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363B1 - 컨테이너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363B1
KR101874363B1 KR1020160125662A KR20160125662A KR101874363B1 KR 101874363 B1 KR101874363 B1 KR 101874363B1 KR 1020160125662 A KR1020160125662 A KR 1020160125662A KR 20160125662 A KR20160125662 A KR 20160125662A KR 101874363 B1 KR101874363 B1 KR 101874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iston
fastening
binding apparatus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499A (ko
Inventor
김홍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3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서로 이웃한 제1 컨테이너와 제2 컨테이너를 결속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테이너에 결합되며 일측에 외부의 압력을 전달받는 제1 피스톤이 구비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피스톤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피스톤을 가압하면, 상기 제1 피스톤을 가압하면, 상기 제2 컨테이너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2 체결부에 가압력이 전달할 수 있는, 상기 제1 피스톤과 연결되는 제2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 결속장치{COUPLING DEVICE FOR CONTAINTER}
본 발명은 선박 등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수송하는데 이용되는 컨테이너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컨테이너는 화물의 안전한 운송을 위한 적재 또는 보관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박에 의해 운송된다. 컨테이너선박은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선박으로써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선박 선창(cargohold) 내부 또는 외부에 적재하여 운송한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박에 컨테이너는 다단으로 적재되고 상하 결속부재인 트위스트 락(Twist-lock)을 통해서 상하로 결속되어 복수의 컨테이너들은 수직 층상 구조를 이룬다.
컨테이너선박은 제한된 적재공간에서 저비용으로 최대한 많은 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제한된 적재공간 내에 최대한 많은 컨테이너를 적재시켜 컨테이너선박의 적재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컨테이너선박의 최외곽에 배치되고 최상부에 적재된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선박에 작용하는 롤링 등에 의하여 내부에 적재된 컨테이너에 비해 큰 모멘트가 작용되므로, 컨테이너선박에서 이탈될 위험이 매우 크다.
따라서, 컨테이너선박은 최외곽에 배치되고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단수를 내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 보다 1 ~ 2단 작게 조절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박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최상부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없게 되어 적재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박의 상부에 컨테이너를 동일한 단수로 적재하여 컨테이너선박의 적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결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서로 이웃한 제1 컨테이너와 제2 컨테이너를 결속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테이너에 결합되며 일측에 외부의 압력을 전달받는 제1 피스톤이 구비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피스톤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피스톤을 가압하면, 상기 제1 피스톤을 가압하면, 상기 제2 컨테이너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2 체결부에 가압력이 전달할 수 있는, 상기 제1 피스톤과 연결되는 제2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소켓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록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소켓이 끼워져 연결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1 피스톤 사이에 연결되어 인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피스톤부는,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연결하고 내부에 상기 제2 피스톤이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피스톤보다 면적이 작은 개구가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 모듈은, 서로 이웃한 제1 컨테이너와 제2 컨테이너 사이에서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컨테이너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컨테이너 결속장치, 상기 제1 컨테이너에서 상기 제2 컨테이너와 멀어지게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록커 및 상기 컨테이너 결속장치와 상기 연결록커를 상호 연결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컨테이너 측에서,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양단에 설치된 상기 컨테이너 결속장치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는, 컨테이너선박의 상부에 동일한 단수로 컨테이너들을 적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외곽에 배치되고 최상부로 적재되는 컨테이너들을 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박의 적재능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가 적용된 컨테이너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컨테이너 결속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에 나타낸 컨테이너 결속장치가 컨테이너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컨테이너와 컨테이너를 하역하기 위한 스프레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스프레더가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 모듈이 컨테이너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가 적용된 컨테이너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컨테이너선박(200)은 다단으로 적재되는 복수개의 컨테이너(210)를 하부에서 고정하는 래싱브릿지(230)와 최외곽에 배치되어 적재된 최상부의 제1 컨테이너(211)와 측면의 제2 컨테이너(212) 사이를 연결하여 결속시키는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철제 박스 형태로 제작된 컨테이너(210)는 컨테이너선박(200)에 적재되어 해상 운송용으로 사용된다. 컨테이너선박(200)은 상부에 컨테이너(210)가 적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선창을 형성한다.
래싱브릿지(230)는 컨테이너선박(200)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크로스부재(232)와 크로스부재(232)의 기둥인 복수의 컬럼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럼부재(231)에는 컨테이너(210)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래싱로드(234)가 연결된다.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는 컨테이너선박(200)에 최외곽으로 적재된 최상부의 제1 컨테이너(211)와 제1 컨테이너(211)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컨테이너(212) 사이를 결속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1)와 제2 컨테이너(212)의 결속을 통해 컨테이너선박(200)이 롤링 등 임의 유동을 할 경우에도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211)가 컨테이너선박(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컨테이너(211)의 적재로 인해 컨테이너선박(200)의 적재능력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를 나타낸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컨테이너 결속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211)와 제2 컨테이너(212)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컨테이너(211)와 제2 컨테이너(212) 각각에 연결되어 서로를 결속할 수 있다.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211)의 상면 및 제2 컨테이너(212)의 상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211)와 연결되는 제1 체결부(10)와 제2 컨테이너(212)와 연결되는 제2 체결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0)는 외측으로 제1 컨테이너(211)를 향하여 돌출되어, 제1 컨테이너의 소켓(211a)에 삽입되고 회전하면서 결속되는 회전록커(15)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록커(15)는 제1 컨테이너의 소켓(211a)에 끼워져, 제1 컨테이너의 소켓(211a) 내부에서 90° 회전하여 제1 컨테이너의 소켓(211a)과 결속될 수 있다. 즉, 회전록커(15)는 트위스트락의 일반적인 구성을 따르며,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체결부(10)는 제1 피스톤(34a)을 내부에 수용하고, 제1 피스톤(34A) 주위로 커버(12)가 연결될 수 있다. 커버(12)는 제1 피스톤(34a)보다 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될 스프레더(250, 도 6참조)의 트위스트락(250a, 도 6 참조)이 커버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피스톤(34a)은 제1 체결부(10)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0a)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피스톤(34a)은 유압실린더부(32)와 피스톤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부(32)는 제1 체결부(10)의 공간부(10a)에 안착되며 제2 컨테이너(212)에 연결된 제2 체결부(2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부(32) 내부에는 유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체가 채워진다.
제1 피스톤(34a)은 유압실린더부(32)를 밀폐할 수 있다. 제1 피스톤(34a)은 제2 컨테이너(212)에 연결된 제2 체결부(20)를 향하여 돌출된 유압실린더부(32)와 제2 체결부(20)의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부(25)를 연결하는 제2 피스톤(34b)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피스톤(34a)이 가압될 경우, 유압실린더부(32) 내부에 형성된 유압에 의해 제2 피스톤(34b)은 제2 컨테이너(212)를 향해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2 피스톤(34b)과 연결되는 제2 체결부(20)의 걸림부(25)는 제2 피스톤(34b)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이동될 수 있다.
스프링(40) 내부로 제2 피스톤(34b)은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40)은 제1 피스톤(34a)과 걸림부(25) 사이를 연결한다. 스프링(40)은 걸림부(25)를 제1 피스톤(34a)으로 당기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프링(40)은 장력스프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부(25)는 제1 피스톤(34a)을 향해 항상 인력이 작용된다.
따라서, 제1 피스톤(34a)이 가압될 경우, 제2 피스톤(34b)에 의해 걸림부(25)는 제2 피스톤(34b)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 피스톤(34a)에 압력이 해제되면, 걸림부(25)는 스프링(40)으로부터 받는 인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0)와 제2 체결부(20) 사이에는 연결부(50)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0)를 통해 제2 피스톤(34b)과 스프링(4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걸림부(25)는 제2 체결부(20) 내부에 위치한다. 제2 체결부(20) 내부에서 걸림부(25)는 제2 피스톤(34b)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걸림부(25)는 제2 컨테이너의 소켓(212a)이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25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체결부(20)가 제2 컨테이너의 소켓(212a)이 끼워지면, 걸림부(25)의 걸림홈(25b)에 제2 컨테이너의 소켓(212a)이 끼워지며 결속될 수 있다. 걸림부(25)의 이동에 의해 걸림홈(25b)에서 제2 컨테이너의 소켓(212a)이 빠지면서 결속은 해제될 수 있다. 걸림부(25)는 하면에 경사면(25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테이너 결속장치(100)가 제2 컨테이너의 소켓(212a)에 수직한 방향으로 끼워지게 되면 경사면(25a)과 제2 컨테이너의 소켓(212a)이 접촉하게 되고, 경사면(25a)을 따라 걸림부(25)는 제1 체결부(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컨테이너의 소켓(212a)에 삽입된다. 이때, 걸림홈(25b)에 제2 컨테이너의 소켓(212a)이 삽입되면서 걸림부(25)는 제2 컨테이너의 소켓(212a)과 결속될 수 있다.
도 4 는 도 2에 나타낸 컨테이너 결속장치가 컨테이너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4를 참고하면, 컨테이너선박(200)에는 컨테이너(210)가 수직하게 적재되어 있다. 이때, 컨테이너(210)는 대략 복수의 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1 컨테이너(211)는 인접하며 컨테이너선박(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컨테이너(212)와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211) 및 제2 컨테이너(212) 사이에서, 제1 컨테이너(211)와 제2 컨테이너(212)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는 컨테이너(21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제1 컨테이너(211)와 제2 컨테이너(212)의 결속을 통해 컨테이너선박(200)이 롤링 등 임의 유동을 할 경우에도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211)가 컨테이너선박(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컨테이너(211)의 적재로 인해 컨테이너선박(200)의 적재능력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0)에는 제1 피스톤(34a)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피스톤(34a)의 가압여부에 따라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컨테이너와 컨테이너를 하역하기 위한 스프레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스프레더가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컨테이너 결속장치(100)의 제1 체결부(10)의 제1 피스톤(34a)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제1 피스톤(34a)의 가압될 경우, 컨테이너 결속장치(100)의 제2 체결부(20)와 제2 컨테이너(212)의 결속은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는 컨테이너(210)를 하역하기 위한 스프레더(250)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착장에는 컨테이너(210)를 하역하기 위해 스프레더(250)가 연결되는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레더(250)를 통해 컨테이너(210)를 컨테이너선박(200)으로부터 선착장의 컨테이너(210) 보관소로 이동시킨다. 스프레더(250)와 컨테이너(210)가 연결되는 부분은 트위스트락(250a)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스프레더(250)의 트위스트락(250a)은 컨테이너(210)의 소켓에 삽입되어 회전하여 결속된다. 이후, 크레인으로 스프레더(250)와 결속된 컨테이너(210)를 끌어올려 이동시키게 된다.
컨테이너 결속장치(100)의 제1 피스톤(34a)은 스프레더(250)의 트위스트락(250a)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컨테이너(211)와 제2 컨테이너(212) 사이에만 컨테이너 결속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레더(250)의 일측면에 형성된 트위스트락(250a)은 제1 컨테이너(211)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컨테이너의 소켓(211a)에 결속될 수 있다. 타측면에 형성된 트위스트락(250a)은 컨테이너 결속장치(100)의 제1 피스톤(34a)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피스톤(34b)에 연결된 걸림부(25)는 제2 컨테이너(212)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컨테이너의 소켓(212a)과 결속된 걸림홈(25b)이 제2 컨테이너의 소켓(212a)으로부터 빠지면서 결속은 해제될 수 있다.
스프레더(250)의 트위스트락(250a)은 제1 피스톤(34a)을 누르면서 제1 체결부(10)의 커버(12)에 연결됨으로써 제1 컨테이너(211)와 스프레더(25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결속장치(100)의 해체 작업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 모듈이 컨테이너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컨테이너 결속장치 모듈(300)은 복수개의 컨테이너 결속장치(100) 와 복수개의 연결록커(310) 및 컨테이너 결속장치(100)와 연결록커(310)를 연결하는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211)와 제2 컨테이너(2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는 제2 컨테이너(212)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제외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연결록커(310)는 제1 컨테이너(211)의 일측면으로 설치된다. 즉, 컨테이너 결속장치(100)가 설치되지 않은 측면으로 설치된다. 연결록커(310)의 상면에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지그가 연결될 수 있도록 소켓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20)은 컨테이너 결속장치(100)와 연결록커(3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즉, 프레임(320)은 컨테이너 결속장치(100)와 연결록커(310) 사이를 연결하고, 연결록커(310)와 연결록커(3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프레임(320)은 제1 컨테이너(211)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320)은, 항구에서 컨테이너 크레인의 지그가 제1 컨테이너(211)에 연결될 때, 연결록커(310) 및 컨테이너 결속장치(100)에 연결되어 제1 컨테이너(211)의 상부에 높이 차이가 없어, 보다 안정적으로 제1 컨테이너(211)를 인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테이너 크레인(미도시)의 지그(미도시)는 제1 컨테이너(211)의 상부 소켓에 연결되어 제1 컨테이너(211)를 인양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1)의 각 소켓에는 컨테이너 결속장치(100)와 연결록커(310)가 연결되어 있으며, 모두 프레임(320)으로 연결되어 있다. 컨테이너 크레인은 제1 컨테이너(211) 상부에 연결된 컨테이너 결속장치 모듈(300)과 지그의 결합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 컨테이너(211)와 제2 컨테이너(212) 사이에 설치된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는 제2 컨테이너(212)로부터 결합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 크레인은 제1 컨테이너(211)를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다.
프레임(320)은 보조프레임(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프레임(330)은 제2 컨테이너(212) 측에서 컨테이너 결속장치(100)와 컨테이너 결속장치(100)를 연결한다. 이를 통해, 제2 컨테이너(212) 측에 위치한 컨테이너 결속장치(100) 사이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200: 컨테이너선박 210: 컨테이너
211: 제1 컨테이너 212: 제2 컨테이너
211a: 제1 컨테이너의 소켓 212a: 제2 컨테이너의 소켓
230: 래싱브릿지 231: 컬럼부재
232: 크로스부재 234: 래싱로드
250: 스프레드 250a: 트위스트락
300: 컨테이너 결속장치 모듈
310: 연결록커 320: 프레임
330: 보조프레임
100: 컨테이너 결속장치 10: 제1 체결부
10a: 공간부 12: 커버
15: 회전록커
20: 제2 체결부 25: 걸림부
25a: 경사면 25b: 걸림홈
32: 유압실린더부 34: 피스톤부
34a: 제1 피스톤 34b: 제2 피스톤
40: 스프링 50: 연결부

Claims (9)

  1. 서로 이웃한 제1 컨테이너와 제2 컨테이너를 결속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테이너에 결합되며 일측에 외부의 압력을 전달받는 제1 피스톤이 구비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피스톤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컨테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피스톤을 가압하면, 상기 제2 컨테이너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2 체결부에 가압력이 전달할 수 있는, 상기 제1 피스톤과 연결되는 제2 피스톤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소켓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록커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소켓이 끼워져 연결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1 피스톤 사이에 연결되어 인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스톤은,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연결하고 내부에 상기 제2 피스톤이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피스톤보다 면적이 작은 개구가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8. 제 1 항에 따른 컨테이너 결속장치;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일면에서 상기 컨테이너 결속장치의 제1 체결부가 설치되는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설치되는 연결록커; 및
    상기 컨테이너 결속장치와 상기 연결록커를 상호 연결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결속장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컨테이너 측에서,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양단에 설치된 상기 제2 체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결속장치 모듈.
KR1020160125662A 2016-09-29 2016-09-29 컨테이너 결속장치 KR10187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662A KR101874363B1 (ko) 2016-09-29 2016-09-29 컨테이너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662A KR101874363B1 (ko) 2016-09-29 2016-09-29 컨테이너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499A KR20180035499A (ko) 2018-04-06
KR101874363B1 true KR101874363B1 (ko) 2018-08-02

Family

ID=6197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662A KR101874363B1 (ko) 2016-09-29 2016-09-29 컨테이너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3605B2 (en) 2020-06-30 2023-11-14 University Of Washington Fluid transfer system for applications including stabilizing biological flui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9587U (ko) * 1987-04-24 1988-11-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499A (ko)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1307A (en) Corner fitting with retractable twist lock
US3480174A (en) Assembly of freight containers and foundation frame for use therewith
AU2006268368B2 (en) Freight pallet with detachable based sled
US7744138B2 (en) Edge protector for use with a sling
KR101874363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US20100074708A1 (en) Method of securing freight containers on deck of ship, and spring lashing bar, space adjuster and securing system used in the method
US3203726A (en) Cargo hoist apparatus
KR101805670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US6789987B2 (en) Cargo freight container
JP6650255B2 (ja) 段ボール組立構造体、コンテナによる輸送方法、及び、コンテナによる海上輸送方法
KR101391189B1 (ko) 방수 컨테이너 장치
RU2531887C1 (ru)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ая рама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KR20110032042A (ko) 컨테이너 어셈블리
KR102007667B1 (ko) 컨테이너 저장 및 하역 장치
CN112243426A (zh) 装运集装箱
US4313702A (en) Container constrainer system
US11198558B2 (en) Cylindrical twist lock device
KR101815705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KR101378903B1 (ko)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WO2001083328A1 (en) Cargo freight container
US20030202863A1 (en) Lifting system
JP6210622B2 (ja) 線材コイル用パレット
CN211033789U (zh) 集装箱运输台架
US10518966B2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with cam lock mounting bracket
GB2134080A (en) Cargo carr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