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665A - 침대용 사이드레일 - Google Patents

침대용 사이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665A
KR20130049665A KR1020110114814A KR20110114814A KR20130049665A KR 20130049665 A KR20130049665 A KR 20130049665A KR 1020110114814 A KR1020110114814 A KR 1020110114814A KR 20110114814 A KR20110114814 A KR 20110114814A KR 20130049665 A KR20130049665 A KR 20130049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rail
bed
housing
hin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716B1 (ko
Inventor
김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102011011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7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4Side-rail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accessories, e.g. bed control means, nurse call or read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레일보드가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회동함에 따라, 침대의 측부에서 측벽을 형성하거나 또는 침대의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침대용 사이드레일(side rail)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사이드레일은, 사이드레일보드; 상기 사이드레일보드가 침대의 측면 상측으로 올려진 상태의 상한 위치에서 침대의 측면 하측으로 내려진 상태의 하한 위치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안내되면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수단; 및 상기 사이드레일보드가 상한 위치로 이동했을 때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래칭수단;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침대용 사이드레일{SIDE RAIL FOR BED}
본 발명은 침대용 사이드레일(side rail)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레일보드가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회동함에 따라, 침대의 측부에서 측벽을 형성하거나 또는 침대의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침대용 사이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환자용 침대나 유아용 침대 등은 침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사이드레일(side rail)을 침대의 양측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종래 개시된 침대용 사이드레일의 일 예로는, 도 1에 도시된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1277호의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한 종래 침대용 사이드레일은, 침대 본체 프레임(10) 양측에 하부 프레임(11)이 고정되고, 하부 프레임(11)의 상부에 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봉(12)으로 상부프레임(13)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이드레일의 작동 과정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3) 및 지지봉(12)이 함께 한쪽 방향으로 회동하듯 이동함으로써 하부 프레임(11) 위로 포개어지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침대용 사이드레일은, 상부 프레임(13), 지지봉(12) 및 하부프레임(11)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매우 복잡한 힌지 연결 구조가 요구된다. 그리고, 각 연결 부위마다 힌지 연결되어야 하므로 이 연결 부위 중 어느 하나라도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면 사이드레일 전체가 작동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회동 후 하부 프레임(11)의 상측에서 지지봉(12)과 상부 프레임(13)이 적층되는 구조이어서, 이렇게 적층된 사이드레일이 침대의 측면 상측으로 여전히 돌출되어, 침대 사용자가 침대의 측면 방향으로 내려오거나, 침대를 사용하는 환자를 침대 측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장애물이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침대용 사이드레일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단순한 힌지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조의 단순화를 실현하고, 사이드레일의 상하 이동시 작동 편의성이 향상되며, 사이드레일의 하향 이동이 완료되었을 때 침대의 측면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침대용 사이드레일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사이드레일은, 사이드레일보드; 상기 사이드레일보드가 침대의 측면 상측으로 올려진 상태의 상한 위치에서 침대의 측면 하측으로 내려진 상태의 하한 위치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안내되면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수단; 및 상기 사이드레일보드가 상한 위치로 이동했을 때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래칭수단;이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일측이 상기 사이드레일보드에 제1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는 하우징; 일측이 상기 제1힌지핀의 위치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사이드레일보드에서 제2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는 힌지바; 및 침대의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측이 제3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바의 타측이 상기 제3힌지핀의 위치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제4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는 브라켓;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락킹핀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래칭수단은, 중앙부위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제5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고, 하단부에 회동에 따라 상기 락킹핀에 걸리거나 상기 락킹핀으로부터 이탈되는 후크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가압홈이 형성되는 락킹바; 상부가 상기 절개부의 일측에서 제6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면서 상기 절개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내측면에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의 단부에 상기 가압홈으로 삽입되는 가압핀이 형성되어, 하부가 상방 회동함에 따라 상기 가압핀에 의해 상기 가압홈이 가압되도록 하여 상기 락킹바를 회동시키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의해 회동하게 된 상기 락킹바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락킹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락킹바에 고정되는 코일형 리턴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핀과 상기 제4힌지핀은 일체로 연장된 하나의 연장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3힌지핀을 축으로 회동할 때, 회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속도저감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 구조가 아닌 평판 형상의 사이드레일보드가 적용되므로, 침대의 측면 상측으로 측벽이 형성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나 가드(guard) 기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다수의 파이프가 복잡하게 얽히는 힌지 구조를 탈피하여, 사이드레일보드와 하우징, 그리고 하우징과 브라켓이 서로 힌지 결합되는 단순한 힌지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장점에 기인하여 내구성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하우징에 결합된 핸들을 회동시키는 동작만으로 사이드레일보드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동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이드레일보드가 회동하면서 상하 이동하는 구조이고, 침대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의 위치 선택이 자유롭기 때문에, 사이드레일보드가 하향 이동 완료되었을 때 침대의 측면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침대용 사이드레일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사이드레일이 설치된 침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사이드레일을 나타낸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침대용 사이드레일의 분해 사시도,
도 5은 도 4에 도시된 래칭수단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침대용 사이드레일의 작동 상태를 알 수 있는 측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사이드레일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사이드레일(1)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레일보드(100)와, 가이드수단과, 래칭수단이 포함된다.
사이드레일보드(100)는 대체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이드레일이 종래 사이드레일과 같이 파이프 타입의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본 실시예와 같이 관통부위가 형성되지 않은 평판 형상의 사이드레일보드(100)가 포함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침대용 사이드레일(1)은 침대의 측방으로 측벽이 형성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침대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나, 사이드레일이 수행하는 가드(guard) 기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사이드레일보드(100)의 일측에는 사이드레일보드(100)의 상하 이동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레일보드(100)는 침대의 측면 상측으로 올려진 상한 위치와 하측으로 내려진 하한 위치 사이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침대의 측방으로 사이드레일보드(100)에 의한 측벽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침대의 측방이 개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사이드레일보드(100)가 상하로 이동될 때 안내되면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수단이 포함된다.
가이드수단은, 구체적인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 힌지바(220), 그리고 브라켓(23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가이드수단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이드레일보드(100)가 사용 편의성, 미감 등을 고려하여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 후술할 하우징(210) 및 힌지바(220)와 사이드레일보드(100) 간 연결 구조에 있어서 견고한 연결 구조를 갖도록, 사이드레일보드(100)보다 더 강성을 갖는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별도의 플레이트(110)가 사이드레일보드(100)와 일체를 이루도록 사이드레일보드(100)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사이드레일보드(100)의 내측면에 부착 고정된다. 플레이트(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사이드레일(1)의 전체적인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그리고, 사이드레일보드(100)가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가급적 침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레이트(110)에 힌지 결합되는 후술할 하우징(210) 및 힌지바(220)의 각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플레이트(110)에 하우징 결합홈부(111) 및 힌지바 결합홈부(11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레일보드(100)의 내측면에는 동일한 이유로, 플레이트(110)가 부착 고정되었을 때 플레이트(110)의 내측면이 사이드레일보드(1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사이드레일보드(100)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술한 플레이트(110)가 안착되는 함몰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일측,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상측이 플레이트(110)의 하우징 결합홈부(111)에 삽입되어 제1힌지핀(51)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하우징(210)의 타측, 구체적으로 하측은 후술할 브라켓(230)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210)은 내측에 후술할 래칭 수단이 수용 결합되는데, 구체적인 결합 구조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사이드레일보드(100)는, 하우징(210)이 제1힌지핀(51)으로 플레이트(110)에 힌지 결합되는 구조에 의존해서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배치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가이드수단은 사이드레일보드(100)가 상하로 회동하면서 이동하는 중에는 물론이고 상한 위치로 이동이 완료되거나 하한 위치로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사이드레일보드(100)의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힌지바(220)가 포함된다.
힌지바(220)는 하우징(210)의 측부에 배치되면서, 힌지바(220)의 일측, 구체적으로 상측이 플레이트(110)의 힌지바 결합홈부(112)에 삽입되어 제2힌지핀(52)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이때, 제2힌지핀(52)은 제1힌지핀(51)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플레이트(110)의 위치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힌지바 결합홈부(112)는 하우징 결합홈부(111)로부터 플레이트(110) 상에서 상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힌지핀(52)이 제1힌지핀(51)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플레이트(110)의 위치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설계상이나 기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다.
사이드레일보드(100)는, 이와 같이 힌지바(220)가 플레이트(110) 상에서 하우징(210)의 힌지 결합 부위와 높이를 달리하여 힌지 결합됨으로써, 항상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브라켓(230)은, 침대의 측면에 배치되는 침대 프레임에 고정된다. 브라켓(230)은 구체적으로 침대 프레임에 접하여 고정되는 배면부(231)와, 배면부(231)의 좌우 양측에서 절곡 형성되는 측벽부(232)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210)의 타측, 구체적으로 하측은 브라켓(23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하우징(210)의 하측이 양 측벽부(232)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측벽부(232)를 관통하는 제3힌지핀(53)에 의해 브라켓(23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바(220)의 타측 또한 브라켓(23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힌지바(220)의 하측이, 양 측벽부(232)에서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4힌지핀(54)에 결합됨으로써, 브라켓(23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4힌지핀(54)은, 상술한 제1힌지핀(51) 및 제2힌지핀(52)이 서로 이격되는 위치의 플레이트(110) 상에 결합되는 관계상, 하우징(210)과 힌지바(220)가 서로 동일한 회동 반경을 갖도록, 제3힌지핀(53)으로부터 상방으로 제1힌지핀(51)과 제2힌지핀(52)의 이격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브라켓(230)의 위치에 형성된다.
하우징(210) 및 힌지바(220)의 사이드레일보드(100) 및 브라켓(230)에 대한 상술한 힌지 결합 구조에 의해, 사이드레일보드(100)는 하우징(210) 및 힌지바(220)에 대하여, 그리고 하우징(210) 및 힌지바(220)는 브라켓(23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며, 결국 사이드레일보드(100)는 하우징(210) 및 힌지바(220)를 매개로 브라켓(23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힌지바(220)는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지만, 사이드레일보드(10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우징(210)의 좌우 양측에서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래칭수단은 사이드레일보드(100)가 상한 위치로 이동 완료하였을 때 사이드레일보드(1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거나, 하한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바(310)와, 핸들(320)과, 탄성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락킹바(310)는, 하우징(2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락킹바(310)의 중앙 부위가 하우징(210)의 내측에서 제5힌지핀(55)에 의해 결합되어 하우징(2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락킹바(310)는 하단부에 후크부(311)가 형성된다. 후크부(311)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우선 브라켓(230)에는 후크부(311)가 걸릴 수 있는 락킹핀(233)이 형성될 수 있다. 락킹핀(233)은 양 단부가 브라켓(230)의 양 측벽부(232)에 고정됨으로써 양 측벽부(232)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형성된다.
락킹핀(233)은 제조 편의성이나 브라켓(230)에의 조립 편의성을 고려하여, 상술한 제4힌지핀(54)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4힌지핀(54)과 락킹핀(233)이 일체로 연장된 하나의 연장핀(54,233)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 연장핀(54,233)을 브라켓(230)의 양 측벽부(232)로 관통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양 측벽부(232) 사이로 배치되는 부위가 락킹핀(233)이 되고, 양 측벽부(232)의 외측에서 좌, 우 양측으로 연장되는 부위가 제4힌지핀(54)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후크부(311)는, 사이드레일보드(100)가 상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락킹바(310)가 제5힌지핀(55)을 축으로 회동함에 따라, 락킹바(310)의 하부가 상방으로 들려지도록 회동하면 락킹핀(233)으로부터 이탈되고, 락킹바(310)의 하부가 하방으로 내려가도록 회동하면 락킹핀(233)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락킹바(310)는 상단부에 후술할 핸들(320)의 가압핀(323)이 삽입되는 가압홈(312)이 형성된다.
핸들(320)은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는 것으로, 핸들(320)의 회동에 따라 락킹바(310)가 연동하여 회동하게 된다.
우선, 하우징(210)에는 핸들(320)이 결합되는 절개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들(320)은 상부가 절개부(211)에 제6힌지핀(56)으로 힌지 결합되면서, 절개부(211)를 덮게 된다. 핸들(320)은 절개부(211)에 힌지 결합되기 위하여 상부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결합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개부(211)의 양 측부에도 결합부(321)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211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21)가 절곡부(211a)에 포개어지도록 절개부(211)로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321) 및 절곡부(211a)에 서로 연통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힌지홀(56a)을 통해 제6힌지핀(56)이 결합됨으로써, 핸들(320)이 절개부(21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320)은 이와 같이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210)의 외측 방향으로 핸들(320)의 하부가 상향 회동할 수 있다.
핸들(320)의 내측면에는 연장부(322)가 연장 형성되며, 이 연장부(322)의 단부에 락킹바(310)의 가압홈(312)으로 삽입될 수 있는 가압핀(323)이 형성된다. 연장부(322)는 그 단부에서 가압핀(323)의 일단이 고정되는 하나의 연장부(322)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핀(323)의 양단이 고정되는 한 쌍의 연장부(322)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압핀(323)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부(322)에 양 단부가 고정되면서 한 쌍의 연장부(322)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압핀(323)은 가압홈(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핸들(320)의 하부가 하우징(210) 외측방향이면서 상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회동과정에서 가압홈(312)을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홈(312)이 가압됨에 따라 락킹바(310)가 핸들(320)과 연동하여 회동하게 되고, 락킹바(310)의 회동에 따라 락킹바(310)의 하부가 들려지도록 회동하여 락킹핀(23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한편, 탄성수단은 위와 같이 핸들(320)의 회동에 연동하여 락킹바(310)의 하부가 들리도록 회동하였을 때, 락킹바(310)가 원위치 복귀되도록, 그리고 락킹바(310)와 연동하는 핸들(320) 또한 원위치 복귀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탄성수단은 구체적인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의 리턴스프링(3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리턴스프링(331)은 일단이 하우징(210)에 고정되고 타단이 락킹바(310)에 고정되어 락킹바(310)의 회동시 락킹바(310)에 대하여 반전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리턴스프링(331)의 타단이 락킹바(310) 상측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락킹바(310)는 그 하부가 하방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락킹바(310)의 상측 외측면에는 리턴스프링(331)이 고정되도록 단턱(313)이 형성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결합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턴스프링(331)은 타단이 락킹바(310) 하측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리턴스프링(331)은 상술한 탄성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사이드레일보드(100)가 상한 위치에서 하한 위치로 이동할 때나 그 반대로 이동할 때, 다시 말해 하우징(210)이 제3힌지핀(53)을 축으로 회동할 때, 사이드레일보드(100)의 이동 완료 시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음이 최소화되도록, 하우징(210)의 회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속도저감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속도저감수단의 구체적인 일 예로는, 도시된 바와 같은 공압 실린더(410)가 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린더 몸체(411)의 단부가 하우징(210)의 측부에 결합되고, 피스톤 로드(412)의 단부가 브라켓(230)의 측벽부(232) 일측에 결합되어, 하우징(210)의 회동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사이드레일(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레일보드(100)는 상한 위치로 이동 완료한 상태에서 후크부(311)가 락킹핀(233)에 걸려 있게 되어 위치 고정된다. 이때, 락킹바(310) 및 이와 연동하는 핸들(320)은 리턴스프링(331)으로부터 제공받는 탄성력으로 인해 회동이 멈춰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320)을 회동시키지 않는 한, 후크부(311)는 락킹핀(23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턴스프링(331)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핸들(320)을 회동시키면, 핸들(320)의 회동에 연동하여 락킹바(310)가 회동하게 되고, 락킹바(310)의 하부가 상향 들리도록 회동하면서 락킹핀(233)으로부터 후크부(311)가 이탈된다. 사이드레일보드(100)는 후크부(311)가 락킹핀(233)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위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표시된 도면부호 중 234는 브라켓(230)을 침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이고, 221은 부싱(bushing)을, 그리고, 222는 마감캡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침대용 사이드레일 51; 제1힌지핀
52; 제2힌지핀 53; 제3힌지핀
54; 제4힌지핀 55; 제5힌지핀
56; 제6힌지핀 56a; 힌지홀
100; 사이드레일보드 101; 함몰부
110; 손잡이부 110; 플레이트
111; 하우징 결합홈부 112; 힌지바 결합홈부
210; 하우징 211; 절개부
211a; 절곡부 220; 힌지바
230; 브라켓 231; 배면부
232; 측벽부 233; 락킹핀
310; 락킹바 311; 후크부
312; 가압홈 313; 단턱
320; 핸들 321; 결합부
322; 연장부 323; 가압핀
331; 리턴스프링 410; 공압 실린더

Claims (8)

  1. 사이드레일보드;
    상기 사이드레일보드가 침대의 측면 상측으로 올려진 상태의 상한 위치에서 침대의 측면 하측으로 내려진 상태의 하한 위치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안내되면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수단; 및
    상기 사이드레일보드가 상한 위치로 이동했을 때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래칭수단;이 포함되는 침대용 사이드레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일측이 상기 사이드레일보드에 제1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는 하우징;
    일측이 상기 제1힌지핀의 위치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사이드레일보드에서 제2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는 힌지바; 및
    침대의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측이 제3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바의 타측이 상기 제3힌지핀의 위치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제4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는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사이드레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락킹핀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래칭수단은,
    중앙부위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제5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고, 하단부에 회동에 따라 상기 락킹핀에 걸리거나 상기 락킹핀으로부터 이탈되는 후크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가압홈이 형성되는 락킹바;
    상부가 상기 절개부의 일측에서 제6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되면서 상기 절개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내측면에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의 단부에 상기 가압홈으로 삽입되는 가압핀이 형성되어, 하부가 상방 회동함에 따라 상기 가압핀에 의해 상기 가압홈이 가압되도록 하여 상기 락킹바를 회동시키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 의해 회동하게 된 상기 락킹바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락킹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사이드레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락킹바에 고정되는 코일형 리턴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사이드레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락킹핀과 상기 제4힌지핀은 일체로 연장된 하나의 연장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사이드레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3힌지핀을 축으로 회동할 때, 회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속도저감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사이드레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속도저감수단은, 실린더 몸체와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몸체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사이드레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레일보드의 일측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사이드레일.
KR1020110114814A 2011-11-04 2011-11-04 침대용 사이드레일 KR101321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814A KR101321716B1 (ko) 2011-11-04 2011-11-04 침대용 사이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814A KR101321716B1 (ko) 2011-11-04 2011-11-04 침대용 사이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665A true KR20130049665A (ko) 2013-05-14
KR101321716B1 KR101321716B1 (ko) 2013-10-28

Family

ID=4866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814A KR101321716B1 (ko) 2011-11-04 2011-11-04 침대용 사이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7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59Y1 (ko) * 2013-10-24 2015-02-24 성심의료산업 주식회사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WO2018224062A1 (en) * 2017-06-06 2018-12-13 Linet Spol. S R.O. Siderail assembly, especially for hospital be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0806B1 (ja) * 1998-07-28 1999-11-02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等における格納型側柵
JP3877130B2 (ja) * 2000-11-02 2007-02-07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等における格納型側柵
JP4650951B2 (ja) * 2006-07-03 2011-03-16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等の仰臥台における側柵のステーロック機構
US8176583B2 (en) * 2010-03-15 2012-05-15 Hill-Rom Services, Inc. Siderail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59Y1 (ko) * 2013-10-24 2015-02-24 성심의료산업 주식회사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WO2018224062A1 (en) * 2017-06-06 2018-12-13 Linet Spol. S R.O. Siderail assembly, especially for hospital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716B1 (ko)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5175B2 (en) Corner assembly for a foldable child enclosure
JP2006299533A (ja) 収納家具
ITMI20070348A1 (it) Seggiolino da tavolo con seduta rotante
KR101321716B1 (ko) 침대용 사이드레일
JP5405543B2 (ja) ベッドサイドテーブル
EP2948607B1 (en) Cover assembly for a spa and a spa comprising such a cover assembly
KR20130049655A (ko) 승강수단이 구비된 테이블
JP2016158688A (ja) 昇降棚
KR200461319Y1 (ko)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KR101272499B1 (ko) 침대용 사이드레일의 록킹장치
JP4843770B2 (ja) 診察台、脚体
JP6301649B2 (ja) ベッドサイド構造
KR20140001416A (ko) 침대의 개폐식 사이드레일
KR20130006785U (ko)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JP6004567B2 (ja) オーバーベッドテーブル
JP5472899B2 (ja) 双輪キャスター
KR20220087351A (ko) 수직 개폐형 수납공간부가 구비된 침대
JP2013056093A (ja) 点滴スタンド
KR100907754B1 (ko) 모니터 내장용 컴퓨터 책상
KR200476259Y1 (ko)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JP6543524B2 (ja) 寝台装置
KR20140120599A (ko) 침대용 사이드레일
KR20140120442A (ko) 이동식 접이 침대
JP2019080838A (ja) 電動ベッド
JP2010174485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