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267B1 - 환자용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환자용 안전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267B1
KR101476267B1 KR1020130037883A KR20130037883A KR101476267B1 KR 101476267 B1 KR101476267 B1 KR 101476267B1 KR 1020130037883 A KR1020130037883 A KR 1020130037883A KR 20130037883 A KR20130037883 A KR 20130037883A KR 101476267 B1 KR101476267 B1 KR 101476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tient
safety
railing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569A (ko
Inventor
최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베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베드
Priority to KR1020130037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26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1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08Side-rail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nection mechanism
    • A61G7/0509Side-rail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nection mechanism sliding or pivoting downw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 개폐형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용 침대의 측면에 설치 가능하게 하되, 안전난간이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 및 회동 개폐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난간의 개폐 작동시 매트리스와의 간섭이 방지되게 하여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환자용 의자에 설치 가능하게 하되, 안전난간이 좌판의 측면에서 프레임에 설치 및 회동 개폐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다수의 방향에서 용이하게 좌판으로의 진입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환자용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용 안전난간{Safety rail for patients}
본 발명은 회동 개폐형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용 침대나 의자 등에 설치되어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면서도 안전난간의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환자의 안전 도모와 관리자로 하여금 환자로의 접근성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환자용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환자가 누워서 수면을 취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침대와,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의자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환자용 침대는 각각의 병실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환자의 휴식 및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환자용 침대를 살펴보면, 먼저, 매트리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구조를 이루는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는 프레임 및 환자의 무게를 버티는 한편 의사나 간호사 등이 환자의 진찰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일정 높이로 부양될 수 있도록 지지대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의 양쪽 측면에는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난간이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일반적인 환자용 안전난간을 살펴보면, 도 1은 종래 안전난간을 갖는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로서,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부 프레임(11)의 양쪽 측면에는 난간 설치대(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난간 설치대(20)의 상부에는 안전난간(30)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난간(30)는, 양측으로 수직대(31)의 하단이 침대 길이방향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H) 결합되며, 상기 수직대(31)의 상단에는 수평대(32)가 침대 길이방향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H) 결합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설치된 안전난간(30)에 의해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안전난간(30)을 개방하고자 할 시에는, 수평대(32)를 일측으로 회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회동시 하부의 수직대(31) 및 상부의 수평대(32)는 힌지(H) 회동되어 난간 설치대(20)의 상부에 접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자용 안전난간은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매트리스와 안전난간의 수직대가 서로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난간 개폐 작동시 매트리스와의 간섭이 발생하여 원활한 안전난간의 개폐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의자 경우, 프레임으로부터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과 환자가 오르내릴 때 지탱할 수 있도록 양측에 팔걸이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팔걸이는 고정 설치되어 있는 특성상,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오르내릴 시 반드시 전방을 향해 진입하여 앉아야 하는 것인바, 이에 따른 거동 불편 환자의 불편함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환자용 침대의 측면에 설치 가능하게 하되, 안전난간이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 및 회동 개폐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난간의 개폐 작동시 매트리스와의 간섭이 방지되게 하여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환자용 안전난간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환자용 의자에 설치 가능하게 하되, 안전난간이 좌판의 측면에서 프레임에 설치 및 회동 개폐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다수의 방향에서 용이하게 좌판으로의 진입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환자용 안전난간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수평대와 수직대로 된 난간에 있어서,
환자용 침대의 프레임이나, 의자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프레임 브라켓(; 및
수평방향 장형링 형태를 이루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돌출되는 한편 하단에 상기 각각의 프레임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도록 난간 브라켓가 형성된 복수의 수직대로 된 난간;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 브라켓에는 고정레버가 장착 및 그 프레임 브라켓의 일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고정레버가 장착된 프레임 브라켓에 결합되는 수직대의 난간 브라켓에는 고정레버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난간 고정공을 더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은, 환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난간을 침대의 측면에 설치 및 그 측면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여, 안전난간 개폐시 매트리스와의 간섭이 방지되면서도 원활한 개폐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의자의 측면에 설치하여, 환자로 하여금 좌판으로의 진입이 용이하여 그 사용상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안전난간을 갖는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의 고정부 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의 회동 단속부 정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을 침대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을 의자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의 결합 사시도 이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1)은, 안전난간(1)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브라켓(110)(110')과, 상기 프레임 브라켓(110)(110')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난간(2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브라켓(110)(110')은, 환자용 침대나 의자의 프레임 양측에 대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프레임 브라켓(110)(110')은, 전면 및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도록 "ㄷ"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 브라켓(110) 일측에는 "봉" 형태의 고정레버(120)가 수평 장착된 것으로, 상기 고정레버(120)는, 외측에서 장착되어 그 선단이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스프링 탄력 장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 프레임 브라켓(110)의 하부에는 삽탈공(111)이 관통 형성되고, 그 삽탈공(111)의 외측에는 삽탈공(111)과 연통되는 삽탈관(121)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그 삽탈관(121)의 내부에는 압축형 스프링(122)이 내입 및 고정레버(120)가 스프링(122) 탄력 작동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고정레버(120)는 그 선단이 삽탈공(111)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즉, 그 고정레버(120)에 당김력이 작용시 스프링(122)의 압축이 이루어짐과 함께 후퇴되는 것이고, 그 당김력을 해제시 스프링(122)의 탄력 복원력에 의해 고정레버(120)의 선단이 삽탈공(111)을 통해 전진 인출되게 된다.
상기 난간(200)은, 수평대(201)와 수직대(202)(202')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평대(201)는 수평방향을 이루는 "장형 링"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수평대(201)에는 상기 프레임 브라켓(110)(110')의 갯수만큼 수직대(202)(202')가 수평대(201)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수직대(202)(202') 하단에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 브라켓(110)(110')에 힌지(H) 결합되는 난간 브라켓(210)(210')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난간 브라켓(210)(210')은, 각각 양측의 판체로 구성되며, 그 난간 브라켓(210)(210')이 상기 각각의 프레임 브라켓(110)(110')에 힌지(H) 결합되는 것으로, 힌지(H) 회동에 의해 프레임 브라켓(110)(110')으로부터 측면으로 회동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어느 하나(고정레버가 설치된)의 난간 브라켓(210)에는, 힌지(H)를 중심으로 하여 하부에 고정레버(120)의 선단이 끼워져 난간(20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난간 고정공(211)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다른 하나의 수직대(202') 하부에는 측면으로 고정편(220)이 더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편(220)에 의해 난간(200)이 회동 개방시 180˚ 이상의 회동이 방지되어 불필요한 유동이 방지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1)은, 도 6 내지 도 8의 도시와 같이 침대(310)나 의(320)자 등의 프레임(301) 상부 양측면에서 프레임 브라켓(110)(110')이 돌출 형성되게 결합되는 것이고, 그 프레임 브라켓(110)(110')에는 난간 브라켓(210)(210')에 의해 난간(200)이 힌지(H)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301)과 프레임 브라켓(110)(110')의 결합방법으로는 볼팅 결합이나 용접 결합 등에 의해 가능하며, 의자(320)의 경우에는 팔걸이를 대신하여 안전난간(1)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안전난간(1)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난간(200)은, 프레임(301)의 측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폐쇄되거나 하부로 수직으로 내려져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난간(200)을 폐쇄시에는 중앙의 프레임 브라켓(110)에 형성된 고정레버(120)를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스프링(122)의 압축과 함께 고정레버(120)의 선단부가 난간 고정공(2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며, 이에, 고정레버(120)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난간(200)의 자유 회동이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고정레버(120)의 고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힌지(H)를 축점으로 하여 난간(200)을 상부로 회동시켜 수직상태를 이루게 하면 되는 것이고, 이때, 난간 브라켓(210)의 난간 고정공(211)은 프레임 브라켓(110)의 삽탈공(111)과 동일 선상을 이루는 것으로, 고정레버(120)의 당김력을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1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레버(120)의 선단부가 전진하여 난간 고정공(211)으로 끼움 결합되어 난간(200)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와 반대로 난간(200)을 개방하고자 할 시에는 전기한 바와 같이 고정레버(120)를 당겨 난간 고정공(211)으로부터 고정레버(120)의 선단부를 이탈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난간(200)의 고정력 해제와 함께 난간(200)이 프레임(301)의 측면으로 180˚ 회동 개방되는 것이다.
즉, 도 5의 도시와 같이 다른 하나의 수직대(202')의 하단에는 측면으로 고정편(220)이 돌출 형성된 것인바, 하부로 회동 된 난간(200)은, 그 고정편(220)이 프레임 브라켓(210')의 저면에 걸림 지지되어 더 이상의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이는 개방된 난간(200)이 하부에서 불필요하게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 및 작동되는 안전난간(1)은 도 8의 도시와 같이 그 설치 방법에 있어, 침대(310)와 같이 비교적 긴 길이로 설치시에는 난간(200)을 다수개로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환자용 안전난간은, 침대나 의자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환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난간의 개폐가 원활하여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침대에 설치시 프레임의 측면으로 회동 개방되는 것인바, 그 개방시 매트리스의 간섭없이 원활한 개방이 가능한 것이다.
110,110' : 프레임 브라켓
111 : 삽탈공 120 : 고정레버
121 : 삽탈관 122 : 스프링
200 : 안전난간 201 : 수평대
202,202' : 수직대 210,210' : 난간 브라켓
211 : 난간 고정공 220 : 고정편

Claims (3)

  1. 환자용 침대의 프레임이나 의자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프레임 브라켓(110)(110'); 및
    수평방향 장형링 형태를 이루는 수평대(201)와, 상기 수평대(201)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돌출되는 한편 하단에 상기 각각의 프레임 브라켓(110)(110')에 힌지(H) 결합되도록 난간 브라켓(210)(210')가 형성된 복수의 수직대(202)(202')로 된 난간(2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 브라켓(110)에는 고정레버(120)가 장착 및 그 프레임 브라켓(110)의 일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고정레버(120)가 장착된 프레임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수직대(202)의 난간 브라켓(210)(210')에는 고정레버(120)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난간 고정공(211)을 더 형성한 환자용 안전난간에 있어서,
    고정레버(120)가 장착되는 프레임 브라켓(110)은,
    삽탈공(111)이 형성되는 한편, 그 삽탈공(111)의 일측에 상기 삽탈공(111)과 연통되는 삽탈관(121)이 돌출 형성되고, 그 삽탈관(121)에는 고정레버(120)가 삽입 및 스프링(122) 탄력을 가질 수 있도록 삽입되게 구성하되,
    상기 고정레버(120)의 선단이 난간 브라켓(210)의 난간 고정공(211)에 끼움되어 난간(200)이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안전난간.
  2. 삭제
  3. 삭제
KR1020130037883A 2013-04-08 2013-04-08 환자용 안전난간 KR101476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883A KR101476267B1 (ko) 2013-04-08 2013-04-08 환자용 안전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883A KR101476267B1 (ko) 2013-04-08 2013-04-08 환자용 안전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569A KR20140121569A (ko) 2014-10-16
KR101476267B1 true KR101476267B1 (ko) 2014-12-24

Family

ID=51993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883A KR101476267B1 (ko) 2013-04-08 2013-04-08 환자용 안전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151A (ko) 2020-11-20 2022-05-30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환자용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801B1 (ko) * 2023-04-11 2023-10-16 주식회사 오넥트 회동시스템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5268A (ja) * 2000-08-04 2002-02-12 Saitetsu:Kk ベッドガード
JP2006109931A (ja) * 2004-10-12 2006-04-27 Iura Co Ltd サイドレール
US20060195984A1 (en) * 2005-03-07 2006-09-07 Reza Hakamiun Siderail for a hospital bed
KR20130006576A (ko) * 2012-12-06 2013-01-17 임인채 욕조의 사이드 프레임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5268A (ja) * 2000-08-04 2002-02-12 Saitetsu:Kk ベッドガード
JP2006109931A (ja) * 2004-10-12 2006-04-27 Iura Co Ltd サイドレール
US20060195984A1 (en) * 2005-03-07 2006-09-07 Reza Hakamiun Siderail for a hospital bed
KR20130006576A (ko) * 2012-12-06 2013-01-17 임인채 욕조의 사이드 프레임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151A (ko) 2020-11-20 2022-05-30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환자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569A (ko)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0312B2 (en) Bed exercise apparatus
US20110260513A1 (en) Horizontal oscillating device providing postural adjustment
KR200401864Y1 (ko)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
CN109653326B (zh) 一种多功能蹲坐两用便器装置
KR101476267B1 (ko) 환자용 안전난간
CN111887655A (zh) 一种电动床
KR200461319Y1 (ko)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KR102147041B1 (ko) 목욕겸용 안전 휠체어
JP2017042503A (ja) 便器用手摺
US7020914B2 (en) Swing type baby bed
KR101500465B1 (ko)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겸용 안전 손잡이
JP5537450B2 (ja) 可搬便器
CN114269311A (zh) 患者支承平台的延伸部
KR101294314B1 (ko) 보호자용 보조침대를 구비한 소아환자용 침대
CN205457388U (zh) 可调节高度的椅子
CN205728871U (zh) 婴儿床的支撑装置
CN205964348U (zh) 一种移动式排便私密空间
KR200359316Y1 (ko) 다리오므림 운동장치가 설치된 다리운동기구
CN105832054B (zh) 婴儿床的支撑装置
KR102278787B1 (ko) 다기능 낙상방지 보호구를 구비한 의료용 침대
KR102475931B1 (ko) 낙상 방지용 침대
CN213759042U (zh) 一种组合一体式护理床轮椅
KR101381717B1 (ko) 의료침대 밥상 조절장치
KR200469998Y1 (ko) 스탠딩 테이블
KR100721936B1 (ko) 이불거치대가 내설된 공동주택 발코니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