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480A - 영어 각 품사의 도형 표시 및 서로 관련된 문법적 구성 요소 간의 유기적 결합 관계 도식화를 이용한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른 교수법 - Google Patents

영어 각 품사의 도형 표시 및 서로 관련된 문법적 구성 요소 간의 유기적 결합 관계 도식화를 이용한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른 교수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480A
KR20130053480A KR1020110118088A KR20110118088A KR20130053480A KR 20130053480 A KR20130053480 A KR 20130053480A KR 1020110118088 A KR1020110118088 A KR 1020110118088A KR 20110118088 A KR20110118088 A KR 20110118088A KR 20130053480 A KR20130053480 A KR 20130053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b
speech
verbs
quasi
engl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석
Original Assignee
조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석 filed Critical 조광석
Priority to KR1020110118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3480A/ko
Publication of KR2013005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의 각 품사를 도형으로 표시하고 서로 관련된 문법적 구성 요소 간의 유기적인 결합 관계를 도식화하여 영어 문장을 분석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르는 교수법에 관한 것으로, 영어의 8가지 품사를 도형으로 표시함에 있어서 동사는 (원 또는 타원), 명사는 [ ], 대명사는
Figure pat00235
, 형용사는 ( ), 부사는〈 〉, 접속사는 , 전치사는 , 감탄사는 〈! 〉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하고, 동사와 성질이 거의 동일하지만 문장에서 동사가 아닌 다른 품사로 사용되는 ‘준동사’를 표시함에 있어서 to부정사는
Figure pat00236
, 원형부정사는
Figure pat00237
, 현재분사 및 동명사는
Figure pat00238
, 과거분사는
Figure pat00239
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하는 방법 등과 함께 ‘품사가 필요로 하는 문법적 요소’즉, 형용사 보어는 ───( , 명사보어는 ───[ , 목적어는 ───○ , 준동사의 목적어는 ───N , 전치사의 목적어는 ───n 와 같은 표식들과 조합하여 도식화 하거나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표식을 상기 기본적인 도형들에 덧붙여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도형 및 표식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모든 도형 및 표식들은 각기 해당 모양을 취하게 된 분명한 근거와 이유를 가지며, 요소 하나가 어느 한곳에 고정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요소간 결합 법칙에 준하는 범위 안에서 상호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여러 곳에서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하위적 포함 관계(준동사, 구, 절 등이 다시 하나의 품사가 되는 경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렇게 그 근거 및 이유, 문법적 지식을 연상하게 하는 의미가 있는 도형의 모양을 보고 어떤 품사인지를 식별하고 도형에 덧붙인 표식 또는 관련된 도식을 보고 적용해야 하는 문법적 지식을 직관적으로 연상할 수 있게 하여 길거나 복잡한 문장이라 할지라도 문장 전체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도형, 표식, 도식 등을 그리는 것을 반복하여 습관화하는 것만으로도 문법적 지식을 체득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르는 교수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어 각 품사의 도형 표시 및 서로 관련된 문법적 구성 요소 간의 유기적 결합 관계 도식화를 이용한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른 교수법 { A method and a tutorial guide to break down English sentences - by visualizing each part of speech in certain figures and diagrammatizing ways of combination between correlated grammatical constituents }
본 발명은 영어의 문법적 구성 요소들을 도형, 표식(標識), 도식(圖式) 등으로 표시하여 영어 문장을 분석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교수법(敎授法)에 관한 것이다.
국제사회에서 영어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 없이 누구나 인지하고 있으며, 그 필요성을 수많은 사람들이 몸소 느끼고 있다. 즉 이제는 영어가 학문적 차원을 넘어 보편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필수적인 도구가 되어버린 것이다. 따라서 머리가 좋거나 오랜 시간 공부를 한 일부 지식인이 아닌 두뇌와 학업의 수준이 평범한 사람들도 영어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이런 영어를 쉽게 학습하거나 가르치기 위해 셀 수 없이 많은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으며, 지금 이 순간에도 좀 더 효율적인 학습법 또는 교수법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을 것이다.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는 것은 분명히 바람직한 일일 것이나, 반면에 용어가 통일이 되지 않거나 문법적 해석이 달리 적용되는 방법들이 많이 제시된다면 영어를 배우는 입장에서는 오히려 혼란을 가져오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영어를 가르치는 사람(이하 ‘교원 및 강사’라 한다) 이거나 영어 관련 서적을 출판할 때 해당 교원 및 강사, 저자 들은 수많은 용어들을 수없이 반복 사용하여 장황하게 설명을 늘어 놓아야 하고 여러 구성 요소들로 복잡하게 구성된 영어문장을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아 부어야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문법적 요소 단위로 /(사선)을 표시하여 구분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며, 각 품사 또는 문장 성분들을 특정 기호, 약어, 숫자를 사용하거나 특정한 색깔로 표시(이하 이러한 표시 방법들을 통틀어 ‘식별 표시’라 한다)하여 구분하는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고, 한편 영어 문장을 몇 가지 기호를 이용하여 사람의 신체에 대응시키는 방법이나 그림을 이용하여 문법적 요소를 설명하고 문장을 이해시키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들은, 문법적 요소를 ‘도형이나 표식’으로 나타냄에 있어 해당 모양을 취하게 된 어떤 근거나 이유를 제시하지 않아 도형이 가지는 가독성이 떨어지고, 도형을 보고 문법적 지식을 연상할 수도 없으며, 막연히 그 도형들을 습득해야 하는 선수 과정이 필요하며 오래 사용하지 않으면 잊어버릴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색깔로 구분한 경우는 앞서 설명한 단점에 추가적으로 여러 색깔을 표현해야 하므로 출판 시에는 그 공정과 비용이 더 늘어나게 되고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강의를 할 경우에는 교원 및 강사가 여러 색의 표시(필기) 도구를 교체하며 사용해야 하는데 이에는 많은 어려움과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또한, 여러 문법적 요소들로 복잡하게 구성된 문장의 경우 그들 간의 결합 관계를 표시하는 방법이나, 상하위적 포함 관계(준동사, 구, 절 등이 다시 하나의 품사가 되는 경우)를 표시하는 방법을 대부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애써 식별 표시를 해놓고도 문장을 분석하는데 그다지 큰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KR 1020100093736 A KR 1020100084382 A KR 2002052180000 Y1 KR 2001655970000 Y1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 단점과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식별을 위한 도형이나 표식을 정하는 데 있어 단 한가지 색을 사용하며, 분명한 근거와 이유를 바탕으로 하고, 나아가 문법적 지식까지도 연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식별 표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식별 표시 하나가 어느 한곳에 고정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요소간 결합 법칙에 준하는 범위 안에서 상호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여러 곳에서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하위적 포함 관계(준동사, 구, 절 등이 다시 하나의 품사가 되는 경우)까지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서 기술한 해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도 1]과 같이 8개의 품사에 대한 도형과 거기서 파생하는 특수한 품사적 요소들을 표시하기 위한 도형 및 표식들을 제공하는데, 이들 식별 표시가 탄생하게 된 근거 및 문법 지식의 연상 방법은 [도 3]에서 설명하고 있다.
동사는 결합되는 요소에 따라 5가지 유형(일반적으로 1형식 ~ 5형식으로 구분하기도 함)으로 구분 되는데, 그와 관련된 도식화는 [도 2]와 같이 제공하며, 여기서 쓰이는 결합 요소의 표식에 대한 근거 및 문법 지식의 연상 방법은 [도 4]에서 설명하고 있다.
동사는 또한 특정한 형태소(to, -ing, -ed 등)와의 결합 또는 동사 활용에 의해 다른 품사로 전용(轉用)되어 사용되는데(이하 이러한 것들을‘준동사’라 한다), 이 ‘준동사’들의 도형 표시는 [도 5]와 같이 제공하며 이들 도형이 탄생하게 된 근거 및 문법 지식의 연상 방법은 [도 7]에서 설명하고 있다. 준동사도 그 근본이 동사(이하 이를 ‘준동사의 근본동사’라 한다)이므로 동사(이하 문장 성분으로써의 동사는 준동사와의 구별을 위해 ‘중심동사’라 한다)와 동일하게 5가지 유형으로 결합 관계를 도식화 할 수 있는데 이는 [도 6]과 같이 제공하며, 여기서 쓰이는 결합 요소의 표식에 대한 근거 및 문법 지식의 연상 방법은 [도 4]에서 설명하고 있다.
상기의 여러 문법적 요소들은 정해진 법칙에 의해 다른 요소와 결합될 수 있고, 또 이렇게 결합된 덩어리 요소(준동사, 구, 절 등)는 다시 특정한 품사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도식화는 [도 8]과 같이 제공하고 있다.
품사론(형태론) 관점에서의 식별 표시와는 별개로 문장론 관점에서 문장 성분을 도형으로 표시하는 방법도 [도 9]와 같이 제공하며, 이들 도형에 대한 근거는 [도 10]에서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절은 물론 문단까지 구분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절, 문장, 문단을 구분하는 표식을 [도 11]과 같이 제공하며, 이들 표식에 대한 근거도 함께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은 영어 문장의 분석을 위하여 문법적 요소 단위별로 식별 표시를 사용함에 있어 단순히 다른 기호와의 모양 차이에 의해 구분하던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해당 모양을 가지는 분명한 근거와 이유를 가진 도형 및 표식을 사용함으로써 학습자가 체득하여 습관화 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그로 인해 가독성이 향상되고, 전체 문장을 한눈에 분석하는 직관력 향상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여러 가지 색을 사용하지 않고 한가지 색으로 모든 것을 표현 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노력이나 비용이 들지 않고, 필기구 하나면 언제 어디서든지 활용이 가능하다.
동사 및 준동사의 경우에는 반드시 정해진 5가지 패턴으로 결합 요소가 뒤따르게 되는데, 이들 패턴을 명확히 구분하는 표식을 제공하여 문장의 핵심인 동사를 중심으로 전체를 분석할 수 있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토대를 제공해준다.
식별 표시 중에는 공통적인 부류에 속하는 요소들(가령 중심동사의 목적어·준동사의 목적어·전치사의 목적어가 같은 부류이고, 대명사·관계 대명사·의문 대명사가 같은 부류임)은 문장 내에서 분명히 구별해야 하면서도 공통적인 특징을 표식에 나타내 주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기본적인 모양에 약간의 변형을 가하거나 의미 있는 표식을 덧붙여 줌으로써 인지해야 하는 도형 및 표식의 수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기본 도형 및 표식의 개념에서 많이 분산되지 않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렇게 최대한의 의미를 부여한 식별 표시들은 또한 한곳에 고정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요소간 결합 법칙에 준하는 범위 안에서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는 유연성도 가지고 있으며, [도 8]과 같이 상하위적 포함 관계까지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표현의 확장성 또한 매우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결합 법칙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는 점은 품사론적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 법칙이 수학 공식과 같이 비교적 잘 맞아 떨어지는 영어의 원리에 기계적 메커니즘(mechanism)을 적용시켰다 할 수 있는데, 무수히 많은 단어들 각각을 단위 부품으로 보고 이들 사이에서 기능이 동일하고 호환이 가능한 것들끼리 모아 품사군(群)이라는 하나의 부품군(群)들로 분류시켜 상호 결합이 가능한 부품군끼리만 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을 도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많은 장점들을 잘 활용한다면 아무리 길고 복잡하게 구성된 문장일지라도 쉽게 읽어 나갈 수가 있고, 혼동될 수 있는 요소들을 모두 제거해 나가면서 빠르고 정확하게 문장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도 도형 및 표식을 보고도 관련된 문법적 지식이 최대한 떠오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철학을 반영하였기 때문에 활용하면서 이점을 염두에 두고 반복적으로 그려본다면 따로 문법 공부를 하지 않아도 학습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많은 문법적 지식들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인위적으로 문법 지식을 주입 받고도 정작 문장에는 적용시키지 못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제시한 5가지 패턴만 도식으로 그릴 수 있다면, 그는 이미 5가지 부류로 동사가 구분된다는 개념을 알고 있고, 각 부류의 동사는 보어, 목적어와 결합되게 되는데 이는 형용사, 명사로 한정된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는 것이다.
끝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와 같은 도형·표식·도식을 이용한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교수법들이 꾸준히 연구되어 합리적인 선별 과정을 거쳐 우리의 교육 환경 전반에 걸쳐 표준화 된다던가 아니면 지침 내지 권고사항으로 공고되어 널리 활용된다면 식별표시의 일관성에서 오는 교육적 기대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고 생각한다.
도 1은 8품사의 도형 표시 및 결합되는 문법적 요소.
도 2는 동사에 결합되는 문법적 요소에 따라 구분된 5가지 유형의 도식화.
도 3은 8품사의 도형 표시 및 관련된 표식에 대한 근거와 그에 따르는 문법 지식의 연상 방법.
도 4는 종속적 결합 요소의 표식에 대한 근거와 그에 따르는 문법 지식의 연상 방법.
도 5는 준동사의 도형 표시 및 결합되는 문법적 요소.
도 6은 준동사의 근본이 되는 동사 유형에 따른 결합 관계의 도식화.
도 7은 준동사의 도형 표시 및 관련된 표식에 대한 근거와 그에 따르는 문법 지식의 연상 방법.
도 8은 문법적 요소 간 결합에 의해 파생된 덩어리 요소의 품사 도식화.
도 9는 문장 성분의 도형 표시.
도 10은 문장 성분의 도형 표시에 대한 근거.
도 11은 절·문장·문단의 구분 표식 및 그에 대한 근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함에 있어 아래 1항 ~ 9항으로 기술한 순서는 각각 [청구항]의 번호에 맞추어 해당하는 항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한 것이다.
1. 영어 문장을 분석하기 위해 8개 품사들을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도형을 이용하여 각 품사를 표시함에 있어서, 동사(verb)는 (원 또는 타원), 명사(noun)는 [ ] (대괄호), 대명사(pronoun)는
Figure pat00001
, 형용사(adjective)는 ( ) (괄호), 부사(adverb)는〈 〉(삼각괄호), 접속사(conjunction)는 (마름모), 전치사(preposition)는 (역삼각형), 감탄사(interjection)는 〈! 〉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하여 영어 문장을 분석한다. (이는 [도 1]에 요약되어 있음)
상기 8개의 품사를 나타내는 도형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교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는 [도 3]에 요약되어 있음)
1) 동사(verb)는 영어 문장에서 중심이므로 ‘중심’을 연상하게 하는 (원 또는 타원)형을 취함.
2) 명사(noun)는 한글 표기 ‘사’에서 ‘’([])이 변형 또는 영문 표기 ‘Noun’에서 ‘N’이 변형된 [ ]형을 취하거나, 명판.간판 등의 모양이 사각형인 데서 착안해 [ ]형을 취함.
3) 대명사(pronoun)는 명사를 표시하는 [ ]형에 ‘대표한다’는 의미에서
Figure pat00002
(‘깃발’모양) 표식을 덧붙인
Figure pat00003
형을 취함.
4) 형용사(adjective)는 한글 표기 ‘용사’에서 ‘’(
Figure pat00004
)이 변형 또는 영문 표기 ‘adjective’에서 ‘j’가 변형된 ( )형을 취함.
5) 부사(adverb)는 한글 표기 ‘사’에서 ‘’(
Figure pat00005
)이 변형 또는 영문 표기‘adVerb’에서 ‘V’가 변형된 〈 〉형을 취함.
6) 전치사(preposition)는 한글 표기 ‘치사’에서 ‘’(
Figure pat00006
)이 변형 또는 영문 표기 ‘Preposition’에서 ‘P’(
Figure pat00007
)가 변형된 형을 취함.
7) 접속사(conjunction)는 두 개의 요소(단어, 구, 절 등)가 ‘접속’되었다는 의미에서 ‘’와 ‘’이 접속된 형을 취함.
8) 감탄사(interjection)는 넓은 범주에서 부사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부사를 표시하는 〈 〉형에 ‘감탄’의 의미를 지닌 ‘!(느낌표)’를 덧붙인 〈! 〉형을 취함.
2. 상기 ‘동사’는 결합되는 문법적 요소(목적어, 보어)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구분이 되는데, 동사를 표시하는
Figure pat00008
형의 원형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완전자동사’는
Figure pat00009
,
불완전자동사’는
Figure pat00010
(형용사 보어) 또는
Figure pat00011
(명사 보어),
완전타동사’는
Figure pat00012
(목적어),
수여동사’는
Figure pat00013
(목적어 2개),
불완전타동사’는
Figure pat00014
(목적어 + 형용사 보어) 또는
Figure pat00015
(목적어 + 명사 보어)와 같은 도식으로 표시하여 영어 문장을 분석한다. (이는 [도 2]에 요약되어 있음)
상기 5가지 유형별로 동사와 결합되는 문법적 요소를 나타내는 표식에 대한 근거 제시 및 문법 지식이 연상되도록 유도하는 교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는 [도 4]에 요약되어 있음)
1) ‘완전자동사’는 덧붙인 것이 없으므로 결합되는 문법적 요소가 없음을 연상하게 함.
2) ‘불완전자동사’는
Figure pat00016
표식을 덧붙여‘불완전’하다는 의미를 나타내어 ‘보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연상하게 함. 이에 따라
Figure pat00017
는 ‘형용사 보어’가,
Figure pat00018
는 ‘명사 보어’가 필요로 한다는 것을 연상하게 함.
(이때, 형용사 보어는 형용사 표시 ( )에서, 명사 보어는 명사 표시 [ ]에서 각각 왼쪽의 모양을 취한 것임)
3) ‘완전타동사’는
Figure pat00019
표식을 덧붙여 ‘타동사’라는 의미를 나타내어 ‘목적어[명사]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연상하게 함.
(이때,
Figure pat00020
는 목적어의 영문 표기 ‘Object’에서 ‘O’모양을 취한 것임)
4) ‘수여동사’는
Figure pat00021
표식을 덧붙여 ‘목적어[명사] 2개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연상하게 함
(이때, 목적어를 1개 취하는 ‘완전타동사’또는 ‘불완전타동사’와 구별을 위해 숫자 1, 2를 써줌).
5) ‘불완전타동사’는 먼저
Figure pat00022
표식을 덧붙여 ‘목적어[명사]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바로 이어지는
Figure pat00023
또는
Figure pat00024
표식과 동사 표시 속
Figure pat00025
표식에 의해‘보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연상하게 함
6) ‘불완전동사’는 명사 보어와 결합되는데, 주어와 관련된 명사 보어는 주어와 동일한 사람 또는 사물이며, 목적어와 관련된 명사 보어는 목적어와 동일한 사람 또는 사물이라는 것을 명사 보어의 모양 ‘
Figure pat00026
’이 ‘같다’는 의미의 등호 ‘=’와 비슷한 점에서 착안하여 연상하게 함.
3. 상기 ‘동사’는 특정한 형태소(to, -ing, -ed 등)와의 결합 또는 동사 활용에 의해 다른 품사로 전용되어 사용되는데, 이 ‘준동사’들을 표시함에 있어 그 근본이 동사임을 나타내기 위해 동사를 표시하는
Figure pat00027
형의 원형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이 중
to부정사’는
Figure pat00028
,
원형부정사’는
Figure pat00029
,
현재분사’또는 ‘동명사’는
Figure pat00030
,
이 중 진행형(be동사 + 현재분사)으로 쓰일 때는
Figure pat00031
과거분사’는
Figure pat00032
또는
Figure pat00033
(불규칙활용 동사일 경우),
이 중 완료형(have활용동사 + 과거분사)으로 쓰일 때는
Figure pat00034
또는
Figure pat00035
,
또한, 수동태(be동사 + 과거분사)로 쓰일 때는
Figure pat00036
또는
Figure pat00037
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하여 영어 문장을 분석한다. (이는 [도 5]에 요약되어 있음)
상기 ‘준동사’들을 나타내는 도형에 대한 근거 제시 및 문법 지식이 연상되도록 유도하는 교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는 [도 7]에 요약되어 있음)
1) ‘to부정사’는 ‘to’와 연결되는 동사 표시 또는 타원을 가로질러 그은 직선 모양 ‘
Figure pat00038
’가 알파벳 ‘t’모양인 것에서 ‘to부정사’임을 연상하게 함.
2) ‘원형부정사’는 타원을 가로질러 그은 직선 모양 ‘
Figure pat00039
’가 알파벳 ‘t’모양인 것에서‘to’가 생략된 ‘원형부정사’임을 연상하게 함.
3) ‘현재분사 또는 동명사’는 접미사 ‘-ing’에 타원 표식을 해줌으로써 ‘현재분사 또는 동명사’임을 연상하게 함
이 중, ‘진행형(진행시간)’으로 쓰일 때에는 진행을 나타내는 접미사 ‘-ing’의 ‘
Figure pat00040
’표식을 덧붙여 ‘진행형’임을 연상하게 함.
4) ‘과거분사’는 접미사 ‘-ed’에 타원 표식을 한 것과 좌측에 덧붙인
Figure pat00041
가 알파벳‘e’모양인 것에서 ‘과거분사’임을 연상하게 함.
이 중, ‘완료형(완료시간)’으로 쓰일 때에는 영문 표기 ‘Perfect tense’에서 ‘Pe’의 모양을 본뜬 표식 ‘
Figure pat00042
’을 덧붙여 ‘완료형’임을 연상하게 함,
또한, ‘수동태형’으로 쓰일 때에는 한글 표기 ‘수동’에서 ‘’ 또는 영문 표기 ‘PAssive’에서 ‘A’의 모양을 본뜬 표식 ‘
Figure pat00043
’을 덧붙여 ‘수동태형’임을 연상하게 함.
5) 이때, 진행형(be동사 + 현재분사), 완료형(have활용동사 + 과거분사), 수동태형(be동사 + 과거분사)에 대한 문법적 해석을 정확히 정해줄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is teaching(진행형), have taught(완료형), is taught(수동태형)에서 이들 각각의 조합(덩어리)을 하나의 동사가 변형된 것이라고 의미론적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고, 이와는 별도로 is / have / is가 각각 ‘불완전 동사’이고 teaching / taught / taught가 각각 ‘분사’로써 ‘형용사 보어’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품사론적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품사론적 문장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후자를 기준으로 기술하고 있음.
6) 준동사는 문장 내에서 동사가 아닌 다른 품사로 전용되어 사용되지만, 그 근본(뿌리)은 동사이므로 동사가 가지는 문법적 성질 또한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근본동사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도형 모양을 타원형으로 표시하여 이에 결합되는 문법적 요소도 동사와 동일함을 연상하게 함.
7) 준동사는 ‘중심동사’와 마찬가지로 동작의 주체인 주어를 취할 수 있는데 이를 ‘의미상의 주어’라 하고, 이는 생략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빠뜨리지 않아야 함을 인식하게 함.
4. 상기 ‘준동사’는 그 근본이 동사이므로 상기 ‘동사’와 마찬가지로 동사에 결합되는 문법적 요소(보어, 목적어)들과 결합이 될 수 있는데, 각 준동사 표시
Figure pat00044
,
Figure pat00045
,
Figure pat00046
,
Figure pat00047
,
Figure pat00048
,
Figure pat00049
,
Figure pat00050
,
Figure pat00051
,
Figure pat00052
,
Figure pat00053
와 이에 결합될 수 있는 문법적 요소에 따라
준동사의 형용사 보어는
Figure pat00054
, 준동사의 명사 보어는
Figure pat00055
,
(보어가 결합되는 경우는 불완전 동사이므로 동사표시
Figure pat00056
안에
Figure pat00057
표시함),
준동사의 목적어는
Figure pat00058
(목적어 1개),
Figure pat00059
(목적어 2개)와 같은 표식을 조합하여 준동사의 결합 관계를 도식화 하여 영어 문장을 분석한다. (이는 [도 6]에 요약되어 있음)
상기 준동사와 결합되는 문법적 요소를 나타내는 표식에 대한 근거 제시 및 문법 지식이 연상되도록 유도하는 교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는 [도 4]에 요약되어 있음)
1) 상기
Figure pat00060
Figure pat00061
표식은 각각 준동사의 ‘형용사 보어’ 및 ‘명사 보어’(이하 이를 ‘준동사의 보어’라 한다)를 나타내며, ‘중심동사’와 결합되는
Figure pat00062
Figure pat00063
와 차별을 두기 위해 ([ 모양의 방향을 반대로 표식 하였음을 인식하게 함.
2) 상기
Figure pat00064
Figure pat00065
표식은 준동사의 ‘목적어’(이하 이를 ‘준동사의 목적어’라 한다)를 나타내며,‘중심동사’와 결합되는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7
와 차별을 두기 위해 ‘Noun’의 ‘N’자로 표식 하였음(목적어는 명사이므로)을 인식하게 함.
3) 이때, 과거분사의 경우 그 근본동사가 가지는 목적어가 앞으로 이동하여 주어가 되므로 [도 6]의 ‘과거분사’부분과 같은 도식의 형태를 취하였음을 인식하게 함.
5. 상기 ‘대명사’, ‘형용사’, ‘부사’ 는 각각 ‘관계사’ 및 ‘의문사’라는 특별한 용도의 문법적 요소로써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중
관계대명사’는
Figure pat00068
, ‘관계형용사’는
Figure pat00069
, ‘관계부사’는
Figure pat00070
, ‘의문대명사’는
Figure pat00071
, ‘의문형용사’는
Figure pat00072
, ‘의문부사’는
Figure pat00073
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하여 영어 문장을 분석한다.
상기 ‘관계사의문사’를 나타내는 도형에 대한 근거 제시 및 문법 지식이 연상되도록 유도하는 교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관계○○사’는 명사 [ ], 형용사 ( ), 부사 〈 〉표시의 상하 부분을 직선으로 연결해 줌으로써 각각 ‘관계대명사, 관계형용사, 관계부사’ 임을 인식시키고, 이들은 모두 ‘선행사’에 관계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선행사’를 필요로 하며(단, 관계대명사 ‘what’은 제외), 해석 시 관계○○사 자체에는 뜻이 없음(단, 관계대명사 ‘what’은 제외)을 연상하게 함.
이때, 관계○○사 앞의 선행사에 대해 특별히 표시를 해주고자 할 때는
Figure pat00074
,
Figure pat00075
,
Figure pat00076
와 같이 표시할 수 있도록 함 (여기서의 ‘a’는 선행사의 영문 표기‘antecedent’에서 착안한 것임)
2) ‘의문○○사’는 명사 [ ], 형용사 ( ), 부사 〈 〉표시의 상하 부분을 직선으로 연결한 모양의 중간부에 ‘?’표식을 덧붙여 줌으로써 각각 ‘의문대명사, 의문형용사, 의문부사’ 임을 인식시키고, 이들이 이끄는 절은 모두 해석 시‘의문’의 뜻이 있음을 연상하게 함.
3) ‘○○대명사’는 명사 [ ] 표시 사이에 ‘없다’라는 의미의
Figure pat00077
표식을 덧붙여 줌으로써 ○○대명사가 이끄는 절은 명사의 역할인 ‘주어, 목적어, 명사 보어’중 어느 하나가 없음(‘○○대명사’에 포함되어 있음)을 연상하게 함.
6. 상기 ‘접속사’가 단순히‘단어, 구’를 접속할 경우에는
Figure pat00078
를, ‘동사를 포함하는 절’을 접속할 경우에는
Figure pat00079
(등위접속사) 또는
Figure pat00080
(종속접속사)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하며, 이 중 ‘종속접속사’로 절이 접속된 경우에 ‘주절의 중심동사’는 종속절의 중심동사’는
Figure pat00082
와 같은 표식을 덧붙여 두 개의 동사를 구분해 주어서 영어 문장을 분석한다.
상기 ‘접속사’를 나타내는 도형과 그와 관련된 표식에 대한 근거 제시 및 문법 지식이 연상되도록 유도하는 교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기
Figure pat00083
표시는 접속사 표시
Figure pat00084
에 ‘등위’ 즉 ‘동일수준’을 의미하는
Figure pat00085
표식 또는 한글 표기 ‘등위’에서 ‘’모양을 본뜬
Figure pat00086
표식을 덧붙여 ‘등위접속사’임을 연상하게 하며,
Figure pat00087
표시는 한글 표기 ‘종속’에서 ‘’모양을 본뜬
Figure pat00088
표식을 덧붙여 ‘종속접속사’임을 연상하게 함.
2) 상기
Figure pat00089
Figure pat00090
표시는 ‘동사를 포함하는 2개의 절’을 서로 접속해 주는 것으로 접속사의 전후 또는 접속사 이후(종속접속사가 앞 부분에 있는 경우)에 ‘중심동사’가 2개 있어야 함을 연상하게 함. 따라서 단순히 ‘단어, 구’를 접속하는 접속사
Figure pat00091
(이 경우에는 모두 ‘등위접속사’에 해당함) 표시의 의미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함.
3) ‘종속접속사’로 절이 접속된 경우에 ‘주절의 중심동사’는
Figure pat00092
‘종속절의 중심동사’는
Figure pat00093
와 같이 표식을 덧붙인 것은 ‘M’은 ‘Main’에서, ‘S’는 ‘Subordernate’에서 착안했음을 인식하게 함.
7. 상기 ‘전치사(前置詞; Preposition)는 용어의 뜻 그대로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 명사 또는 대명사 목적어(이하 이를 ‘전치사의 목적어’라 한다)와 결합되는데 이를
Figure pat00094
와 같이 도식화 하여 영어 문장을 분석한다.
상기 ‘전치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식에 대한 근거 제시 및 문법 지식이 연상되도록 유도하는 교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기
Figure pat00095
표식은 ‘noun’의 ‘n’자를 덧붙여 전치사가 ‘전치사의 목적어(명사 또는 대명사)’와 결합됨을 인식하게 함.
(이때,
Figure pat00096
표식에 의해 ‘중심동사의 목적어’
Figure pat00097
또는 ‘준동사의 목적어’
Figure pat00098
과 구별할 수 있도록 함)
2) ‘to’는 ‘전치사’이면서 준동사인 ‘to부정사’를 만들기도 함을 인식시키고, ‘to’바로 다음에 명사가 온 경우는 전치사로 사용된 경우로
Figure pat00099
와 같이 표시, ‘to’바로 다음에 동사원형(R)이 온 경우는 to부정사를 만드는 경우로
Figure pat00100
로 표시하여 구별할 수 있도록 함.
8. 상기 ‘준동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등은 다른 문법적 요소들과 결합하여 다시 특정한 품사가 될 수 있는데, 이 덩어리 요소의 품사를 도식화함에 있어,
준동사’의 품사는 [도 5]에서 ‘준동사의 품사 도식화’,
전치사 + 전치사의 목적어’의 품사는
Figure pat00101
또는
Figure pat00102
,
접속사 + 주어 + 동사’의 품사는
Figure pat00103
또는
Figure pat00104
관계사 + 주어 + 동사’의 품사는
Figure pat00105
또는
Figure pat00106
와 같이 도식화 하여 영어 문장을 분석한다. (이는 [도 5] 및 [도 8]에 요약되어 있음)
아래에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준동사’는 문장 내에서 ‘형용사’또는 ‘부사’ 또는 ‘명사’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각 준동사 표시
Figure pat00107
,
Figure pat00108
,
Figure pat00109
,
Figure pat00110
,
Figure pat00111
,
Figure pat00112
,
Figure pat00113
,
Figure pat00114
,
Figure pat00115
,
Figure pat00116
형용사 표시
Figure pat00117
, 명사 표시
Figure pat00118
, 부사 표시
Figure pat00119
를 조합하여 상하위적 포함 관계를 도식화한 것이다.
상기 ‘전치사 + 전치사의 목적어’의 결합은 문장 내에서 ‘부사구’ 또는 ‘형용사구’로 사용되는데, 이에 대하여
Figure pat00120
표시와 부사 표시
Figure pat00121
또는 형용사 표시
Figure pat00122
를 조합하여 상하위적 포함 관계를 도식화한 것이다.
상기 ‘접속사 + 주어 + 동사’의 결합은 문장 내에서 ‘명사절’ 또는 ‘부사절’로 사용되는데, 이에 대하여
Figure pat00123
(등위 접속사),
Figure pat00124
(종속 접속사) 표시와 명사 표시
Figure pat00125
, 부사 표시
Figure pat00126
를 조합하여 상하위적 포함 관계를 도식화한 것이다.
상기 ‘관계사 + 주어 + 동사’의 결합은 문장 내에서 ‘형용사절’로 사용되는데, 이에 대하여 각 관계사 표시
Figure pat00127
,
Figure pat00128
,
Figure pat00129
와 형용사 표시
Figure pat00130
를 조합하여 상하위적 포함 관계를 도식화한 것이다.
9. 상기 품사의 도형 표시와는 별도로 영어 문장에서 ‘문장 성분’을 구분하고자 할 때 주어
Figure pat00131
, 동사
Figure pat00132
, 목적어
Figure pat00133
, 보어
Figure pat00134
, 부사어
Figure pat00135
또는
Figure pat00136
(필수 부사어)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하는 방법 (이는 [도 9]에 요약되어 있음),
또한 절·문장·문단(단락) 단위를 구분하기 위해 절과 절 사이
Figure pat00137
, 문장과 문장 사이
Figure pat00138
, 문단(단락)과 문단(단락) 사이
Figure pat00139
와 같은 표식을 넣어 구분하여 영어 문장을 분석한다. (이는 [도 11]에 요약되어 있음)
상기 ‘문장 성분’및 ‘절·문장·문단의 구분’을 표시하는 특정한 도형 및 표식이 해당 모양을 취하게 된 근거를 제시하는 다음과 같은 교수 방법. (이는 [도 10] 및 [도 11]에 요약되어 있음)
1) ‘주어(Subject)’는 명사 표시 [ ]에 영문 표기 ‘Subject’에서 ‘S’모양을 덧붙여
Figure pat00140
표시를 하고 주어임을 연상하게 함.
2) ‘동사(Verb)’는 영어 문장에서 중심이므로 ‘중심’을 연상하게 하는 (원 또는 타원) 표시를 하고 동사임을 연상하게 함.
3) ‘목적어(Object)’는 한글 표기 ‘적어’에서 ‘’모양을 본떠
Figure pat00141
표시를 하고 목적어임을 연상하게 함.
4) ‘보어(Complement)’는 한글 표기 ‘어’에서 ‘’모양을 본떠 와 같이 표시를 하고 보어임을 연상하게 함. 이때 형용사 보어와 명사 보어를 구분하고자 할 때는 각각의 모양을 본떠
Figure pat00143
또는
Figure pat00144
와 같이 표시할 수 있음.
5) ‘부사어(Adverb)’는 부사 모양을 본떠
Figure pat00145
와 같이 표시하며, 생략하면 문장의 의미를 알 수 없게 되는‘필수 부사어’인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함을 나타내기 위해 이중으로 표시하여
Figure pat00146
(겹삼각괄호 + 밑줄) 표시를 하고 필수 부사어임을 연상하게 함.
6) 절과 절 사이의 구분 기호
Figure pat00147
는 완전한 하나의 문장이 아닌 절과 절을 구분한 모양임을 연상하게 함.
7) 문장과 문장 사이의 구분 기호
Figure pat00148
는 .(마침표)로 끝나는 완전한 하나의 문장 단위를 구분한 모양임을 연상하게 함.
8) 문단과 문단 사이의 구분기호
Figure pat00149
는 여러 문장으로 구성된 문단 단위를 구분한 모양임을 연상하게 함.
8품사를 도형으로 표시한 문장의 예 (단지 품사 표시로만 나타낸 예)
Figure pat00150
Figure pat00151
동사의 결합 관계를 표시한 문장의 예
Figure pat00152
준동사를 도형으로 표시한 문장의 예
Figure pat00153
준동사의 결합 관계를 표시한 문장의 예
Figure pat00154
Figure pat00155
Figure pat00156
Figure pat00157
관계사, 의문사를 도형으로 표시한 문장의 예
Figure pat00158
접속사의 도형 표시 및 접속사 유형별 관련 요소의 배치 관계를 표시한 문장의 예
Figure pat00159
전치사의 도형 표시 및 그 결합 관계를 표시한 문장의 예
Figure pat00160
준동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를 포함하는 구, 절 등 덩어리 요소의 품사를 도식화한 문장의 예
Figure pat00161
Figure pat00162
Figure pat00163
Figure pat00164
문장 성분의 도형 표시 및 절·문장·문단 구분 기호를 표시한 문장의 예
Figure pat00165
Figure pat00166
1. 본 발명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교원 및 강사에 의해 행해지는 모든 형태의 영어 관련 강의에 이용이 가능하다.
Figure pat00167
위와 같이 오프라인에서 실시하는 강의에서 교원 및 강사는 단 한가지 색의 필기구만을 사용하든지 아니면 영어 본문 텍스트와의 색채 대비를 위해 또 다른 하나의 색깔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한 방법을 적용하면서 손쉽게 강의를 진행해 나갈 수 있다.
Figure pat00168
Figure pat00169
온라인을 통해 화면으로 진행되는 강의의 경우 교원 및 강사는 위와 같이 제공되는 버튼 컨트롤을 사용하여 마우스를 클릭 또는 드래그하는 것만으로 식별 표시를 텍스트 위에 그릴 수 있어 식별 표시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손쉽게 강의를 진행해 나갈 수 있다.
2. 영어 교육과 관련된 출판물은 물론 다양한 하드카피(hard copy)형태의 인쇄물에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170
종래의 영어 관련 인쇄물에서는 문장에 대한 해설이 필요할 때 위와 같이 텍스트를 이용하여 장황하게 설명을 해주었어야 했지만, 다음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형·표식·도식을 이용하게 되면, 장황한 설명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문장에 대한 가독성 및 직관성이 매우 향상되게 된다.
Figure pat00171
3.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의해 생겨난 다양한 매체, 웹 기반 기술의 발전에 의한 다양한 웹 콘텐츠,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블로그 등의 개인 사이트, 최근 모바일 기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유행하고 있는 모빌컴퓨팅(Mobile computing)에 사용되는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소프트카피(Soft copy)에서 영어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제공하고자 할 때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하다.
4. ‘영어 자동 번역 소프트웨어’의 경우 단어의 품사 및 뜻을 결정함에 있어 형태상 동일한(스펠링이 같은) 단어가 여러 품사의 역할을 하거나 여러 가지 뜻을 가지는 경우가 많아 오역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은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한 여러 가지 결합 및 배치(配置) 법칙을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정확한 품사를 확정해 준다면 따져봐야 하는 경우의 수를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어 번역 알고리즘의 취약점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성능까지 높이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번역 엔진이 동작하는 도중에 품사 확정이 모호하다는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즉각적으로 ‘대화상자’를 띄워 사용자가 수동으로 품사를 확정해 주는 방식으로 번역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위에서 제공한 것과 같은 ‘버튼 컨트롤’을 이용하여 품사를 확정해주고 그에 결합되는 문법적 요소를 지정해주며 나아가 덩어리 요소(준동사, 구, 절 등)의 상하위적 포함관계까지 지정해 준다면, 반자동의 개념이지만 자동 번역에 가까운 속도 측면의 장점과 수동번역에 가까운 정확도 측면의 장점을 절충한 한층 진보된 영어 번역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영어 문장을 분석하기 위해 8개의 품사들을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도형을 이용하여 각 품사를 표시함에 있어서, 동사(verb)는 (원 또는 타원), 명사(noun)는 [ ] (대괄호), 대명사(pronoun)는
    Figure pat00172
    , 형용사(adjective)는 ( ) (괄호), 부사(adverb)는〈 〉(삼각괄호), 접속사(conjunction)는 (마름모), 전치사(preposition)는 (역삼각형), 감탄사(interjection)는 〈! 〉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하는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르는 교수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사’는 결합되는 문법적 요소(목적어, 보어)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구분이 되는데, 동사를 표시하는
    Figure pat00173
    형의 원형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완전자동사’는
    Figure pat00174
    ,
    불완전자동사’는
    Figure pat00175
    (형용사 보어) 또는
    Figure pat00176
    (명사 보어),
    완전타동사’는
    Figure pat00177
    (목적어),
    수여동사’는
    Figure pat00178
    (목적어 2개),
    불완전타동사’는
    Figure pat00179
    (목적어 + 형용사 보어) 또는
    Figure pat00180
    (목적어 + 명사 보어)와 같은 도식으로 표시하는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르는 교수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사’는 특정한 형태소(to, -ing, -ed 등)와의 결합 또는 동사 활용에 의해 다른 품사로 전용되어 사용되는데, 이 ‘준동사’들을 표시함에 있어 그 근본이 동사임을 나타내기 위해 동사를 표시하는
    Figure pat00181
    형의 원형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이 중
    to부정사’는
    Figure pat00182
    ,
    원형부정사’는
    Figure pat00183
    ,
    현재분사’또는 ‘동명사’는
    Figure pat00184
    ,
    이 중 진행형(be동사 + 현재분사)으로 쓰일 때는
    Figure pat00185

    과거분사’는
    Figure pat00186
    또는
    Figure pat00187
    (불규칙활용 동사일 경우),
    이 중 완료형(have활용동사 + 과거분사)으로 쓰일 때는
    Figure pat00188
    또는
    Figure pat00189
    ,
    또한, 수동태(be동사 + 과거분사)로 쓰일 때는
    Figure pat00190
    또는
    Figure pat00191
    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하는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르는 교수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준동사’는 그 근본이 동사이므로 상기 ‘동사’와 마찬가지로 청구항 2에서 기술한 동사에 결합되는 문법적 요소(보어, 목적어)들과 결합이 될 수 있는데, 각 준동사 표시
    Figure pat00192
    ,
    Figure pat00193
    ,
    Figure pat00194
    ,
    Figure pat00195
    ,
    Figure pat00196
    ,
    Figure pat00197
    ,
    Figure pat00198
    ,
    Figure pat00199
    ,
    Figure pat00200
    ,
    Figure pat00201
    와 이에 결합될 수 있는 문법적 요소에 따라
    준동사의 형용사 보어는
    Figure pat00202
    , 준동사의 명사 보어는
    Figure pat00203
    ,
    (보어가 결합되는 경우는 불완전 동사이므로 동사표시
    Figure pat00204
    안에
    Figure pat00205
    표시함),
    준동사의 목적어는
    Figure pat00206
    (목적어 1개),
    Figure pat00207
    (목적어 2개)와 같은 표식을 조합하여 준동사의 결합 관계를 도식화 하는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르는 교수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명사’, ‘형용사’, ‘부사’ 는 각각 ‘관계사’ 및 ‘의문사’라는 특별한 용도의 문법적 요소로써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중
    관계대명사’는
    Figure pat00208
    , ‘관계형용사’는
    Figure pat00209
    , ‘관계부사’는
    Figure pat00210
    , ‘의문대명사’는
    Figure pat00211
    , ‘의문형용사’는
    Figure pat00212
    , ‘의문부사’는
    Figure pat00213
    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하는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르는 교수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사’가 단순히‘단어, 구’를 접속할 경우에는
    Figure pat00214
    를, ‘동사를 포함하는 절’을 접속할 경우에는
    Figure pat00215
    (등위접속사) 또는
    Figure pat00216
    (종속접속사)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하며, 이 중 ‘종속접속사’로 절이 접속된 경우에 ‘주절의 중심동사’는
    Figure pat00217
    종속절의 중심동사’는
    Figure pat00218
    와 같은 표식을 덧붙여 두 개의 동사를 구분해 주는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르는 교수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전치사(前置詞; Preposition)는 용어의 뜻 그대로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 명사 또는 대명사 목적어와 결합되는데 이를
    Figure pat00219
    와 같이 도식화 하는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르는 교수법,
  8. 상기 ‘준동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등은 다른 문법적 요소들과 결합하여 다시 특정한 품사가 될 수 있는데, 이 덩어리 요소의 품사를 도식화함에 있어,
    준동사’의 품사는 [도 5]에서 ‘준동사의 품사 도식화’,
    전치사 + 목적어’의 품사는
    Figure pat00220
    또는
    Figure pat00221
    ,
    접속사 + 주어 + 동사’의 품사는
    Figure pat00222
    또는
    Figure pat00223

    관계사 + 주어 + 동사’의 품사는
    Figure pat00224
    또는
    Figure pat00225
    와 같이
    도식화 하는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르는 교수법,
  9. 상기 품사의 도형 표시와는 별도로 영어 문장에서 ‘문장 성분’을 구분하고자 할 때 주어
    Figure pat00226
    , 동사
    Figure pat00227
    , 목적어
    Figure pat00228
    , 보어
    Figure pat00229
    , 부사어
    Figure pat00230
    또는
    Figure pat00231
    (필수 부사어)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하는 방법,
    또한 절·문장·문단(단락) 단위를 구분하기 위해 절과 절 사이
    Figure pat00232
    , 문장과 문장 사이
    Figure pat00233
    , 문단(단락)과 문단(단락) 사이
    Figure pat00234
    와 같은 표식을 넣어 구분해 주는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르는 교수법.
KR1020110118088A 2011-11-14 2011-11-14 영어 각 품사의 도형 표시 및 서로 관련된 문법적 구성 요소 간의 유기적 결합 관계 도식화를 이용한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른 교수법 KR20130053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088A KR20130053480A (ko) 2011-11-14 2011-11-14 영어 각 품사의 도형 표시 및 서로 관련된 문법적 구성 요소 간의 유기적 결합 관계 도식화를 이용한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른 교수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088A KR20130053480A (ko) 2011-11-14 2011-11-14 영어 각 품사의 도형 표시 및 서로 관련된 문법적 구성 요소 간의 유기적 결합 관계 도식화를 이용한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른 교수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480A true KR20130053480A (ko) 2013-05-24

Family

ID=4866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088A KR20130053480A (ko) 2011-11-14 2011-11-14 영어 각 품사의 도형 표시 및 서로 관련된 문법적 구성 요소 간의 유기적 결합 관계 도식화를 이용한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른 교수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3480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00A (ko) 2015-05-04 2016-11-14 오창영 영어학습편집구조, 이를 이용한 영어학습매체 및 영어학습방법
CN109166407A (zh) * 2018-08-06 2019-01-08 李勤骞 英语体系名词性结构表达训练系统及其方法
KR20190001998A (ko) 2017-06-29 2019-01-08 이계양 색채 구분에 의하여 쉽게 이해되는 영문이 포함된 인쇄물
KR20190067684A (ko) * 2017-12-07 2019-06-17 윤경원 외국어 입체 구조 분석 방법
CN110718116A (zh) * 2018-07-14 2020-01-21 辽宁工业大学 一种英美文学教育教学用学习辅助装置
KR20200058621A (ko) * 2018-11-19 2020-05-28 김제신 8품사 및 문장 내 사용역할로 성분을 구분하는 단순도해법을 이용한 영어문장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581953A (zh) * 2019-01-30 2020-08-25 武汉慧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解析英文文本语法现象的方法
KR102356376B1 (ko) * 2021-06-21 2022-02-08 정정근 문장구성요소의 5품사화를 이용한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56151A (ko) * 2020-10-27 2022-05-04 준기 이 0과 1을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장치, 시스템 및 교재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00A (ko) 2015-05-04 2016-11-14 오창영 영어학습편집구조, 이를 이용한 영어학습매체 및 영어학습방법
KR20190001998A (ko) 2017-06-29 2019-01-08 이계양 색채 구분에 의하여 쉽게 이해되는 영문이 포함된 인쇄물
KR20190067684A (ko) * 2017-12-07 2019-06-17 윤경원 외국어 입체 구조 분석 방법
CN110718116A (zh) * 2018-07-14 2020-01-21 辽宁工业大学 一种英美文学教育教学用学习辅助装置
CN110718116B (zh) * 2018-07-14 2021-08-10 辽宁工业大学 一种英美文学教育教学用学习辅助装置
CN109166407A (zh) * 2018-08-06 2019-01-08 李勤骞 英语体系名词性结构表达训练系统及其方法
CN109166407B (zh) * 2018-08-06 2021-06-04 李勤骞 英语体系名词性结构表达训练系统及其方法
KR20200058621A (ko) * 2018-11-19 2020-05-28 김제신 8품사 및 문장 내 사용역할로 성분을 구분하는 단순도해법을 이용한 영어문장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581953A (zh) * 2019-01-30 2020-08-25 武汉慧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解析英文文本语法现象的方法
KR20220056151A (ko) * 2020-10-27 2022-05-04 준기 이 0과 1을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장치, 시스템 및 교재
KR102356376B1 (ko) * 2021-06-21 2022-02-08 정정근 문장구성요소의 5품사화를 이용한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3480A (ko) 영어 각 품사의 도형 표시 및 서로 관련된 문법적 구성 요소 간의 유기적 결합 관계 도식화를 이용한 영어 문장 분석 방법 및 그에 따른 교수법
Duval Understanding the mathematical way of thinking-The registers of semiotic representations
Zanettin et al. Corpora in translator education
Milton Lexical thickets and electronic gateways: Making text accessible by novice writers
Gruyter Literacy: The growing influence of linguistics
Hasnia et al. The Ability of 1st Class Students of SMAN 11 Enrekang to Arrange Verbal and Nominal Sentences
Zhang Does morphology play an important role in L2 Chinese vocabulary acquisition?
Parodi University genres and multisemiotic features: Accessing specialized knowledge through disciplinarity
Sampson et al. Grammar without grammaticality: Growth and limits of grammatical precision
Eika et al. Authoring WCAG2. 0-compliant texts for the web through text readability visualization
Zaki Corpus‐based teaching in the Arabic classroom: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Lee et al. Developing learner corpus annotation for Chinese grammatical errors
Granger The computer learner corpus: A testbed for electronic EFL tools
KR20110096425A (ko) 영어 학습법, 그 장치 및 출판물
Skulstad The use of metadiscourse in introductory sections of a new genre
Oktavianti et al. Discourse functions of lexical bundles in Indonesian EFL learners’ argumentative essays: A corpus study
Watson et al. Assistive technology in the inclusive science classroom
Hamilton The contribution of systemic functional grammar to the error analysis framework
Tshotsho Assessing students’ academic writing using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t a university in South Africa
Bagchi et al. Varieties of mathematical prose
Murphy Computer corpora and vocabulary study
Feng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an automated writing evaluation tool for improving EFL graduate students' abstract writing: A case in Taiwan
Alyousef Grammatics for ameliorating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 social semiotic approach
Biesenbach-Lucas A comparative genre analysis: The research article and its popularization.(Volumes I and II)
Mudraya Need for data-driven instruction of engineering Engli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