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712A -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712A
KR20130054712A KR1020110120265A KR20110120265A KR20130054712A KR 20130054712 A KR20130054712 A KR 20130054712A KR 1020110120265 A KR1020110120265 A KR 1020110120265A KR 20110120265 A KR20110120265 A KR 20110120265A KR 20130054712 A KR20130054712 A KR 20130054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olding
base
tap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섭
Original Assignee
신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섭 filed Critical 신용섭
Priority to KR102011012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4712A/ko
Priority to PCT/KR2011/010284 priority patent/WO2013073739A1/ko
Publication of KR2013005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65B13/08Single guide or carrier for the free end of material movable part-away around articles from one sid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65B51/062Applying adhesive tape to the mouth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65B51/28Rollers for producing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eams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0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removing material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 B65B7/06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by collapsing mouth portion, e.g. to form a single flap
    • B65B7/08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by collapsing mouth portion, e.g. to form a single flap and 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설치어 이송되는 포대(A)와 평행한 진행방향으로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릴(20)과;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대(A)를 납작한 형태로 안내하는 공급가이드(3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다수개 배열 설치된 이송롤러를 따라 상호 대응되며, 구동수단(12)으로서 회전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포대(A)의 전후면을 잡아 이송하는 이송콘베이어(4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대응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콘베이어(40)를 따라 이송하는 포대(A)의 상단부를 절단하는 단부 커팅롤러(50)와; 상기 단부 커팅롤러(50)가 설치된 베이스(10) 상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포대(A)의 상부측에 예비 접이선(A1)(A2)을 복수개 형성하는 예비 접이가공롤러(60)와; 상기 예비 접이가공롤러(60)가 설치된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A)의 상단부측 예비 접이선(A1)을 일차로 폴딩시키는 제1접이부재(70)와; 상기 제1접이부재(70)를 통과하는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A)의 일차 폴딩부분을 가압하는 가이드 압착롤러(80)와; 상기 가이드 압착롤러(80)를 통과하는 베이스(10)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A)의 예비접이선(A2)을 이차로 두겹이 되도록 폴딩시키는 제2접이부재(90)와; 상기 제2접이부재(90)를 통과하는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테이프 공급릴(20)로부터 이송되는 테이프(T)를 포대(A)의 폴딩부분에 안내 부착하는 유도롤러(100)와; 상기 제2접이부재(90)가 설치된 베이스(10)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테이프 공급릴(20)로부터 이송되어 포대(A)와 평행하게 진행하는 테
이프(T)와 폴딩된 부분을 가압하는 테이프 가압부재(110)와; 상기 제2접이부재(90)가 설치된 베이스(10)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대(A)에 부착되는 테이프(T)의 종단 예비지점에 절취선(T1)을 형성시키는 테이프 절취부재(120)와; 상기 베이스(10)상에 설치되어 테이프(T)가 부착되어 이송되는 포대(A)를 가압 이송하여 배출하는 배출롤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대밀봉장치에 있어서,
입구부위가 두번 폴딩된 포대(A)의 경계부위에 테이프(T)를 가압하여 부착하는 테이프 가압부재(110)는,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111)와, 상기 지지대(111)와 간격을 두고 포대(A)의 폴딩된 두께를 감안하여 전후 조정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블럭(112)과, 상기 가압블럭(112) 내에 매입 설치되어 가압블럭에 고온으로 열을 제공하여 부착되는 테이프(T)를 열 접착으로 실링하기 위한 히터봉(113)과, 상기 지지대(111)가 설치되는 하부에 가압블럭(112)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폴딩된 포대(A)의 목 부분을 직각으로 잡아주는 지지블럭(114)과, 상기 베이스(10) 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포대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입구부분을 두번 폴딩한 다음, 테이프를 폴딩된 경계부위에 덧대어 포대의 밀봉처리함에 있어, 가압블럭을 열 가열하여 테이프의 밀봉상태를 높임과 동시에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블럭은 폴딩된 하부측 목 부분을 직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포장부위를 깔끔한 형태로 포장하여 경계부위의 여유공간으로 하여금 수분 및 기타 이물질 등의 침투조건을 제공하지 않으며, 포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는 기존의 체인방식이 아닌 타이밍 벨트로 안정된 이송과 함께 포장부위의 오염 없이 이송시켜 주고, 더불어 테프론 소재로 된 안내블럭은 타이밍벨트를 안내하면서 가압블럭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이 하부로 더 이상 발산되는 점을 차단하여 줌으로써 포장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에 대한 구매자에게 제품의 품질구매에 따른 신뢰성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Sack sealing apparatus that improve seal and package of sack}
본 발명은 포대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포대의 개방된 부위를 재봉방식이 아닌 접이 방식과 테이프 실링 방식을 통해 포대를 견고하게 밀봉처리하는 포대 밀봉장치에 있어, 포대의 밀봉부위를 견고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포대의 단부가 접혀져 밀봉되는 경계부위의 여유공간을 최소화하여 내용물의 보관성을 높이고 포장된 제품의 포장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량의 곡물류, 기타 양식 펠렛 등을 포장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포대는 시트 형태의 OPP(Oriented Poly Propylene)소재로 제작된 포대가 주로 사용되고, 시멘트, 사료 또는 밀가루용 포대와 같은 중량물을 담는 중포장대(重包裝袋)는 크라프트지와 같은 강도가 큰 종이를 여러겹 겹치게 하여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또는 종이 원단 및 비닐이 합지된 복합형포장지에 의해 사각형 포대를 제작하여, 해당하는 물품을 담아 포장하도록 하고 있다.
통상적인 복합형 포장지에 의해 포대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OPP와 비닐을 합지시켜 OPP 적층필름을 만들고, OPP 위에 그라비어 인쇄를 통해 인쇄층을 형성한다. 한편, 종이 원단과 비닐을 합지시켜 인쇄용 원단을 만들고, 종이 원단 위에 그라비어 인쇄를 통해 인쇄층을 형성한다.
일정길이로 절단된 포대는 먼저 해당물품을 정량 포장하기 이전 양측에 개방된 어느 한쪽을 밀봉처리한 상태에서 포장이 이루어지는바,그 대표적인 밀봉방법은 개구된 포장대의 입구에 마감지를 덧씌운 상태에서 마감지와 함께 재봉처리 한 상태에서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밀봉되는 방식은 물품을 담기 이전과 담은 후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밀봉처리하여 제품을 생산, 유통하는바, 재봉된 부위는 실사용에 있어서 쉽게 뜰어낼 수 있도록 마감처리하기 때문에 상품의 유통과정에서 재봉부위가 뜯어져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일이 종종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예가 종종 발생되는 이유에서 재봉부위를 쉽게 개봉할 수 없는 상태로 재봉처리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상품을 구입한 실소비자는 포대를 개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3819호(발명의 명칭: 포대 밀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대 밀봉방법)으로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포대 밀봉장치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A)와 평행한 진행방향으로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릴(20)과;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대(A)를 납작한 형태로 안내하는 공급가이드(3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다수개 배열 설치된 이송롤러를 따라 상호 대응되며, 구동수단(12)으로서 회전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포대(A)의 전후면을 잡아 이송하는 이송콘베이어(4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대응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콘베이어(40)를 따라 이송하는 포대(A)의 상단부를 절단하는 단부 커팅롤러(50)와; 상기 단부 커팅롤러(50)가 설치된 베이스(10) 상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포대(A)의 상부측에 예비 접이선(A1)(A2)을 복수개 형성하는 예비 접이가공롤러(60)와; 상기 예비 접이가공롤러(60)가 설치된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A)의 상단부측 예비 접이선(A1)을 일차로 폴딩시키는 제1접이부재(70)와; 상기 제1접이부재(70)를 통과하는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A)의 일차 폴딩부분을 가압하는 가이드 압착롤러(80)와; 상기 가이드 압착롤러(80)를 통과하는 베이스(10)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A)의 예비접이선(A2)을 이차로 두겹이 되도록 폴딩시키는 제2접이부재(90)와; 상기 제2접이부재(90)를 통과하는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테이프 공급릴(20)로부터 이송되는 테이프(T)를 포대(A)의 폴딩부분에 안내 부착하는 유도롤러(100)와; 상기 제2접이부재(90)가 설치된 베이스(10)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테이프 공급릴(20)로부터 이송되어 포대(A)와 평행하게 진행하는 테이프(T)와 폴딩된 부분을 가압하는 테이프 가압부재(110)와; 상기 제2접이부재(90)가 설치된 베이스(10)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대(A)에 부착되는 테이프(T)의 종단 예비지점에 절취선(T1)을 형성시키는 테이프 절취부재(120)와; 상기 베이스(10)상에 설치되어 테이프(T)가 부착되어 이송되는 포대(A)를 가압 이송하여 배출하는 배출롤러(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이부재(70) 및 제2접이부재(90)는 양측과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베이스(10)측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포대(A)에 형성된 예비 접이선(A1)(A2)을 기준으로 폴딩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편(71a)(91a) 및 가이드편(71a)(91a)으로부터 직각되는 절곡부(71b)(91b)가 일체로 형성된 커버(71)(91)와, 포대(A)를 직선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72)(92)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접이부재(70) 및 제2접이부재(90)의 커버(71)(91)는 베이스(10) 상에 링크식 고정레버(140)가 설치되어 커버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대 밀봉장치에 있어, 테이프 가압부재(110)를 통과하면서 포대에 부착되는 테이프(T)와 폴딩된 부분을 가압하는 부분은 비교적 밀착 밀봉이 잘 이루어지나 첨부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대의 폴딩되지 않은 부분과 폴딩된 부분의 경계부위는 테이프의 부착 이후에도 여유공간(S)이 크게 형성된 상태가 됨으로 향후 운반과정에서 부착된 테이프가 쉽게 떨어져 나가는 시작점이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테이프가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도록 원인을 제공하는 여유공간의 범위는 내용물을 담은 상태에서 밀봉 포장에 있어, 운반 및 보관과정에서 여유공간이 더욱 벌어지는 습성이 있고, 이 부분을 통해 습기 침투로 인해 곰팡이들이 서식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각종 이물질 및 벌레들이 끼이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 가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대를 이송하는 이송부는 베이스상으로부터 설치된 스프라켓 및 구동부(도면에서 생략함)에 이송체인이 설치되어 포대의 양측을 홀딩하여 이송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송체인으로부터 오일이 포대에 묻어 포장부위가 오염되는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점들은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에게 신뢰감이 떨어지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포대의 개방된 부위를 재봉방식이 아닌 접이 방식과 테이프 실링 방식을 통해 포대를 견고하게 밀봉처리하는 포대 밀봉장치에 있어, 포대의 밀봉부위를 견고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포대의 단부가 접혀져 밀봉되는 경계부위의 여유공간을 최소화하여 내용물의 보관성을 높이고 포장된 제품의 포장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와 평행한 진행방향으로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릴과;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대를 납작한 형태로 안내하는 공급 가이드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다수개 배열 설치된 이송롤러를 따라 상호 대응되어 구동수단으로서 회전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포대의 전후면을 잡아 이송하는 이송콘베이어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대응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콘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는 포대의 상단부를 절단하는 단부 커팅롤러와; 상기 단부 커팅롤러가 설치된 베이스 상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포대의 상부측에 예비 접이선을 복수개 형성하는 예비 접이가공롤러와; 상기 예비 접이가공롤러가 설치된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의 상단부측 예비 접이선을 일차로 폴딩시키는 제1접이부재와; 상기 제1접이부재를 통과하는 베이스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의 일차 폴딩부분을 가압하는 가이드 압착롤러와; 상기 가이드 압착롤러를 통과하는 베이스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의 예비접이선을 이차로 두겹이 되도록 폴딩시키는 제2접이부재와; 상기 제2접이부재를 통과하는 베이스 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테이프 공급릴로부터 이송되는 테이프를 포대의 폴딩부분에 안내 부착하는 유도 롤러와; 상기 제2접이부재가 설치된 베이스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테이프 공급릴로부터 이송되어 포대와 평행하게 진행하는 테이프와 폴딩된 부분을 가압하는 테이프 가압부재와; 상기 제2접이부재가 설치된 베이스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대에 부착되는 테이프의 종단 예비지점에 절취선을 형성시키는 테이프 절취부재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테이프가 부착되어 이송되는 포대를 가압 이송하여 배출하는 배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대밀봉장치에 있어서,
입구부위가 두번 폴딩된 포대의 경계부위에 테이프를 가압하여 부착하는 테이프 가압부재는,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간격을 두고 포대의 폴딩된 두께를 감안하여 전후 조정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블럭과, 상기 가압블럭 내에 매입 설치되어 가압블럭에 고온으로 열을 제공하여 부착되는 테이프를 열 접착으로 실링하기 위한 히터봉과, 상기 지지대가 설치되는 하부에 가압블럭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폴딩된 포대의 목 부분을 직각으로 잡아주는 지지블럭과, 상기 베이스 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포대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부는, 베이스 양측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와, 상기에 치합되어 회전되면서 포대의 양측을 잡아 이송시키는 타이밍 벨트와, 상기 가압블럭과 지지블럭의 하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포대를 홀딩하여 이송하는 타이밍 벨트를 안내하는 벨트 안내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타이밍 벨트는 내부에 금속 띠가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내블럭은 타이밍벨트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열 발산을 위한 냉각홀이 형성되며, 가압블럭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테프론소재로 성형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대 밀봉장치는, 입구부분을 두번 폴딩한 다음, 테이프를 폴딩된 경계부위에 덧대어 포대의 밀봉처리함에 있어, 가압블럭을 열 가열하여 테이프의 밀봉상태를 높임과 동시에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블럭은 폴딩된 하부측 목 부분을 직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포장부위를 깔끔한 형태로 포장하여 경계부위의 여유공간으로 하여금 수분 및 기타 이물질 등의 침투조건을 제공하지 않으며, 포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는 기존의 체인방식이 아닌 타이밍 벨트로 안정된 이송과 함께 포장부위의 오염 없이 이송시켜 주고, 더불어 테프론 소재로 된 안내블럭은 타이밍벨트를 안내하면서 가압블럭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이 하부로 더 이상 발산되는 점을 차단하여 줌으로써 포장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에 대한 구매자에게 제품의 품질구매에 따른 신뢰성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포대 밀봉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 포대 밀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래 포대의 입구부위를 단부 커팅롤러로서 절단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종래 포대의 입구부위를 예비 접이가공롤러로 접이선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종래 입구부분이 밀봉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포대의 측면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인 포대 밀봉장치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대 밀봉장치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대의 입구부위가 포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종래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설치어 이송되는 포대(A)와 평행한 진행방향으로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릴(20)과;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대(A)를 납작한 형태로 안내하는 공급가이드(3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다수개 배열 설치된 이송롤러를 따라 상호 대응되며, 구동수단(12)으로서 회전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포대(A)의 전후면을 잡아 이송하는 이송콘베이어(4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대응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콘베이어(40)를 따라 이송하는 포대(A)의 상단부를 절단하는 단부 커팅롤러(50)와; 상기 단부 커팅롤러(50)가 설치된 베이스(10) 상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포대(A)의 상부측에 예비 접이선(A1)(A2)을 복수개 형성하는 예비 접이가공롤러(60)와; 상기 예비 접이가공롤러(60)가 설치된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A)의 상단부측 예비 접이선(A1)을 일차로 폴딩시키는 제1접이부재(70)와; 상기 제1접이부재(70)를 통과하는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A)의 일차 폴딩부분을 가압하는 가이드 압착롤러(80)와; 상기 가이드 압착롤러(80)를 통과하는 베이스(10)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A)의 예비접이선(A2)을 이차로 두겹이 되도록 폴딩시키는 제2접이부재(90)와; 상기 제2접이부재(90)를 통과하는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테이프 공급릴(20)로부터 이송되는 테이프(T)를 포대(A)의 폴딩부분에 안내 부착하는 유도롤러(100)와; 상기 제2접이부재(90)가 설치된 베이스(10)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테이프 공급릴(20)로부터 이송되어 포대(A)와 평행하게 진행하는 테이프(T)와 폴딩된 부분을 가압하는 테이프 가압부재(110)와; 상기 제2접이부재(90)가 설치된 베이스(10)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대(A)에 부착되는 테이프(T)의 종단 예비지점에 절취선(T1)을 형성시키는 테이프 절취부재(120)와; 상기 베이스(10)상에 설치되어 테이프(T)가 부착되어 이송되는 포대(A)를 가압 이송하여 배출하는 배출롤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대밀봉장치에 있어서,
입구부위가 두번 폴딩된 포대(A)의 경계부위에 테이프(T)를 가압하여 부착하는 테이프 가압부재(110)는,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111)와, 상기 지지대(111)와 간격을 두고 포대(A)의 폴딩된 두께를 감안하여 전후 조정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블럭(112)과, 상기 가압블럭(112) 내에 매입 설치되어 가압블럭에 고온으로 열을 제공하여 부착되는 테이프(T)를 열 접착으로 실링하기 위한 히터봉(113)과, 상기 지지대(111)가 설치되는 하부에 가압블럭(112)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폴딩된 포대(A)의 목 부분을 직각으로 잡아주는 지지블럭(114)과, 상기 베이스(10) 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포대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115)는, 베이스(10) 양측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115a)와, 상기에 치합되어 회전되면서 포대(A)의 양측을 잡아 이송시키는 타이밍 벨트(115b)와, 상기 가압블럭(112)과 지지블럭(114)의 하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포대(A)를 홀딩하여 이송하는 타이밍 벨트(115b)를 안내하는 벨트 안내블럭(115d)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밍 벨트(115b)는 내부에 금속 띠(115c)가 매입된다. 이는 타이밍 벨트의 내구성을 높이고, 상기 가압블럭의 열 발생에 대한 벨트의 수명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타이밍 벨트(115b)의 적용은 각 기어(115a)와 치합되어 회전함에 있어, 기어이빨과 이빨 사이의 공간은 공기와 접촉하여 냉각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더욱 타이밍 벨트의 수명을 연장하고, 열 차단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내블럭(115d)은 타이밍벨트(115b)를 안내하는 안내홈(115e)이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열 발산을 위한 냉각홀(115f)이 형성되며, 가압블럭(112)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테프론 소재로 성형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포대 밀봉장치를 토해 포대의 밀봉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포대는 종래와 같이 폴딩과정을 거쳐 가압후 테이프로 부착처리되어 밀봉하는 순서는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베이스(10)상에 설치된 테이프 공급릴(20)로부터는 별도로 권선된 테이프(T)를 밀봉처리할 포대(A)와는 별도로 세팅시켜 공급하도록 한다.
구동수단(12)의 구동은 베이스(10) 상에 대응되게 설치된 이송콘베이어(40)를 회전시키고,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공급가이드(30)를 통해 포대(A)를 세운상태로 진입시켜 공급하면, 상기 이송콘베이어 사이에 포대의 전후측면이 홀딩되는 상태로서 이송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송되는 포대(A)는 베이스(10)상에 설치된 한 쌍의 단부 커팅롤러(50)를 통과하면서 포대의 개구된 단부측 상단부를 절단한다.
상기 단부 커팅롤러(50)는 포대(A)의 제작시 개구부가 반듯하게 절단되지 못한 포대이거나, 재사용 포대의 개구부측이 찌그러져 있는 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개구부의 단부가 깨끗하게 절단된 포대의 경우 단부 커팅 롤러의 세팅없이 그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단부 커팅롤러(50)를 통과하는 포대는 그 진행방향에 설치된 한 쌍의 예비 접이가공롤러(60)를 통과하면서 단부 커팅롤러를 통해 절단된 포대의 단부측에 예비 접이가공선(A1,A2)을 형성한다.
상기 예비 접이가공선(A1)은 포대(A)의 개구부측 일차 폴딩을 위한 것이고, 예비 접이가공선(A2)는 일차 폴딩한 부분이 한번 더 폴딩되어 두겹이 되도록 이차 폴딩하기 위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예비 접이가공롤러(60)를 통과하는 진행방향에 설치된 제1접이부재(70)를 통과하면서 예비 접이가공선을 기준으로 포대(A)의 단부를 일차 폴딩시켜준다.
상기 제1접이부재(70)를 통과하는 진행방향에 설치된 가이드 압착롤러(80)는 통과되는 포대(A)의 상부측 즉, 일차 포딩된 부분을 납작한 형태로 더 가압하면서 이송시켜 준다(단계(S15)). 상기 제1접이부재(70)를 통과하는 포대(A)는 제1접이부재(70)의 선단에 마련된 커버(71)측 가이드편(71a)를 따라 진입하면서 상기 가이드편(71a)로부터 연속되는 절곡부(71b)에 의해 접이선(A1)이 완전히 접히는 형태가 되며, 상기 커버(71)의 내측에 위치한 일직선상의 가이드 플레이트(72)를 따라 통과된다.
상기 가이드 압착롤러(80)를 통과하는 진행방향에 설치된 제2접이부재(90)를 통과하면서 예비 접이가공선(A2)을 기준으로 일차 폴딩된 포대(A)의 단부를 두겹이 되도록 이차 폴딩시켜 준다.
상기 제2접이부재(90)를 통과하는 포대(A)는 제1접이부재(90)의 선단에 마련된 커버(91)측 가이드편(91a)를 따라 진입하면서 상기 가이드편(91a)로부터 연속되는 절곡부(91b)에 의해 접이선(A2)이 완전히 접히는 형태가 되어져 두겹이 된 상태로 커버(91)의 내측에 위치한 일직선상의 가이드 플레이트(92)를 따라 제2접이부재(90)를 통과한다.
한편, 상기 제1접이부재(70), 제2접이부재(90)를 각각 통과하는 포대(A)의 이송에 문제가 발생되면, 베이스상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71)(91)의 상부를 지지하는 링크식 고정레버(140)를 풀고, 해당하는 커버를 회동시켜 개방한 다음 문제가 발생한 포대의 접이선 부분을 수정하거나 탈거시켜 이송중 걸림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접이부재(90)를 통과하는 진행방향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 유도롤러(100)와 테이프 가압부재(110)로서 테이프 공급릴(20)로부터 공급되어 포대(A)와 평행하게 이송되는 테이프(T)를 가압하여 포대(A)의 이차 폴딩된 부분을 부착한다.
상기 테이프 가압부재(110)는 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포대의 폴딩된 부위로부터 일측에서 별도로 제공되는 테이프를 함께 가압하여 부착하고, 이송부(115)를 통해 이송시켜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포대(A)의 폴딩된 부분과 폴딩되지 않은 부분에 테이프(T)가 위치되어 지지대(111)와 가압블럭(112) 사이에 포대가 통과됨에 있어,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블럭(114)의 가장자리 직각되는 부분은 포대의 목 부분을 폴딩된 부분으로부터 직각에 가깝게 위치시켜준다.
이는 포대의 폴딩된 부분과 폴딩되지 않은 부분의 경계를 더욱 직각으로 만들어 지지시켜 줌으로써, 기존과 같이 경계부위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을 최소화시켜 줌으로써, 테이프의 밀봉효과는 물론, 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이 지점을 통해 습기 및 각종 이물질이 침투되는 점을 최소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점은 포대의 입구부 밀봉력을 높여줌과 동시에 밀봉부위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부착되는 테이프(T)는 가압블럭(112)의 내부에 매입된 히터봉(113)에 의해 가압블럭(112)의 표면 열화에 의해 테이프를 더욱 견고한 상태로 실링 효과를 갖게 한다.
상기 히터봉(113)에 의해 가압블럭(112)을 가열함에 있어, 그 열은 가압블럭 측에서만 열이 발산되도록 하여 포대(A) 내에 담기는 내용물에 영향이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열에 의해 변형이 쉬운 내용물이 담겨져 포장되는 경우 더욱 열에 의한 변질이 방지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접착 열에 의해 내용물이 변질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압블럭(112)의 하부에 이격 설치된 이송부(115)인 안내블럭(115d)에 의해 열이 하부로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안내블럭(115d)의 안내홈(115e)을 따라 순환회전하여 포대(A)를 이송시키는 타이밍벨트(115b)에 의해 열 차단효과를 갖는다.
상기 안내블럭(115d)은 그 자체를 열에 의해 변형이 적은 테프론 소재로 성형되어 있어, 가압블럭(112)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에 강하면서 열을 차단하고, 간접적으로 받는 열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홀(115f)을 통해 열 발산이 이루어진다.
또한 안내블럭(115d)을 따라 회전하는 타이밍 벨트(115b)는 기어 이빨 사이의 공간이 외부공기와의 열 교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포대(A)가 접합되는 하부에 열이 전달되는 점을 방지케 함으로써, 특히 쉽게 열에 의해 변질될 수 있는 내용물의 포장상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한, 상기 타이밍 벨트(115b)는 내부에 금속 띠(115c)가 매입된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서, 이는 열화에 의한 타이밍 벨트의 수명을 높여 벨트의 끊김 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기존의 체인방식과는 달리 포대의 양 측면으로부터 밀착성이 좋고 체인 기름에 의해 포대가 오염되는 점을 방지하여 깨끗하게 포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대의 폴딩 부위에 대한 테이프의 밀착포장과 더불어 포장부위의 목 부분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을 최소화하여 더욱이 습기침투 및 각종 이물질, 벌레의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타이밍벨트의 이송조건과 열차단효과를 갖는 안내블럭으로 하여금 밀봉부위와 내용물이 담긴 부분의 열 전달에 의한 내용물이 변질되는 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밀봉포장에 있어 작은 효과부분이라도 포장은 구매자가 제품의 포장상태를 보는 척도로서도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포대의 입구부측 밀봉포장은 제품판매에 따른 매출 실적에도 상당한 영향을 준다.
10: 베이스 20: 테이프 공급릴
30: 공급가이드 40: 이송콘베이어
50: 단부 커팅롤러 60: 예비 접이가공롤러
70: 제1접이부재 80: 가이드 압착롤러
90: 제2접이부재 100: 유도롤러
110: 테이프 가압부재 111: 지지대
112: 가압블럭 113: 히터봉
114: 지지블럭 115: 이송부
115a: 기어 115b: 타이밍벨트
115c: 금속 띠 115d: 안내블럭
115e: 안내홈 115f: 냉각홀
120: 테이프 절취부재 130: 배출롤러
A: 포대 A1,A2: 접이선
T; 테이프

Claims (4)

  1.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설치어 이송되는 포대(A)와 평행한 진행방향으로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릴(20)과;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대(A)를 납작한 형태로 안내하는 공급가이드(3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다수개 배열 설치된 이송롤러를 따라 상호 대응되며, 구동수단(12)으로서 회전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포대(A)의 전후면을 잡아 이송하는 이송콘베이어(4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대응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콘베이어(40)를 따라 이송하는 포대(A)의 상단부를 절단하는 단부 커팅롤러(50)와; 상기 단부 커팅롤러(50)가 설치된 베이스(10) 상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포대(A)의 상부측에 예비 접이선(A1)(A2)을 복수개 형성하는 예비 접이가공롤러(60)와; 상기 예비 접이가공롤러(60)가 설치된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A)의 상단부측 예비 접이선(A1)을 일차로 폴딩시키는 제1접이부재(70)와; 상기 제1접이부재(70)를 통과하는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A)의 일차 폴딩부분을 가압하는 가이드 압착롤러(80)와; 상기 가이드 압착롤러(80)를 통과하는 베이스(10)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대(A)의 예비접이선(A2)을 이차로 두겹이 되도록 폴딩시키는 제2접이부재(90)와; 상기 제2접이부재(90)를 통과하는 베이스(10)상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테이프 공급릴(20)로부터 이송되는 테이프(T)를 포대(A)의 폴딩부분에 안내 부착하는 유도롤러(100)와; 상기 제2접이부재(90)가 설치된 베이스(10)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테이프 공급릴(20)로부터 이송되어 포대(A)와 평행하게 진행하는 테
    이프(T)와 폴딩된 부분을 가압하는 테이프 가압부재(110)와; 상기 제2접이부재(90)가 설치된 베이스(10)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대(A)에 부착되는 테이프(T)의 종단 예비지점에 절취선(T1)을 형성시키는 테이프 절취부재(120)와; 상기 베이스(10)상에 설치되어 테이프(T)가 부착되어 이송되는 포대(A)를 가압 이송하여 배출하는 배출롤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대밀봉장치에 있어서,
    입구부위가 두번 폴딩된 포대(A)의 경계부위에 테이프(T)를 가압하여 부착하는 테이프 가압부재(110)는,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111)와,
    상기 지지대(111)와 간격을 두고 포대(A)의 폴딩된 두께를 감안하여 전후 조정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블럭(112)과,
    상기 가압블럭(112) 내에 매입 설치되어 가압블럭에 고온으로 열을 제공하여 부착되는 테이프(T)를 열 접착으로 실링하기 위한 히터봉(113)과,
    상기 지지대(111)가 설치되는 하부에 가압블럭(112)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폴딩된 포대(A)의 목 부분을 직각으로 잡아주는 지지블럭(114)과,
    상기 베이스(10) 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포대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15)는,
    베이스(10) 양측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115a)와,
    상기에 치합되어 회전되면서 포대(A)의 양측을 잡아 이송시키는 타이밍 벨트(115b)와,
    상기 가압블럭(112)과 지지블럭(114)의 하부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포대(A)를 홀딩하여 이송하는 타이밍 벨트(115b)를 안내하는 벨트 안내블럭(115d)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벨트(115b)는 내부에 금속 띠(115c)가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블럭(115d)은 타이밍벨트(115b)를 안내하는 안내홈(115e)이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열 발산을 위한 냉각홀(115f)이 형성되며, 가압블럭(112)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테프론 소재로 성형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
KR1020110120265A 2011-11-17 2011-11-17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 KR20130054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265A KR20130054712A (ko) 2011-11-17 2011-11-17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
PCT/KR2011/010284 WO2013073739A1 (ko) 2011-11-17 2011-12-29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265A KR20130054712A (ko) 2011-11-17 2011-11-17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712A true KR20130054712A (ko) 2013-05-27

Family

ID=4842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265A KR20130054712A (ko) 2011-11-17 2011-11-17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54712A (ko)
WO (1) WO20130737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448B1 (ko) * 2022-01-11 2022-07-21 주식회사 용호지대 포대 스티커 부착 장치
KR20230143700A (ko) 2022-04-06 2023-10-13 신용섭 포대 입구부 크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305A (ko) * 1997-05-03 1998-12-05 김학우 포대자동봉합기
KR100671012B1 (ko) * 2003-06-30 2007-01-17 박정식 포대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JP4377340B2 (ja) * 2005-01-14 2009-12-02 株式会社長崎機器製作所 封緘装置
KR100865949B1 (ko) * 2007-03-09 2008-10-30 박정식 포대 포장장치
KR101063819B1 (ko) * 2010-04-28 2011-09-08 신용섭 포대 밀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대 밀봉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448B1 (ko) * 2022-01-11 2022-07-21 주식회사 용호지대 포대 스티커 부착 장치
KR20230143700A (ko) 2022-04-06 2023-10-13 신용섭 포대 입구부 크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73739A1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819B1 (ko) 포대 밀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대 밀봉방법
US8616768B2 (en) Pleated stand-up packaging pouch, pleated stand-up packaging body, feed roll for pleated stand-up packaging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leated stand-up packaging body
US11884434B2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ckaging unit as well as a packaging unit made of packaging sleeves and an outer packaging
US4907393A (en)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JPS6238207B2 (ko)
JP5701912B2 (ja) 梱包装置及び梱包方法
CN113272228B (zh) 用于将薄膜包装在物品周围的包装机
US20110284558A1 (en) Heat shrinkable bubble wrapping machine
US20160214785A1 (en) Bedding product packaging and process
KR880007329A (ko) 패키지형성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54712A (ko) 포대의 밀봉과 포장성을 높인 포대 밀봉장치
US20070084741A1 (en) Outer package for packaged groups of rolls of products
KR200413743Y1 (ko) 파우치 포장기
JP2007106489A (ja) 包装機並びに耳折り装置
US20220289414A1 (en) Triple center sealing device in pillow packaging machine
JP4472268B2 (ja) 袋包装機
KR100654332B1 (ko) 샌드위치 포장대의 포장장치
CN114585568A (zh) 配置用于改进密封的包装
JP5465561B2 (ja) 逆ピロー包装機および包装方法
JP5054069B2 (ja) おにぎり包装機における気体充填装置
JP7012300B2 (ja) 包装機用ヒーターバー装置
JP6047277B2 (ja) ピロー包装機
KR20190097517A (ko) 면봉 이송 장치
JP6348286B2 (ja) 包装機及び包装方法
JP7107569B2 (ja) 包装用紙袋容器の封緘装置及び封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