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725A -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725A
KR20130056725A KR1020110122469A KR20110122469A KR20130056725A KR 20130056725 A KR20130056725 A KR 20130056725A KR 1020110122469 A KR1020110122469 A KR 1020110122469A KR 20110122469 A KR20110122469 A KR 20110122469A KR 20130056725 A KR20130056725 A KR 20130056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panel
retaining wall
panel
ang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8496B1 (ko
Inventor
윤남식
Original Assignee
(주)지성이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성이씨에스 filed Critical (주)지성이씨에스
Priority to KR1020110122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4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56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을 형성하는 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를 갖는 옹벽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고, 프리캐스트패널의 배면과 절토된 사면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 콘크리트 몰탈 및 자갈의 소요량 저감을 통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은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절토된 사면의 하부 기초면에 설치되는 기초블록; 상기 기초블록에 한단 이상으로 설치되는 프리캐스트패널; 및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을 통해 삽입되어 사면에 설치되는 앵커를 포함하되, 상기 기초블록은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기초블록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패널설치홈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설치홈은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는 힌지홈부와, 상기 프리캐스트패널 하단부의 일부분이 접촉, 지지되면서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힌지홈부와 접하여 요입, 형성되는 지지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기초블록에 힌지홈부가 형성되고, 프리캐스트패널의 하단부에 힌지돌부가 마련되어 힌지홈부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므로 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면서 현장조건이나 지반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설치각도를 갖는 옹벽을 신속하게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캐스트패널을 회동시켜 절토된 사면과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몰탈의 주입량 및 자갈 등의 자재소요량 저감을 통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시공시간과 양생시간의 단축 등으로 인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WITH THE FUNCTION OF ANGLE ADJUSTMETNT FOR PRECAST PANEL}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을 형성하는 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를 갖는 옹벽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고, 프리캐스트패널의 배면과 절토된 사면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 콘크리트 몰탈 및 자갈의 소요량 저감을 통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건설, 주택단지 조성, 수로 및 제방공사 등의 각종 토목공사의 시행과정에는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옹벽을 시공하게 된다.
옹벽은 다양한 시공방법에 의해 시행되고 있지만 대표적으로 성토지에서의 옹벽 시공방법과 절개지에서의 옹벽 시공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고, 성토지에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6994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 커플러 및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은 국토의 특성상에 도로건설, 주택단지 조성, 수로 및 제방공사 등의 토목공사의 시행과정에서는 상대적으로 절개지가 많아 블록과 지중볼트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을 널리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절개지에 시공되는 옹벽 구조물은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원 지반을 절토하여 절토 사면을 형성하고, 절토 사면에 소정 간격으로 매설홀을 천공하여 지중볼트를 삽입한 후 그라우팅을 주입한다. 이후, 기초면상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블록과 절토 사면에 노출된 지중볼트를 연결함으로써 블록에 작용되는 전도모멘트를 지지하도록 하여 옹벽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옹벽 구조물은 블록과 절토된 사면 사이에 성토작업을 시행하게 되는데, 성토량이 지나치게 많아 공사비가 증가되고 공기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우천시에 토사가 쉽게 흘러내려 옹벽의 내구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절토지 옹벽 구조물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5156호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정리된 지반과 절토된 경사지가 접하는 부위를 따라 패널(130)들이 설치되며, 상기 패널(130)에는 앵커(120)의 설치를 위한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의 상부에는 배수공(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과 경사지의 사이에는, 앵커 관통용 슬리브 파이프(152)가 설치된 상태에서 패널에 형성된 상기 중공의 높이 이상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130)의 중공, 콘크리트부 내부의 슬리브 파이프(152) 및 절토된 경사지에 천공된 삽입공에는 앵커가 삽입되어 패널을 경사지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정착되며, 상기 앵커(120)는 패널에 가해지는 수평 토압력의 방향에 대해 경사지의 내부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진 기울기를 가지며, 콘크리트부(151)의 상부에는 배수공(133)의 높이 이상으로 자갈이 충진되며, 자갈의 상부에는 수목식재 등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토사가 성토된 성토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525156호는 패널(130)의 배면 성토공간에 콘크리트부(151)와 자갈층(151)이 채워져 구조적으로 취약한 성토량을 줄일 수 있고, 패널(130)에 배수공(133)이 마련되어 있어 배수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우천시에 토사의 유출에 따른 옹벽의 내구성 약화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패널(130)의 배면 성토공간에 고가의 콘크리트 몰탈과 자갈을 채워야 하므로 자재비 및 시공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패널(130)이 직립구조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여전히 패널(130)의 배면과 절개 사면과의 간격이 넓어 콘크리트 몰탈과 자갈의 소요량이 지나치게 많고, 두꺼운 콘크리트 몰탈층의 양생을 위해서는 긴 양생 시간이 필요하므로 공기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패널(130)은 각도조정이 불가능하여 시공할 수 있는 옹벽의 형태 또한 직립형으로 제한되어 지형이나 현장 특성에 맞는 옹벽을 구현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옹벽을 형성하는 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를 갖는 옹벽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리캐스트패널의 배면과 절토된 사면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 콘크리트 몰탈 및 자갈의 소요량 저감을 통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은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절토된 사면의 하부 기초면에 설치되는 기초블록; 상기 기초블록에 한단 이상으로 설치되는 프리캐스트패널; 및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을 통해 삽입되어 사면에 설치되는 앵커를 포함하되, 상기 기초블록은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기초블록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패널설치홈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설치홈은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는 힌지홈부와, 상기 프리캐스트패널 하단부의 일부분이 접촉, 지지되면서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힌지홈부와 접하여 요입, 형성되는 지지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은 하단부에 상기 힌지홈부에 삽입, 안착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 힌지돌부와, 상기 힌지돌부와 접하여 상기 지지홈부에 안착되는 안착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홈부는 호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부는 상기 안착턱부가 경사지게 안착되도록 상기 힌지홈부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해 90°이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경사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홈부는 중심에 형성되는 상기 힌지홈부를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측 지지홈부와,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측 지지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홈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삽입홀이 하방을 향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은 사각판 형상을 갖는 패널몸체에 앵커의 삽입을 위한 앵커삽입홀과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적층되는 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를 위한 패널접속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경사면 또는 상기 제2 경사면에 요입되는 복수의 조정핀삽입홈; 및 상기 각도조절핀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조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홈부 및 상기 힌지돌부는 서로 맞물림되는 부분에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에 의하면, 기초블록에 힌지홈부가 형성되고, 프리캐스트패널의 하단부에 힌지돌부가 마련되어 힌지홈부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므로 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면서 현장조건이나 지반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설치각도를 갖는 옹벽을 신속하게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캐스트패널을 회동시켜 절토된 사면과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몰탈의 주입량 및 자갈 등의 자재소요량 저감을 통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시공시간과 양생시간의 단축 등으로 인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옹벽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의 기초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의 프리캐스트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의 기초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도6a 내지 도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의 기초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의 프리캐스트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은, 원 지반을 절토한 절토 사면(a)의 하부 기초면(b)에 설치되는 기초블록(1), 이 기초블록(1)에 1단 이상으로 설치되는 프리캐스트패널(2), 및 프리캐스트패널(2)을 통해 삽입되어 사면에 설치되는 앵커(3)를 구비하되, 기초블록(1)은 기초면(b)에 안착 설치되는 기초블록몸체(11), 및 프리캐스트패널(2)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기초블록몸체(11)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패널설치홈(12)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프리캐스트패널(2)을 경사지게 설치하되 그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패널설치홈(12)은 프리캐스트패널(2)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는 힌지홈부(121)와, 프리캐스트패널(2) 하단부의 일부분이 접촉, 지지되면서 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각도가 유지되도록 힌지홈부(121)와 접하여 요입, 형성되는 지지홈부(12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프리캐스트패널(2)은 절토된 사면(a)에 설치되어 토압을 지지하면서 옹벽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는 패널몸체(21)에 앵커(3)의 삽입을 위한 앵커삽입홀(24)과 절토 사면으로 유입된 우수나 사면에서 용출되는 지하수가 배출되는 배수공(25)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 기초블록(1)의 힌지홈부(121)에 삽입, 안착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 힌지돌부(22)와, 이 힌지돌부와 접하여 지지홈부(122)에 안착되는 안착턱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리캐스트패널(2)은 거푸집(미도시)의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 양생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그 형상은 옹벽의 종류, 현장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판 형상의 몸체 외면쪽에 열십자 형상의 보강돌부(26)가 형성된 것으로, 보강돌부(26)는 앵커(3)가 긴장된 상태로 접속되어 상대적으로 큰 토압을 받는 하측 부분에 가로 및 세로방향 보강돌부(261,262)의 교차점이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패널(2)의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패널접속홈(27)이 요입, 형성되어 상측으로 적층되는 프리캐스트패널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접속홈(27)은 상하로 적층되는 프리캐스트패널(2)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구조라면 형태에 제한은 없으나 옹벽은 동일한 형상의 프리캐스트패널을 반복 적층하는 것이고 동일한 거푸집에서 반복 성형하는 것이므로 그 하단부에 형성된 힌지돌부(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의 기초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힌지홈부(121)는 접속되는 프리캐스트패널(2) 하단부의 안착이 가능하고 안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에서 외력을 인가할 경우 회전될 수 있는 구조라면 제한 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요입,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외력의 인가시에 안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호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홈부(121)는 기초블록몸체(11)의 중앙에 형성함으로써 기초블록의 설치시 전후방향을 구분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프리캐스트패널(2)의 각도조정을 전후 양 방향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홈부(122)는 프리캐스트패널의 경사진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경사홈으로 형성된 것으로, 힌지홈부(121)의 상단부에서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어 프리캐스트패널(2)의 안착턱부(23)가 안착되는 제1 경사면(122a)과, 이 제1 경사면(122a)에 대해 90°이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경사면(122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홈부(122)는 중심에 형성되는 힌지홈부(121)를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측 지지홈부와,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측 지지홈부로 구성되고, 힌지홈부(121)에는 기초면(b)에 삽입되는 파일(4)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삽입홀(13)이 하방을 향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5의 미설명부호 18은 기초블록의 골격을 형성하는 철근이고, 19는 인접하는 기초블록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봉(미도시)이 삽입되는 연결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6a 내지 도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옹벽의 시공은 옹벽이 시공될 지반의 최상단에서 하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하향식(TOP-DOWN) 방식과,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상향식 방식 중에서 선택하여 시행하게 되는데, 이하 하향식 방식으로 시공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이 시공될 최상단 지반을 정리하고 옹벽 설치경계선을 따라 굴삭기 등의 건설기계를 이용하여 현장여건, 시공도면, 및 시방서 등에 의해 정해진 각도를 갖도록 원 지반을 절취하여 절토 사면(a)을 형성하고 기초블록이 설치될 기초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면(b)에 수직방향으로 홀을 천공하여 파일(4)을 삽입, 설치하고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기초 부분을 형성한 다음 파일(4)이 파일삽입홀(13)에 삽입되도록 기초블록(1)을 정위치시켜 설치한다.
기초블록(1)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패널(2)을 크레인과 같은 양중장비(d)로 양중하여 기초블록(1)의 패널설치홈(12)에 프리캐스트패널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프리캐스트패널(2)의 힌지돌부(22)는 패널설치홈(12)의 힌지홈부(121)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후, 프리캐스트패널(2)을 설계된 시공각도와 일치되도록 프리캐스트패널(2)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외력을 인가하여 설치각도를 조정하는 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블록(1)의 안착턱부(122) 형성각도를 프리캐스트패널(2)의 설치각도를 고려하여 형성(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각도와 동일한 기울기로 제1 경사면을 형성함)한 경우, 프리캐스트패널의 전방에서 외력을 작용하게 되면 힌지돌부(22)가 힌지홈부(121)상에서 회전된 후 안착턱부(23)가 지지홈부(122)에 안착되므로 프리캐스트패널(2)의 설치각도는 설계각도에 맞게 신속하게 정위치 된다.
프리캐스트패널(2)이 정위치 되면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삽입홀(24)에 슬리브 배관(5)을 삽입하고 사면(a)과 프리캐스트패널(2)의 배면 사이의 주입공간(c)에 펌프카와 같은 몰탈공급수단(e)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하여 타설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 몰탈은 프리캐스트패널(2)에 형성된 배수공(25)이 막히지 않도록 배수공의 아래쪽까지만 채워지도록 주입량을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패널(2)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프리캐스트패널(2)을 사면(a)에 근접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주입공간(c)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콘크리트 몰탈 주입량을 줄일 수 있고, 주입량 감소에 따른 양생시간의 단축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패널(2)의 배면에 콘크리트층(6)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패널(2)의 앵커삽입홀(24)과 슬리브 배관(5)을 통해 절토된 사면에 매설홀을 천공하고 앵커(3)를 삽입하여 긴장된 상태로 설치한다. 앵커의 설치방법은 절개지 옹벽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공법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도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층(6)의 상면에 배수를 위한 자갈을 투입하여 자갈층(7)을 형성하고, 자갈층(7)의 상부에 토사를 채워넣는 성토작업을 시행하여 성토층(8)을 형성하게 되면 1단의 옹벽시공이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1단 옹벽의 시공이 완료되면, 그 하방의 원 지반을 절토하고 1단 옹벽의 시공방법과 동일한 시공방법에 의해 도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옹벽을 시공하여 완료한다.
첨부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은 힌지홈부(121)와 지지홈부(122)를 갖는 패널설치홈(12)이 요입된 기초블록(1)과, 하단부에 힌지돌부(22)가 형성된 프리캐스트패널(2)을 구비하되, 프리캐스트패널(2)의 설치각도를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지지홈부(122)는 제1 경사면(122a) 및 제2 경사면(122b)으로 이루어진 경사홈으로 형성되되 제1 경사면(122a)에 복수의 조정핀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고, 조정핀삽입홈(15)에 삽입되는 각도조정핀(16)을 구비한다.
각도조정핀(16)은 강성이 큰 환봉과 같은 강재에 의해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희망하는 프리캐스트패널(2)의 설치각도에 맞는 길이의 각도조정핀(16)을 선택하여 조정핀삽입홈(15)에 삽입하고 프리캐스트패널를 회동시키게 되면 프리캐스트패널(2)의 안착턱부(23)에 접촉되면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으므로 희망하는 설치각도로 고정 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도조정핀(16)은 제1 경사면(122a)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제2 경사면(122b)에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힌지홈부(121) 및 힌지돌부(22)는 서로 맞물림되는 부위에 요철부(121a)(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힌지홈부(121) 및 힌지돌부(22)에 서로 맞물림되는 요철부(121a)(221)가 형성되면 프리캐스트패널(2)의 설치각도 조정작업시에 조정각도를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조정작업 또한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설치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프리캐스트패널(2)에 외력을 인가하게 되면 힌지홈부(121) 및 힌지돌부(22)의 요철부(121a)(221)가 서로 맞물림되어 있으므로 급작스럽게 회동 되지않고 느린 속도로 회전되므로 희망하는 설치각도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기초블록 11:기초블록몸체
12:패널설치홈 121:힌지홈부
121a,221:요철부 122:지지홈부
122a:제1 경사면 122b:제2 경사면
13:파일삽입홀 15:조정핀삽입홈
16:각도조정핀 2:프리캐스트패널
21:패널몸체 22:힌지돌부
23:안착턱부 24:앵커삽입홀
25:배수공 26:보강돌부
3:앵커 4:파일
5:슬리브 배관 6:콘크리트층
7:자갈층 8:성토층
a:사면 b:기초면

Claims (6)

  1.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절토된 사면의 하부 기초면에 설치되는 기초블록;
    상기 기초블록에 한단 이상으로 설치되는 프리캐스트패널; 및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을 통해 삽입되어 사면에 설치되는 앵커를 포함하되,
    상기 기초블록은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기초블록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패널설치홈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설치홈은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는 힌지홈부와, 상기 프리캐스트패널 하단부의 일부분이 접촉, 지지되면서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힌지홈부와 접하여 요입, 형성되는 지지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은 하단부에 상기 힌지홈부에 삽입, 안착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 힌지돌부와, 상기 힌지돌부와 접하여 상기 지지홈부에 안착되는 안착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홈부는 호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부는 상기 안착턱부가 경사지게 안착되도록 상기 힌지홈부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해 90°이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경사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부는 중심에 형성되는 상기 힌지홈부를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측 지지홈부와,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측 지지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홈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삽입홀이 하방을 향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은 사각판 형상을 갖는 패널몸체에 앵커의 삽입을 위한 앵커삽입홀과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적층되는 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를 위한 패널접속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 또는 상기 제2 경사면에 요입되는 복수의 조정핀삽입홈; 및
    상기 각도조절핀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프리캐스트패널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조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홈부 및 상기 힌지돌부는 서로 맞물림되는 부분에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KR1020110122469A 2011-11-22 2011-11-22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KR101288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469A KR101288496B1 (ko) 2011-11-22 2011-11-22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469A KR101288496B1 (ko) 2011-11-22 2011-11-22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725A true KR20130056725A (ko) 2013-05-30
KR101288496B1 KR101288496B1 (ko) 2013-07-26

Family

ID=4866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469A KR101288496B1 (ko) 2011-11-22 2011-11-22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49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924A (ko) * 2014-07-10 2016-01-20 김영호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682510B1 (ko) * 2016-08-18 2016-12-06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Pc패널과 영구앵커를 이용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옹벽 시공방법
CN113265983A (zh) * 2021-03-23 2021-08-17 福建省永正工程质量检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挡土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411655A (zh) * 2021-12-29 2022-04-29 长春工程学院 一种用于水土保持的多级拦沙装置
KR102402815B1 (ko) * 2021-12-09 2022-05-30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버팀부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31794A (ko) * 2021-03-22 2022-09-29 노영곤 하프피씨 타입 개량형 옹벽 구조
CN115637663A (zh) * 2022-10-10 2023-01-24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岩溶山区滑坡路边防护装置
KR102547783B1 (ko) * 2022-10-12 2023-06-26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버팀부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54314B1 (ko) * 2022-09-19 2023-07-11 박광일 자립형 보강토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557B2 (ja) * 1994-10-20 2000-06-19 株式会社アドヴァンス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と擁壁
JP2007063985A (ja) 2006-11-13 2007-03-15 Ranzu Space:Kk 壁面緑化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壁面緑化方法
KR101023660B1 (ko) * 2009-01-29 2011-03-25 심석래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924A (ko) * 2014-07-10 2016-01-20 김영호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682510B1 (ko) * 2016-08-18 2016-12-06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Pc패널과 영구앵커를 이용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옹벽 시공방법
KR20220131794A (ko) * 2021-03-22 2022-09-29 노영곤 하프피씨 타입 개량형 옹벽 구조
CN113265983A (zh) * 2021-03-23 2021-08-17 福建省永正工程质量检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挡土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02815B1 (ko) * 2021-12-09 2022-05-30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버팀부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4411655A (zh) * 2021-12-29 2022-04-29 长春工程学院 一种用于水土保持的多级拦沙装置
CN114411655B (zh) * 2021-12-29 2024-04-12 长春工程学院 一种用于水土保持的多级拦沙装置
KR102554314B1 (ko) * 2022-09-19 2023-07-11 박광일 자립형 보강토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15637663A (zh) * 2022-10-10 2023-01-24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岩溶山区滑坡路边防护装置
CN115637663B (zh) * 2022-10-10 2024-05-28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岩溶山区滑坡路边防护装置
KR102547783B1 (ko) * 2022-10-12 2023-06-26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버팀부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496B1 (ko) 201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496B1 (ko) 프리캐스트패널의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CN107503257B (zh) 一种傍山高填路堤稳定与变形控制结构及施工方法
JP201651517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擁壁
US20100054859A1 (en) Hydraulic Sliding Insertion Panel and Its Using Method
US20220098817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structure
CN207109475U (zh) 傍山高填路堤稳定与变形控制结构
CN103774674B (zh) 一种钢管托换桩与锚杆深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05464074B (zh) 一种人工挖孔桩高聚物注浆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288506B1 (ko) 시공각도 조정이 용이한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CN104264688A (zh) 人工挖孔变截面桩支护施工工艺
KR101662053B1 (ko) 파일과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으로 제작된 도로시공방법
CN113863706B (zh) 既有建筑低净空下旋喷静压复合桩施工方法及应用装置
KR100975988B1 (ko) 수중 구조물의 축조 공법
CN108035360B (zh) 一种用于基坑支护的方法
KR101902791B1 (ko) 합성강관파일을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중구조물
KR102116085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CN102425179A (zh) 一种微型钢管灌注桩支撑加筋土渗沟结构
CN110331735A (zh) 一种用于滨海地区软弱土层的塔吊基础安装结构
KR20090013554A (ko) 역타형 수직 절취 사면 보강 옹벽의 시공방법
RU121275U1 (ru) Армированная грунтоцементная стена для защиты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от откапываемого вблизи котлована
KR100487838B1 (ko)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CN109113080B (zh) 一种岩质高切坡锚墩网箱耦合生态护坡方法
JP2022098713A (ja) 構造物の基礎構造、基礎の施工方法、及び基礎に用いる支持管材
CN100593052C (zh) 开口式明挖基坑支护方法
KR101017979B1 (ko) 친환경 조경석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