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319Y1 -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 Google Patents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319Y1
KR200461319Y1 KR2020110010392U KR20110010392U KR200461319Y1 KR 200461319 Y1 KR200461319 Y1 KR 200461319Y1 KR 2020110010392 U KR2020110010392 U KR 2020110010392U KR 20110010392 U KR20110010392 U KR 20110010392U KR 200461319 Y1 KR200461319 Y1 KR 200461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locking pin
medical bed
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홍
Original Assignee
서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홍 filed Critical 서진홍
Priority to KR2020110010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6Restraining en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절첩식, 스윙식 및 승강식 사이드 프레임과 달이 사용자의 간단한 핸들 조작에 의하여 도어가 여닫이 형식으로 열리도록 하여 안정성과 편리성이 강화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의료용 침대의 본체 프레임 측방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하단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며, 외면에 제1록킹홈과 제2록킹홈이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마련되는 고정부 힌지체가 일 측단에 형성되는 고정부 프레임; 일 측단에 상기 고정부 힌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부 힌지체가 형성되는 도어부 프레임; 및 상기 도어부 프레임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외주면 일부에 슬라이드공이 관통 형성되는 중공 관체의 록킹핀 하우징과, 상기 록킹핀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록킹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직선운동을 하는 록킹핀과,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하여 상기 록킹핀에 결합하는 핸들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록킹핀이 제1록킹홈 또는 제2록킹홈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거나 결합 해제됨으로써 도어부 프레임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에 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A lateral frame of a medical bed}
본 고안은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또는 사이드 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절첩식이나 스윙식 사이드 프레임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끼는 등의 안전사고를 초래할 우려가 없으며, 사용자가 침대로부터 출입이 자유롭도록 설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침대는 주로 병원시설이나 요양시설에서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휴식, 치료 및 숙면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의료기기법과 같은 관련 규정에 의하여 그 규격이나 설계가 규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의료용 침대에 관하여는 그동안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공개된 바 있으며,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제20-0276910호 "환자용 침대의 절첩장치가 있는 사이드 레일의 설치구조"과 등록실용신안 제20-0426279호 "감속 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레일" 외에 등록실용신안 제20-0346111호 "의료용 침대의 스윙식 핸드 레일"(2004.03.26), 공개특허 제10-2011-0117802호 "사이드레일 강화형 의료용 침대"(2011.10.28)와 같은 것들이 그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의료용 침대들은 모두 사용자가 침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이드 레일 또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바 종래의 사이드 레일들은 대게 사용자가 침대의 내외부로 출입하기 위하여 절첩식, 스윙식 및 승강식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침대로부터 벗어나거나 침대로 들어가고자 하는 경우 사이드 프레임을 절첩식으로 접어 높이를 낮추거나 스윙시켜 아래로 내린 후 이동하곤 하였다. 이외에 사이드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식도 함께 존재하였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사이드 레일들에 의하면 사용 도중 환자나 보호자의 신체의 일부가 틈새에 끼어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그에 따라 최근 개정된 의료기기법 관련 규정에서는 기존의 절첩식 사이드 레일의 사용을 지양하는 것으로 개정되었다.
이에 사용자의 출입이 자유롭고 사용하기가 편리하도록 사이드 프레임을 개선해야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76910호 "환자용 침대의 절첩장치가 있는 사이드 레일의 설치구조"(2002.05.27) 등록실용신안 제20-0426279호 "감속 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레일"(2006.09.19) 등록실용신안 제20-0346111호 "의료용 침대의 스윙식 핸드 레일"(2004.03.26) 공개특허 제10-2011-0117802호 "사이드레일 강화형 의료용 침대"(2011.10.28)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절첩식, 상하 슬라이드식 및 스윙식 사이드 레일들의 단점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끼어 부상을 당할 우려가 없어 안전하며,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아울러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고 침대에의 조립성이 우수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의료용 침대의 본체 프레임 측방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하단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며, 외면에 제1록킹홈과 제2록킹홈이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마련되는 고정부 힌지체가 일 측단에 형성되는 고정부 프레임; 일 측단에 상기 고정부 힌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부 힌지체가 형성되는 도어부 프레임; 및 상기 도어부 프레임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며 외주면 일부에 슬라이드공이 관통 형성되는 중공 관체의 록킹핀 하우징과, 상기 록킹핀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록킹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직선운동을 하는 록킹핀과,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하여 상기 록킹핀에 결합하는 핸들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록킹핀이 제1록킹홈 또는 제2록킹홈과 결합하거나 결합 해제됨으로써 도어부 프레임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 프레임의 하단에는 한 쌍의 삽입 로드가 하향 연장하여 형성되어 침대의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 관체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 힌지체는 중공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록킹홈과 제2록킹홈을 연결하는 안내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도어부 힌지체는 상?하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 힌지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부 힌지체의 배면에는 상기 도어부 프레임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 블록이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절첩식, 스윙식 및 승강 슬라이드식 사이드 레일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틈새에 끼어 부상을 당할 우려가 적어 안전하며, 사용자는 간단한 핸들 조작만으로 사이드 프레임의 도어를 개폐하여 출입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의 구조가 간단하고 구성 부품의 수가 적으며 각 구성요소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생산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강하여 잘 고장이 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이드 프레임을 장착한 의료용 침대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이드 프레임의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모습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주요부 구성요소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조립도.
도4는 도3의 절단선 IV-IV에 따른 종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의 배면도.
도6 및 도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사이드 프레임의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이드 프레임을 장착한 의료용 침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사이드 프레임의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모습을 보인 사용 상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주요부 구성요소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조립도이며, 도4는 도3의 절단선 IV-IV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100,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이드 프레임이라 약칭한다)은 의료용 침대(10)의 양 측방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낙상을 방지하고 출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100)은 챔대(10)의 일 측면에 전후 한 쌍으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2a는 헤드보드(head board), 12b는 풋보드(foot board), 13은 지지대 및 14는 바퀴를 나타낸다.
상기 본체 프레임(11)의 측면 또는 상면에는 중공 관체의 수용 관체(15)가 고정 결합하고 후술할 삽입로드(123)가 이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100)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도어부 프레임(110)과 고정부 프레임(120)이 그것이다.
상기 고정부 프레임(120)은 중공 파이프 등을 벤딩하여 형성하는 벤딩 관체(121a)와 상기 벤딩 관체(121a)의 일측 선단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 결합하는 세로바(122) 및 상기 벤딩 관체(121a)와 상기 세로바(122) 간을 가로로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 관체(121b)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부 프레임(12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구애될 필요는 없다.
상기 세로바(122)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 원통 형상의 고정부 힌지체(130)가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 결합한다. 상기 고정부 힌지체(130)의 외주면 상에는 제1록킹홈(131)과 제2록킹홈(132)이 일정 간격 이격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여기에 후술할 록킹핀(116)의 단부가 삽입하여 결합한다.
상기 제1록킹홈(131)과 제2록킹홈(132)은 고정부 힌지체(130)의 원주방향으로 약 90°각도로 이격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록킹홈(131)은 도2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부 프레임(110)이 닫힌 상태에서 록킹핀(116)이 결합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제2록킹홈(132)은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부 프레임(110)이 고정부 프레임(120)에 대하여 직각으로 열린 상태에서 록킹핀(116)이 결합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홈(131)과 상기 제2록킹홈(132)을 연결하는 외주면 상에는 안내홈(133)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상기 록킹핀(116)의 하단부가 상기 안내홈(133)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 프레임(120)의 하단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삽입 로드(123)가 하향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11)에 고정된 중공 파이프 형상의 수용 관체(15)에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도어부 프레임(110)은 상기 고정부 프레임(12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것으로서 고정부 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벤딩 관체(111a)와 세로바(112) 및 가로 관체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어부 프레임(110)의 가로 관체의 경우에는 특별히 록킹핀 하우징(113,114)이라고 구분하여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부 세로바(112)는 상기 벤딩 관체(111a)와 록킹핀 하우징(113)의 일측 선단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 결합하고, 상기 세로바(112)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한 쌍의 도어부 힌지체(140)가 고정 결합한다.
상기 도어부 힌지체(140)는 상하로 관통하는 내경부를 가지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고정부 힌지체(130)에 대하여 힌지 회동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상기 한 쌍의 도어부 힌지체(140)는 각각 고정부 힌지체(1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힌지핀 부재(151)에 의하여 결합한다.
상기 록킹핀 하우징(113)의 외주면 일부 구간에는 슬라이드공(113a)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록킹핀 하우징(113)의 내부 후단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17)이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117)의 전방측에는 봉 형상의 록킹핀(116)이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록킹핀(116)의 전방측 단부는 상기 록킹핀 하우징(113)의 외부로 노출되며, 후단부는 상기 록킹핀 하우징(113)의 내부로 인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록킹핀(116)의 외주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할 핸들(115)을 부착하기 위한 핸들 장착구(116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 장착구(116b)는 핸들(115)의 양측 선단부를 끼울 수 있도록 끼움홈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116a는 스프링(117)의 내경에 끼워지는 스프링 시트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사이드 프레임(1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도어부 프레임(110)이 도2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 프레임(12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이때 록킹핀(116)의 전단부가 제1록킹홈(131)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침대(10)를 벗어나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 도어부 프레임(110)의 핸들(115)을 손가락으로 감아 쥐면서 당기면 록킹핀(116)이 스프링(117)을 압축하여 뒤로 후퇴하면서 제1록킹홈(131)에서 해제된다.
핸들(115)을 당긴 상태에서 도어부 프레임(110)을 침대(10)의 외측 방향으로 90°각도로 회전시키면 도어부 프레임(110)이 도2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 프레임(120)과 직각을 이루는 상태인 개방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쥐고 있던 핸들(115)를 놓으면 상기 록킹핀(116)의 선단부가 상기 제2록킹홈(132)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위치 고정된다.
사용자가 도어부 프레임(110)을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켜 닫고자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핸들(115)을 당겨 조작하면 된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의 배면도인데, 상기 도어부 프레임(110)은 침대(10)의 외측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부 힌지체(140)의 후면 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134)를 형성한다. 상기 스토퍼(134)는 도어부 프레임(110)이 환자측인 침대(10)의 내측 방향으로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부 프레임(11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할 때 스토퍼(134)가 고정부 프레임(120)의 세로바(122)에 부딪혀 구속되도록 한다.
도6 및 도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사이드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들에서는 록킹핀 하우징(113)과 록킹핀 및 록킹홈(131)이 단수로 형성되며, 핸들(115a,115b)의 형상에 변화를 주었으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그것들과 대동소이하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며, 본 고안의 요지를 채택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절첩식, 스윙식 및 승강식 사이드 프레임에 비하여 환자의 신체에 대한 안정성이 높고, 구조가 간단하며, 사용하기가 편리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각종 병?의원 및 요양원 등의 의료용 침대에 널리 적용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100: 사이드 프레임 110: 도어부 프레임
111a: 벤딩 관체 112: 세로바
113,114: 록킹핀 하우징 113a: 슬라이드공
115: 핸들 116: 록킹핀
117: 스프링 120: 고정부 프레임
121a: 벤딩 관체 121b: 가로 관체
122: 세로바 123: 삽입 로드
130: 고정부 힌지체 131,132: 제1 및 제2록킹홈
133: 안내홈 134: 스토퍼
140: 도어부 힌지체

Claims (4)

  1. 의료용 침대의 본체 프레임 측방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하단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며, 외면에 제1록킹홈과 제2록킹홈이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마련되는 고정부 힌지체가 일 측단에 형성되는 고정부 프레임;
    일 측단에 상기 고정부 힌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부 힌지체가 형성되는 도어부 프레임; 및
    상기 도어부 프레임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며 외주면 일부에 슬라이드공이 관통 형성되는 중공 관체의 록킹핀 하우징과, 상기 록킹핀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록킹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직선운동을 하는 록킹핀과,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하여 상기 록킹핀에 결합하는 핸들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록킹핀이 제1록킹홈 또는 제2록킹홈과 결합하거나 결합 해제됨으로써 도어부 프레임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프레임의 하단에는 한 쌍의 삽입 로드가 하향 연장하여 형성되어 침대의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 관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힌지체는 중공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록킹홈과 제2록킹홈을 연결하는 안내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도어부 힌지체는 상?하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 힌지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 힌지체의 배면에는 상기 도어부 프레임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 블록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KR2020110010392U 2011-11-23 2011-11-23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KR200461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392U KR200461319Y1 (ko) 2011-11-23 2011-11-23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392U KR200461319Y1 (ko) 2011-11-23 2011-11-23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319Y1 true KR200461319Y1 (ko) 2012-07-04

Family

ID=4713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392U KR200461319Y1 (ko) 2011-11-23 2011-11-23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1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480B1 (ko) * 2015-04-10 2015-11-24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소화기 및 옥내소화전 타켓 방재훈련용 모의시스템
KR101684555B1 (ko) * 2015-09-14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 보드
KR102152562B1 (ko) * 2020-02-20 2020-09-08 조한표 다기능 낙상방지 보호구를 구비한 의료용 침대
KR20220057175A (ko) * 2020-10-29 2022-05-09 대건메디피아 주식회사 낙상 방지용 침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9763U (ja) 1983-04-27 1984-11-13 木村寝台工業株式会社 寝台
JPH11235253A (ja) 1998-02-20 1999-08-31 Kansai Seisakusho:Kk 寝台の側柵
JP2004121540A (ja) 2002-10-02 2004-04-22 Home Care Shonai:Kk ベッド用手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9763U (ja) 1983-04-27 1984-11-13 木村寝台工業株式会社 寝台
JPH11235253A (ja) 1998-02-20 1999-08-31 Kansai Seisakusho:Kk 寝台の側柵
JP2004121540A (ja) 2002-10-02 2004-04-22 Home Care Shonai:Kk ベッド用手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480B1 (ko) * 2015-04-10 2015-11-24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소화기 및 옥내소화전 타켓 방재훈련용 모의시스템
KR101684555B1 (ko) * 2015-09-14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 보드
KR102152562B1 (ko) * 2020-02-20 2020-09-08 조한표 다기능 낙상방지 보호구를 구비한 의료용 침대
KR20220057175A (ko) * 2020-10-29 2022-05-09 대건메디피아 주식회사 낙상 방지용 침대
KR102475931B1 (ko) * 2020-10-29 2022-12-09 대건메디피아(주) 낙상 방지용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8531B2 (en) Assist handle assemblies and beds with an assist handle assembly
KR200461319Y1 (ko)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WO2017120985A1 (zh) 一种多功能护理床
CN108578101A (zh) 一种翻转护栏式儿科护理床
CN211356364U (zh) 看护床
CN107809991B (zh) 医用床和/或护理床及用于该床的侧护栏
KR101272499B1 (ko) 침대용 사이드레일의 록킹장치
CN214964005U (zh) 一种多档可调折叠床靠头结构
KR101476267B1 (ko) 환자용 안전난간
JP4604258B2 (ja) サイドレール
US20190014910A1 (en) System for convertible bunk beds
EP2668873B1 (en) Locking for a bed safety rail
KR200426279Y1 (ko) 감속 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EP2275072A2 (en) Hospital bed with patient mobility aid device
KR101294314B1 (ko) 보호자용 보조침대를 구비한 소아환자용 침대
KR200445908Y1 (ko)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CN213489926U (zh) 一种方便陪护人员休息的新型病床
JP6140657B2 (ja) ベッド装置
CN110893138A (zh) 看护床
CN215776811U (zh) 一种床架高度调节机构
KR100721936B1 (ko) 이불거치대가 내설된 공동주택 발코니 난간
CN217660517U (zh) 一种病床护理架
CN216570565U (zh) 一种床档机构及包含该床档机构的医疗床
CN212016126U (zh) 一种精神科用防摔辅助架
CN211092976U (zh) 一种床围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