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808B1 - 낙상 방지 침대 - Google Patents

낙상 방지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808B1
KR102368808B1 KR1020200000477A KR20200000477A KR102368808B1 KR 102368808 B1 KR102368808 B1 KR 102368808B1 KR 1020200000477 A KR1020200000477 A KR 1020200000477A KR 20200000477 A KR20200000477 A KR 20200000477A KR 102368808 B1 KR102368808 B1 KR 10236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ed
fall
movement
senso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608A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00000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8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7Weigh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for automatically guiding movable devices, e.g. stretchers or wheelchairs in a hospi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상 방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침대 제어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낙상 방지 침대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범위를 구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구역에서의 무게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블록; 상기 센서 블록의 측정 값을 상기 구역마다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의 낙상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알람을 하거나 상기 침대의 좌우 높이를 조절하여 낙상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낙상 방지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낙상 위험을 감지하여 보호자와 의료진에게 알림으로 낙상의 사전 예방이 가능하여 의료기관이나 환자에게 경제적 손실을 절감시키고, 낙상으로 인해 받을 수 있는 충격에 의한 환자 위해도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낙상 방지 침대{A FALL PREVENTION BED}
본 발명은 낙상 방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침대 제어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병원이나 요양원에 설치된 침대에서 낙상하게 될 확률이 높은데, 낙상은 미끄러움이나 걸려 넘어지는 것을 포함하며, 떨어져 몸을 다치는 것으로 응급실이나 병동 등에서 종종 발생한다 이는 주로 취침 중 화장실을 가고 싶어 하는 이유나 약물이나 기타 원인 등에 의한 섬망(Delirium) 증상으로 갑자기 기상하는 경우 본인이 침대에 누워있음을 인지하지 못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관련, 종래의 환자 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있으나, 종래의 환자 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은 병실을 단순 모니터링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보양원이나 양로원 또는 노인지정병원 등의 경우의 독거 노인, 장기요양환자, 치매증상이나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지각능력 저하 장애자 등과 같이 스스로 자신을 돌볼 수 없는 무의탁 노인/환자는 별도의 노인 요양병원이나 정신병원 등에 입원시켜 담당 의사나 간호사들이 이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돌보고 있으나, 무의탁 노인/환자가 담당의사나 간호사 없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직접 휴대폰 또는 긴급연락용 단말기기 등을 이용하여 연락을 취하여야 하나 직접적으로 조작할 수 조차 없는 경우가 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낙상 예방을 통하여 심각한 환자의 손상을 방지하고, 낙상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 등을 감소시키는 낙상 방지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낙상 방지 침대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범위를 구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구역에서의 무게 또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 블록; 상기 센서 블록의 측정 값을 상기 구역마다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의 낙상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알람을 하거나 상기 침대의 좌우 높이를 조절하여 낙상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블록은, 상기 침대의 좌우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좌우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 블록의 각 구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측정 값이 증가되는 방향을 확인하여 상기 낙상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 침대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센서 블록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각 구역의 무게 또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센서 블록은, 사이드 레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사이드 레일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레일 센서에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작동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센서 블록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굴곡에 따라 상기 침대와의 접촉 압력이 있는 복수의 부분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낙상이 예상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부; 및 상기 침대의 좌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틸팅부는, 상기 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상기 센서 블록, 상기 판단부 및 상기 제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위험 상황 발생 시 외부 기기 또는 의료진에게 낙상의 위험을 알리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낙상 위험을 감지하여 보호자와 의료진에게 알림으로 낙상의 사전 예방이 가능하여 의료기관이나 환자에게 경제적 손실을 절감시키고, 낙상으로 인해 받을 수 있는 충격에 의한 환자 위해도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낙상 방지 침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블록의 삽입 설치와 설치된 후 배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블록의 삽입 설치와 설치된 후 배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틸팅부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낙상 방지 침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낙상 방지 침대는 사용자가 눕는 구역을 나눠서 구역 별로 압력 또는 무게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침대 낙상의 원인을 살펴보면, 침대 옆 사이드레일을 올리지 않거나 사용자가 사이드 레일을 타고 넘어가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침대를 4분할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사이드 레일의 장착 유무를 감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사이드 레일 주변으로 오거나 사이드 레일 압력 센서(40)에 힘을 가하면 이를 감지하고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하여 침대를 최저 높이로 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컬럼(30)을 자동 변경하게 하여 낙상 발생시 환자에게 최소의 위해가 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한 구성에 대해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블록(20)의 삽입 설치와 설치된 후 배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블록(20)의 삽입 설치와 설치된 후 배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눕는 침대 안쪽으로 장착되는 센서 블록(20)과 센서 블록(20)에 포함된 압력 센서(10)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센서 블록(20)을 사용자의 머리 부위와 엉덩이 또는 다리 부위에 추가로 설치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의 경우, 압력 센서(10) 및 센서 블록(20) 이외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판단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블록(20)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낙상 방지 침대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범위를 구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구역에서의 무게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블록(20)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각 구역의 무게 또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10)를 포함하고, 상기 침대의 좌우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10)가 상기 사용자의 좌우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블록(20)은 좌우로 삽입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세로 방향으로 배치를 할 수 있다. 각 압력 센서(10)는 각 구역에서 측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의 신체 전 범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변형된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블록(20)은, 상기 사이드 레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사이드 레일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레일 센서에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블록(20)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굴곡에 따라 상기 침대와의 접촉 압력이 높은 복수의 부분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판단부는, 상기 센서 블록(20)의 측정 값을 상기 구역마다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의 낙상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직 4등분의 구획에 따른 무게 센싱 방식은 도 1과 같고, 메트리스를 4분할하는 방식으로 구획하여 압력 센서(1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압력 센서(10)는 무게 감지 센서와 동의어로 사용되며, 센서는 FSR이나 STRAIN GAUGE, 압력 등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센서 블록(20) 내에 포함된 압력 센서(10)는 중앙에 4각 돌기가 있어 무게 감지가 용이하다. 평평하면 무게 감지가 잘되어 감도를 높이기 위한 작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블록(20)은 1개 혹은 3개로 이루어지며, 1개 설치시 엉덩이(허리) 부분에 설치되고, 3개 설치시에는 머리(상), 엉덩이(중) 그리고 다리(하)에 설치될 수 있다.
판단부는, 상기 센서 블록(20)의 각 구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측정 값이 증가되는 방향을 확인하여 상기 낙상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침대를 이용하는 환자를 포함하며,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환자가 처음 2-3 라인에 누워있다가 뒤척이게 되고, 1-4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의 이동을 감지하여 낙상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1-2번 센서 중 무게 측정이 1번에 더 많을 경우 위험군에 속하며, 낙상 가능성이 올라갈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알람을 하거나 상기 침대의 컬럼(30)의 좌우 높이를 조절하여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낙상이 예상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부; 및 상기 침대의 좌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틸팅부는, 좌우의 틸팅 뿐만 아니라 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컬럼(30)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틸팅부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부를 통해 진동을 일으키거나 틸팅부를 통해 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환자의 위치의 변화로 압력 센서(10)가 1 > 2 또는 4 > 3에 위치하면 진동을 발생하여 환자를 깨우도록 하고, 좌우의 사이드레일에 위험이 감지되면 사이드레일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침대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제어부는 환자가 좌측에 있으면 좌측 높이를 올리고 우측 높이를 낮추며, 오른쪽에 위치하면 우측 높이를 올리고 좌측 높이를 낮추어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정 시간 이상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침대의 높이를 최대한 낮추고 만약을 사태에 대비할 수 있다.
사이드 레일 센서가 작동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수평 유지하고, 진동부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환자 위치의 변화로 인해 압력 센서(10)의 측정 값이 2 > 1 또는 3 > 4일때 정상으로 인식하고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에서 reset버턴 등을 누르면 일정 시간 멈추며 강제해제 시키면 모든 동작 멈출 수 있다. 또한 진동부는 머리 쪽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상기 센서 블록, 상기 판단부 및 상기 제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위험 상황 발생 시 외부 기기 또는 의료진에게 낙상의 위험을 알리는 사용자 단말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50)는 외부 기기 또는 서버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환자의 침대 낙상 방지 어플을 제공하여,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병원에 설치된 서버 컴퓨터와 연동 가능하여, 병원 관계자(예컨대 간병인 또는 간호사)에 의해 소유될 수 있고, 환자의 상태를 인지하여 조치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침대 낙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 압력 센서 20: 센서 블록
30: 컬럼 40: 사이드 레일 압력 센서
50: 사용자 단말기

Claims (8)

  1.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낙상 방지 침대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범위를 구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구역에서의 무게 또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 블록;
    상기 센서 블록의 측정 값을 상기 구역마다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의 낙상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알람을 하거나 상기 침대의 좌우 높이를 조절하여 낙상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블록은,
    상기 침대의 좌우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좌우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 블록의 각 구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측정 값이 증가되는 방향을 확인하여 상기 낙상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블록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각 구역의 무게 또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블록은,
    사이드 레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사이드 레일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레일 센서에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 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블록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굴곡에 따라 상기 침대와의 접촉 압력이 있는 복수의 부분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 침대.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낙상이 예상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부; 및
    상기 침대의 좌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부를 포함하는 낙상 방지 침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 침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상기 센서 블록, 상기 판단부 및 상기 제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위험 상황 발생 시 외부 기기 또는 의료진에게 낙상의 위험을 알리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낙상 방지 침대.
KR1020200000477A 2020-01-02 2020-01-02 낙상 방지 침대 KR10236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477A KR102368808B1 (ko) 2020-01-02 2020-01-02 낙상 방지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477A KR102368808B1 (ko) 2020-01-02 2020-01-02 낙상 방지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08A KR20210087608A (ko) 2021-07-13
KR102368808B1 true KR102368808B1 (ko) 2022-03-03

Family

ID=7685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477A KR102368808B1 (ko) 2020-01-02 2020-01-02 낙상 방지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8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150A (ja) * 2000-03-31 2001-10-09 Sogo Keibi Hosho Co Ltd ベッド用転落防止装置
KR101935232B1 (ko) * 2018-06-18 2019-04-03 주식회사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 낙상 방지용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245B1 (ko) * 2011-12-29 2013-10-15 주식회사 하이로닉 낙상방지를 위한 의료용 침대
KR101318724B1 (ko) * 2012-01-20 2013-10-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케어를 위한 가변 침상
KR101639489B1 (ko) * 2014-12-16 2016-07-22 김창영 의료용 침대
KR20180010441A (ko) * 2016-07-21 2018-01-31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낙상 예방 시스템 및 낙상 예방 방법
KR101956429B1 (ko) * 2016-08-25 2019-03-08 정원미 관리 대상자의 상태 인식을 통한 질병 발병 및 위험 상황 방지를 위한 스마트 매트 시스템
KR102008784B1 (ko) * 2017-09-05 2019-10-2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 센서의 격자 모양 배치를 이용한 스마트 침대 시스템
KR102207488B1 (ko) * 2019-02-28 2021-01-25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환자를 위한 사고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27998A (ko) * 2019-09-03 2021-03-11 조병욱 낙상사고방지 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150A (ja) * 2000-03-31 2001-10-09 Sogo Keibi Hosho Co Ltd ベッド用転落防止装置
KR101935232B1 (ko) * 2018-06-18 2019-04-03 주식회사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 낙상 방지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08A (ko)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5018B2 (en) Patient risk notification system
KR101798498B1 (ko) 영유아 수면 감시용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시스템
US9320444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patient information sensors
JP4818162B2 (ja) 可動床板式の寝台装置
US8620625B2 (en) Above bed sensor
US10786408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exit detection systems
JP5877528B2 (ja) 自動通報システム
US9338617B2 (en) Smart monitoring sensor system for monitoring mobility
US20130174345A1 (en) Occupant monitoring system
KR102008784B1 (ko) 압력 센서의 격자 모양 배치를 이용한 스마트 침대 시스템
JP4841462B2 (ja) 寝台装置
JP2010510849A (ja) 患者監視システム
EP2968045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patient information sensors
US11547364B2 (en) Abnormality notification system, abnormality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20536641A (ja) 患者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患者モニタリング方法
JP6757155B2 (ja) 状態判定装置
KR20170011631A (ko)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
CN108814614B (zh) 一种用于监测用户动作的方法、装置及系统
JP5111889B2 (ja) 寝台装置
JP2008212306A (ja) 寝台装置
Wai et al. Sleeping patterns observation for bedsores and bed-side falls prevention
JP2008206867A (ja) 寝返り促進装置
KR102368808B1 (ko) 낙상 방지 침대
KR102232700B1 (ko)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KR20220070151A (ko) 스마트 환자용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