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750B1 -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750B1
KR101850750B1 KR1020160164252A KR20160164252A KR101850750B1 KR 101850750 B1 KR101850750 B1 KR 101850750B1 KR 1020160164252 A KR1020160164252 A KR 1020160164252A KR 20160164252 A KR20160164252 A KR 20160164252A KR 101850750 B1 KR101850750 B1 KR 101850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ess
human body
red ginseng
pow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이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화 filed Critical 이정화
Priority to KR102016016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05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60Production of ceramic materials or ceramic elements, e.g. substitution of clay or shale by alternative raw materials, e.g. as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분쇄하여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만드는 단계; 상기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소재를 200 ~ 600 메쉬로 분쇄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만드는 단계; 상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황토 판은 유효성분이 많은 황토에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된 홍삼 또는 한약재 분말이나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하는 소재를 함유함으로서 본 발명으로 제조된 황토 판을 적용한 생활공간을 자연과 같은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

Description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yellow clay sheet containing ingredients useful for human body}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와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 분말을 혼합하거나, 황토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는 소재 분말을 혼합하여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사용되는 마감재(바닥재 또는 내장재)는 건축물의 내부 벽면이나 바닥면을 마감하는 모르타르나 외부벽면을 마감하는 모르타르, 타일, 블록 등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사용되는데 특히 이들은 유해한 화학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시공 후 다량 방출되는 유해물질로 인하여 인체가 독성에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시멘트의 독소 및 환경유해물질의 차단을 위하여 황토소재의 마감재가 널리 알려져 있다. 황토는 실리카와 알루미나, 철,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등 수많은 무기질을 함유한 미세입자이며,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과 많은 광물약성을 갖고 있는 살아있는 흙으로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다량 방출될 뿐 아니라 향균, 탈취 효능을 갖는 인체에 매우 유익한 광물이다.
이에 이와 같은 황토를 이용한 건출물 자재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황토 본래의 유익한 성분으로는 웰빙과 건강 증진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황토의 유익한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여 오고 있으며, 황토의 유효 성분과 호응하는 물질을 함유하여 더욱 개선된 기능성 황토 판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5703호(2012.09.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4155호(2013.01.21.)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분쇄하여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만드는 단계; 상기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건조하는 단계는 홍삼 액을 추출한 후 남는 고형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팔각회향이나, 목향 또는 인진쑥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소재를 200 ~ 600 메쉬로 분쇄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만드는 단계; 상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은,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분쇄하여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만드는 단계; 상기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은,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건조하는 단계는 홍삼 액을 추출한 후 남는 고형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팔각회향이나, 목향 또는 인진쑥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건조된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분쇄하여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진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소재를 200 ~ 600 메쉬로 분쇄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만드는 단계; 상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소재를 200 ~ 600 메쉬로 분쇄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만든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함으로서 발명의 용이성을 가져오며, 황토의 유익한 효능에 홍삼의 알려진 효능 및 한약재의 효능을 첨가함으로서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황토 판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황토에 식물성 점액질이 첨가됨으로서 황토 판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제작할 때, 황토와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의 혼합비를 변경함으로서 용도에 따라 거실용, 찜질방용, 사무실용 등으로 기능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만든다. 따라서 일반 생활영역 이외에도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체력 단련 실이나, 심신 미약자가 기거하는 요양시설에 시공함으로서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은, 성형기의 노즐을 바꿔줌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황토 판 또는 황토 블록으로 생산이 가능함으로서 현장시공 적응력이 매우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의 시공 방법과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 내부를 나타내는 광경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별 공정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별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와 실시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 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 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은,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건조하는 단계, 분말화하는 단계, 이를 황토, 물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은,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의 홍삼 부산물은, 홍삼 액을 추출한 후 남는 고형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은, 한약재는 팔각회향이나, 목향 또는 인진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소재를 분쇄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만드는 단계, 상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황토 및 물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은,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는, 게르마늄 함유량이 0.42 ~ 1.00% 인 Cu3(GeFe)S4형 게르마늄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10) 제조방법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는, 장석(K2O, Na2O·Al2O3, 6SiO2)과 백운모(1/2K2O·3Al2O3·6SiO2·2H2O)를 함유한 일라이트 광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에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으로 홍삼 부산물, 한약재,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로 제조된다.
1. 황토 분말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10)의 주 원료는 황토이다. 황토는 규소와 산소가 결합한 석영, 널빤지 꼴 또는 비늘 꼴의 함수 규산 광물인 운모, 탄산석회가 가라앉아서 된 무색투명한 차돌로 성분을 이루는 방해석, 생석회, 시멘트의 원료인 탄산석회 및 칼슘의 탄산염인 탄산칼슘, 카바이트로 불리는 탄산칼륨 등으로 이루어진다.
황토의 효능은 천연 무 분쇄 황토가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각종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은 황토에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과 효소가 피부를 윤택하게 해 주며, 다량의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어 피부를 건강하게 해주고, 또한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으며, 정화력 분해력이 있어 혈액순환, 피로회복, 불면증, 노화방지에 탁월하며, 지성피부 및 여드름, 아토피 피부질환을 진정하는 효과가 있다.
2. 홍삼 부산물 분말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10)은 홍삼 부산물로부터 얻어지는 분말을 혼합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홍삼 부산물은, 인삼 재배지역인 충청남도 금산군 일대에서 홍삼 액을 추출한 후 남는 고형물로서, 이러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홍삼 부산물은 인삼 재배 농가 및 홍삼 액 생산 공장으로부터 충분한 량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 부산물은 건조,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사용하게 되며, 홍삼의 효능은 노화방지와 피로회복, 불면증, 갱년기치료, 당뇨 고혈압치료, 생체저항력, 항암작용, 혈액순환, 면역력 강화, 숙취제거 및 간 기능 보호 등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3. 한약재 분말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10)은 한약재 분말은 팔각회향, 목향, 인진쑥 등을 혼합하여 얻어진다.
가. 팔각회향
팔각회향은 중국 광동성, 광시성, 푸젠성, 하이난성 그리고 인도 및 베트남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특히 중국 광시좡족 자치구의 팡청강시에서 대량 재배하여 가공품이 생산된다.
붓순나무과에 속하며 학명은 Illicium verum으로 열매를 식용한다. 팔각회향은 열매를 그대로 또는 끓는 물에 데쳐서 말린 것이다. 팔각회향의 열매에는 면역력을 높이는 성분인 시킴산(shikimic acid)이 함유되어 있으며, 한방에서는 기 순환을 촉진하여 한산, 행기, 지통의 효능이 있으며, 온중산한의 효능으로 중초를 따뜻하게 하여 한사를 제거하고 기를 다스려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특히 향신료로 사용된다.
나. 목향
국화과에 속하며 학명은 Auckiandia lappa Dence로서 재배지는 중국, 인도 및 미얀마 등에 분포되어 있다. 특유한 향을 내며, 뿌리를 활용한다. 구토 설사를 치료하며 항염증 및 항암작용이 있다.
다. 인진쑥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북도 진안군의 산야에 자생하는 국화과의 사철 쑥이다. 생명력이 강인하고 척박한 환경에서도 자생력이 뛰어나며, 한방 약재로 사용되며, 인진쑥은 민간에서 여름에 더위를 먹고 쓰러지거나 심한 구토와 현기증 등으로 고생할 때 짓이겨 즙을 내어 냉수에 타서 마시면 곧 증상이 없어지는 효능이 있다.
라. 기타 한약재
본 발명은 상술한 한약재 이외에도 삼백초, 어성초, 감초, 민들레, 헛개나무, 여주, 탱자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재료를 선택적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원적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는 소재 분말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10)은 원적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는 소재로 게르마늄, 일라이트 등의 분말을 혼합하여 얻어진다.
가. 게르마늄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성질을 띠는 은회색 준금속(準金屬)이다. 원자번호 32인 게르마늄은 1886년 독일의 화학자 클레멘스 빙클러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게르마늄은 천연에서 유리상태로 산출되지 않는 희유원소로, 주로 아지오다이트나 게르마나이트레니어라이트와 같은 희유광물의 구성성분으로 존재한다. 지각 중 게르마늄 산출 비율은 약 0.0004 ~ 0.0007% 정도로 낮다.
게르마늄의 효능은 일반적으로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어 황산화작용과 면역세포 활성화 작용으로 혈압조절, 심장, 신장, 갑상선 기능 개선 및 간독성 완화 및 중금속 결합, 배출 등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주지방의 광산에서 0.75%의 Ge를 함유하는 천연 게르마늄 광석이 채취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석을 볼밀(분쇄기) 및 연마장치로서 분말 화 하며,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로 사용되는 게르마늄은, Cu3(GeFe)S4형 게르마늄 광석으로서 다음 [표 1]과 같은 성분이 함유된다.
성 분 함 량(%) 성 분 함 량(%) 성 분 함 량(%)
Cu 0.044 Ni 0.56 As 15.4
Pb 4.72 Cd 0.018 S 17.6
Zn 0.42 Ge 0.36 ~ 1.05 SiO2 17.2
Fe 25.8 Mg 6.6 CaO 0.61
Mn 0.36 C 0.6 H2O 9.018 ~ 9.078
나. 일라이트
3층 구조의 점토광물로 두 실리카(silica)층 사이에 깁사이트(gibbsite)층이 연결되며, 이들 구조는 교환되지 않는 양이온인 칼륨(K)이온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영월지역과 충청북도 단양 일대에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며, 일라이트는 광물학적으로 장석과 백운모 등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원적외선 방사, 유독가스 흡착 및 음이온 발생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라이트 광물의 화학적 조성은 다음 [표 2]와 같다.
성 분 함 량(%) 성 분 함 량(%) 성 분 함 량(%)
SiO2 80.4598 CaO 1.0312 MnO 0.0539
Al2O3 13.7334 Mg2O 0.3178 SO3 0.0160
K2O 2.8668 P2O5 0.2153 Rb2O 0.0150
Fe2O3 1.0973 Na2O 0.1265 SrO 0.0063
NiO 0.0051 ZrO2 0.0014
다 기타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소재
본 발명은 상술한 소재 이외에도 맥반석, 활석 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방출하는 소재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의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의 시공 방법과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 내부를 나타내는 광경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별 공정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별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하여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의 시공 방법을 구체적인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실시예 1.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은,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a)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건조하는 단계(S10); (b) 상기 건조된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분쇄하여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만드는 단계(S20); (c) 상기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30); (d) 성형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S40); (e) 상기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건조하는 단계(S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홍삼 부산물을 건조하는 단계(S10)는, 홍삼 액을 추출한 후 남는 고형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한약재를 건조하는 단계(S10)는, 팔각회향이나, 목향 또는 인진쑥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건조된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분쇄하여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만드는 단계(S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상기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성형기의 노즐(미도시)을 변경함으로서 필요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는 황토 판(10) 또는 황토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상기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a')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를 선별하는 단계(S10'); (b') 상기 소재를 200 ~ 600 메쉬로 분쇄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만드는 단계(S20'); (c') 상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30'); (d')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S40'); (e') 상기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를 선별하는 단계(S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1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는, Cu3(GeFe)S4형 게르마늄으로서, 게르마늄 함유량이 0.42 ~ 1.00% 인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1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는, 장석(K2O, Na2O·Al2O3, 6SiO2)과 백운모(1/2K2O·3Al2O3·6SiO2·2H2O)를 함유한 일라이트 광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1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상기 소재를 200 ~ 600 메쉬로 분쇄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만드는 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분말 제조 단계는 상기 소재(광석)을 볼밀(분쇄기)로 200 ~ 300 메쉬로 분쇄하고 필요에 따라 다시 600 메쉬 까지 분쇄하여 분말화 한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상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성형기의 노즐(미도시)을 변경함으로서 필요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는 황토 판(10) 또는 황토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1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상기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토 판(10)은 건물의 실내 내장재 또는 황토 찜질방의 발열벽체로 사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황토 판(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반원 형태의 고정홈(11)이 형성되고, 상하 황토 판(10)이 결합될 때 상기 고정홈(11)을 따라 고정부재(20)가 내장됨으로서 벽채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기능성 황토 판(10)은 다음과 같은 특징 및 이점이 있다.
먼저,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10)을 만든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함으로서 발명의 용이성을 가져오며, 황토의 유익한 효능에 홍삼의 알려진 효능 및 한약재의 효능을 첨가함으로서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황토 판(10)을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황토에 식물성 점액질이 첨가됨으로서 황토 판(10)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제작할 때, 황토와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의 혼합비를 변경함으로서 용도에 따라 거실용, 찜질방용, 사무실용 등으로 기능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10)을 만든다.
따라서 일반 생활영역이외에도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체력 단련 실이나, 심신 미약자가 기거하는 요양시설에 설치함으로서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황토 판(10)은 성형기의 노즐을 바꿔줌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황토 판(10) 또는 황토 블록으로 생산이 가능함으로서 시설 현장 적응력이 매우 높다.
10 : 황토 판
11 : 고정홈
20 : 고정부재

Claims (4)

  1.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건조하는 단계(S10);
    (b) 상기 건조된 홍삼 부산물 또는 한약재를 분쇄하여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만드는 단계(S20);
    (c) 상기 홍삼 부산물 분말 또는 한약재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30);
    (d) 노즐을 변경하여 필요한 크기로 성형할 수 있는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S40);
    (e) 상기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며,
    상기 홍삼 부산물은, 홍삼 액을 추출한 후 남는 고형물을 포함하며,
    상기 한약재는 팔각회향이나, 목향 또는 인진쑥을 포함하며,
    상기 황토판(10)은, 시공 시 고정부재(20)가 끼워지도록, 상·하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홈(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
  2.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를 선별하는 단계(S10');
    (b') 상기 소재를 200 ~ 600 메쉬로 분쇄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만드는 단계(S20');
    (c') 상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분말을 1 ~ 60 중량%, 황토 30 ~ 89 중량%, 물 1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30');
    (d') 노즐을 변경하여 필요한 크기로 성형할 수 있는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황토 혼합물을 황토 판으로 성형하는 단계(S40');
    (e') 상기 성형된 황토 판을 건조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며,
    상기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는, 게르마늄 광석으로서, 게르마늄 함유량이 0.42 ~ 1.00% 인 것과, 장석과 백운모를 함유한 일라이트 광물을 포함하며,
    상기 황토판(10)은, 시공 시 고정부재(20)가 끼워지도록, 상·하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홈(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60164252A 2016-12-05 2016-12-05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 KR101850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252A KR101850750B1 (ko) 2016-12-05 2016-12-05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252A KR101850750B1 (ko) 2016-12-05 2016-12-05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750B1 true KR101850750B1 (ko) 2018-05-31

Family

ID=6245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252A KR101850750B1 (ko) 2016-12-05 2016-12-05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219B1 (ko) * 2020-06-04 2021-10-26 농업회사법인두일신생약초제약(주)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용 자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929Y1 (ko) * 2005-11-07 2006-03-03 고권태 친환경 매트리스
KR100596604B1 (ko) 2004-06-29 2006-07-06 이석안 황토판의 제조방법과 황토판을 이용한 황토방
KR101193231B1 (ko) * 2010-10-22 2012-10-18 이원재 친환경 황토타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604B1 (ko) 2004-06-29 2006-07-06 이석안 황토판의 제조방법과 황토판을 이용한 황토방
KR200409929Y1 (ko) * 2005-11-07 2006-03-03 고권태 친환경 매트리스
KR101193231B1 (ko) * 2010-10-22 2012-10-18 이원재 친환경 황토타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219B1 (ko) * 2020-06-04 2021-10-26 농업회사법인두일신생약초제약(주)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용 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56650A (zh) 一种自发热足浴药包及其制备方法
CN104073072A (zh) 纳米功能生态环保涂料
KR100938215B1 (ko) 숯 베개
KR101850750B1 (ko)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황토 판 제조방법
KR20040004806A (ko) 개량 흙벽돌의 제조방법
KR101204297B1 (ko) 황토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황토 플레이트
KR200409929Y1 (ko) 친환경 매트리스
KR100694806B1 (ko) 활성탄을 이용한 일라이트 흙벽돌의 제조방법
KR101506251B1 (ko) 친환경 온돌 바닥 및 온돌 침대용 마감 플레이트의 조성물과 그 마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과 그 시공방법
KR101805269B1 (ko) 기능성 건축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KR20000054643A (ko) 옥분말 및 숯분말을 함유하는 원적외선방사접착제를이용하여 제조되는 건축용 조립식 마루판재 및 그제조방법
CN106307790A (zh) 一种中药缓释鞋的制造方法
KR100626870B1 (ko) 바닥장식재용 천연 광석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KR100799851B1 (ko) 황토몰탈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707953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천연보드의 제조방법
KR101140797B1 (ko) 코튼스프레이 컬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0825126B1 (ko) 자력,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의료용 이온 단자제조방법
KR20060007214A (ko) 황토 타일의 제조방법
KR101374130B1 (ko) 아토피 질환에 개선효과를 제공하는 황토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42609A (ko) 한약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벽지
KR200205862Y1 (ko) 옥분말 및 숯분말을 함유하는 원적외선방사접착제를이용하여 제조되는 건축용 조립식 마루판재
CN101456721A (zh) 一种永久释放远红外线、负离子黄土球、黄土板
KR100852866B1 (ko) 수맥파 제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70604B1 (ko) 벽지용 수맥파 제거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수맥파 제거용 벽지
KR100623885B1 (ko) 황토침대 황토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