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334A -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334A
KR20130051334A KR1020110116625A KR20110116625A KR20130051334A KR 20130051334 A KR20130051334 A KR 20130051334A KR 1020110116625 A KR1020110116625 A KR 1020110116625A KR 20110116625 A KR20110116625 A KR 20110116625A KR 20130051334 A KR20130051334 A KR 20130051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facility
point
layer module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589B1 (ko
Inventor
권효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6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589B1/ko
Priority to PCT/KR2012/007704 priority patent/WO2013069886A1/en
Publication of KR2013005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7/00Systems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of said systems
    • G05B17/02Systems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of said systems 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은 설비 관제 시스템에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를 추가해야하는 경우, 별도의 물리적 관제점을 추가로 설정하지 않고 가상의 관제점을 설정하여 운전 로직을 생성하고 이를 기등록된 물리적 관제점에 매핑하여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함으로써, 기존의 설비 관제 시스템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기 이전에 가상의 관제점에 설정한 운전 로직을 시뮬레이션하여 추가될 서비스를 미리 분석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FACILITIE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상의 관제점을 물리적 관제점과 매핑하여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설비가 현대화됨에 따라 건물 내 설치된 전력, 조명, 공조, 방재 및 방범 등의 설비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시스템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설비들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설비 관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관제점"이라고 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점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관리자는 하나의 설비(장비)에 여러 개 혹은 단일 관제점을 설정하고 그 관제점의 값을 통해 설비에 대한 감시, 제어 등의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엔지니어는 빌딩에 설치되는 설비의 종류 및 형태별로 해당 관제점을 설정하고, 설비 관제 시스템에 상기 관제점을 등록하여 건물내의 설비들을 자동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설비 관제 시스템은, 시스템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설비(장비)에 대한 운전 로직과, 이를 포함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비들(장비들)을 관제한다. 그런데, 종래 설비 관제 시스템은 일부 설비의 로직을 수정할 경우에도 이와 관련 없는 다른 설비와 관련된 운전 로직을 다시 포함하여서 관제 프로그램을 작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비 관제 시스템에 의한 설비 관제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재 설정된 관제점만으로는 이를 수용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새로운 관제점의 설정 및 등록은 오랜 기간이 필요하며,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영이 이러한 관제점의 제어 또는 감시를 통해 대부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중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엔지니어는 미리 준비한 설비의 종류와 이에 해당하는 제반사항을 모두 고려하여 등록할 관제점 리스트를 준비하고, 그에 따라 설비(장비)가 선택되면 관제점의 명칭, 형태, 주소 등 관제점에 관련된 모든 사항을 예를 들어, 중앙 관제 서버에 등록해야한다. 즉, 설비 또는 장비에 대한 기능 또는 서비스를 추가하기 위해 새로운 관제점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반복된 작업으로 인해 설비 관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설비 관제 시스템에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를 추가해야하는 경우, 물리적 관제점을 추가로 설정하지 않고 기존의 설비 관제 시스템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가될 기능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가상의 관제점을 설정하여 그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시뮬레이션의 수행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설비와; 하나 이상의 물리적 관제점을 등록하고 상기 물리적 관제점을 통해 상기 설비를 운전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중앙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가상의 관제점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의 관제점 및 상기 물리적 관제점으로 이루어진 제1레이어모듈을 생성하고, 상기 제1레이어모듈을 상기 물리적 관제점으로 이루어진 제2레이어모듈에 매핑하여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관제점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2레이어모듈의 물리적 관제점에 자동으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은 상기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가상의 관제점이 변경되면 제1레이어모듈의 설정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상기 물리적 관제점이 변경되면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의 설정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의 설정 정보, 상기 중앙 관제 서버의 사용자 화면의 그래픽, 및 상기 관제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사용자 화면을 통해 상기 가상의 관제점 및 물리적 관제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상기 사용자 화면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의 관제점에 매핑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사용자 화면을 통해 관제 프로그램의 생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가상의 관제점을 설정 또는 제거하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의 매핑을 해제하고 상기 가상의 관제점에 설정된 운전 로직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은, 상기 중앙 관제 서버와 상기 설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설비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은, 설비에 대한 물리적 관제점을 등록하는 단계와;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가상의 관제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의 관제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설정하는 단계와;상기 가상의 관제점 및 물리적 관제점을 포함하는 제1레이어모듈을 상기 물리적 관제점으로 이루어진 제2레이어모듈에 매핑하여 상기 설비를 운전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된 운전 로직을 실행하여 가상의 관제점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이 매핑된 상태이면,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의 매핑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중앙 관제 서버의 사용자 화면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의 관제점에 매핑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화면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관제 프로그램의 생성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생성된 관제 프로그램을 설비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설비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관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은, 설비 관제 시스템에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를 추가해야하는 경우, 물리적 관제점을 추가로 설정할 필요 없이 가상의 관제점을 설정하여서 운전 로직을 생성하고 이를 기존의 물리적 관제점에 매핑함으로써, 기존의 설비 관제 시스템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은, 가상의 관제점에 대해 관제점 값을 입력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시뮬레이션의 수행결과를 분석하여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추가될 서비스를 미리 검토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은, 사용자 등이 요구사항에 따라 생성될 가상의 관제점을 언제든지 용이하게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관제점 설정 및 등록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설비 관제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물리적 관제점에 연결된 설비를 직접 제어 또는 감시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에서, 가상의 관제점을 이용하여 물리적 관제점에 연결된 설비를 제어 또는 감시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을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관제 서버(100),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설비 제어 장치(200), 하나 이상의 설비(300), 및 장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설비(300)는,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 시스템으로서, 에어컨, 환기, 공조기, 팬, 보일러,냉각탑, 펌프, 온/습도센서, 냉동기, 조명기기, 전력기기, 화재 시스템 등을 말하며, 장비(400)는, 예를 들어 냉각탑 시스템을 설비로 하는 경우, 냉각탑, 펌프, 온도 센서 등을 의미한다.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관제점이라고 하는 하나의 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점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등은 하나의 설비(300) 또는 장비(400)에 여러 개 혹은 단일 관제점을 설정하여 해당 관제점의 값을 통해 설비에 대한 모니터링, 제어 등을 수행한다. 상기 관제점은 설비 또는 장비에서 사용되는 감시 또는 제어 항목으로서, 예를 들어 제어, 모니터링, 에러 등을 말한다.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건물 전체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제어 또는 모니터링하는 장치로서, 상기 설비들(300), 예를 들어 기계설비, 조명, 전력, 출입통제, 방재, 주차관리, 시설관리 등을 위한 별도의 단말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와 통신을 통해 상호 정보를 공유하고, 관제점을 통해 상기 설비(300) 및 이에 포함된 장비들을 제어 또는 감시하는 자동화 서버이다.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상기 설비(300) 또는 장비(400))에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관제점을 등록하고, 상기 물리적 관제점을 통해 상기 설비(300) 또는 장비(400)를 운전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관제 프로그램은 설비들(300)을 감시 또는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설비들(300)을 제어 또는 감시한다.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표준 단위 운전 로직을 저장하는 저장유닛(미도시)과, 현장의 조건을 설정받는 설정유닛(미도시)과, 상기 표준 단위 운전 로직 및 상기 현장 조건을 근거로 상기 운전 로직을 생성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장 조건은, 예를 들어 설비 또는 장비의 센서의 수, 관제점에 대한 데이터 값, 연결 관계 등을 가리킨다. 또한, 상기 출력유닛은 설비 관제 시스템 내의 설비(300) 및 장비들(400)의 운전 상황 및 상태를 표시하고, 운전 로직의 실행 결과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유닛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화면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은 설비 관제 시스템 내의 각 설비(300) 또는 장비(400)에 대한 하나 이상의 표준단위 운전 로직을 미리 저장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으로 ROM(Read Only Memory) 형태의 저장부, 또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와, 송수신 또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처리하는 임시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형태의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 관제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가상의 관제점을 설정한다. 여기서, 가상의 관제점이란, 설비 관제 시스템에 물리적 관제점으로 설정 및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현장에 설치된 설비(300)에 대한 감시 또는 제어의 기능 및 서비스 추가로 인해 요구되는 가상의 포인트(point)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상기 가상의 관제점과 기등록된 물리적 관제점으로 이루어진 제1레이어모듈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상기 제1레이어모듈을, 기등록된 물리적 관제점으로 이루어진 제2레이어모듈에 매핑하여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즉,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가상의 관제점을 포함하는 제1레이어모듈과 기등록된 물리적 관제점으로 이루어진 제2레이어모듈 구조(2층구조)로 이루어진 모듈들을 바인딩(binding)하여서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함으로써 물리적 관제점에 대응하는 설비(300) 또는 장비(400), 예를 들어 조명 또는 온도센서, 를 감시 또는 제어한다.
또한,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관제점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2레이어모듈의 물리적 관제점에 자동으로 매핑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통한 제어명령에 따라, 제1레이어모듈에 형성된 가상의 관제점을 제2레이어모듈의 물리적 관제점과 자동 매핑하여서 관제 프로그램이 생성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인딩(binding)의 자동 수행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이루어지거나, 또는 예를 들어 제1레이어모듈에 대한 가상의 관제점 설정시 또는 기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내부에서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구비된 사용자 화면을 통해 상기 가상의 관제점 및 물리적 관제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서로 독립적인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래픽 오브젝트들에 터치입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관제점의 생성 및 관제 프로그램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화면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의 관제점에 매핑한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중앙 관제 서버(100)가 생성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 및 제어도록 실행시키는 오브젝트들으로서 소정의 이미지로 구현되는 이미지 기반의 오브젝트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가상의 관제점과 물리적 관제점을 포함하는 제1레이어모듈의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그로부터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들을 생성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사용자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그래픽 오브젝트들을 이용하여 관제 프로그램의 생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생성된 그래픽 오브젝트들에 터치입력을 인가하여서, 가상의 관제점을 설정하거나 모듈들을 바인딩 또는 매핑하도록 함으로써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상기 제1레이어모듈의 가상의 관제점에 설정된 운전 로직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부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의 매핑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을 바인딩하여 생성된 관제 프로그램을 설비(300)들에 대해 직접 실행하기 전에, 제1레이어모듈에 대한 운전 로직을 미리 시뮬레이션 해봄으로써 새로운 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제1레이어모듈과 제2레이어모듈이 바인딩 상태에 있다면, 이러한 바인딩 상태를 먼저 해제하고 제1레이어모듈에 대해서만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소정의 로직에 따라 분석 및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실행 결과를 소정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상기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미도시)는, 상기 가상의 관제점이 변경되면 제1레이어모듈의 설정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상기 물리적 관제점이 변경되면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의 설정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미도시)는,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의 설정 정보,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의 사용자 화면 그래픽, 및 상기 관제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사용자 화면을 통해 상기 가상의 관제점 및 물리적 관제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화면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된 가상의 관제점에 매핑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사용자 화면을 통해 관제 프로그램의 생성을 제어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가상의 관제점을 설정받거나 또는 제거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그래픽 오브젝트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30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관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는, 설비들(300)을 제어하는 직접 제어기(Direct Digital Controller)로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와 상호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이에 포함된 운전 로직들을 운전함으로써 상기 설비들(300)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설비들(3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장비(400), 예를 들어 각각의 센서 및 조작 기기들에 설정된 물리적 관제점을 통해 건물 내 설비들의 제어출력 및 상태 변화 등을 포함한 모든 설비관련 정보를 기록하거나 저장한다.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 내의 운전 로직에 따라 상기 설비(300) 또는 장비(400)를 제어 또는 감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와 연결되어서, 필요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한다. 그에 따라, 건물 내에 설치된 공조 및 기타 설비의 각 관제점들을 감시 또는 제어하고, 상기 각 관제점들에 내장된 함수를 이용하여 설비(300) 또는 장비(400)의 입출력 신호를 직접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비 제어장치(200)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300) 사이에 연결되어 관제 프로그램의 운전 로직을 수신하고, 상기 운전 로직을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설비 제어장치(200)는 그 실행 결과를 상기 중앙 관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는, 상기 운전 로직을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에 전송하고, 상기 설비 제어장치(200)로부터 상기 운전 로직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수단으로 통신유닛(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실행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출력유닛(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유닛(미도시)은 생성된 운전 로직을 포함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에 전달하여서 상기 설비들(300)을 제어 또는 감시하도록 하거나, 상기 설비 제어 장치(200)로부터 상기 설비들(3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유닛(미도시)을 통해 사용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제 서버(100)와, 설비 제어 장치(200), 및 각 설비들(3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어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백넷(Building Automation &Control Network; BACnet)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한 설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가상의 관제점을 이용하여 물리적 관제점에 연결된 설비를 제어 또는 감시하는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조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 관제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설비(300), 도시된 예에서 조명1, 조명2, 및 조명3, 를 감시 또는 제어하기 위한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관제 프로그램은, 사용자 화면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1레이어모듈(130) 및 제2레이어모듈(140)을 생성하고, 상기 제1레이어모듈(130) 및 제2레이어모듈(140)에 형성된 관제점 포인트(point)들을 서로 바인딩하고, 생성된 제1레이어모듈(130)의 포인트(point)들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에 매핑하는 방식으로 생성된다. 즉, 관제 프로그램의 생성을 위해 적어도 가상의 관제점을 포함하는 제1층과 등록된 물리적 관제점을 포함하는 제2층을 서로 매핑하여서 설비(300)에 대한 운전 로직을 실행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어모듈(130, 140)의 생성 및 바인딩과 제1레이어모듈(1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를 매핑하는 순서는 서로 바뀌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제1레이어모듈(130)에 형성된 각 관제점 포인트(point)들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생성된 가상의 관제점과 기등록된 물리적 관제점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1레이어모듈(130)의 다수의 관제점 포인트(point)들은 제2레이어모듈(140)의 하나의 물리적 관제점에 바인딩될 수 있다. 또, 제1레이어모듈(130)의 특정 관제점 포인트(point)는 제2레이어모듈(140)의 어느 물리적 관제점과도 바인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레이어모듈(130)에 형성된 관제점 포인트들은 제2레이어모듈(140)에 형성된 관제점 포인트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1레이어모듈(130)에 생성된 가상의 관제점은 현장에 설치된 설비(300)에 대한 물리적 관제점과는 관계가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레이어모듈(130)에 생성된 관제점 포인트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의 각 그래픽 오브젝트(125)과 매핑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들(125)에 인가되는 입력을 통해 제1레이어모듈(130)에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설정한다. 상기 운전 로직은 예를 들어, 설비(300)의 상태 정보, 이력관리 및 조회, 스케쥴의 설정 및 조회 등과 같은 기능 또는 서비스를 가리킨다. 상기와 같은 운전 로직이 설정된 제1레이어모듈(130)은 물리적 관제점만으로 이루어진 제2레이어모듈(140)에 바인딩되어서 설비(300)를 제어하는 관제 프로그램이 생성된다. 이때, 상기 바인딩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행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초기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바인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일반적인 설비 관제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물리적 관제점에 연결된 설비를 직접 제어 또는 감시하는 구조를 도시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관제 서버(100)는 사용자 화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물리적 관제점에 대한 직접적인 운전 로직을 생성하고, 그에 따라 설비(300)를 감시 또는 제어하기 위한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설비 관제 시스템에서는 등록된 관제점들에 대해 직접적인 감시 또는 제어만이 이루어지게 되며, 필요에 따라 설비(300)에 대한 서비스 또는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제점을 설정하고 등록해야만 한다. 그러나 새로운 관제점의 설정 및 등록 과정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에 의하면, 가상의 관제점을 제1레이어모듈에 생성하고, 이를 물리적 관제점으로만 이루어진 제2레이어모듈에 바인딩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물리적 관제점을 생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1레이어모듈과 제2레이어모듈을 바인딩하기 전에 제1레이어모듈을 먼저 시뮬레이션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 추가된 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검토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중앙 관제 서버에 하나 이상의 설비에 대한 물리적 관제점을 등록한다(S10). 이러한 물리적 관제점의 등록은, 현장에 설치된 설비 또는 장비에 대응하여 미리설정된 관제점에 대한 설정정보를 예를 들어, 중앙 관제 서버의 메모리 등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가상의 관제점을 생성한다(S20). 이때, 상기 가상의 관제점은 설비 관제 시스템에 물리적 관제점으로 설정 및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설비에 대한 기능 또는 서비스 추가를 위해 필요한 포인트(point)를 의미한다. 즉, 가상의 관제점은 물리적 관제점과는 관계가 없다.
예를 들어, 고층 빌딩내에 설치된 여러 개의 조명들 또는 온도센서들이 설비가 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 관제점은 상기 조명들 또는 온도센서들에 대해 설정된다. 그러나, 빌딩의 10층에 설치된 온도센서들로부터 평균온도 값을 구하여 경고 알람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어할 물리적 관제점이 없다. 즉, 10층의 평균온도 값은 물리적 관제점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기능을 추가하려면 10층 평균온도 값을 갖는 온도센서에 대한 가상의 관제점을 설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가상의 관제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설정한다(S30). 여기서, 상기 운전 로직은 예를 들면, 10층 평균온도값을 갖는 온도센서에 대한 관제점 값을 입력하여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경고 알람을 발생하도록 구현하는 로직을 가리킨다.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포함하는 가상의 관제점과 물리적 관제점을 포함하는 제1레이어모듈을, 물리적 관제점으로 이루어진 제2레이어모듈에 매핑하여 상기 설비, 예를 들어 조명 또는 온도센서를 운전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한다(S40). 상기 관제 프로그램은 설비 제어 장치에 수신되어서 실행됨으로써 설비에 대한 감시 또는 제어를 수행한다(S5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이 운전 방법은, 상기 설정된 운전 로직을 실행하여 가상의 관제점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현장에 설치된 실제 설비들에 대한 직접 제어를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의 관제점을 포함하는 제1레이어모듈에 대해서만 운전 로직을 실행하여 설비에 대한 감시 또는 제어의 서비스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는 소정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이 기매핑된 상태이면,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의 매핑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은, 중앙 관제 서버의 사용자 화면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가상의 관제점에 매핑하고, 상기 사용자 화면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서 관제 프로그램의 생성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은, 생성된 관제 프로그램을 설비 제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설비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관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의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은, 설비 관제 시스템에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를 추가하는 경우에도, 물리적 관제점을 추가로 설정할 필요 없이 가상의 관제점을 설정하여 운전 로직을 생성하고 이를 기존의 물리적 관제점에 매핑하는 방식으로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함으로써, 기존의 설비 관제 시스템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은, 가상의 관제점에 대해서만 관제점 값을 입력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차후 추가할 서비스를 미리 검토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에 기여한다.
100 - 중앙 관제 서버 12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25 - 그래픽 오브젝트 130 - 제1레이어모듈
135 - 가상 관제점 140 - 제2레이어모듈
145 - 물리적 관제점 200 - 설비 제어 장치
300 - 설비 400 - 장비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설비; 및
    하나 이상의 물리적 관제점을 등록하고, 상기 물리적 관제점을 통해 상기 설비를 운전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중앙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가상의 관제점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의 관제점 및 상기 물리적 관제점으로 이루어진 제1레이어모듈을 생성하고, 상기 제1레이어모듈을 상기 물리적 관제점으로 이루어진 제2레이어모듈에 매핑하여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관제점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제2레이어모듈의 물리적 관제점에 자동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가상의 관제점이 변경되면 제1레이어모듈의 설정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상기 물리적 관제점이 변경되면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의 설정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의 설정 정보, 상기 중앙 관제 서버의 사용자 화면 그래픽, 및 상기 관제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사용자 화면을 통해 상기 가상의 관제점 및 물리적 관제점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상기 사용자 화면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의 관제점에 매핑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사용자 화면을 통해 관제 프로그램의 생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가상의 관제점을 설정 또는 제거하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의 매핑을 해제하고 상기 가상 관제점에 설정된 운전 로직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서버와 상기 설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설비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11. 설비에 대한 물리적 관제점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가상의 관제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의 관제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의 관제점 및 물리적 관제점을 포함하는 제1레이어모듈을 상기 물리적 관제점으로 이루어진 제2레이어모듈에 매핑하여 상기 설비를 운전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운전 로직을 실행하여 가상의 관제점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이 매핑된 상태이면, 상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레이어모듈 및 제2레이어모듈의 매핑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중앙 관제 서버의 사용자 화면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의 관제점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화면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관제 프로그램의 생성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생성된 관제 프로그램을 설비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설비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관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
KR1020110116625A 2011-11-09 2011-11-09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KR101343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25A KR101343589B1 (ko) 2011-11-09 2011-11-09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PCT/KR2012/007704 WO2013069886A1 (en) 2011-11-09 2012-09-25 Facilitie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25A KR101343589B1 (ko) 2011-11-09 2011-11-09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334A true KR20130051334A (ko) 2013-05-20
KR101343589B1 KR101343589B1 (ko) 2013-12-19

Family

ID=4829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625A KR101343589B1 (ko) 2011-11-09 2011-11-09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43589B1 (ko)
WO (1) WO2013069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765B1 (ko) * 2013-12-27 2016-02-1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네트워크 맵을 이용한 빌딩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43557B1 (ko) 2014-02-21 2014-09-25 (주)주인정보시스템 가상의 에이전트를 통한 원격 계장 계측 감시 제어 시스템
CN104808592B (zh) 2015-03-13 2016-06-01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虚拟上位机的数控系统
KR20160129560A (ko) 2015-04-30 2016-11-09 이종복 무동력 여과형 비점오염 처리장치
US11782410B2 (en) 2020-06-06 2023-10-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control logic distributed between a virtual controller and a smart edge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4026A (ja) * 1999-06-30 2001-0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転管理装置、運転管理システム、運転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9003830A (ja) * 2007-06-25 2009-01-08 Daikin Ind Ltd 遠隔管理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KR20110090694A (ko) * 2010-02-04 2011-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KR101214488B1 (ko) * 2010-02-04 2012-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589B1 (ko) 2013-12-19
WO2013069886A1 (en)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7186B1 (ko) 가상화 시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KR101343589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WO2017017956A1 (ja) 情報作成方法、記録媒体、情報作成装置、情報作成システム
KR101937203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US20130231782A1 (en) Integrated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various city functionalities
US202103824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virtual controllers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KR101305292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US117200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irtual controllers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11493893B2 (en) Integrated intelligent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11782410B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control logic distributed between a virtual controller and a smart edge controller
US20210382474A1 (en) Virtual control system with failsafe mode
KR20190061833A (ko) 개방형 운영관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사용한 운영 방법
KR101214488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WO2019116485A1 (ja) 設備管理用ローカルサーバ及び代行管理用センターサーバ
TWI803829B (zh) 智慧建築整合管理系統
KR102406905B1 (ko) 산업 IoT 플랫폼을 이용한 엣지 컴퓨팅 기반 HMI 시스템
JP2003185234A (ja) グルーピング制御方式空調通信装置、空調装置グルーピング方法及び空調装置グルーピングプログラム
KR20080060766A (ko) 빌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46142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JP2003288209A (ja) オブジェクト利用ゲートウェイ装置
JP5599333B2 (ja)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
WO2020246594A1 (ja)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の制御方法
WO2020189378A1 (ja) 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機器管理サービスの提供方法
KR20110087640A (ko) 설비 관제 시스템, 이의 운전 방법, 이의 관제점을 저장한 저장 매체
KR20090067275A (ko) 3 차원 가상 빌딩 플랫폼을 이용한 빌딩 조명 관리 시스템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