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678A -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678A
KR20130048678A KR1020120001553A KR20120001553A KR20130048678A KR 20130048678 A KR20130048678 A KR 20130048678A KR 1020120001553 A KR1020120001553 A KR 1020120001553A KR 20120001553 A KR20120001553 A KR 20120001553A KR 20130048678 A KR20130048678 A KR 20130048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upling
hole
frame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8903B1 (ko
Inventor
황세인
Original Assignee
(주)밴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밴플러스 filed Critical (주)밴플러스
Publication of KR20130048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96Guiding means for fork-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컨테이너가 장착되는 사각형 프레임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보; 상기 측면보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면보; 상기 측면보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면보; 상기 컨테이너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면보의 상면에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1 결합부재; 상기 측면보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는,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이외의 소형 컨테이너가 복수 개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보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결합부재는,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및 관련 장비와 호환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보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이외의 소형 컨테이너를 복수 개 연결한 상태로, 기존의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Frame for transportation of freight containers}
본 발명은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이외의 소형 컨테이너를 복수 개 연결한 상태로, 기존의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freight container, cargo container)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 운송에 많이 쓰이는 직육면체 형상의 철제 용기로서, 그 길이에 따라 20피트형, 40피트형, 40피트-하이큐브형 등의 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 규격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근해 운송용으로는 상기 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 규격 제품보다 작은 길이의 제품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6피트형, 8피트형, 10피트형, 12피트형 컨테이너 등 소형 컨테이너들(9)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소형 컨테이너들(9)은, 상기 ISO 표준 규격 제품들에 맞추어서 설계된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7)(도 10에 도시)나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6)(도 11에 도시)와는 호환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상기 소형 컨테이너들(9)에 장착된 암부재(50)의 위치와 상기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7) 및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6)에 장착되며 상기 암부재(5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부재(40)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소형 컨테이너들(9)을 한 개 또는 두 개 정도 일반 화물 트럭에 실어서 운송하거나, 별도의 치공구를 장착한 전용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이송해야만 하므로, 운송시에 컨테이너의 핸들링이 복잡해지고 운송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존의 컨테이너 샤시(7)나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6)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이외의 소형 컨테이너를 복수 개 연결한 상태로, 기존의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은, 복수 개의 컨테이너가 장착되는 사각형 프레임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보; 상기 측면보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면보; 상기 측면보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면보; 상기 컨테이너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면보의 상면에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1 결합부재; 상기 측면보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는,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이외의 소형 컨테이너가 복수 개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보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결합부재는,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및 관련 장비와 호환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보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수부재이며, 상기 제2 결합부재는,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수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코너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재들 중 일부는, 상기 코너부에 배치된 제2 결합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들 중 나머지는, 상기 측면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위치와 상기 측면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수용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의 중앙부 측면에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포크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측면보에 형성된 포크 삽입구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측면보들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포크 삽입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면보의 하단부에는,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의 구즈넥부와 결합가능한 형상의 구즈넥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즈넥 삽입구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구즈넥부 위에 올려져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의 구즈넥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들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측면보들을 서로 연결하며, 전후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가로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로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로보의 하면은 상기 측면보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측면보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 개의 경사보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면보의 측면에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측면결합유닛을 구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결합유닛은, 상기 측면보의 측면에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공; 일단부가 상기 관통공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며,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좌우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돌출된 일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코너에 마련된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측면 결합공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관통공을 폐쇄시키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폐쇄위치에 있는 이탈방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핀이 상기 관통공의 후방으로 이탈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탄성 수단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측면보의 전단부 및 후단부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보들의 중간부 측면에는 상기 측면결합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이외의 소형 컨테이너가 복수 개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결합부재와,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및 관련 장비와 호환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보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결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이외의 소형 컨테이너를 복수 개 연결한 상태로, 기존의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관련 장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이 아닌 8피트형 소형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결합부재인 수부재가 소형 컨테이너에 결합되어 있는 제2 결합부재인 암부재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부재가 잠금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위에 8피트형 소형 컨테이너 5개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제품들에 호환되도록 맞추어서 설계된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제품들에 호환되도록 맞추어서 설계된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재들 중 일부가 상기 측면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수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재들 중 일부가 상기 측면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측면결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측면결합유닛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측면결합유닛의 이탈방지부재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측면결합유닛의 이탈방지부재가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측면결합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4에 도시된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위에 8피트형 소형 컨테이너 5개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의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은, 복수 개의 소형 컨테이너들(9)이 상면에 장착될 수 있는 사각형 프레임으로서, 측면보(10)와, 전면보(20)와, 후면보(30)와, 제1 결합부재(40)와, 제2 결합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장착될 소형 컨테이너(9)가 가로 세로 높이 모두 8피트(2438mm)인 8피트형 소형 컨테이너인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측면보(1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I형 강제 보(beam)로서, 한 쌍이 마련되는데 서로 평행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면보(10)의 길이(L1)가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40피트-하이큐브형 컨테이너의 장변의 길이와 동일한 40피트(12192mm)이다.
상기 전면보(20)는, 상기 측면보(10)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10)들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측면보(10)들을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면보(10) 전단부 외측면이 서로 이격된 거리(L2)가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40피트-하이큐브형 컨테이너의 단변의 길이인 8피트(2438mm)와 동일하도록, 상기 전면보(20)의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후면보(30)는, 상기 측면보(10)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로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10)들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측면보(10)들을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면보(10) 후단부 외측면이 서로 이격된 거리(L2)가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40피트-하이큐브형 컨테이너의 단변의 길이인 8피트(2438mm)와 동일하도록, 상기 전면보(20)의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측면보(10)와 상기 전면보(20) 및 상기 후면보(30)의 높이는, 상기 8피트형 소형 컨테이너(9)가 장착되었을 때의 전체 높이(L3)가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40피트-하이큐브형 컨테이너의 높이인 9피트 6인치(2896mm)와 동일하도록, 1피트 6인치(458mm)이다.
상기 한 쌍의 측면보(10)들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측면보(10)들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측면보(10)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보(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로보(11)의 일단부는 상기 측면보(10)들 중 하나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보(11)의 타단부는 상기 측면보(10)들 중 나머지 하나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로보(11)들은, 상기 측면보(10)들의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가로보(11)들 중 후방 측에 위치한 3개의 가로보(11)의 하면은, 상기 측면보(10)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상기 측면보(10)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 개의 경사보(1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보강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보(10)의 중앙부 측면 각각에는, 포크 리프트(fork lift)의 포크(fork)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하는 구멍인 한 쌍의 포크 삽입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보(10)들 중 하나에 형성된 2개의 포크 삽입구(14)와, 상기 측면보(10)들 중 나머지 하나의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2개의 포크 삽입구(14)는, 상기 측면보(10)들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파이프형 부재인 포크 삽입관(13)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포크 삽입관(13)의 일단부는 상기 측면보(10)들 중 하나의 내측면에 형성된 포크 삽입구(14)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 삽입관(13)의 타단부는 상기 측면보(10)들 중 나머지 하나의 내측면에 형성된 포크 삽입구(14)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면보(20)의 하단부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7)의 구즈넥부(8)와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즈넥 삽입구(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즈넥 삽입구(21)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한 쌍의 부재로서, 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된 구즈넥 안착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즈넥 안착부(22)는, 상기 구즈넥부(8)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결합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는 상기 구즈넥 삽입구(21)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최전방에 위치한 상기 가로보(1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40)는, 상기 측면보(10)의 상면에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복수 개 배열되어 있는 결합용 부재로서, 상기 제2 결합부재(50)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 결합부재(40)는,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이외의 소형 컨테이너(9)가 복수 개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이외의 소형 컨테이너(9)를 복수 개 장착할 수 있는 간격으로 상기 측면보(10)의 상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결합부재(40)는, 5개의 상기 소형 컨테이너(9)가 장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상기 측면보(10)의 상면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40)들 중 4개는, 상기 측면보(10)와 전면보(20)와 후면보(30)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각형 프레임의 코너부에 위치하여, 후술할 상기 제2 결합부재(5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결합부재(40)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타원형 단면의 수부재가 사용된다.
상기 제2 결합부재(50)는, 상기 측면보(10)의 양단부 하면에 배치되어 있는 결합용 부재로서 4개가 마련되며, 상기 측면보(10)와 전면보(20)와 후면보(30)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각형 프레임의 코너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2 결합부재(50)는,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의 관련 장비들과 호환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의 관련 장비들, 예컨대 상기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7) 및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6)와 호환 가능한 간격으로 상기 측면보(10)의 하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이 상기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7) 등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2 결합부재(50)가 상기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7) 등에 마련된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의 잠금장치(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6)는 상기 소형 컨테이너(9)의 상측 코너부에 마련된 제2 결합부재(50)를 이용하여 핸들링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결합부재(50)는, 내부 공간을 가진 박스형 암부재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부재(40)와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수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는 타원형 결합공(51, 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51, 52)들은 상기 제2 결합부재(5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상하면 결합공(51)들과, 상기 제2 결합부재(5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결합공(52)으로 나뉜다.
따라서, 상기 제2 결합부재(50)는, 상기 제1 결합부재(4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51)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제1 결합부재(4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5개의 소형 컨테이너(9)를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에 장착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5개의 소형 컨테이너(9)들이 장착된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은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40피트-하이큐브형 컨테이너와 동일한 가로(L1) 40피트(12192mm), 세로(L2) 8피트(2438mm), 높이(L3) 9피트 6인치(2896mm)의 규격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은,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이외의 소형 컨테이너(9)가 복수 개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결합부재(40)와,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및 관련 장비와 호환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보(10)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결합부재(5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이외의 소형 컨테이너(9)를 복수 개 연결한 상태로, 기존의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관련 장비, 예컨대 상기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7) 및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6)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은, 상기 한 쌍의 측면보(10)들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측면보(10)들을 서로 연결하며, 전후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가로보(1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측면보(10)와 전면보(20)와 후면보(30)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각형 프레임이 구조적으로 보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은, 상기 가로보(11)들 중 일부인 후방 측에 위치한 3개의 가로보(11)의 하면이, 상기 측면보(10)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므로, 장착된 소형 컨테이너(9)들의 하중이 외부 바닥면 예컨대 상기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7)의 상면으로 용이하게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은, 상기 측면보(10)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 개의 경사보(1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면보(10)와 전면보(20)와 후면보(30)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각형 프레임이 추가적으로 보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은, 상기 한 쌍의 측면보(10)의 중앙부 측면에 포크 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포크 삽입구(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항만 등에서 사용하는 포크 리프트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은, 상기 전면보(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구즈넥 삽입구(21)와 상기 구즈넥 삽입구(21)에 마련된 상기 구즈넥 안착부(2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형상의 컨테이너 샤시뿐만 아니라 상기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7)에도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은, 상기 제1 결합부재(40)가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수부재이며, 상기 제2 결합부재(50)가 상기 결합공(51)을 구비한 암부재이므로, 상기 제1 결합부재(40)가 상기 결합공(5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제1 결합부재(40)와 제2 결합부재(50)가 탈착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결합부재(40)가 상기 측면보(10)의 상면으로부터 항상 돌출되어 있는 구성이나,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보(10)의 상면에 수용공(15)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15)에 수납되어 상기 측면보(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수용위치와 상기 수용공(15)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측면보(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제1 결합부재(140)를 마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코너부에 위치하는 4개의 상기 제1 결합부재(40)들은 상기 측면보(10)의 상면으로부터 항상 돌출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수요공(15)의 개수 및 위치는 상기 소형 컨테이너(9)의 길이 즉 8피트, 10피트, 12피트 등에 맞도록 결정된다.
이렇게, 상기 수용공(15)과 상기 제1 결합부재(140)를 사용하게 되면, 소형 컨테이너(9)가 장착되지 않은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들을 여러 개 겹쳐서 쌓은 후, 상기 코너부에 위치한 제1 결합부재(40)와 제2 결합부재(50)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복수 개의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들을 한꺼번에 회수하기 용이하다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200)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200)의 구성 및 효과는 상술한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100)의 구성 및 효과와 대부분 일치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200)은, 상기 측면보(10)들의 전단부 및 후단부 상면에는 8피트형 소형 컨테이너(9)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부재(40)가 4개씩 장착되어 있으나, 상기 측면보(10)들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40) 대신에 후술할 측면결합유닛(60)이 장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측면결합유닛(60)은, 소형 컨테이너들(9)의 측면 결합공(5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소형 컨테이너들(9)을 고정할 수 있는 장치로서, 본체(61)와, 고정핀(62)과, 이탈방지부재(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61)는, 철제 금속판을 용접하여 제조되는 "ㄴ" 자형 프레임으로서, 하단부 측면이 상기 측면보(10)의 외측면에 용접되어 결합된다.
상기 본체(61)의 상단부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관통공(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62)은, 상기 관통공(63)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기 관통공(63)에 삽입되는 철제 원형 핀으로서, 상기 관통공(63)에 관통된 상태에서 좌우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관통공(63)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핀(62)은, 길게 연장된 형상의 돌출부(621)와, 상기 돌출부(621)에 형성된 머리부(622)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621)는, 상기 본체(61)의 관통공(63)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6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며, 상기 관통공(63)의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관통공(6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62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63)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좌우 위치 이동 가능하며, 일단부가 소형 컨테이너들(9)의 코너에 마련된 상기 제2 결합부재(50)의 측면 결합공(52)에 삽입된다.
상기 머리부(622)는, 상기 돌출부(621)의 타단부에 형성된 원판으로서 상기 관통공(63)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621)가 상기 관통공(63)을 관통하여 상기 소형 컨테이너(9) 측으로 즉 상기 돌출부(621)의 삽입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이탈방지부재(64)는, 상기 고정핀(62)이 상기 돌출부(621)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평판 부재로서, 일면이 상기 관통공(63)에 삽입된 머리부(622)의 뒷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64)는, 상단부가 상기 관통공(63)의 후면 상단부 본체(61)에 중심핀(65)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중심핀(65)을 중심으로 상기 관통공(63)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관통공(63)을 폐쇄시키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다.
상기 중심핀(65)은, 일단부가 상기 관통공(63)의 후면 상단부 본체(61)에 용접되어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수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핀(65)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64)의 타면을 상기 관통공(63)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수단으로서 코일형 스프링(66)이 압축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수나사부(미도시)에는 상기 스프링(66)의 이탈을 방지하는 암나사(67)가 결합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200)의 경우, 상기 고정핀(62)을 상기 관통공(63)에 삽입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형 컨테이너들(9)을 상기 측면보(10)의 중간부 상면에 올려놓은 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62)의 돌출부(621)를 상기 관통공(63)에 관통시켜서 전방으로 돌출시키게 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621)의 일단부가 소형 컨테이너들(9)의 코너에 마련된 상기 제2 결합부재(50)의 측면 결합공(5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62)을 상기 관통공(63)의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측면 결합공(52)의 위치와 대응시킨다.
이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위치에 있는 이탈방지부재(64)를 상기 중심핀(65)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탈방지부재(64)의 일면이 상기 관통공(63)에 삽입된 머리부(622)의 뒷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고정핀(62)이 상기 돌출부(621)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되며, 상기 소형 컨테이너들(9)들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62)가 상기 관통공(63)에 관통된 상태에서 좌우 위치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측면결합유닛(60)에 의하여 고정된 소형 컨테이너들(9)들도 상기 측면보(10)의 길이 방향으로 미세하게 위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소형 컨테이너들(9)들의 분리 과정은 상기 장착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200)은, 상기 소형 컨테이너들(9)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결합공(52)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면보(10)의 측면에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측면결합유닛(6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소형 컨테이너들(9)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공(51)에 결합되는 상기 제1 결합부재(40)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측면 결합공(52)을 사용하여 상기 소형 컨테이너들(9)을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200)은, 상기 측면결합유닛(60)이 상기 본체(61)에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공(63)과, 일단부가 상기 관통공(63)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며, 상기 관통공(63)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좌우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돌출된 일단부가 상기 소형 컨테이너들(9)의 코너에 마련된 상기 제2 결합부재(50)의 측면 결합공(52)에 삽입되는 고정핀(62)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하게 8피트의 길이를 가지지 못하고 10mm 내지 100mm 정도 길거나 짧아서 전후 방향 오차(E)를 가지는 소형 컨테이너(9)도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200)은, 상기 관통공(63)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관통공(63)을 폐쇄시키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63)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6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폐쇄위치에 있는 이탈방지부재(64)에 의하여 상기 머리부(622)의 뒷면이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핀(62)이 상기 돌출부(621)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인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200)은, 상기 이탈방지부재(64)가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스프링(66)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63) 방향으로 가압되어 밀착되므로, 상기 이탈방지부재(64)와 상기 본체(61)와의 마찰력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운송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하여 우발적으로 상기 폐쇄위치에 있는 이탈방지부재(64)가 상기 개방위치로 회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200)은, 상기 측면보(10)의 전단부 및 후단부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40)가 4개씩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보(10)들의 중간부 측면에는 상기 측면결합유닛(60)이 복수 개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6)를 이용하여 상기 측면보(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장착된 소형 컨테이너들(9)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측면보(10)들의 중간부에 장착된 소형 컨테이너들(9)이 상기 측면보(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장착된 소형 컨테이너들(9)에 의하여 전후 방향 위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10 : 측면보
11 : 가로보 12 : 경사보
13 :포크 삽입관 14 : 포크 삽입구
15 : 수용공 20 : 전면보
21 : 구즈넥 삽입구 22 : 구즈넥 안착부
30 : 후면보 40 : 제1 결합부재
50 : 제2 결합부재 51, 52 : 결합공
60 : 측면결합유닛 61 : 본체
62 : 고정핀 621 : 돌출부
622 : 머리부 63 : 관통공
64 : 이탈방지부재 65 : 중심핀
66 : 스프링 67 : 암나사
6 :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 7 :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
8 : 구즈넥부 9 : 소형 컨테이너
E : 컨테이너 길이 오차

Claims (11)

  1. 복수 개의 컨테이너가 장착되는 사각형 프레임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로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한 상태로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보;
    상기 측면보들의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전면보;
    상기 측면보들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면보;
    상기 컨테이너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면보의 상면에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1 결합부재;
    상기 측면보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결합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는,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이외의 소형 컨테이너가 복수 개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보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결합부재는,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 컨테이너 및 관련 장비와 호환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보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수부재이며,
    상기 제2 결합부재는,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수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코너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재들 중 일부는, 상기 코너부에 배치된 제2 결합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들 중 나머지는, 상기 측면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위치와 상기 측면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수용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보의 중앙부 측면에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포크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측면보에 형성된 포크 삽입구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측면보들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포크 삽입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보의 하단부에는,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의 구즈넥부와 결합가능한 형상의 구즈넥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즈넥 삽입구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구즈넥부 위에 올려져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의 구즈넥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측면보의 측면에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측면결합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결합유닛은,
    상기 측면보의 측면에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공;
    일단부가 상기 관통공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며,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좌우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돌출된 일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코너에 마련된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측면 결합공에 삽입되는 고정핀;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관통공을 폐쇄시키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폐쇄위치에 있는 이탈방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핀이 상기 관통공의 후방으로 이탈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탄성 수단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보의 전단부 및 후단부 상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보들의 중간부 측면에는 상기 측면결합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KR1020120001553A 2011-11-02 2012-01-05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KR101378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3597 2011-11-02
KR1020110113597 2011-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678A true KR20130048678A (ko) 2013-05-10
KR101378903B1 KR101378903B1 (ko) 2014-03-27

Family

ID=4865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553A KR101378903B1 (ko) 2011-11-02 2012-01-05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045B1 (ko) * 2013-10-10 2015-01-27 주식회사 제일특장차 강판 운송 및 적층 보관이 가능한 파렛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604B1 (ko) * 2015-01-23 2015-05-13 (주)평강 길이가 긴 중량물의 운반을 위한 적재파레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1438B2 (ja) * 2000-11-01 2006-04-26 有限会社ヒロテック コンテナ吊支装置
KR20110064228A (ko) * 2009-12-07 2011-06-15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 운송 장치
KR101162836B1 (ko) * 2010-02-01 2012-07-06 에이치비비엔지니어링 (주) 규격이 다른 컨테이너 적재용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045B1 (ko) * 2013-10-10 2015-01-27 주식회사 제일특장차 강판 운송 및 적층 보관이 가능한 파렛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903B1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95888U (zh) 一种托盘箱
US7874773B2 (en) Chassis packing system
CN106542213A (zh) 运输箱
CN104590296A (zh) 一种敞车的侧墙结构
KR101378903B1 (ko)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BE1024366B1 (nl) Verbeterd hoekstuk voor het vormen van een hoek van een container, container die voorzien is van zulke verbeterde hoekstukken, en, grijpmechanisme en grijper die kunnen samenwerken met zulke verbeterde hoekstukken.
WO2016192591A1 (zh) 堆码大型货物的方法、运输框架以及具有其的运输单元
KR101805833B1 (ko) 컨테이너의 측벽을 가압함으로써 고정되는 중량물 지지대
CN211055616U (zh) 一种周转箱
KR102026671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8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218291B1 (ko)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CN204957408U (zh) 运输箱
JP5255362B2 (ja) 運搬台車の連結部材
CN204489102U (zh) 船艉部总段运输工装
CN110745342A (zh) 一种周转箱
US11214436B2 (en) Transport platform
KR101874363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CN105775745B (zh) 客车侧窗玻璃转运货架
CN106542225B (zh) 顶角件及其公体、母体
KR102026673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6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9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7B1 (ko) 가변형 파렛트
KR200463667Y1 (ko) 이탈방지용 안전수단이 구비된 운반트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