제어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본체의 표면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부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모바일 전자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광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모바일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덮개를 더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개방 면적이 조절되는 개방구를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캡슐은,
    방향제가 수용되는 개구부를 갖는 용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방향제와 접촉하도록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용기에 삽입되어 향을 발산하는 봉; 및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마개;를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조정되는 줌렌즈 경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줌렌즈 경통의 돌출 높이의 변화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광을 변화시키는, 모바일 전자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발생부를 제어하여 곤충이 싫어하는 소정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소리을 발생시키는, 모바일 전자장치.
  12. 방향제가 저장된 방향제 저장부; 및
    상기 방향제 저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방향제 저장부의 상기 방향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방향제 저장부의 상기 방향제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수동펌프장치를 더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방향 캡슐이 연결된 후,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방향제 저장부의 상기 방향제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방향 캡슐로 배출시키는 자동펌프장치를 더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15. 제12항에 있어서,
    외부의 모바일 전자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스테이션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16. 제12항에 있어서,
    외부의 모바일 전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를 전기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KR1020110123669A 2011-11-24 2011-11-24 모바일 전자장치 및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KR20130057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69A KR20130057765A (ko) 2011-11-24 2011-11-24 모바일 전자장치 및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US13/667,135 US20130135512A1 (en) 2011-11-24 2012-11-02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docking st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69A KR20130057765A (ko) 2011-11-24 2011-11-24 모바일 전자장치 및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765A true KR20130057765A (ko) 2013-06-03

Family

ID=4846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669A KR20130057765A (ko) 2011-11-24 2011-11-24 모바일 전자장치 및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35512A1 (ko)
KR (1) KR201300577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3872A (zh) * 2016-06-15 2019-02-05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用于电子装置的面板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2987B1 (en) * 2013-02-27 2019-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for camera
USD733206S1 (en) * 2013-06-14 2015-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camera
US9207714B2 (en) * 2013-08-01 2015-12-08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916163S1 (en) * 2018-07-09 2021-04-13 Seek Thermal, Inc. Camera enclosure
US20240057584A1 (en) * 2021-01-07 2024-02-22 Glenn A Wall Sensory output and loc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D996490S1 (en) * 2021-05-28 2023-08-22 Zoox, Inc. Telematic camera
US11902664B2 (en) * 2021-09-22 2024-02-13 Adam A. Locke Cellular telephone with protracting monitor screen and camer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3872A (zh) * 2016-06-15 2019-02-05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用于电子装置的面板和方法
KR20190018473A (ko) * 2016-06-15 2019-02-22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전자 디바이스용 패널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35512A1 (en)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7765A (ko) 모바일 전자장치 및 모바일 전자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CN100348018C (zh) 图像摄取装置、及图像摄取装置的控制方法
JP6302554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182437C (zh) 带有发光体的照相机
US2009028461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blurring background of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US8908916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to search for a subject and automatically perform image-recording
WO2015187494A1 (en) Raw camera peripheral for handheld mobile unit
JP2014057310A (ja) 携帯端末機のカメラプレビュー画面の表示方法及び装置
JP6063092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830730B (zh) 电子装置中用于生成移动图像数据的设备和方法
US2017019558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CN112351156A (zh) 一种镜头切换方法及装置
US10158801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CN103986864A (zh) 拍摄装置和拍摄方法
US9635281B2 (en)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00236282A1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211457207U (zh) 摄像头组件
JP2007195029A (ja) 撮像装置
JP2013160842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6311345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3107315A (ja) レンズ鏡胴及びレンズ交換式カメラ
JP2007078823A (ja) カメラ
JP2007173985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912680B2 (ja)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および外部フラッシュ
KR20130096407A (ko) 손떨림 보정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촬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