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189B1 - 방수 컨테이너 장치 - Google Patents

방수 컨테이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189B1
KR101391189B1 KR1020130169043A KR20130169043A KR101391189B1 KR 101391189 B1 KR101391189 B1 KR 101391189B1 KR 1020130169043 A KR1020130169043 A KR 1020130169043A KR 20130169043 A KR20130169043 A KR 20130169043A KR 101391189 B1 KR101391189 B1 KR 101391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inge
lid
container body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맹서
전용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극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극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극동
Priority to KR102013016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 B65D88/124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closable top
    • B65D88/126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closable top by rigid element, e.g.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54Gates or closures
    • B65D2590/542Gates or closures special sealing means or means for improving 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수납공간에 수납된 화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되, 용이한 밀폐/개방 상태의 전환을 통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밀폐부재가 구비되고, 외측면 상부측에 힌지축이 결합되는 하부경첩부가 구비되는 컨테이너 본체; 상기 개구된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상면 테두리측에 상기 하부경첩부와 힌지 결합되는 상부경첩부가 구비되어 회동 개폐되되, 측부 테두리면을 따라 상측으로 구배지게 형성되는 결합고리가 돌설되는 덮개부; 상기 힌지축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덮개부의 무게에 대응되는 회동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스프링 상수가 설정되며, 일단이 상기 컨테이너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부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결합고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되, 결합시 상기 덮개부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밀폐하는 가압밀폐수단을 포함하는 방수 컨테이너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수 컨테이너 장치{waterproof container apparatus}
본 발명은 방수 컨테이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공간에 수납된 화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되, 용이한 밀폐/개방 상태의 전환을 통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방수 컨테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컨테이너는 규격화된 상자로 화물을 옮길 때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대형 컨테이너는 내부에 화물을 적재되어 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적하됨에 따라, 수하물을 하나씩 쌓는 것에 비해 용이한 하역이 가능하고 하역시 화물이 보호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역 작업의 기계화 및 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정박 기간 단축이 가능하며, 선박에서 철도 수송으로 직결될 수 있어 수송력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규격화된 금속 부품이나 전자 제품 등의 화물은 운반 혹은 저장시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되, 수분 유입을 통한 오염 및 산화 방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화물은 방수 컨테이너에 수납되어 수송되거나, 상기 방수 컨테이너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대형 컨테이너에 적재되어 수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 컨테이너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일면에 화물의 수납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의 측면부는 상하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요철이 형성된 금속판재로 구비되거나 상하방향의 보강재가 용접된 금속판재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하방향의 압력으로 인해 수납공간의 내측으로 휘어져 화물이 손상되거나 상기 덮개부와 본체부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꺼운 금속판재에 가로세로 방향의 보강재를 용접하여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 컨테이너의 개방시 상기 덮개부에 기중기 등의 인양장비에 연결하여 들어올리거나 도르래 장치 등을 이용하여 여러 작업자가 동시에 힘을 가해 상기 덮개부를 들어올리는 등 매우 번거롭고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방사능 오염토 등 일정한 간격으로 방수 컨테이너의 내부 안전상태를 확인해야 되는 경우에는 시간 혹은 경제적인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방수 컨테이너는 선박, 기차 등을 통해 운반되며 운반시 많은 진동과 충격에 노출되는데, 상기 덮개부를 상기 본체부측으로 가압하여 구속하는 가압수단이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쉽게 해제되었으며, 이에 따라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어 환경 오염을 유발하거나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등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상황에서 상기 방수 컨테이너는 대형 컨테이너의 내부 수납시 하나의 대형 컨테이너에 여러 개의 방수 컨테이너가 함께 적재된다. 이때, 대형 컨테이너의 규격에 따라 상기 방수 컨테이너가 대형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에 형합하여 채워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방수 컨테이너가 대형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되고, 유동 시 상기 대형 컨테이너와 충돌됨에 화물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방수 컨테이너 혹은 대형 컨테이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방수 컨테이너를 상기 대형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납할 때, 각각의 방수 컨테이너를 정렬하여 수납하여야 하므로 화물의 하역 작업에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1252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납공간에 수납된 화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되, 용이한 밀폐/개방 상태의 전환을 통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방수 컨테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밀폐부재가 구비되고, 외측면 상부측에 힌지축이 결합되는 하부경첩부가 구비되는 컨테이너 본체; 상기 개구된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상면 테두리측에 상기 하부경첩부와 힌지 결합되는 상부경첩부가 구비되어 회동 개폐되되, 측부 테두리면을 따라 상측으로 구배지게 형성되는 결합고리가 돌설되는 덮개부; 상기 힌지축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덮개부의 무게에 대응되는 회동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스프링 상수가 설정되며, 일단이 상기 컨테이너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부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 상기 결합고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되, 결합시 상기 덮개부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밀폐하는 가압밀폐수단; 및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각 상측 모서리에 구비되는 승강돌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돌기장치는 상부에 승강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홈부와 연통되는 하부에 내주면을 따라 나사홈이 형성된 관통공이 구비되는 돌기하우징과, 상기 승강홈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유동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되, 상기 체결돌기가 승강되도록 회전시 상기 나사홈을 따라 승강되어 상기 체결돌기의 하면을 지지하는 회전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각 하측 모서리의 하면부에는 상기 체결돌기와 대향 배치되어 다른 컨테이너 본체의 체결돌기가 삽입 지지되는 체결홈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컨테이너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밀폐수단은 상기 결합고리에 대응하여 배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외측면에 힌지 연결되고, 힌지 연결부분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 몸체부에 개폐손잡이가 구비되는 잠금바와, 일단이 상기 잠금바의 회전 중심과 이격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되되, 회동시 타단이 상기 결합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고정고리와, 걸림 고정시 상기 잠금바의 힌지 연결부분과 상기 몸체부 사이에서 신장되는 방향으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잠금바의 일단부를 감싸되 상기 몸체부의 내측단에 구속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경첩부에는 상기 덮개부의 회전시 기설정된 최대개방각도에서 상기 하부경첩부의 일면에 구속되도록 상기 힌지축이 삽입된 부분의 외측을 따라 돌설되는 스토퍼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컨테이너 본체가 높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적재되도록, 다단 적재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전체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어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되, 다단 적재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전체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수용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를 기설정된 위치로 정렬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의 체결홈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쌍의 구속지지돌기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컨테이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덮개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덮개부의 무게에 대응되는 회동복원력을 제공하므로, 별도의 인양 장비 없이도 무거운 중량의 덮개부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된 덮개부가 쉽게 유동되지 않도록 탄발지지되므로 갑작스런 닫힘으로 인한 작업자의 부상이나 화물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잠금바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힌지 연결된 고정고리는 회동시 결합고리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덮개부를 가압 밀폐하되,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잠금바와 힌지 연결부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하측으로 회동된 잠금바를 탄발고정하므로 운반시 외부 유동으로 고정고리가 풀려 덮개부의 가압이 해제되는 등의 오동작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밀폐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승강홈부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승시 타 컨테이너 본체의 체결홈부에 삽입되어 상측에 적재된 컨테이너 본체를 지지하므로 안정적인 적재 및 운반을 통해 하역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하강시 승강홈부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다른 컨테이너를 평탄하게 쌓아올릴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수용프레임은 내측에 복수개의 컨테이너 본체를 적재하여 표준화된 대형 컨테이너에 수납되도록 구비되므로 한번에 다수의 컨테이너 본체를 운반 및 하역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하부프레임을 따라 돌설된 구속지지돌기가 각 컨테이너 본체를 정렬하여 지지하므로 컨테이너 본체의 유동으로 인한 충격 발생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수송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컨테이너 장치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컨테이너 장치의 가압밀폐수단을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컨테이너 장치의 수용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프레임에 컨테이너 본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돌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컨테이너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컨테이너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컨테이너 장치의 가압밀폐수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컨테이너 장치의 수용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프레임에 컨테이너 본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돌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1a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컨테이너 장치(100)는 컨테이너 본체(20), 덮개부(10), 토션스프링(40), 가압밀폐수단(30), 그리고 수용프레임(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수 컨테이너 장치(100)는 방사능 오염토나 방사능 폐기물 등 오염물질을 보관하는 보관용기 등의 운반 및 저장시 기계적인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수분이 유입 및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방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관용기의 손상으로 내부 오염물질이 누출되지 않도록 높은 강성을 가지되, 내부로 유입되어 오염된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방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 본체(20)는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밀폐부재(50)가 구비되고, 외측면 상부측에 힌지축(41)이 결합되는 하부경첩부(2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20)는 알루미늄이나 철 등의 금속을 소재로 형성된 직육면체의 골격에 하면과 측면을 이루는 금속판재를 용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을 이루는 금속판재는 수직방향의 압력에 대한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된 금속판을 사용하거나 평평한 금속판에 보강 기둥을 상하 방향으로 덧대어 용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격과 상기 하면, 그리고 상기 골격과 측면 사이의 결합부분은 밀폐되도록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20)는 상부가 개구되되, 개구된 상단 테두리를 따라 합성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적이고 밀폐성 있는 소재의 밀폐부재(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개구된 상단 테두리에 상기 덮개부(1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10)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밀폐부재(50)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덮개부(10) 및 상단 테두리에 밀착되며 상기 수납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경첩부(21)의 상단 양측부에는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의 상단 테두리 상측으로 노출되는 힌지결합부(22)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힌지결합부(22)에는 힌지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41)이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의 테두리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10)는 상기 개구된 수납공간이 선택적으로 밀폐되도록 상면 테두리측에 상기 하부경첩부(21)와 힌지 결합되는 상부경첩부(11)가 구비되어 회동 개폐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10)는 상기 개구를 커버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10)의 테두리가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의 상단테두리에 안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경첩부(11)는 상기 덮개부(10)의 상면 테두리측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경첩부(11)의 일측은 상기 덮개부(10)의 상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덮개부(10)의 상면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하부경첩부(21)와 힌지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상부경첩부(11)의 타측에는 힌지축(41)이 삽입되는 힌지삽입부(12)가 형성되되, 상기 힌지삽입부(12)는 상기 하부경첩부(21)의 힌지결합부(22)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41)은 일측 힌지결합부(22), 힌지삽입부(12), 타측 힌지결합부(22)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상부경첩부(11)와 상기 하부경첩부(21)를 힌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경첩부(11)에는 상기 덮개부(10)의 회전시 기설정된 최대개방각도에서 상기 하부경첩부(21)의 일면에 구속되는 스토퍼(13)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경첩부(11)에는 힌지축(41)이 삽입되는 힌지삽입부(12)가 형성되되, 상기 힌지삽입부(12)의 외주 일측에는 스토퍼(13)가 돌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13)는 상기 덮개부(10)의 개방시 상기 힌지삽입부(12)의 회전에 따라 하측으로 회동되며, 기설정된 최대개방각도에서 상기 하부경첩부(21)의 외면에 구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부(10)는 기설정된 최대개방각도까지 개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41)에는 토션스프링(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설정된 최대개방각도는 100°~ 110°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최대개방각도가 100°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덮개부(10)가 개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작은 힘에도 닫혀 버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대개방각도가 1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토션스프링(40)의 탄성력과 상기 덮개부(10)의 하중이 더해져 개방된 덮개부(10)를 닫기 위해 과도한 힘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40) 각 단부(42,43) 사이의 암각도는 상기 기설정된 최대개방각도에서 5°~10°만큼 감해진 값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암각도는 상기 토션스프링(40)의 변형량이 0인 상태에서 토션스프링(40)의 일단(43)과 타단(42) 사이의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덮개부가 상기 기설정된 최대개방각도에서 5°~10°만큼 덜 개방된 상태에서 변형량이 0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션스프링(40)은 상기 덮개부(10)의 기설정된 최대개방각도가 100°인 경우에 90°내지 95°만큼 개방된 상태에서 변형량이 0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40)이 상기 덮개부(10)의 개방각도가 90°인 상태에서 변형량이 0이 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토션스프링(40)은 상기 덮개부(10)가 개방되어 개방각도가 90°가 될 때까지는 개방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90°이후에서는 닫힘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덮개부(10)의 중량으로 인해 최대 개방각도인 100°에서 스토퍼(13)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는 댐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13)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개방된 덮개부(10)를 닫을 때는 100°~90°범위까지 덮개부(10)가 닫히는 방향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므로 개방된 덮개부(10)를 닫기 위해 필요한 힘을 감소시켜 제품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션스프링(40)은 상기 힌지축(41)에 구비되되, 상기 덮개부(10)의 무게에 대응되는 회동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스프링 상수가 설정되며, 일단(43)이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에 고정되고 타단(42)이 상기 덮개부(1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토션스프링(40)은 상기 힌지축(41)에서 상기 힌지삽입부(1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의 양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토션스프링(40)은 일단(43)이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에 고정되고 타단(42)이 상기 덮개부(10)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10)가 개방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40)의 스프링 상수는 상기 덮개부(10)의 무게에 대응되는 회동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동복원력은 상기 덮개부(10)가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의 상단테두리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10)를 들어올려 개방하는데 요구되는 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덮개부(10)가 무거울수록 회동복원력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수납공간에는 주로 보관용기가 수납되며, 상기 보관용기에는 방사능 오염토나 방사성 폐기물이 보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부(10)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지 않도록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10)에는 방사선이 투과되지 않도록 두껍고 높은 밀도의 금속이 덧대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덮개부(10)는 높은 중량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40)은 상기 덮개부(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되, 탄성력을 결정하는 스프링 상수가 상기 덮개부(10)의 무게에 대응되는 회동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정되므로, 별도의 인양 장비 없이도 상기 덮개부(10)를 손쉽게 개방하여 화물을 수납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덮개부(10)가 개방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진동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유동되어 닫히는 것이 방지되므로 화물수납시 갑작스런 닫힘으로 인한 작업자의 부상이나 화물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0)의 높은 중량으로 인해 폐쇄시 급하고 강하게 닫히지 않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충격으로 인한 작업자의 부상 혹은 덮개부(10)/상부(11) 및 하부경첩부(21) 등의 부품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10)의 측부 테두리면에는 상측으로 구배지게 형성되는 결합고리(31)가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밀폐수단(30)은 상기 결합고리(3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되, 결합시 상기 덮개부(1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밀폐한다. 이때, 상기 결합고리(31)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밀폐수단(30)은 상기 결합고리(31)의 갯수에 대응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10)는 상기 가압밀폐수단(3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밀폐부재(50)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수납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10)가 일측으로 쏠려 밀폐부재(50)의 변형량이 균일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밀폐부재(50)와 상기 덮개부(10)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밀폐수단(30)은 상기 각 결합고리(31)에 균일한 힘을 가하여 상기 덮개부(10)를 가압하므로 상기 덮개부(10)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밀폐부재(50)를 균일하게 탄성변형시켜 제품의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b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밀폐수단(30)은 잠금바(32), 스프링부재(33), 그리고 고정고리(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고리(31)는 상측으로 구배지게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가압밀폐수단(30)의 고정고리(34)가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걸림부(3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고리(31)는 상기 가압밀폐수단(30)에 의한 하측 방향의 가압력을 상기 덮개부(10)로 전달하며, 상기 덮개부(10)는 상기 결합고리(31)에 전달된 하측 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의 상단 테두리에 밀착하여 상기 수납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바(32)는 상기 각 결합고리(31)에 대응하여 배치되되, 일단부(32a)가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의 외측면에 힌지 연결되고, 힌지 연결부분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 몸체부(32c)에 개폐손잡이(32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잠금바(32)는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외면측으로 돌설된 잠금바연결부(35)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각 잠금바(32)는 상기 각 결합고리(31)가 형성된 부분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몸체부(32c)가 형성되며,상기 몸체부(32c)에는 개폐손잡이(32b)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상기 개폐손잡이(32b)를 잡고 상기 잠금바(32)를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고리(34)는 일단(34b)이 상기 각 잠금바(32)의 회전 중심과 이격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몸체부(32c)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고리(34)는 회동시 타단(34a)이 상기 결합고리(31)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고리(34)의 일단(34b)은 상기 잠금바(32)의 회전시 상기 잠금바(3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일정한 반경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32c)와 상기 결합고리(31)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고리(34)는 상기 몸체부(32c)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몸체부(32c)와 상기 결합고리(31) 사이의 거리가 좁을 때 상기 걸림부(31a)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고리(34)가 상기 걸림부(31a)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32c)와 상기 결합고리(3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고정고리(34)는 상기 걸림부(31a)에 밀착되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바(32)가 상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몸체부(32c)는 상기 결합고리(31)와 가까워지게 되고, 상기 고정고리(34)의 타단(34a)이 상기 결합고리(31)의 단부를 지나 상기 걸림부(31a)의 구배진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바(32)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몸체부(32c)와 상기 결합고리(31)와 멀어지며, 상기 고정고리(34)의 타단(34a)은 상기 걸림부(31a) 내측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33)는 상기 고정고리(34)의 걸림 고정시 상기 잠금바(32)의 힌지 연결부분과 상기 몸체부(32c) 사이에서 신장되는 방향으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잠금바(32)의 일단부를 감싸되 상기 몸체부(32c)의 내측단에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프링부재(33)는 상기 잠금바(32)를 힌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탄발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부재(33)는 일단이 힌지 연결 부분에 구속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32c)의 내측단에 구속됨에 따라, 상기 잠금바(32)의 힌지 연결부분과 상기 몸체부(32c) 사이에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잠금바(32)는 상기 스프링부재(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된 위치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감이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바(32)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덮개부(10)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 본체(20)가 운반될 때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잠금바(32)가 유동되어 상기 덮개부(10)의 가압이 해제되는 등의 오동작이 방지되어 제품의 밀폐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바연결부(35)는 상기 잠금바(32)가 힌지 연결되는 힌지공(35a)과 상기 힌지공(35a)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부재(33)의 일단이 지지되는 회동지지부(35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지지부(35b)는 하면이 평탄하게 구비되되, 외측면이 구배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바(32)가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부재(33)가 상기 회동지지부(35b)의 평탄한 하면에 면접촉되어 안착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탄발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바(32)의 상측 회동시에는 상기 스프링부재(33)의 일단이 상기 회동지지부(35b)의 구배진 외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원활하게 슬라이드 될 수 있다.
한편, 도 1b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의 각 상측 모서리에는 승강돌기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승강돌기장치는 회전승강부재(16)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체결돌기(1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의 각 하측 모서리의 하면부에는 상기 체결돌기(14)와 대향 배치되어 다른 컨테이너 본체의 체결돌기(14)가 삽입 지지되는 체결홈부(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승강돌기장치는 돌기하우징(15), 체결돌기(14), 그리고 회전승강부재(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돌기하우징(15)은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의 각 상측 모서리에 구비되되, 상부에 승강홈부(18)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홈부(18)와 연통되는 하부에 내주면을 따라 나사홈이 형성된 관통공(19)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14)는 상기 승강홈부(18)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승강홈부(18)의 내측에서 상하로 유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강홈부(18) 및 상기 체결돌기(14)는 다각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홈부(18)의 내측면과 상기 체결돌기(14)의 외측면이 형합되고, 상기 체결돌기(14)의 승강시 좌우로 회전되지 않고 상기 체결돌기(14)의 배치각도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14)의 하부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설된 구속날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홈부(18)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구속날개부를 구속하는 구속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홈부(18)에 삽입된 체결돌기(14)가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승강홈부(18)의 내측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승강부재(16)는 상기 관통공(19)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승강부재(16)의 외주에는 상기 나사홈에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나사홈을 따라 승강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승강부재(16)는 상기 체결돌기(14)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체결돌기(14)를 승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사산 및 상기 나사홈의 간격(피치)는 상기 회전승강부재(16)가 120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체결돌기(14)의 상단부가 상기 승강홈부(18) 내측에 수납되는 높이범위에서 상기 체결돌기(14)의 상단부가 상기 승강홈부(18)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부(24)에 삽입가능한 높이 범위까지 승강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승강부재(16)의 하단에는 회전손잡이부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손잡부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승강부재(16)와 상기 관통공(19)의 하부 테두리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16b)이 삽입되는 고정홈부(16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16b)은 상기 회전승강부재(16)와 상기 관통공(19)의 하부 테두리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승강부재(16)를 탄발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승강부재(16)는 외부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회전되지 않고 상기 체결돌기(14)가 승강된 높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본체(20)는 컨테이너 선박 등에 사용되는 대형 컨테이너의 내부에 적재될 수 있으며, 별도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대형 컨테이너가 표준형(twenty-foot equivalent unit, TEU)인 경우에 높이 8,6피트, 폭 8피트, 길이 20피트의 규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컨테이너 본체(20)는 상기 대형 컨테이너의 내측에 상하로 2단, 길이방향으로 4열로 다단 적재될 수 있다.
이때, 하부에 적재된 하나의 컨테이너 본체(20)의 체결돌기(14)는 상부에 적재된 다른 컨테이너 본체의 체결홈부(24)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각 상측 모서리의 체결돌기(14)가 하면 각 하측 모서리의 체결홈부(24)에 삽입됨에 따라 다단 적재된 컨테이너 본체(20)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 본체(20)의 대형 컨테이너 하역시 상하로 다단 적재된 컨테이너 본체(20)를 한번에 옮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단으로 적재된 컨테이너 본체(20)가 미끌어지거나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옮길 수 있어, 하역 안정성 및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14)는 상기 돌기하우징(15) 내에 구비된 회전승강부재(16)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므로, 상기 체결돌기(14)는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측에 적재된 타 컨테이너의 체결홈부(24)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승강부재(16)를 돌려 상기 체결돌기(14)를 하강시키면 상측에 적재된 타 컨테이너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승강되는 체결돌기(14)를 통해, 안정적인 다단 적재 및 운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단 적재된 컨테이너 본체(20)의 상측에 인양할 수 있는 공간적인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돌기(14)를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다단 적재된 컨테이너 본체(20)를 공간적인 제약 없이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제품의 공간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의 상부측에 체결홈부(24)가 없는 일반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돌기(14)를 하강시켜 상기 승강홈부(18) 내측으로 삽입한 후, 일반 컨테이너를 평탄하게 쌓아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 컨테이너 혼용시 돌출된 상기 체결돌기(14)로 인해 상측에 적재된 일반 컨테이너가 비스듬하게 배치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공간적인 낭비나 무너짐 등의 위험성을 방지하고 안정적이고 평탄하게 쌓아올릴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14)의 상부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을 가지되 외면 프로파일이 구배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돌기(14)는 상기 체결홈부(24)보다 좁은 단면을 가지되 외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상기 체결홈부(24)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홈부(24)의 내측면이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안내되므로, 상기 체결홈부(24)와 상기 체결돌기(14)가 정확하게 정렬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본체(20)를 다단으로 쌓아올릴 때 인양장비에 인양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20)가 흔들리더라도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체결홈부(24)의 내측에 용이하게 삽입되며 정위치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하역시 쉽고 빠른 적재를 통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프레임(60)은 상기 복수개의 컨테이너 본체(20)가 높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적재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용프레임(60)은 내측에 복수개의 컨테이너 본체(20)가 적재된 상태로 상기 대형 컨테이너 내측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프레임(60)의 높이, 폭, 길이는 상기 대형 컨테이너의 규격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대형 컨테이너의 내부공간보다 다소 작은 사이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수용프레임(60)은 내측에 복수개의 컨테이너 본체(20)가 적재된 상태로 직접 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프레임(60)은 상기 대형 컨테이너의 규격과 동일한 규격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프레임(60)은 각 모서리에 형성된 인양고리를 통해 인양장비에 걸려 인양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프레임(60)의 각 모서리에는 다단으로 적재된 복수개 수용프레임(6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프레임(60)은 하부프레임(61)과 수직프레임(6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61)은 다단 적재된 상기 복수개의 컨테이너 본체(20)의 전체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어 하면을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20)의 폭은 상기 수용프레임(60)의 적재공간의 길이와 정수비를 이루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20)의 높이는 상기 수용프레임(60)의 적재공간의 높이와 정수비를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20)의 길이는 상기 수용프레임(60)의 적재공간의 폭과 정수비를 이루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프레임(60)이 표준형 대형 컨테이너와 유사한 사이즈로 구비되는 경우에 높이 8,6피트, 폭 8피트, 길이 20피트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프레임(60)의 적재공간은 높이 8.4피트, 폭 7.8 피트, 길이 19.8피트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20)의 높이는 상기 수용프레임(60)의 적재공간 높이와 정수비를 이루도록 4.2피트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20)의 폭은 4.95피트, 길이는 7.8피트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20)는 상기 수용프레임(60)과 90도를 이루어 상기 내부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컨테이너 본체(20)는 상기 대형 컨테이너에 직접 수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 본체(20)는 폭이 상기 대형 컨테이너의 내부공간의 길이와 정수비를 이루도록 구비되고, 높이가 상기 대형 컨테이너의 내부공간의 높이와 정수비를 이루도록 구비되며, 길이가 상기 대형 컨테이너의 내부공간의 폭과 정수비를 이루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60)은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20)의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한쌍의 하부외곽프레임(61a)과 상기 간격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하부지지프레임(61b)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부외곽프레임(61a)은 다단 적재된 상기 복수개의 컨테이너 본체의 전체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 하부외곽프레임(61a)은 각 컨테이너 본체(20) 및 상기 컨테이너 본체(20) 내부에 수납된 화물의 하중을 지지하여 휘어지지 않도록 H형 단면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격 배치된 각 하부외곽프레임(61a)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하부지지프레임(61b)이 배치되어, 상기 각 하부외곽프레임(61a) 사이를 지지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61)에 상기 복수개의 컨테이너 본체(20)가 적재될 때, 그의 하중이나 항해/인양작업 시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손상 없이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65)은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되, 다단 적재된 상기 복수개의 컨테이너 본체(20)의 전체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수직프레임(65)은 상기 각 하부외곽프레임(61a)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외곽프레임(65a)과 상기 수용프레임(60)의 높이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다단 배치되어 상기 각 수직외곽프레임(65a) 간의 간격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프레임(65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외곽프레임(65a)은 상기 복수개의 컨테이너 본체(20)가 상하로 다단 적재된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외곽프레임(61a)의 양단부측에 적재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20)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직외곽프레임(65a)의 상단부에는 인양장비에 걸림되는 인양고리(65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수용프레임(60)은 내측에 복수개의 컨테이너 본체(20)를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20)를 일일이 상기 대형 컨테이너에 하역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용프레임(60)을 통해 한번에 복수개의 컨테이너 본체를 운반하여 하역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61)에는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20)를 기설정된 위치로 정렬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20)의 체결홈부(24)에 대응하여 배치되되,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쌍의 구속지지돌기(61c)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체결홈부(24)는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20)의 하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하나의 하부외곽프레임(61a)에는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20)의 하측 모서리 중 2곳에 형성된 상기 체결홈부(24)에 대응되는 구속지지돌기(61c)가 복수쌍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2곳의 체결홈부(24)에 대응 배치되어 삽입되는 한쌍의 구속지지돌기(61c)가 구비되되, 상기 구속지지돌기(61c)는 상기 하부외곽프레임(61a)을 따라 안착되는 컨테이너 본체(20)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수용프레임(60)의 구속지지돌기(61c)는 상기 하부외곽프레임(61a)을 따라 적재된 각 컨테이너 본체(20)를 지지하여 기설정된 위치로 정렬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용프레임(60)에 수납된 복수개의 컨테이너 본체(20)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프레임(60)이 인양되는 경우나 대형 컨테이너에 수납되어 운송되는 경우에 각 컨테이너 본체(20)의 유동으로 인한 충격 발생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화물 수송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수용프레임(60)의 내측에 상기 컨테이너 본체가 가득 채워지지 않더라도 상기 구속지지돌기(61c)에 의해 기설정된 위치에 정렬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성 폐기물 등의 화물수송시 폐기물이 발생된 지역에서 상기 수용프레임의 용량에 맞게 화물이 가득 채워지도록 대기하지 않더라도, 폐기물의 발생량에 따라 화물을 안전하고 빠르게 수송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효율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방수 컨테이너 장치 10: 덮개부
11: 상부경첩부 12: 힌지삽입부
13: 스토퍼 14: 체결돌기
15: 돌기하우징 16: 회전승강부재
20: 컨테이너 본체 21: 하부경첩부
22: 힌지결합부 24: 체결홈부
30: 가압밀폐수단 31: 결합고리
31a: 걸림부 32: 잠금바
32b: 개폐손잡이 33: 스프링부재
34: 고정고리 35: 잠금바연결부
40: 토션스프링 41: 힌지축
50: 밀폐부재 60: 수용프레임
61: 하부프레임 65: 수직프레임

Claims (5)

  1.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밀폐부재가 구비되고, 외측면 상부측에 힌지축이 결합되는 하부경첩부가 구비되는 컨테이너 본체;
    상기 개구된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도록 상면 테두리측에 상기 하부경첩부와 힌지 결합되는 상부경첩부가 구비되어 회동 개폐되되, 측부 테두리면을 따라 상측으로 구배지게 형성되는 결합고리가 돌설되는 덮개부;
    상기 힌지축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덮개부의 무게에 대응되는 회동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스프링 상수가 설정되며, 일단이 상기 컨테이너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부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
    상기 결합고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되, 결합시 상기 덮개부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밀폐하는 가압밀폐수단; 및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각 상측 모서리에 구비되는 승강돌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돌기장치는
    상부에 승강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홈부와 연통되는 하부에 내주면을 따라 나사홈이 형성된 관통공이 구비되는 돌기하우징과,
    상기 승강홈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유동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되, 상기 체결돌기가 승강되도록 회전시 상기 나사홈을 따라 승강되어 상기 체결돌기의 하면을 지지하는 회전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각 하측 모서리의 하면부에는 상기 체결돌기와 대향 배치되어 다른 컨테이너 본체의 체결돌기가 삽입 지지되는 체결홈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컨테이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밀폐수단은
    상기 결합고리에 대응하여 배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외측면에 힌지 연결되고, 힌지 연결부분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 몸체부에 개폐손잡이가 구비되는 잠금바와,
    일단이 상기 잠금바의 회전 중심과 이격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되되, 회동시 타단이 상기 결합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고정고리와,
    걸림 고정시 상기 잠금바의 힌지 연결부분과 상기 몸체부 사이에서 신장되는 방향으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잠금바의 일단부를 감싸되 상기 몸체부의 내측단에 구속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컨테이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경첩부에는 상기 덮개부의 회전시 기설정된 최대개방각도에서 상기 하부경첩부의 일면에 구속되도록 상기 힌지축이 삽입된 부분의 외측을 따라 돌설되는 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컨테이너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컨테이너 본체가 높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적재되도록, 다단 적재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전체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어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되, 다단 적재된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전체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수용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를 기설정된 위치로 정렬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각 컨테이너 본체의 체결홈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쌍의 구속지지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컨테이너 장치.
KR1020130169043A 2013-12-31 2013-12-31 방수 컨테이너 장치 KR101391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43A KR101391189B1 (ko) 2013-12-31 2013-12-31 방수 컨테이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43A KR101391189B1 (ko) 2013-12-31 2013-12-31 방수 컨테이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189B1 true KR101391189B1 (ko) 2014-05-02

Family

ID=5089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043A KR101391189B1 (ko) 2013-12-31 2013-12-31 방수 컨테이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1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4298A (zh) * 2015-04-10 2016-11-23 大连中集物流装备有限公司 泥浆箱盖及具有其的泥浆箱
CN114324795A (zh) * 2021-12-27 2022-04-12 江苏中之盛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废水检测设备
CN115057179A (zh) * 2022-06-10 2022-09-16 天津新松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防尘周转车机器人开盖装置及方法
KR102655877B1 (ko) * 2023-05-15 2024-04-09 박종문 화물 컨테이너 히팅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785A (ja) * 2002-05-27 2003-12-03 Mizuho:Kk 防臭天蓋式コンテナ
KR101231470B1 (ko) * 2012-07-12 2013-02-07 홍정선 절첩식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785A (ja) * 2002-05-27 2003-12-03 Mizuho:Kk 防臭天蓋式コンテナ
KR101231470B1 (ko) * 2012-07-12 2013-02-07 홍정선 절첩식 컨테이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4298A (zh) * 2015-04-10 2016-11-23 大连中集物流装备有限公司 泥浆箱盖及具有其的泥浆箱
CN114324795A (zh) * 2021-12-27 2022-04-12 江苏中之盛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废水检测设备
CN114324795B (zh) * 2021-12-27 2023-10-20 江苏中之盛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废水检测设备
CN115057179A (zh) * 2022-06-10 2022-09-16 天津新松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防尘周转车机器人开盖装置及方法
KR102655877B1 (ko) * 2023-05-15 2024-04-09 박종문 화물 컨테이너 히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189B1 (ko) 방수 컨테이너 장치
KR101258612B1 (ko) 접이식 컨테이너
US7975865B2 (en) Cargo basket
US115054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cargo
US20200039739A1 (en) Transport container for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with dangerous goods
KR101616275B1 (ko) 통 결합 및 개방 장치
JP2003312774A (ja) 廃棄物用コンテナ
US6003705A (en) Portable bulk storage container having and easy opening lid
KR101805670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KR100794488B1 (ko) 자중에 의해 열리는 하역문이 구비된 컨테이너
JP5311194B2 (ja) 廃棄物の搬送用コンテナ
US9903505B2 (en) Remote operated valves for ISO containers
KR101874363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CN107352149A (zh) 危险废物容器
KR100985654B1 (ko)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데몬스트레이션을 위한해치커버상단용 지그
CN110304354B (zh) 硬开顶集装箱
CN108100513B (zh) 一种粉状物料运输集装箱
RU175670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сыпучих грузов
AU712962B2 (en) Fish transport container
CN214357400U (zh) 用于存储易腐材料的存储组件
WO2003091146A1 (en) Lifting system
WO2019198066A1 (en) A container
JP2019059487A (ja) 再生資源物輸送用コンテナ
WO2021090428A1 (ja) ばら積み貨物の荷役方法
JP2007238154A (ja) コンテナ用リターナブル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