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151A - 스마트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스마트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151A
KR20220070151A KR1020200157164A KR20200157164A KR20220070151A KR 20220070151 A KR20220070151 A KR 20220070151A KR 1020200157164 A KR1020200157164 A KR 1020200157164A KR 20200157164 A KR20200157164 A KR 20200157164A KR 20220070151 A KR20220070151 A KR 20220070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attress
bed
control unit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식
김철호
이재호
전병구
장호준
Original Assignee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0151A/ko
Publication of KR2022007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4Side-rail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accessories, e.g. bed control means, nurse call or read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7Weighing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부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졌는지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낙상사고를 즉시 주위에 알려 신속한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매트리스가 올려지는 침대프레임과, 상기 매트리스에 구비되어 환자의 낙상 여부를 측정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부의 측정에 따라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통신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낙상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 통신알림부와, 상기 감지부와 제어부 및 통신알림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환자용 침대{SMART BED FOR PATIENT}
본 발명은 스마트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부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졌는지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낙상사고를 즉시 주위에 알려 신속한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용 침대는 금속 프레임에 매트리스가 올려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원환자는 회복시간을 대부분 침대 위에서 지내기 때문에 환자용 침대의 구조는 안전해야 된다.
따라서, 침대의 양옆에는 환자가 침대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이탈방지판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중증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낙상사고로 인해 생명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항시 보호자가 신경을 써야하는 실정이다.
종래의 이탈방지판은 대부분 난간 형태로 고정되어 있어서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고 있지만, 환자가 침대 밖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이탈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 내려오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탈방지판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관련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6267호(환자용 안전난간)(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함)에는 환자용 침대의 측면에 설치 가능하게 하되, 안전난간이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 및 회동 개폐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난간의 개폐 작동시 매트리스와의 간섭이 방지되게 하여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환자용 의자에 설치 가능하게 하되, 안전난간이 좌판의 측면에서 프레임에 설치 및 회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이탈방지판의 기능을 하는 난간이 침대의 외측방향으로 회동 개폐가 이루어지는 기술이기 때문에, 개폐과정에서 난간이 지나는 공간을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점은 한정된 병실 공간에 많은 수의 환자용 침대를 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난간이 옆으로 떨어지는 방식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충격이나 소음이 환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118호(환자용 침대의 이탈방지판고정장치)(이하, '특허문헌 2' 라 함)에는 다수개의 다리가 고정되는 프레임의 상부에 매트리스가 놓여지며, 측면에는 환자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이 다수개의 지지봉으로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걸림쇠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양쪽에는 이탈방지판의 지지봉이 삽입되는 지지봉관통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고정부재 고정판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고정부재고정판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이탈방지판의 걸림쇠와 결합되는 걸고리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고리를 이탈방지부재의 걸림쇠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걸고리 반대쪽에서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탄성부재에 의해서 가압되는 걸고리를 회전시키는 누름구로 이루어지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핵심구성에 해당하는 이탈방지판 고정장치가 이탈방지판의 지지봉을 따라 안내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반드시 이탈방지판의 형태가 창살형태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이탈방지판 해제시 중력에 의해 수직으로 낙하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626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11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침대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압력 및 열감지를 통해 환자가 침대에서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감지하고, 낙상 사고 발생 시 즉시 외부에 자동으로 알려 신속하게 응급처치를 이룰 수 있는 스마트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환자용 침대는 매트리스가 올려지는 침대프레임과, 상기 매트리스에 구비되어 환자의 낙상 여부를 측정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부의 측정에 따라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통신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낙상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 통신알림부와, 상기 감지부와 제어부 및 통신알림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매트리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매트리스 하부에 복수개로 설치하되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 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매트리스의 하부 전체에 고르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침대프레임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어 매트리스 상의 환자를 통한 열을 감지하여 낙상 여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열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환자가 착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심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알림부는 스마트기기에 모듈화되고 제어부와 무선 통신으로 전달되어 환자의 낙상 상황을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를 통해 스마트기기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침대프레임의 상부에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매트리스 상부를 촬영하여 환자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카메라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환자용 침대에 의하면,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제어부의 제어로 통신알림부를 통해 보호자 및 간호인에게 낙상에 의한 응급상황을 즉시 알릴 수 있으므로 신속한 응급처치가 가능하고 간호 인력의 업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 및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환자용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환자용 침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환자용 침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환자용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환자용 침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환자용 침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환자용 침대는 침대프레임(100)과, 감지부(200)와, 제어부(300)와, 통신알림부(410)와, 전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대프레임(100)은 일정한 형태를 갖고 이루어지며, 안쪽에 환자가 올라갈 수 있는 높이의 위치로 매트리스(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00)는 매트리스(110)에 구비되어 매트리스(110) 위에 환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낙상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00)는 매트리스(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환자로 인해 매트리스(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센서(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210)는 매트리스(110)의 하부에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210)는 매트리스(110)에 가해지는 하중 측정의 정확성을 높여 환자가 매트리스(110) 상에 있는지를 원활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매트리스(110)의 하부 전체에 고르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매트리스(110) 위에 환자가 있으면 매트리스(110)가 환자의 체중에 의해 밑으로 눌려지면서 상기 매트리스(11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압력센서(210)의 측정값이 상승하여 매트리스(110) 상에 환자가 있음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센서(210)의 측정값에 변화가 없으면 매트리스(110)에 하중이 발생되지 않아 매트리스(110) 위에 환자가 없음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00)는 침대프레임(100)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어 매트리스(110) 상의 환자를 통한 열을 감지하여 낙상 여부를 측정할 수 있도록 열감지센서(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지 제어부(300)는 감지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부(200)의 측정에 따라 환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하기의 통신알림부(410)로 하여금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낙상 발생 여부를 즉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환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환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심박센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심박센서(230)를 통해 환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제어부(300)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통신알림부(410)는 제어부(300)와 통신되어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낙상 여부를 외부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통신알림부(410)는 스마트기기(400)에 모듈화되고 제어부(30))와 무선 통신으로 전달되어 환자의 낙상 상황을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을 통해 스마트기기(400)로 외부에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통신알림부(410)는 예를 들어, 3G 통신모듈, 4G 통신모듈, 5G 통신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 와이브로(Wibro) 통신모듈, M2M 통신모듈,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모듈 및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중 어느 하나 등과 같이 공지된 통신모듈일 수 있다.
상기 침대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매트리스(110)의 상부를 촬영하여 환자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카메라모듈(60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600)은 매트리스(100) 상부의 환자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500)는 감지부(200), 제어부(300)와 통신알림부(4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를 전원부로 볼 수 있을 것인바, 바람직하게는 충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마트 환자용 침대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침대프레임(100)의 상부에 올려지는 매트리스(110)에 환자가 있는지의 유무를 상기 감지부(200)에서 감지하게 되고, 상기 감지부(200)를 통해 매트리스(110) 위에 환자가 없음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300)에서 감지부(200)의 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에서 통신알림부(410)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통신알림부(410)를 통해 환자의 낙상사고를 보호자나 간호인에게 즉시 알려주어 신속한 응급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침대프레임(100)의 상부에 카메라모듈(60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매트리스(110) 상에 환자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음과 환자의 상태를 촬영하여 환자를 직접 보지 않고도 의료진이 원거리에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트리스(110)에 올라간 환자의 상태는 물론 보호자나 간병인이 옆에 없을 때 실수로 환자가 매트리스(110) 위에 있지 않고 낙상했는지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외부로 즉시 신호를 보내 신속한 응급조치를 수행할 수 있어 제품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보호자 및 간호 인력의 일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침대프레임
110 : 매트리스
200 : 감지부
210 : 압력센서
220 : 열감지센서
230 : 심박센서
300 : 제어부
400 : 스마트기기
410 : 통신알림부
500 : 전원부
600 : 카메라모듈

Claims (7)

  1. 매트리스가 올려지는 침대프레임;
    상기 매트리스에 구비되어 환자의 낙상 여부를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부의 측정에 따라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통신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낙상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 통신알림부; 및
    상기 감지부와 제어부 및 통신알림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환자용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매트리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자용 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매트리스 하부에 복수개로 설치하되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하중 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매트리스의 하부 전체에 고르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자용 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침대프레임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어 매트리스 상의 환자를 통한 열을 감지하여 낙상 여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열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자용 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환자가 착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심박센서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환자용 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알림부는 스마트기기에 모듈화되고 제어부와 무선 통신으로 전달되어 환자의 낙상 상황을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를 통해 스마트기기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자용 침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의 상부에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매트리스 상부를 촬영하여 환자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카메라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자용 침대.
KR1020200157164A 2020-11-20 2020-11-20 스마트 환자용 침대 KR20220070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64A KR20220070151A (ko) 2020-11-20 2020-11-20 스마트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64A KR20220070151A (ko) 2020-11-20 2020-11-20 스마트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151A true KR20220070151A (ko) 2022-05-30

Family

ID=8179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164A KR20220070151A (ko) 2020-11-20 2020-11-20 스마트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01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080B1 (ko) * 2022-03-10 2023-01-09 최재국 치매 환자용 낙상방지 침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118Y1 (ko) 2003-12-31 2004-03-26 유지영 환자용 침대의 이탈방지판고정장치
KR101476267B1 (ko) 2013-04-08 2014-12-24 주식회사 해피베드 환자용 안전난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118Y1 (ko) 2003-12-31 2004-03-26 유지영 환자용 침대의 이탈방지판고정장치
KR101476267B1 (ko) 2013-04-08 2014-12-24 주식회사 해피베드 환자용 안전난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080B1 (ko) * 2022-03-10 2023-01-09 최재국 치매 환자용 낙상방지 침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2377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patient mobility monitoring
US10478359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acceleration detection
US8620625B2 (en) Above bed sensor
US20210007919A1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exit detection systems
US7987069B2 (en) Monitoring patient support exiting and initiating response
EP2930637B1 (en) Patient-need prediction system
US20090044334A1 (en) Automatically adjusting patient platform support height in response to patient related events
US20140266733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patient information sensors
US11446193B2 (en) Person lift systems
US11801182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load cells
KR20220070151A (ko) 스마트 환자용 침대
CN106228749A (zh) 智能看护装置
KR20200048938A (ko)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WO2017178803A1 (en) Patient movement apparatus with alarm
JP2005278765A (ja) 姿勢、呼吸、心拍、行動モニタリング装置および身体異常判定方法
KR20160073043A (ko) 의료용 침대
JP6390937B2 (ja) 人感装置
KR102409929B1 (ko)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TWM521231U (zh) 安全照護系統
KR102368808B1 (ko) 낙상 방지 침대
KR20220131468A (ko)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32700B1 (ko)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TWI584218B (zh) 安全照護監測方法及安全照護系統
KR20200021676A (ko) 침대 이탈 감지 장치
CN106491103A (zh) 安全防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