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258A -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258A
KR20130057258A KR1020110123085A KR20110123085A KR20130057258A KR 20130057258 A KR20130057258 A KR 20130057258A KR 1020110123085 A KR1020110123085 A KR 1020110123085A KR 20110123085 A KR20110123085 A KR 20110123085A KR 20130057258 A KR20130057258 A KR 20130057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ad
pad member
antimicrobial composition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건호
Original Assignee
조건호
주식회사 지우미디어
최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건호, 주식회사 지우미디어, 최희봉 filed Critical 조건호
Priority to KR1020110123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7258A/ko
Publication of KR2013005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32B2307/7145Rot proof, resistant to bacteria, mildew, mould, fung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12Cop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지장수에 침지 처리된 패드부재를 기초로 하여, 그 패드부재의 표면과 이면에 동나노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항균조성물을 도포(코팅)처리하고, 이와 같이, 기능성 항균조성물이 도포처리된 패드부재를, 재차, 접착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형성하여, 어느 특정된 하나의 산업분야 및 물품(기기) 등에 구애받음 없이, 전차파 차폐 및 항균기능을 필요로 하는 물품(기기)이라면, 그 어디에나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게 함으로써, 경제성 및 취급 효율성, 그리고, 사용의 편리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패드부재에 기능성 항균조성물을 도포처리하고, 여기에, 점착층과, 마감필름지를 더 구비토록 한, 항균패드를 형성하되;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은, 동나노 분말과, 산화인듐 주석분말과, 버미큘 라이트 분말과, 일라이트 분말과, 포졸란 분말과, 제올라이트 분말과, 천연바인딩을 혼합, 조성한 물질로 이루어지게 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Copper powder antibacterial P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동나노 항균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전제품, 침구류, 의료용품, 생활용품, 자동차 등등, 어느 특정된 하나의 산업분야 내지 물품 등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 필요에 따라 광범위한 형태로, 선택적 적용가능하게 하여, 그들 제품으로부터 발생 되는 각종 유해균 및 전자파를 차단되게 하고, 여기에 더하여, 탈취기능까지 병행되도록 하여, 질병발생 등의 유해요인으로부터, 사용자 인체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또한 날로 증대되고 있음이 오늘날의 현실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사회의 발전에 따라 생활환경이 편리해지고, 그러한 생활환경을 지속, 영위하기 위해 이용되는 각종 물품 및 기기들이 점진적으로 첨단화되어짐에 따라, 그 물품 내지 기기들로부터 야기되는 인체 유해요인 또한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임을 결코 부인할 수 없다 할 것이다.
예컨대, 휴대폰, 노트북, 전기매트 등과 같은 가전제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전자파는, 남성호르몬 수치의 감소, 뇌손상 유발, 기형아 출산 등과 같이 인체에 심각한 유해요인으로 작용하게 되고, 사용자들의 신체와 빈번하게 접촉관계를 갖으며 사용되는 물품, 예컨대, 침대,의자,소파 등과 같은 침구류, 대형마트 등에 비치된 물품운반용 카트, 컴퓨터용 마우스, 자판기, 공중전화기,기타 등등과 같은 물품들은, 그 사용, 및 보관 등의 과정에 있어, 먼지 또는 사용자의 인체분비물, 즉, 땀이나 타액 등에 노출된 상태로서, 각종 병원균과 곰팡이, 유해미생물들의 서식 환경을 제공하며, 인체에 유해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며, 그외, 병원 등에 비치된 각종 의료장비들 또한 불특정 다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용되는 물품특성에 따라, 질병전염의 요인으로 작용 되는 것이 그 일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와 같은, 유해전자파 및 각종 유해균으로부터 사용자의인체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각 분야별 물품특성에 따라, 상기 유해전자파 및 유해균을 상쇄 및 차단시키기 위한 소재 및 제품들이 널리 개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전자파차폐 및 항균소재들은, 적용되는 물품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각각 독립적인 물질성분 및 구조적 차별성을 갖는 것이고, 그에 따라, 제조형태 또한 각기 다른 기술적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었던바, 따라서,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기술적 구성 및 특성에 따라 산업별 기술투자 및 생산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제품비용 또한 상승하여, 소비자에게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예컨대, 휴대용 컴퓨터(노트북)의 경우, 전자파 차단수단으로서,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된(등록 제0397125호) "전자파 차단용 휴대용 목재케이스"등이 이용되고, 침구류의 경우, 전자파 차단 및 항균수단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된(등록 제0772979호) "천연광석물로 이루어진 침대용 보드"등이 이용되며, 의류의 경우, 전자파 차폐수단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된(등록 제0445932호) "전자파 차단조끼"등이 각각 개별적인 물품형태로 개발, 적용되는 것이 그 일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산업분야 및 물품별 종류에 따라 개별적 구성 특징으로 적용되는 종래 전자파차폐 및 항균수단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장수에 침지 처리된 패드부재를 기초로 하여, 그 패드부재의 표면과 이면에 동나노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항균조성물을 도포(코팅)처리하고, 이와 같이, 기능성 항균조성물이 도포처리된 패드부재를, 재차, 접착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형성하여, 전차파 차폐 및 항균기능을 필요로 하는 물품(기기), 예컨대, 휴대폰, 노트북 등과 같은 가전제품은 물론, 침대,의자,소파 등과 같은 침구류, 대형마트 등에 비치된 물품운반용 카트, 컴퓨터용 마우스, 자판기, 공중전화기, 자동차 및 기타 병원용 의료장비 등에 이르기까지, 어느 특정된 하나의 산업분야 및 물품(기기) 등에 구애받음 없이, 필요한 형상과 모양으로 재단하여, 전술한, 모든 분야(물품)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게 함으로써, 경제성 및 취급 효율성, 그리고, 사용의 편리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능성 항균조성물이 도포(코팅)된 패드부재, 예컨대, 동나노 패드에,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방향제를 더 첨가 구성하여, 향기발산 기능과 그에 따른 탈취 기능 또한 병행되게 함으로서, 보다 쾌적한 사용관계를 갖도록 한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패드부재에 기능성 항균조성물을 도포처리하고, 여기에, 점착층과, 마감필름지를 더 구비토록 한, 항균패드를 형성하되;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은, 동나노 분말과, 산화인듐 주석분말과, 버미큘 라이트 분말과, 일라이트 분말과, 포졸란 분말과, 제올라이트 분말과, 천연바인딩을 혼합, 조성한 물질로 이루어지게 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항균패드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패드부재 전처리공정과, 패드부재 건조공정과, 주원료 준비공정과, 천연바인딩 생성공정과, 항균조성물 가공공정과, 항균조성물 도포공정과, 제품마감 처리공정을 행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은, 지장수에 침지 처리된 패드부재에 동나노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항균조성물을 도포(코팅)처리하고, 그 기능성 항균조성물이 도포처리된 패드부재를, 접착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형성하여, 어느 특정된 하나의 산업분야 및 물품(기기) 등에 구애받음 없이, 전차파 차폐 및 항균기능을 필요로 하는 것이라면 그 어디에나, 선택적 재단을 통해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이에, 경제성과 취급효율성, 그리고, 사용의 편리성을 대폭 증대되게 한 것이다.
또 다르게, 기능성 항균조성물이 도포(코팅)된 패드부재, 예컨대, 동나노 패드에, 방향층을 더 생성시켜, 향기발산 기능과 탈취 기능을 병행되게 하여, 보다 쾌적한 사용관계를 갖도록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동나노 패드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동나노 패드의 조성관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동나노 패드의 제조공정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동나노 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 제조방법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패드부재(1)와, 기능성 항균조성물(2), 그리고, 점착층(3)과, 마감필름지(4)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패드부재(1)는, 인체에 유익한 천연직물지, 예컨대, 명주, 한지 등과 같은 천연섬유 내지 생분해 섬유로 직조 형성된 통상의 직물지를 그 소재로 하는 것으로, 이에, 이와 같이, 천연직물지로 이루어진 패드부재(1)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그 패드부재(1)를 일종의 섬유염색방법과 같이 지장수에 침지 처리하여, 황토성분을 함유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패드부재(1)는, 그 소재가 단순히 천연직물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인조 내지 합성직물재 등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르게, 부연설명으로서, 상기 패드부재(1)가 침지 처리되는, 지장수는, 동의보감을 통해 널리 알려진 물의 한 종류로서, 이는 황토성분이 함유된 누런색의 흙물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러한, 지장수는 주지된 사실로서, 황토성분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기능과, 해독작용 등의 기능을 갖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2)은, 본 발명의 핵심 요지구성으로서, 이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능성 항균 조성물은, 동나노 분말과, 산화인듐 주석분말과, 버미큘라이트(질석) 분말과, 일라이트 분말과, 포졸란 분말과, 제올라이트 분말과, 천연바인딩을 혼합, 조성한 물질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에 포함되는 동은, 구리족 원소에 속하는 전이금속으로 원소기호는 Cu이고, 이는, 자연계에서 천연 상태로 산출되거나 혹은, 휘동석(輝銅石),황동석(黃銅石) 등과 같은 광물을 제련하여 얻은 불순한 구리를 전기적 분해로 정제시켜 순수 구리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동은 주지된 바와 같이, 전자기적 성질이 우수하여, 각종 가전제품 및 산업기기에 전자파 차폐수단으로 이용되는 물질특성을 갖는 것인바, 이에, 이러한 동을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순도 99.9%의 동을 7㎛ 이하의 분말입자, 예컨대, 나노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2)에 포함되는, 산화인듐 주석분말은, 주지된 바와 같이, 가루형태로 존재하며, 습식공정에 의해 나노입자크기로 제조되는 기술 방법 또한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는, 통상 액정 디스플레이, 평판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전자 종이 응용, 유기 발광 다이오드, 태양 전지, 정전기방지 코팅, 전자파 차폐물 등에 적용되어, 투명성과 전도성을 확보해주는 물질특성을 갖는 것인바.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 또한, 이와 같이, 주지된 물질특성을 갖는 산화인듐 주석분말을 그대로 적용하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2)에 포함되는, 버미큘라이트(질석) (Mg,Fe,Al)3(Al,Si)4O10(OH)2.4H2O는, 금운모나 흑운모 따위가 변성하여 이루어진 몬모릴로나이트, 예컨대, 단사 정계에 속하는 점토 광물군으로, 흰회색 또는 갈색의 진주 광택이 나고, 가열하면 팽창하는 성질을 갖으며, 실리카, 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가 주성분을 이루는 광물로서, 이러한, 버미큘라이트는, 주지된 바와 같이, 단열재, 흡음재 등과 같은 건축재료는 물론, 악취제거를 위한 흡착제, 또는, 전자파 차폐제 등으로, 이미, 일반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인바,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 또한, 이와 같이, 주지된 물질특성을 갖는 버미큘라이트를 분말형태로 가공하여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2)에 포함되는, 일라이트(K,H3O)Al2(Si,Al) 4O10(H2O,OH)2는, 미립질의 광물로서, 일반적인 백운모와 흡사한 판상의 점토광물에 해당되고, 화학조성은 백운모에 비하여 칼륨(K)과 알루미늄(Al)은 적으나, 규소(Si)와 물(H2O)은 약간 더 많이 포함하고 있는 물질 구성인바, 이에, 이러한, 일라이트는 주지된 바와 같이, 원적외선 방출작용에 따른, 공명흡수작용에 의해, 인체 에너지를 활성화하여, 신진대사를 촉진되게 함으로서, 운동부족해소, 노화방지, 피로회복 등의 효과를 제공하고, 병균감염, 종기를 치료하기 위한 배농(排膿)용으로 효과가 크며, 기타, 정화작용,해독작용 뿐만 아니라 관절통, 근육통, 벌레 물린데 등에 효과가 있는 물질특성을 갖는 것으로,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 또한, 이와 같이, 주지된 물질특성을 갖는 일라이트를 분말형태로 가공하여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2)에 포함되는, 포졸란은, 가용성 및 규산성분으로, 수경성은 아니지만, 물에 의하여, 수산화칼슘과 화합하면, 경화는 반응(포졸란반응)을 나타내는 규산질 미립분의 총칭으로서, 이는 크게 규조토, 규산백토, 응회암, 화산재 등과 같은 천연 포졸란과, 플라이 애시, 고로 슬래그, 소성 점토 등과 같은 인공 포졸란으로 그 종류가 구분되는 것이고, 이러한, 일라이트는 주지된 바와 같이, 친환경 광물소재로서, 게르마늄 함유에 따른 다량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작용에 의해 탈취, 살균, 곰팡이제거 등의 기능으로, 각종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고 있는 것인바,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 또한, 이와 같이, 주지된 물질특성을 갖는 포졸란을 분말형태로 가공하여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2)에 포함되는, 제올라이트는, 알칼리 및 알칼리토금속의 규산알루미늄 수화물인 광물을 총칭하는 말로 색깔은 무색 투명하거나 백색 반투명하고, 비석이라고도 하며, 종류는 많으나 함수량이 많은 점, 결정의 성질, 산상 등에 공통성이 있는 광물질로서, 이러한, 제올라이트는 주지된 바와 같이, 새집증후군제거, 악취제거, 습기제거 등에 탁월한 효과를 갖으며, 일반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물질특성을 갖는 것인바,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 또한, 이와 같이, 주지된 물질특성을 갖는 제올라이트를 분말형태로 가공하여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2)에 포함되는, 천연바인딩은, 기능성 항균조성물에 응집력을 부여하는 일종의 접착제로서, 이와 같은, 천연바인딩은 해양에 서식하는 갈조 식물류, 예컨데, 미역, 다시마, 곤피, 녹미채, 감태, 대황,모자반 등, 다양한 종류의 해초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택일(擇一)하여 채취하고, 그 채취된 해초를 100℃이상 고온의 끊는 물에 투입하여, 그 끓는물이 증발될때 까지 지속적인 가열을 통해 해초를 걸죽한 액상체로 형성하며, 재차, 상기 액상체를 취하는 해초를 걸름망에 의해 걸름되게 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형태로 상온에서 완전건조시킨 후, 이를 분쇄기에 의해 분말형태로 가공하여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와 같이, 분말형태로 가공된 해초분말은, 기능성 항균조성물(2)에 첨가됨에 있어, 분말형태, 그대로, 첨가되는 것이 아니라, 목초액, 예컨대, 나무를 숯으로 만들기 위해 연소하는 과정에 있어, 그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공기와 접촉되게 하여, 추출 생성한 액상의 물질과 혼합시킨 형태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점착층(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패드를, 전자파 차폐 및 항균작용을 필요로 하는 각종 물품에 안정적으로 부착,사용하기 위한 통상의 접착수단으로서, 이와 같은, 점착층(3)은, 각종 테이프류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점착물질,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시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상기 마감필름지(4)는, 전술한 점착층(3)에 적층, 결합된 형태로서, 그 점착층(3)을 외부 접촉으로부터 보호하고, 본 발명에 따른 동나노 항균패드를 전자파 차폐 및 항균작용을 필요로 하는 각종 물품에 부착할 경우, 상기 점착층(3)으로부터 분리제거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마감필름지(4)는 투명 또는 불투명재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얇은 필름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비된 특징적 물질성분들을 이용하여, 또 다른 차별화된 형태의 항균패드 제조방법을 구현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공과정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재 전처리공정(S1)과, 패드부재 건조공정(S2)과, 주원료 준비공정(S3)과, 천연바인딩 생성공정(S4)과, 항균조성물 가공공정(S5)과, 항균조성물 도포공정(S6)과, 제품마감 처리공정(S7)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먼저, 상기 패드부재 전처리공정(S1)은, 패드부재(1)에 황토성분을 첨가하여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행하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제조 예비과정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패드부재 전처리공정(S1)은, 회동로울러에 일정 용량의 패드부재(1)를 감김, 저장한 상태하에, 그 감김 저장된 패드부재(1)를 인장로울러의 구동작용에 의해 풀림 유도되도록 하고, 그 풀림되는 패드부재(1)를, 지장수가 충진된 용기내로 투입, 경유되도록 하여, 5분~10분간의 시간범위로, 침지 처리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동로울러와 인장로울러는, 통상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본 발명에 그대로 응용한 것으로, 구체적 설명과 도면의 표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부재 건조공정(S2)은, 지장수에 침지처리된 패드부재(1)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이와 같은, 패드부재 건조과정(S2)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장수에 침지 처리된 패드부재(1)를, 전열 발생기능을 갖는 발열 로울러에 의해 압착하여, 1차 탈수처리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1차 탈수 처리된 패드부재(1)를, 재차, 열풍건조기 내로 경유 되게 하여, 2차 건조처리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패드부재 건조과정(S2)에 이용되는 발열 로울러와, 열풍건조기는 일반 산업분야에 이용되고 있는, 통상의 설비들을 그대로 응용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주원료 준비공정(S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능성 항균조성물(2)을 성분별로 구분하여, 준비하는 과정으로서, 먼저, 기능성 항균조성물(2)을 형성하는 물질, 예컨대, 동과, 산화인듐 주석과, 버미큘라이트와, 일라이트와, 포졸란과, 제올라이트를 구비토록 한 후, 이들을 종류별로 구분하고, 재차, 그 분리된 물질들을 각각 개별적인 형태로, 통상의 나노입자 가공처리장치(도시생략)에 투입하여, 각각 7㎛ 이하의 분말입자 크기로 가공 처리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나노입자 가공처리장치는, 일반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통상의 설비구성을 그대로 응용항 것으로,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나노입자 가공처리장치에 대한 구체적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천연바인딩 생성공정(S4)은, 전술한 주원료 준비공정(S3)을 통해 구비된 기능성 항균조성물에, 점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보조원료, 예컨대, 천연바인딩을 준비하는 과정인바, 이에, 이와 같은, 천연바인딩 생성공정(S4)은, 40~70% 중량비율을 갖는 목초액을 구비하고, 여기에, 30~60%의 중량비율을 갖는 해초분말을 투입하여, 이들을 상호 융융 혼합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균조성물 가공공정(S5)은, 전술한 주원료 준비공정(S3)과, 천연바인딩 생성공정(S4)을 통해 구비된 각 성분물질들을, 원심혼합기로 투입하고, 그 원심혼합기에 의한 혼합과정을 통해,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은, 성분관계로서, 기능성 항균조성물을 형성하는 과정인바, 이에, 이와 같은, 항균조성물 가공공정(S5)은, 10~30%의 중량비율을 갖는 동나노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여, 여기에, 10~20%의 중량비율을 갖는 산화인듐 주석분말과, 10~15%의 중량비율을 갖는 버미큘라이트 분말과, 5~10%의 중량비율을 갖는 일라이트 분말과, 5~10%의 중량비율을 갖는 포졸란 분말과, 2~8%의 중량비율을 갖는 제올라이트 분말과, 30~50%의 중량비율을 갖는 천연바인딩을 첨가하여, 이들을, 원심혼합기에 의해 혼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심혼합기는 일반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통상의 설비구성을 그대로 응용한 것으로,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심혼합기에 대한 구체적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항균조성물 도포공정(S6)은, 전술한 항균조성물 가공공정(S5)을 통해 형성된 기능성 항균조성물(2)을, 전술한 전처리 공정을 행한 패드부재에 도포 처리하는 과정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항균조성물 도포공정(S6)은, 원심혼합기에 의해 혼합형성된 기능성 항균조성물(2)을,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분사장치(N)에 주입하고, 그 고압분사장치(N)에 의해,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2)을 패드부재(1)의 표면과 이면에 도포 처리하며, 재차, 이와 같이, 기능성 항균조성물(2)이 도포처리된 패드부재(1)를 열풍건조기내로 투입 경유시켜, 완전 건조처리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압분사장치와 열풍건조기는, 일반 산업분야에 이용되고 있는, 통상의 설비들을 그대로 응용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끝으로, 상기 제품마감 처리공정(S7)은, 기능성 항균조성물(2)이 도포 처리된 항균패드(1)를, 완제품으로 마무리하는 과정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제품마감 처리공정(S7)은,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이 도포처리된 패드부재(1)의 이면에, 고압분사장치에 의해 아크릴계 접착제를 분사도포하여 점착층(3)을 형성시키고, 재차, 점착층(3)에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필름지(4)를 더 적층,결합하는 과정을 행하게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다용도 항균패드 제조방법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제조과정을 통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는, 필요에 따라, 각종 모양과 형상으로 재단하여, 전자파 차폐 및 항균기능을 필요로 하는 각종 물품(기기)에 부착,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이러한 동나노 항균패드는, 전술한 일련의 기능성 항균조성물(2)의 물질적 특성에 따라, 전자파 차폐 및 항균기능은 물론, 탈취, 제습, 제독 등,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에 있어, 기능성 항균조성물(2)이 도포 처리된 패드부재(1)의 표면에, 천연 방향식물 추출물질로 이루어진 아로마 오일, 예컨대, 허브, 국화, 레몬, 체리 등의 식물을 기름에 침지시켜, 그 향을 우러나오게 하고, 그 향이 우러나온 기름에, 알콜과, 솔벤트를, 더 첨가 혼합하여 형성한 아로마 오일을 분사 도포처리하여, 방향층(5)을 더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방향층(5)의 형성방법은, 통상의 고압분사장치(도시생략)를 이용하여, 기능성 항균조성물(2)이 도포된, 패드부재(1)의 표면에, 아로마 오일을 2차적 형태로, 더 분사 도포하고, 그와 같이 도포된 아로마 오일을, 300분 ~ 600분간의 시간범위로서, 상온 건조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1 : 패드부재 2 : 기능성 항균조성물 3 : 점착층
4 : 마감필름지 5 : 방향층

Claims (5)

  1. 지장수에 침지 처리된 패드부재(1)의 표면과 이면에, 기능성 항균조성물(1)을 도포처리하고,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1)이 도포처리된 패드부재(1)의 이면에, 점착층(3)과, 마감필름지(4)를 순차적인 적층구조로, 더 결합시켜, 항균패드를 형성하되;
    상기 패드부재(1)에 도포처리되는 기능성 항균조성물(1)은, 10~30%의 중량비율을 갖는 동나노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여, 여기에, 10~20%의 중량비율을 갖는 산화인듐 주석분말과, 10~15%의 중량비율을 갖는 버미큘 라이트 분말과, 5~10%의 중량비율을 갖는 일라이트 분말과, 5~10%의 중량비율을 갖는 포졸란 분말과, 2~8%의 중량비율을 갖는 제올라이트 분말과, 30~50%의 중량비율을 갖는 천연바인딩이 혼합, 조성된 물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바인딩은, 40~70% 중량비율을 갖는 목초액에, 30~60%의 중량비율을 갖는 해초분말이 융융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동나노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2)이 도포 처리된 패드부재(1) 표면에, 천연 식물추출 물질로 이루어진 아로마 오일을 분사 도포처리하여, 방향층(5)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동나노 패드.
  4. 구동로울러에 감김 저장된 패드부재(1)를, 인장로울러에 의한 풀림유도 작용에 의해 지장수가 충진된 용기 내로 투입 경유시켜, 5분~10분간의 시간범위로 침지 처리하는 패드부재 전처리공정(S1);
    상기 지장수에 침지 처리된 패드부재(1)를, 발열 로울러에 의한 압착작용에 의해 1차 탈수처리하고, 그 탈수 처리된 패드부재(1)를 열풍건조기에 의해 2차 건조처리는 패드부재 건조공정(S2);
    나노입자 가공처리장치에 의해 7㎛ 이하의 분말입자 크기를 갖는, 동나노 분말과, 산화인듐 주석분말과, 버미큘 라이트 분말과, 일라이트 분말과, 포졸란 분말과, 제올라이트 분말을 가공처리하여 구비하는 주원료 준비단계(S3);
    목초액에, 해초분말을 융융 혼합시켜 액상의 점착물질을 형성하는 천연바인딩 생성단계(S4);
    상기 주원료 준비단계(S3)를 통해 구비된 동나노 분말, 산화인듐 주석분말, 버미큘 라이트 분말, 일라이트 분말, 포졸란 분말, 제올라이트 분말, 그리고, 천연바인딩 생성단계(S4)를 통해 생성된 천연바인딩을 원심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항균조성물 가공공정(S5);
    상기 전처리 공정을 행한 패드부재(1)의 표면과 이면에 고압분사장치를 통해 기능성 항균조성물(2)을 분사, 도포처리하고, 그 기능성 항균조성물(2)이 도포처리된 패드부재(1)를 열풍건조기에 의해 건조처리 하는 항균조성물 도포공정(S6);
    상기 기능성 항균조성물이 도포처리된 패드부재(1) 이면에 아크릴계 접착제를 분사도포하여 점착층(3)을 형성하고, 그 점착층(3)에 마감필름지(4)를 더 적층,결합시켜 항균패드를 형성하는 제품마감 처리공정(S7)을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조성물이 도포처리된 패드부재(1)는, 그 패드부재(1)의 표면에 고압분사장치에 의해 아로마 오일을 분사 도포한 후, 300분 ~ 600분간의 상온 건조과정을 통해, 방향층 생성과정을 더 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제조방법.
KR1020110123085A 2011-11-23 2011-11-23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 KR20130057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085A KR20130057258A (ko) 2011-11-23 2011-11-23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085A KR20130057258A (ko) 2011-11-23 2011-11-23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258A true KR20130057258A (ko) 2013-05-31

Family

ID=4866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085A KR20130057258A (ko) 2011-11-23 2011-11-23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72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236B1 (ko) 2020-12-17 2021-08-27 주식회사 에이올코리아 동분말첨가물 균질배치 플라스틱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WO2021248218A1 (pt) * 2020-06-09 2021-12-16 British Indústria E Comércio Ltda Manta abrasiva antiviral e/ou antibacteriana, esponja de limpeza antiviral e/ou antibacteriana, processso para fabricação de uma manta abrasiva antiviral e/ou antibacteriana e para fabricação de uma esponja de limpeza antiviral e/ou antibacteriana, e, uso de uma manta abrasiva antiviral e/ou antibacteriana e de uma esponja de limpeza antiviral e/ou antibacterian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8218A1 (pt) * 2020-06-09 2021-12-16 British Indústria E Comércio Ltda Manta abrasiva antiviral e/ou antibacteriana, esponja de limpeza antiviral e/ou antibacteriana, processso para fabricação de uma manta abrasiva antiviral e/ou antibacteriana e para fabricação de uma esponja de limpeza antiviral e/ou antibacteriana, e, uso de uma manta abrasiva antiviral e/ou antibacteriana e de uma esponja de limpeza antiviral e/ou antibacteriana
KR102294236B1 (ko) 2020-12-17 2021-08-27 주식회사 에이올코리아 동분말첨가물 균질배치 플라스틱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10817A (zh) 纳米智能健康粉末涂料
CN106726628B (zh) 负离子远红外纳米多功能材料
CN107118627A (zh) 超低辐射除甲醛低碳养生涂料
KR101572801B1 (ko) 현무암을 이용한 마그마 찜질 및 건조기용 판재의 제조방법
CN102702834B (zh) 负离子健康涂料
CN102643562A (zh) 一种含天然玉石粉的抗菌乳胶漆及其制备方法
KR101882775B1 (ko) 닥섬유와 패각 및 광물질을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CN104073072A (zh) 纳米功能生态环保涂料
CN103755226A (zh) 一种具有综合功能的干粉型生态贝壳粉环保复合涂料
KR101468929B1 (ko)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및 그 제조방법
CN102807354A (zh) 一种含有硅藻土的免烧呼吸砖的生产方法
CN202466262U (zh) 放射远红外线及释放负离子的布料层
KR20130057258A (ko) 다용도 동나노 항균패드 및 그 항균패드의 제조방법
KR101869800B1 (ko) 기능성 다운 의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다운 의류
KR102191656B1 (ko) 다양한 용도가 부여된 건강에 유익한 성형체 조성물
KR101069933B1 (ko) 항균 및 방취용 신발 깔창과 그 제조 방법
KR100534294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과그 이용물
KR102200429B1 (ko) 미끄럼 방지용 퍼즐형 매트 및 그 제조방법
CN101328057A (zh) 改性活化表面处理负离子远红外多功能添加剂及制作工艺
KR101187937B1 (ko) 현무암과 황토를 주재로 하는 건축용 내장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2595852Y (zh) 一种含活性炭、麦饭石、远红外石功能的织物
KR101850750B1 (ko)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
KR200402425Y1 (ko) 기능성 가운
KR102232055B1 (ko) 광물 및 패각을 이용한 살균 은 이온수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KR102288485B1 (ko) 항균 수축튜브재료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균 수축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