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631A -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631A
KR20170011631A KR1020150104547A KR20150104547A KR20170011631A KR 20170011631 A KR20170011631 A KR 20170011631A KR 1020150104547 A KR1020150104547 A KR 1020150104547A KR 20150104547 A KR20150104547 A KR 20150104547A KR 20170011631 A KR20170011631 A KR 20170011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
detected
physical quantity
body part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환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631A/ko
Publication of KR20170011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01L41/113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낙상이 발생한 경우 낙상부위와 낙상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기기는, 입거나 부착하여 신체의 일부에 착용가능하도록 구현된 착용부재; 상기 착용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해진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센서; 상기 각 검출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저장하되, 상기 검출된 물리량, 상기 물리량을 검출한 검출센서의 위치 및 상기 물리량이 검출된 시간을 서로 매핑시킨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모듈; 및 상기 메모리모듈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Wearable device having detection function of fall-down position and system for fall-down position detec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낙상이 발생한 경우 낙상부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게 되면서 노인분들이나 거동이 불편한 보행자 등의 안전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움직임이 불편한 경우 낙상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사회적으로 다양한 건강관리 서비스에 제공되고 있다.
최근 낙상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기술이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나아가 낙상 발생이 감지되면 의료기관이나 보호기관 등으로 알리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 이로써 낙상 발생시 의식을 잃거나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위급한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해 보호자나 관리센터에 메시지를 보내어 낙상으로 발생한 응급상황에 대한 의료 개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에 낙상 감지방법에서는 일례로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낙상이 발생할 때 신체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와 기울기를 측정하여 낙상을 감지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또한 바닥에 부착된 진동센서를 통해 진동신호를 감지하여 낙상 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낙상시 공기튜브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압을 압력센서로 감지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에 대한 다양한 제품이 제시되고 있고 연구개발도 계속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종래에 낙상감지를 위한 착용형 기기가 소개되고 있다. 이는 가속도센서와 기울기센서가 부착된 손목 착용형 낙상감지 장비로서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낙상여부를 감지한다.
하지만, 이들 종래기술은 낙상을 감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을 뿐 낙상부위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기술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낙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낙상부위의 낙상정도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시하지 못하기 때문에 보호자나 의료기관에서 낙상부위의 치료를 위해 낙상부위 및 낙상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검사를 실시해야 하고, 이에 대한 비용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낙상부위와 낙상정도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464306호 등록특허 제1460682호 등록특허 제125956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신체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낙상 발생시 낙상부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상 발생시 낙상부위의 낙상정도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저장하여 필요시 이를 출력 또는 전송하여 보호자나 의료기관 등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추가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는, 입거나 부착하여 신체의 일부에 착용가능하도록 구현된 착용부재; 상기 착용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해진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센서; 상기 각 검출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저장하되, 상기 검출된 물리량, 상기 물리량을 검출한 검출센서의 위치 및 상기 물리량이 검출된 시간을 서로 매핑시킨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모듈; 및 상기 메모리모듈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 해당 신체부위의 낙상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모리모듈은, 상기 매핑정보가 저장되며 탈착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메모리카드; 및 상기 메모리카드를 수용하며 상기 메모리카드의 읽기/쓰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카드수용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검출센서는 가해진 압력값을 검출하는 압전센서 또는 가해진 충격량을 검출하는 충격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압력값 또는 충격량에 따라 해당 신체부위에 대한 낙상정도를 다수의 레벨로 구분하여 상기 메모리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검출된 압력값 또는 충격량에 대응하는 낙상정도의 레벨이 기설정된 임계레벨을 넘어서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모리모듈에 저장된 매핑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서 결정한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유관기관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검출센서는 상기 착용부재에서 허리, 엉덩이, 고관절, 등, 어깨, 팔, 무릎을 포함하는 신체부위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낙상부위 감지시스템은, 입거나 부착가능하여 신체에 착용가능하도록 구현되고 낙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발생된 낙상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여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착용형 기기; 상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착용형 기기로부터 전송받은 낙상 관련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는 유관기관 단말; 및 상기 착용형 기기와 유관기관 단말 간의 통신을 처리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착용형 기기는, 입거나 부착하여 신체의 일부에 착용가능하도록 구현된 착용부재와, 상기 착용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해진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상기 각 검출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저장하되, 상기 검출된 물리량, 상기 물리량을 검출한 검출센서의 위치, 상기 물리량이 검출된 시간을 서로 매핑시킨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모듈과, 그리고 상기 메모리모듈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관기관 단말은 상기 매핑정보로부터 내부 저장부에 상기 검출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 상기 물리량을 검출한 검출센서의 위치, 상기 물리량이 검출된 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검출센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부위를 추가로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관기관 단말은 상기 신체부위의 경우 상기 검출된 물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신체부위에 낙상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리량은 압력값 또는 충격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에 착용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착용형 기기에 다수의 센서를 곳곳에 설치함으로써 착용형 기기를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낙상이 발생한 경우 낙상이 발생한 부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낙상이 발생한 부위에 낙상의 정도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보호자나 의료기관에서는 추가적인 검사 없이도 낙상의 정도를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낙상부위 및 낙상정도에 따라 보호자나 의료기관에 신속하게 통보함으로써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기기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기기 및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100)는 착용부재(110), 다수의 검출센서(120), 메모리모듈(14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착용형 기기(100)는 출력부(150) 및/또는 통신부(160)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착용부재(110)는 사람이 입거나 부착하여 신체의 일부에 착용가능(wearable)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착용부재(110)는 예컨대 자켓이나 바지와 같이 입을 수 있거나 무릎이나 허리, 엉덩이 등에 부착가능하도록 만들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낙상이 주로 발생할 수 있는 신체부위를 포함하여 착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다수의 검출센서(120)는 착용부재(110)에 설치되어 낙상으로 인해 가해지는 물리량을 검출한다. 이러한 다수의 검출센서(110)는 착용부재(1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낙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신체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예컨대, 착용부재(110)에서 허리, 엉덩이, 고관절, 등, 어깨, 팔, 무릎 등을 포함하는 신체 부위에 대응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각 검출센서(120)는 착용부재(110)에서 낙상이 발생하는 신체부위에 대해 낙상으로 인해 가해지는 물리량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물리량은 낙상 발생시 낙상부위에서 발생하는 압력값 또는 충격량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검출센서는 바람직하게는 낙상으로 인해 가해진 압력값을 검출하는 압전센서 또는 가해진 충격량을 검출하는 충격센서를 포함한다.
메모리모듈(130)은 각 검출센서(120)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저장하되, 검출된 물리량, 물리량을 검출한 검출센서(120)의 위치 및 해당 물리량이 검출된 시간을 서로 매핑시킨 매핑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모듈(130)은 상기한 매핑정보가 저장되며 탈착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메모리카드와 그 메모리카드를 수용하며 메모리카드의 읽기/쓰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카드수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메모리카드는 카드수용부에 끼웠다 뺐다가 가능하며, 필요시 메모리카드를 빼내어 다른 컴퓨터장치에서 그 내부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메모리모듈(130)에 저장되는 매핑정보는 낙상이 발생한 경우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 낙상정도, 낙상이 발생한 시간을 파악하는데 이용된다.
제어부(140)는 메모리모듈(130)에 저당된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를 결정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메모리모듈(130)에 저장된 물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 해당 신체부위의 낙상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매핑정보에 저장된 낙상이 발생한 검출센서의 위치로부터 낙상이 발생한 낙상부위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한 착용형 기기(100)는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제어부(140)에서 각 검출센서(120)에서 검출된 물리량, 예컨대 압력값 또는 충격량에 따라 해당 신체부위에 대한 낙상정도를 다수의 레벨로 구분하여 메모리모듈(130)에 저장하고, 그 검출된 압력값 또는 충격량에 대응하는 낙상정도의 레벨이 기설정된 임계레벨을 넘어서는 경우 상기의 출력부(15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한 착용형 기기(100)는 메모리모듈(130)에 저장된 매핑정보 및 제어부(140)에서 결정한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 정보를 기설정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유관기관 단말(도 3에 도시됨)로 전송하는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착용형 기기(100)는 낙상이 발생한 경우, 낙상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의 유관기관으로 알릴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기기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기기(100)는 사람의 상체에 착용가능하도록 자켓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엉덩이에 착용가능하도록 짧은 팬츠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사람의 하체에 착용가능하도록 바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시들은 착용형 기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람이 착용형 기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낙상이 발생할 수 있는 신체부위를 포함하도록 입거나 부착가능한 형태라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이때, 검출센서(120)는 착용형 기기(100)에서 낙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낙상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착용부재(110)의 내부에 다수 설치된다. 이로써, 낙상이 발생한 경우 검출센서(120)에 가해지는 물리량, 예컨대 압력값 또는 충격량을 검출하도록 한다.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착용부재(110)에는 메모리모듈(130), 제어부(140), 출력부(150) 및 통신부(160)도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200)은 도 1에 도시된 착용형 기기(100), 유관기관 단말(210) 및 유무선 통신망(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착용형 기기(100)는 입거나 부착가능하여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가능하도록 구현되고 낙상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낙상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여 기설정된 유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유관기관 단말(210)로 전송한다. 이때, 이러한 착용형 기기(100)는 입거나 부착하여 신체의 일부에 착용가능하도록 구현된 착용부재(110)와, 착용부재(110)에 설치되어 가해진 물리량을 검출하는 다수의 검출센서(120)와, 각 검출센서(120)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저장하되, 이러한 검출된 물리량, 물리량을 검출한 해당 검출센서(120)의 위치, 물리량이 검출된 시간을 서로 매핑시킨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모듈(130)과, 메모리모듈(130)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를 결정하는 제어부(140)와, 그리고 메모리모듈(130)에 저장된 매핑정보 및 제어부(140)에서 결정한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의 정보를 기설정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유관기관 단말(210)로 전송하는 통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관기관 단말(210)은 상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착용형 기기로부터 전송받은 낙상 관련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한다. 이러한 유관기관 단말(210)은 상기한 매핑정보로부터 내부 저장부(미도시)에 해당 검출센서(120)에서 검출된 물리량, 그 물리량을 검출한 해당 검출센서(120)의 위치, 물리량이 검출된 시간을 저장하고, 나아가 해당 검출센서(120)의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부위를 추가로 저장한다. 즉,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를 저장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유관기관 단말(210)은 예컨대 보호자의 단말, 의료기관의 서버, 긴급구호센터의 서버 등이 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착용형 기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낙상이 발생한 경우 유관기관 단말(210)은 낙상 발생 여부뿐만 아니라 매핑정보를 수신하여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 낙상의 정도(레벨), 낙상이 발생한 시간 등을 쉽고 빠르게, 그리고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이는 의료기관에서는 낙상환자에 대하여 어느 부위에 낙상이 발생하였는지 다시 검사할 필요 없이 착용형 기기(100)의 메모리모듈에 저장된 매핑정보로부터 낙상부위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유관기관 단말(210)은 검출센서(120)에서 검출된 물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해당 검출센서(120)의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부위에 낙상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 이는 약간의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물리량이 검출되는 경우와 내부의 오류에 의해 물리량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해당 신체부위에 낙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지 않고, 검출된 물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보다 클 경우에만 해당 신체부위에 낙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별도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망(220)은 착용형 기기(100)와 유관기관 단말(210) 간의 유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기기 및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의 유관기관 단말에 저장되는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기기(100)의 메모리모듈(130) 및 유관기관 단말(210)의 내부 저장부에는 착용형 기기(100)의 고유번호(ID)와, 그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낙상감지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각 착용형 기기(100)에 설치된 각 검출센서(120)의 정보와, 각각의 검출센서(120)가 설치된 신체부위의 정보와, 각 검출센서(120)별로 검출된 물리량, 낙상레벨 정도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와 해당 신체부위에 대한 낙상의 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모리모듈(130)의 메모리카드를 카드수용부에서 탈거하여 다른 컴퓨터장치에서 판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상환자가 직접 병원을 방문하지 못해도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정보만으로 의료기관에서 낙상에 대한 이력, 낙상정도,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착용부재 120 : 검출센서
130 : 메모리모듈 140 : 제어부
150 : 출력부 160 : 통신부
210 : 유관기관 단말 220 : 통신망

Claims (11)

  1. 입거나 부착하여 신체의 일부에 착용가능하도록 구현된 착용부재;
    상기 착용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해진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센서;
    상기 각 검출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저장하되, 상기 검출된 물리량, 상기 물리량을 검출한 검출센서의 위치 및 상기 물리량이 검출된 시간을 서로 매핑시킨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모듈; 및
    상기 메모리모듈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 해당 신체부위의 낙상으로 판단하는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모듈은,
    상기 매핑정보가 저장되며 탈착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메모리카드; 및
    상기 메모리카드를 수용하며 상기 메모리카드의 읽기/쓰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카드수용부; 를 포함하는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센서는 가해진 압력값을 검출하는 압전센서 또는 가해진 충격량을 검출하는 충격센서를 포함하는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압력값 또는 충격량에 따라 해당 신체부위에 대한 낙상정도를 다수의 레벨로 구분하여 상기 메모리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검출된 압력값 또는 충격량에 대응하는 낙상정도의 레벨이 기설정된 임계레벨을 넘어서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모듈에 저장된 매핑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서 결정한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유관기관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센서는 상기 착용부재에서 허리, 엉덩이, 고관절, 등, 어깨, 팔, 무릎을 포함하는 신체 부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8. 입거나 부착가능하여 신체에 착용가능하도록 구현되고 낙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발생된 낙상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여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착용형 기기;
    상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착용형 기기로부터 전송받은 낙상 관련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는 유관기관 단말; 및
    상기 착용형 기기와 유관기관 단말 간의 통신을 처리하는 유무선 통신망; 을 포함하고,
    상기 착용형 기기는,
    입거나 부착하여 신체의 일부에 착용가능하도록 구현된 착용부재와, 상기 착용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해진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상기 각 검출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을 저장하되, 상기 검출된 물리량, 상기 물리량을 검출한 검출센서의 위치, 상기 물리량이 검출된 시간을 서로 매핑시킨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모듈과, 그리고 상기 메모리모듈에 저장된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낙상이 발생한 신체부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관기관 단말는 상기 매핑정보로부터 내부 저장부에 상기 검출센서에서 검출된 물리량, 상기 물리량을 검출한 검출센서의 위치, 상기 물리량이 검출된 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검출센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신체부위를 추가로 저장하는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관기관 단말는 상기 신체부위의 경우 상기 검출된 물리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신체부위에 낙상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량은 압력값 또는 충격량을 포함하는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
KR1020150104547A 2015-07-23 2015-07-23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 KR20170011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547A KR20170011631A (ko) 2015-07-23 2015-07-23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547A KR20170011631A (ko) 2015-07-23 2015-07-23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631A true KR20170011631A (ko) 2017-02-02

Family

ID=5815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547A KR20170011631A (ko) 2015-07-23 2015-07-23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63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0281A (zh) * 2018-11-20 2019-02-01 广东嘉腾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一种穿戴式倒地报警装置及安全监控系统
KR20190023735A (ko) * 2017-08-30 2019-03-08 지동철 낙상 감지장치
CN111583595A (zh) * 2020-05-09 2020-08-25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动物监测方法、装置、存储介质、可穿戴设备与监测设备
CN111971718A (zh) * 2018-04-19 2020-11-20 开利公司 用于入侵系统控制的生物测定反馈
CN112602981A (zh) * 2020-11-16 2021-04-06 国网浙江宁波市鄞州区供电有限公司 一种智能安全帽和智能安全帽的控制方法
KR20210099673A (ko) * 2020-02-04 2021-08-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낙상충격 완화장치의 성능 시험방법 및, 이 시험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210157526A (ko) * 2020-06-19 2021-12-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560B1 (ko) 2009-12-21 2013-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손목 착용형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낙상 감지 시스템
KR101460682B1 (ko) 2014-04-30 2014-11-12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감지 장치 및 낙상 감지 방법
KR101464306B1 (ko) 2012-10-08 2014-11-24 차인회 첨가제를 함유하는 차열 및 단열 도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560B1 (ko) 2009-12-21 2013-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손목 착용형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낙상 감지 시스템
KR101464306B1 (ko) 2012-10-08 2014-11-24 차인회 첨가제를 함유하는 차열 및 단열 도료
KR101460682B1 (ko) 2014-04-30 2014-11-12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감지 장치 및 낙상 감지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735A (ko) * 2017-08-30 2019-03-08 지동철 낙상 감지장치
CN111971718A (zh) * 2018-04-19 2020-11-20 开利公司 用于入侵系统控制的生物测定反馈
CN109300281A (zh) * 2018-11-20 2019-02-01 广东嘉腾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一种穿戴式倒地报警装置及安全监控系统
KR20210099673A (ko) * 2020-02-04 2021-08-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낙상충격 완화장치의 성능 시험방법 및, 이 시험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N111583595A (zh) * 2020-05-09 2020-08-25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动物监测方法、装置、存储介质、可穿戴设备与监测设备
KR20210157526A (ko) * 2020-06-19 2021-12-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CN112602981A (zh) * 2020-11-16 2021-04-06 国网浙江宁波市鄞州区供电有限公司 一种智能安全帽和智能安全帽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1631A (ko) 낙상부위 감지기능을 갖는 착용형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부위 감지 시스템
EP2427873B1 (en) Fall prevention system
EP3175781B1 (en) Use of a body area network for monitoring a fall protection harness and the person wearing the same
US20100049096A1 (en) System for fall prevention and a method for fall prevention using such a system
US20160146848A1 (en) Subject monitor
US20060281979A1 (en) Sensing device for sensing emergency situation having acceleration sensor and method thereof
US9028431B2 (en) Status detecting device to be attached to a living being
US20150123785A1 (en) Motion Sensing Necklace System
JPWO2003096892A1 (ja) 脈拍異常監視装置および脈拍異常警報システム
IES20080560A2 (en) Wearin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 protecting against falls with automatic alarm capability
CN110313917B (zh) 以日常生活动作为判断基准的跌倒传感系统及其方法
EP3527096A1 (en) Team participant awareness indicator and indicative notification
KR20180051280A (ko)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
KR20190086112A (ko) 환자의 상태 정보와 용변량에 따라 실시간 진단 기능을 갖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101658782B1 (ko) 호흡수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호흡수 측정이 가능한 마스크
US20150018723A1 (en) Apparatus for early detection of paralysis based on motion sensing
JP2012230610A (ja) 生体位置監視装置及びシステム
KR101786750B1 (ko) 선택적 범위의 무게 측정이 가능한 침상 낙상 방지장치, 방지방법 및 이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획득방법
KR20110011195A (ko) 응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JP2018126307A (ja) 検出装置及び警告出力プログラム
KR20020044711A (ko) 혈압 및 체온 경보시스템
US10575794B2 (en) System for supervising an occupant of a wheelchair
JP2011099793A (ja) 生体情報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105135A (ko) 움직임 감지를 통한 운동마비 조기 감지장치
CN216957146U (zh) 一种检测老年人摔倒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