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785A - 차량 도어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785A
KR20130055785A KR1020110121395A KR20110121395A KR20130055785A KR 20130055785 A KR20130055785 A KR 20130055785A KR 1020110121395 A KR1020110121395 A KR 1020110121395A KR 20110121395 A KR20110121395 A KR 20110121395A KR 20130055785 A KR20130055785 A KR 20130055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or
damper
vehicle do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락
Original Assignee
(주) 에이 에스 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 에스 티 filed Critical (주) 에이 에스 티
Priority to KR1020110121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5785A/ko
Publication of KR2013005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 경로 상에 위치된 장애물에 의해 도어가 직접적으로 간섭되는 것을 예방하는 차량 도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보호장치는, 압축공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에어탱크와, 차량의 도어에 형성된 각 수용홈에 설치되는 것으로, 압축공기의 주입여부에 따른 수축, 또는 팽창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댐퍼; 및 상기 에어탱크와 에어댐퍼 사이의 연통상태를 제어하는 흡기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 댐핑부와; 상기 에어 댐핑부에 형성된 흡기밸브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차량 도어에 형성된 에어댐퍼의 수축, 및 팽창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보호장치{Door protector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도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방 경로 상에 위치된 장애물에 의해 도어가 직접적으로 간섭되는 것을 예방하는 차량 도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구조를 통해 차체에 설치된 도어는 선회를 통해 개방되는 관계로, 개방과정에 인도와 차도를 구획하는 경계석이나 인접 차량과의 충돌이 불가피하게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어의 개방과정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소유 차량의 도어 손상은 물론이고, 경계석이나 인접 차량의 손상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유발되고 있다.
물론, 최근에는 충돌이 예상되는 도어의 각 지점에 발포성 재질로 제작된 완충댐퍼를 부착하거나 몰드를 설치하여, 이들 완충댐퍼나 몰드에 의해 장애물과의 충돌이 완화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완충댐퍼는 항시 외부에 돌출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차량 도어의 외손을 훼손하므로 일부 운전자들은 이를 제거하고 있다.
그리고, 몰드는 반복적인 장애물과의 충돌에 의해 흠집 등의 손상이 발생되므로, 고가의 몰드를 주기적인 교체함에 따라 일부 운전자들은 경제적인 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차량 도어에 수용된 상태를 형성하여 차량 외관을 훼손하지 아니하고, 장애물과의 충돌, 충돌이 예상되는 도어의 개방과정에서는 팽창하여 장애물과의 충돌에 의한 차량 도어의 물리적인 손상을 예방하도록 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보호장치는,
압축공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에어탱크와, 차량의 도어에 형성된 각 수용홈에 설치되는 것으로, 압축공기의 주입여부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댐퍼; 및 상기 에어탱크와 에어댐퍼 사이의 연통상태를 제어하는 흡기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 댐핑부와;
상기 에어 댐핑부에 형성된 흡기밸브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차량 도어에 형성된 에어댐퍼의 수축, 및 팽창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 댐핑부에는 에어탱크에 공기를 압축시켜 충진하는 에어펌프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댐핑부의 에어댐퍼에는 충진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밸브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펌프와 에어댐퍼의 배기밸브는 상호 연통하여, 에어댐퍼에 주입된 압축공기는 에어펌프를 통해 에어탱크로 재 충진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차량 도어의 개폐영역에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형성되어, 감지센서를 통해 차량 도어의 개폐영역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흡기밸브를 개방시켜 에어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에 의해 에어댐퍼가 팽창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보호장치는, 평상시에는 에어댐퍼가 수축하여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를 형성하고, 도어의 개폐영역 상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에어댐퍼는 팽창하여 장애물과 차량 도어의 충돌을 방지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보호장치는 평상시 에어댐퍼에 의한 차량 외관이 저해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또 필요시 차량 도어의 안정된 완충을 도모하여 장애물에 의한 차량 도어의 손상을 안정되게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에어댐퍼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에어펌프에 의해 에어탱크로 재 회수되도록 하고 있어, 이러한 압축공기의 순환을 통해 반복적인 재 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갖고 있다.
도 1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차량 도어 보호장치를 마련한 차량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2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차량 도어 보호장치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차량 도어 보호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차량 도어 보호장치를 마련한 차량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2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차량 도어 보호장치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보호장치(1)는, 도 1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에어댐퍼(11)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여 노출, 또는 과도한 돌출에 따른 차량 도어(100)의 미관 손상을 방지하고, 도어의 개방 등 필요 시 에어댐퍼(1)가 팽창을 통해 도어(100)의 외측으로 및 돌출되어 장애물(B)과 차량 도어 사이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차량 도어 보호장치(1)는, 도 2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축공기를 통해 에어댐퍼(11)를 팽창시켜, 개방되는 도어(100)와 장애물(B)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에어 댐핑부(10)와, 이 에어댐퍼(11)의 팽창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댐핑부(10)는 압축공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에어탱크(12)와; 차량의 도어(100)에 형성된 각 수용홈(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압축공기의 주입여부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댐퍼(11); 및 상기 에어탱크(12)와 에어댐퍼(11) 사이의 연통상태를 제어하는 흡기밸브(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에어 댐핑부(10)에 형성된 흡기밸브(14)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100)에 형성된 에어댐퍼(11)의 수축, 및 팽창상태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차량의 각 도어(100)에는 수용홈(110)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각 수용홈(110)에는 수축된 에어댐퍼(11)가 각각 내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에는 차량 도어(100)의 개폐영역(A)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1)가 형성되는데, 상기 감지센서(21)로는 적외선 방식이나 레이저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등을 통해 개폐영역(A)에 위치된 장애물(B)을 감지하는 형태가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보호장치(1)는 도 1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을 요하는 도어(100)의 개폐영역(A)에 장애물(B)이 위치하지 아니하면 제어부(20)는 흡기밸브(14)를 차폐시켜 에어댐퍼(11)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도 2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100)의 개폐영역(A)에 장애물(B)이 감지되면 제어부(20)는 흡기밸브(14)를 개방시켜 에어탱크(12)에 충진된 압축공기(A)가 에어댐퍼(11)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개방되는 도어(100)는 팽창된 에어댐퍼(11)에 의해 장애물(B)과의 직접적인 충돌이 완화되므로, 장애물(B)과의 직접적인 충돌에 의한 물리적인 손상이 예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 댐핑부(10)에 에어펌프(13)와 배기밸브(15)를 부가하여, 에어댐퍼(11)에 충진된 압축공기를 에어탱크(12)로 신속히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에어댐퍼(11)의 팽창, 및 수축을 통한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탱크(13)에 공기를 압축시켜 충진하는 에어펌프(13)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 댐핑부(10)의 에어댐퍼(11)에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충진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밸브(15)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에어펌프(13)와 에어댐퍼(11)에 형성된 배기밸브(15)를 상호 연통시키고 있다.
이때, 상기 흡기밸브(14)와 배기밸브(15)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할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공지의 2 way 밸브 등을 통해 단일 몸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개방된 흡기밸브(14)를 통해 에어댐퍼(11)에 주입된 압축공기는, 도 2와 같이 개방된 배기밸브(15), 및 에어펌프(13)를 통해 에어탱크(12)로 재 충진되고, 팽창된 에어댐퍼(11)는 수축되어 도어(100)에 형성된 수용홈(110)에 수용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1. 차량 도어 보호장치
10. 에어 댐핑부 11. 에에댐퍼
12. 에어탱크 13. 에어펌프
14. 흡기밸브 15. 배기밸브
20. 제어부 21. 감지 스위치
22. 감지센서
100. 차량 도어 110. 수용홈

Claims (3)

  1. 압축공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에어탱크와, 차량의 도어에 형성된 각 수용홈에 설치되는 것으로, 압축공기의 주입여부에 따른 수축, 또는 팽창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댐퍼; 및 상기 에어탱크와 에어댐퍼 사이의 연통상태를 제어하는 흡기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 댐핑부와;
    상기 에어 댐핑부에 형성된 흡기밸브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차량 도어에 형성된 에어댐퍼의 수축, 및 팽창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댐핑부에는 에어탱크에 공기를 압축시켜 충진하는 에어펌프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댐핑부의 에어댐퍼에는 충진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밸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보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도어의 개폐영역에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형성되어, 감지센서를 통해 차량 도어의 개폐영역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흡기밸브를 개방시켜 에어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에 의해 에어댐퍼가 팽창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보호장치.
KR1020110121395A 2011-11-21 2011-11-21 차량 도어 보호장치 KR20130055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395A KR20130055785A (ko) 2011-11-21 2011-11-21 차량 도어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395A KR20130055785A (ko) 2011-11-21 2011-11-21 차량 도어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785A true KR20130055785A (ko) 2013-05-29

Family

ID=4866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395A KR20130055785A (ko) 2011-11-21 2011-11-21 차량 도어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57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659B1 (ko) * 2013-08-08 2014-08-25 주식회사 나루이엠에스 팽창 수축이 가능한 에어댐을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 보호장치
KR20180117277A (ko) * 2017-04-19 2018-10-2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도어 프로텍터
US10227809B2 (en) * 2015-09-26 2019-03-12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vehicle door collision avoidan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659B1 (ko) * 2013-08-08 2014-08-25 주식회사 나루이엠에스 팽창 수축이 가능한 에어댐을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 보호장치
US10227809B2 (en) * 2015-09-26 2019-03-12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vehicle door collision avoidance
KR20180117277A (ko) * 2017-04-19 2018-10-2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도어 프로텍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25838B (zh) 可断裂型发动机罩铰链装置
KR101309184B1 (ko)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한 차량의 완충장치
KR101270058B1 (ko) 자동차의 피봇식 플랩에 배치된 스프링 장치
KR20130055785A (ko) 차량 도어 보호장치
CN104249639B (zh) 包括悬架系统的设备
KR20130130863A (ko) 후드 올림 장치
JP2006240351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20180038442A1 (en) Vibration damper with a traction stop
CN204726372U (zh) 一种防止客车侧翻时翻滚的装置
KR101519996B1 (ko) 화약식 후드 리프팅 모듈
JP6785630B2 (ja) 免震構造
JP4385814B2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KR20140013635A (ko) 자동차용 범퍼의 에너지 흡수 구조물
CN202827290U (zh) 一种工程机械及其尾灯保护装置
KR102417400B1 (ko) 에너지 업소버 복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업소버 어셈블리
KR100844675B1 (ko) 차량의 완충용 후드구조
JP5996988B2 (ja) 自動二輪車の車高調整装置
KR20120050215A (ko) 유압브레이커의 밸브장치
JP2012111339A (ja) 歩行者検出装置及び歩行者保護装置
KR200439401Y1 (ko) 도로용 방호 펜스
JP6632201B2 (ja) 既存免震建物の補強方法
KR100625287B1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KR102342368B1 (ko) 자동차 도로용 완충기
KR100733694B1 (ko) 차량의 후드 리프트 장치
CN203656030U (zh) 汽车减震器的油封导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