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908Y1 -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908Y1
KR200445908Y1 KR2020080001981U KR20080001981U KR200445908Y1 KR 200445908 Y1 KR200445908 Y1 KR 200445908Y1 KR 2020080001981 U KR2020080001981 U KR 2020080001981U KR 20080001981 U KR20080001981 U KR 20080001981U KR 200445908 Y1 KR200445908 Y1 KR 2004459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plate
shock absorber
folding table
present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316U (ko
Inventor
강만수
Original Assignee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1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90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3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3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9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9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2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releasably mounted on the bedstead or another item of furniture
    • A47B23/025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releasably mounted on the bedstead or another item of furniture mounted on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자용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 등의 사용자의 체격에 맞추어 테이블 판의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테이블 판에 결합 구성되되, 지지봉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포함하여 상기 테이블 판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지지봉 각각을 연결하는 보조봉과, 상기 보조봉과 테이블 판을 연결 구성하되, 이동 길이의 선택적 제한이 가능하도록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완충기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은 테이블 판을 간단하게 손으로 당기거나 밀어냄으로써 테이블 판과의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이동된 테이블 판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 사용에 불편하지 않으며, 테이블 판의 이동은 완충기로 인하여 급격한 이동에 따른 충격 없이 안전하게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환자용 침대, 접이식 테이블, 수평 이동, 슬라이드, 지지봉, 완충기

Description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table for hospital bed}
본 고안은 환자용 침대 등에 부속 설치되는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써, 회동되는 지지봉과 슬라이드 식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는 테이블 판으로 구성되는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환자용 침대에는 환자의 편의를 위하여, 접이식 테이블이 부속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종래의 환자용 침대(10)에는 환자의 머리 방향 쪽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테이블 판(110)을 올리고 눕힐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10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접이식 테이블(100)의 간단한 구성을 살펴보면, 독서 등을 위한 공간이나 배식판 등을 놓을 수 있는 판상의 테이블 판(110)이, 침대(10)의 측면 프레임과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봉(120) 일단에 결합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120)은 일반적으로 "ㄱ"자형으로 굽어 이루어져 있어, 지지봉(120)을 눕혔을 경우 테이블 판(110)은 침대(10)의 헤드부에 겹쳐 안치되도록 지지봉(120)의 수평부에 테이블 판(110)의 배면이 고정 결합되며, 지지봉(120)의 타 단 부분은 침대 프레임과 힌지 결합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1에서는 접이식 테이블(100)을 올려진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테이블 판(110)과 근접하는 침대의 헤드부 사이의 공간에 환자가 앉아 있게 된다. 상기 테이블 판(110)과 헤드부 사이 공간의 정도는 항상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병원용 침대를 이용하는 환자는 여러 체형의 환자 즉, 성인과 유아 그리고 신체의 불편한 부위 등의 차이로 인하여, 고정된 테이블 판(110)과의 거리의 조절이 필요하다.
때문에 환자들은 테이블 판(110)까지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는 별도의 이동식 탁을 구비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하고, 반대로 테이블 판(110)까지의 공간의 넓은 경우에는 환자가 테이블 판(110)으로 접근하고 등에 베게나 쿠션 등을 더 구비하는 등 매우 불편한 경우가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사용방법은 단순히 불편한 사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환자라는 특수한 상태이기 때문에 불편한 테이블 판(110)의 사용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에 더욱 주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테이블 판이 결합되어 있는 지지봉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격이나 원하는 상태에 따라 테이블 판의 거리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높은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수평으로 이동하는 테이블 판의 이동 속도를 완충기를 구비하여 급작스러운 충격 등을 해결하고 완충기의 이동 길이의 제한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만큼만 이동 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침대의 측면 프레임과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봉 일단에 결합되는 테이블 판으로 구성되는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판에 결합되되 상기 지지봉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안치홈을 구비하여, 상기 테이블 판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지지봉 각각을 연결하는 보조봉과; 상기 보조봉과 테이블 판을 연결 구성하되, 이동 길이의 선택적 제한이 가능하도록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완충기로 이루어지는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완충기는 프리 락 압쇼바(Free-lock Shock Absorber)형(type)이되, 일단은 보조봉에 연결되는 실린더부와, 테이블 판 배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부에서 내부로 출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이동 길이를 제한하는 조작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상기 테이블 판 배면 또는 측면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양단이 관통된 파이프 형(type)이며, 상기 지지봉의 말단에는 지지봉의 이탈방지와 사용자의 보호를 위한 멈치부가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이식 테이블에는, 테이블 판 배면에 구성되되, 일정 간격 회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의 중간측에 힌지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완충기의 조작버튼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타단은 파지부가 마련되는 손잡이가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안치홈에는, 축방향 베어링부가 더욱 구비되어 지지봉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 마찰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은, 테이블 판을 간단하게 손으로 당기거나 밀어냄으로써 테이블 판과의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동된 테이블 판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 사용에 불편하지 않으며, 테이블 판의 이동은 완충기로 인하여 급격한 이동에 따른 충격 없이 안전하게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여 높은 사용 편의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간단히 살펴보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4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일 실시예로서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5a 와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또한, 도 6a 와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상태도, 도 7a 와 7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에 부속되는 완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에 부속되는 손잡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에 부속되는 슬라이드 가이드의 조립 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100)은 종래의 그것과 동일하게 크게, "ㄱ"자형의 지지봉(120)과 판형의 테이블 판(110)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100)은 종래의 그것과는 달리, 상기 테이블 판(110)이 지지봉(120)의 수평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은, 테이블 판(110)에 결합 구성되되 지지봉(120)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안치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22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봉(120) 각각을 연결하는 보조봉(125)과, 상기 보조봉(125)과 테이블 판(110)을 연결 구성하되, 이동 길이의 선택적 제한이 가능하도록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완충기(130)로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7에서 보이는 슬라이드 가이드(220)는 테이블 판(110)의 배면 또는 측면에 결합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봉(120)의 수평부 말단부를 내부에 포함하되 고정 결합이 아니라 상기 지지봉(120)이 슬라이드 가이드(220)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도 3 내지 도 4 그리고 도 6에서 보이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가이드(220)는 테이블 배면(110)에 결합하되 길이 방향으로 지지봉(120)을 포함할 수 있는 안치홈(225)을 마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안치홈(225)는 슬라이드 가이드(220)의 일단으로만 개방되게 구성하 여 개방된 부분으로 지지봉(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지지봉(120)이 슬라이드 가이드(220)의 타단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일단만 개방된 안치홈(225)은 결과적으로 테이블 판(110)을 최대로 사용자(환자) 쪽으로 당겼을 때, 그 길이를 제한할 수 있으며, 지지봉(120)의 말단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 가이드(220)의 다른 실시예로써, 테이블 판(110) 측면에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와 도 7 각각은 테이블 판(110) 측면에 슬라이드 가이드(220)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슬라이드 가이드(220)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양단이 관통된 파이프 형(type)으로 구성된다.
즉, 슬라이드 가이드(220)에 형성된 관통부(도면 미도시)에 지지봉(120)의 말단이 관통 삽입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통부에서 지지봉(120)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된다.
하지만, 양단이 개방되기 때문에 지지봉(120)의 말단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지지봉(120)의 말단에 멈치부(126)를 더욱 구성하여 지지봉(120)의 이탈방지와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한다.
상기 멈치부(126)는 지지봉(120)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20)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가이드(200)에 마련된 관통부의 내부직경 보다 큰 외부직경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적 접촉을 고려하여 고무제 등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 쌍으로 구성되는 지지봉(120) 각각을 서로 연결 구성하는 보조봉(125)이 마련된다. 이는, 후술할 완충기(130)의 일단이 결합되며 한 쌍의 지지봉(120)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여 테이블 판(110)을 접고 펼치는 동작시 보단 균형있는 작동을 보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슬라이드 가이드(220)에 의해 지지봉(120)과 테이블 판(110)은 수평 이동할 수 있지만, 보다 안전하고 이동 속도를 제한하고 이동 거리를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설정하기 위하여 완충기(130)가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완충기(130)는 상기 보조봉(125)과 테이블 판(110)을 연결 구성한다. 또한, 상기 완충기(130)는 이동 길이의 선택적 제한할 수 있도록 조작버튼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에, 본 고안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완충기(130)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써, 완충기는 통상 알려진 기술인 프리 락 압쇼바(Free-lock Shock Absorber)형(type)을 제안한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이러한 완충기(130)는, 그 일단은 상기 보조봉(130)에 연결되는 실린더부(135)와, 테이블 판(110) 배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부(135)에서 내부로 출입되는 연장부(136)와, 상기 연장부(136)의 선단에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136)의 이동 길이를 제한하는 조작버튼(137)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도 8에서 보이는 프리 락 압쇼바 형의 완충기(130)의 간단한 조작을 알아보 면, 연장부(136)는 외부 힘에 의해 실린더부(135) 내부로 일정 반발력을 가지면서 들어가며, 연장부(136)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그 상태로 고정된다. 하지만, 들어간 연장부(136)는 실린더부(135) 외부로 자유롭게 나오지는 못한다.
이때 상기 연장부(136)의 선단에 구성된 조작버튼(137)을 누르면 연장부(136)는 실린더 내부에서 외부로 나온다. 그리고 상기 조작버튼(137)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외부로 나오게 되며 조작버튼(137)에 작용하는 힘을 제거하면 그와 동시에 연장부(136)는 고정된다.
그리고 조작버튼(137)이 실린더부(135) 일단에 구성되어 있는 완충기(130)도 있으나, 본 고안은 조작버튼(137)이 연장부(136) 선단에 마련된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완충기(130)의 각 단은 보조봉(125)과 테이블 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데, 이때 상기 프리 락 압쇼바 형의 완충기(130)의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136)의 일측에 결합편(210)을 구성하여 테이블 판(110)과 볼트 결합으로 구성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에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손잡이가 구성된다.
도 9에서 보이는 손잡이(300)는 테이블 판(110)의 배면에 결합 구성되되, 일정 간격 회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의 중간측에 힌지부(350)로서 상기 테이블 판(110)과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완충기(130)의 조작버튼(137)에 근접하여 설치되 고 타단은 파지부(320)가 마련되도록 한다.
즉, 손잡이(300)는 중심측에 마련되는 힌지부(350)에 의해 양단이 일전 간격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일단은 누름부(310)로서 조작버튼(137)과 맞닿아 사용자가 타단의 파지부(320)를 당기거나 하면 이에 반대 작용으로 조작버튼(137)을 눌러 작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300)의 파지부(320)에는 사용자의 더욱 편한 파지를 위하여 홈부(325)를 더욱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20)의 안치홈(225)에는 축방향 베어링부(230)가 더욱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안치홈(225)에 삽입되는 지지봉(120)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 마찰을 줄이고 지지봉(12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해당 테이블을 밀고 당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방향 베어링부(230)는 슬라이드 가이드(220)의 안치홈(225)에 설치되되 슬라이드 가이드(220)의 개방부에 근접하여 설치하도록 하며, 지지봉(120)의 외경에 맞닿게 하도록 설치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간단한 작동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일 실시예로서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로써, 도 3은 접이식 테이블의 배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접이식 테이블을 펼쳐 놓고 테이블 판(110)을 최대한 멀리 배치한 상태이다. 부분 확대도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손잡이(300)의 누름부(310)는 완충기(130)의 조작버튼(137)에 근접되게 위치하여 있지만 사용자가 손잡이(300)의 어떠한 작용을 가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테이블 판(110)은 도 3에 보이는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사용자가 도 4에서와 같이, 손잡이(300)의 파지부(320)를 사용자 쪽으로 당기게 되면 부분 확대도에서와 같이, 손잡이(300)의 누름부(310)가 완충기(130)의 조작버튼(137)를 누르게 되며, 조작버튼(137)이 눌려진 상태 동안에 완충기(130)의 연장부(136)는 늘어나게 된다. 연장부(136)는 테이블 판(110)과 결합편(210)과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블 판(110)은 늘어나는 연장부(136)와 같이 사용자 쪽으로 수평이동된다.
이때, 사용자가 당기고 있던 손잡이(300)의 파지부(320)에서 손을 떼어내면, 완충기(130)의 조작버튼(137)이 도 3에서와 같이, 돌출되어 복귀하며 이와 동시에 테이블 판(110)의 수평이동이 중단되며 고정된다.
반대로, 도 4의 동작 이후, 사용자가 테이블 판(110)과의 거리를 멀리하려는 경우에는 손잡이(300)를 당긴 상태로 테이블 판(110)을 손으로 밀어내면 되며 원하는 거리 만큼 밀어낸 후 다시 손잡이(300)에서 손을 떼게 되면 그 상태로 고정이 된다.
그리고 도 5a 와 도 5b 각각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전술한 작동 방법에 대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6a 와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상태를, 도 6a 와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상태를 보여 주는 것이다. 단, 도 6a 내지 7b 각각에는 보다 명확한 이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완충기(130)의 구성을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환자용 침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구성도.
도 3 내지 도 4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일 실시예로서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5a 와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6a 와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상태도.
도 7a 와 7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에 부속되는 완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에 부속되는 손잡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에 부속되는 슬라이드 가이드의 조립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환자용 침대
100 : 접이식 테이블 110 : 테이블 판
120 : 지지봉 125 : 보조봉
126 : 멈치부 130 : 완충기
135 : 실린더부 136 : 연장부
137 : 조작버튼
210 : 결합편 220 : 슬라이드 가이드
225 : 안치홈 230 : 베어링부
300 : 손잡이 310 : 누름부
320 : 파지부 325 : 파지홈
350 : 힌지부

Claims (6)

  1. 침대의 측면 프레임과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봉 일단에 결합되는 테이블 판으로 구성되는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판에 결합되되 상기 지지봉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안치홈을 구비하여, 상기 테이블 판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지지봉 각각을 연결하는 보조봉과;
    상기 보조봉과 테이블 판을 연결 구성하되, 이동 길이의 선택적 제한이 가능하도록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완충기;
    로 이루어지는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는 프리 락 압쇼바(Free-lock Shock Absorber)형(type)이되,
    일단은 보조봉에 연결되는 실린더부와, 테이블 판 배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부에서 내부로 출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이동 길이를 제한하는 조작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상기 테이블 판 배면 또는 측면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양단이 관통된 파이프 형(type)이고,
    상기 지지봉의 말단에는 지지봉의 이탈방지와 사용자의 보호를 위한 멈치부가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에는,
    테이블 판 배면에 구성되되, 일정 간격 회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의 중간측에 힌지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완충기의 조작버튼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타단은 파지부가 마련되는 손잡이가;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안치홈에는, 축방향 베어링부가 더욱 구비되어 지지봉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 마찰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20080001981U 2008-02-14 2008-02-14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04459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81U KR200445908Y1 (ko) 2008-02-14 2008-02-14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81U KR200445908Y1 (ko) 2008-02-14 2008-02-14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316U KR20090008316U (ko) 2009-08-19
KR200445908Y1 true KR200445908Y1 (ko) 2009-09-14

Family

ID=4130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981U KR200445908Y1 (ko) 2008-02-14 2008-02-14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9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519B1 (ko) * 2013-04-05 2014-08-07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침대용 식탁
KR102240238B1 (ko) * 2019-10-10 2021-04-21 왕재원 분리형 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9762U (ja) 1983-04-27 1984-11-13 木村寝台工業株式会社 寝台
JPS6152964U (ko) 1984-09-13 1986-04-09
JP2003259942A (ja) * 2002-03-12 2003-09-16 Kazuyoshi Azuma ベッド
JP3575995B2 (ja) * 1998-07-31 2004-10-13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装置及びベッド装置用テーブル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9762U (ja) 1983-04-27 1984-11-13 木村寝台工業株式会社 寝台
JPS6152964U (ko) 1984-09-13 1986-04-09
JP3575995B2 (ja) * 1998-07-31 2004-10-13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装置及びベッド装置用テーブル板
JP2003259942A (ja) * 2002-03-12 2003-09-16 Kazuyoshi Azuma ベ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316U (ko)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39555B (zh) 儿童安全座椅支撑座
EP2865290B1 (en) Chair-convertible walking stick
EP3782708A1 (en) Automatic telescopic pole
JP5963394B2 (ja) 折畳式乳母車
US9504297B2 (en) Foldable chair
US20100327561A1 (en) Stroller and support-frame adjusting device
ITMI20000535U1 (it) Passeggino con telaio ripiegabile e manubrio retrattile
US8215661B2 (en) Stroller
US20130264799A1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and apparatus for seating a child
EP1916173A2 (en) Safety lock for an umbrella stroller
KR200445908Y1 (ko) 수평 위치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접이식 테이블
JP5014472B2 (ja) 簡易便器
US20150107636A1 (en) Chair-convertible walking stick
KR200461319Y1 (ko)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CN206086455U (zh) 儿童安全座椅支撑座
CN106741109B (zh) 一种婴儿车座兜
JP2007014685A (ja) 歩行器
US9687072B1 (en) Readily releasable locking device for a desk
CN204623212U (zh) 儿童汽车安全座
KR101425188B1 (ko)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 가능한 목발
TWI463959B (zh) 具拐杖功能之收折椅
CN204712906U (zh) 一种儿童汽车安全座
CN219389137U (zh) 一种可伸缩的固定支架
KR101802491B1 (ko) 의자
CN220917014U (zh) 伸缩机构和婴儿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