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407A -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407A
KR20130048407A KR1020110113242A KR20110113242A KR20130048407A KR 20130048407 A KR20130048407 A KR 20130048407A KR 1020110113242 A KR1020110113242 A KR 1020110113242A KR 20110113242 A KR20110113242 A KR 20110113242A KR 20130048407 A KR20130048407 A KR 20130048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transmission
unit
main body
transmi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515B1 (ko
Inventor
정춘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파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파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파콘
Priority to KR102011011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5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전송장치에서 수전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전송유닛의 위치를 수전장치의 위치에 따라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무선 전력전송장치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되고 수전장치로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전력전송유닛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력전송유닛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간단히 전력전송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with movable power transmitting unit}
본 발명은 무선 전력전송장치에서 수전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전송유닛의 위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수전장치의 위치에 따라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가로 방향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의 위치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킨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는 동작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전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수전장치는 외부의 충전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한 전력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동작전력으로 공급하여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 셀 모듈과, 상기 외부의 충전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입력하여 상기 배터리 셀 모듈에 충전시키고 상기 배터리 셀 모듈에 충전시킨 전력을 방전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동작전력으로 공급하는 충방전 회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충전장치와 상기 수전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는 상기 충전장치에서 전력이 출력되는 단자와, 상기 수전장치에서 전력이 입력되는 단자를 케이블 및 커넥터 등을 통해 직접 연결하는 단자 연결방식이 알려져 있다.
상기 단자 연결방식은 상기 충전장치의 단자와 상기 수전장치의 단자들이 서로 다른 전위 차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충전장치의 단자와 상기 수전장치의 단자를 상호간에 연결하거나 또는 분리할 경우에 순간 방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순간 방전현상은 상기 충전장치의 단자 및 상기 수전장치의 단자를 마모시킨다. 또한 상기 충전장치의 단자 및 상기 수전장치의 단자에 이물질이 쌓여 있을 경우에는 상기 순간 방전현상에 의해, 상기 이물질에서 열이 발생하여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그리고 습기 등으로 인하여 상기 수전장치의 배터리 셀 모듈에 충전된 전력이 수전장치의 단자를 통해 외부로 자연 방전되고, 이로 인하여 수전장치의 사용 수명이 단축되며, 사용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단자 연결방식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전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전송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수전장치는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가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전력을 배터리 셀 모듈에 충전시키고 있다.
상기한 무선 전력전송장치는 무선으로 안정하고, 높은 효율로 전력을 전송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수전장치는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가 전송하는 전력을 최대로 수신하여 배터리 셀 모듈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는 수전장치와의 단자간 결합이 없으므로 무선 전력전송장치에 구비된 충전대의 정위치에 수전장치가 놓여질 것이 요구된다.
상기 충전대에는 전력전송유닛이 설치되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수전장치는 상기 전력전송유닛과 상호간에 마주 바라보는 위치에 놓여야 상기 전력전송유닛이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력을 최적의 상태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전장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할 경우에 수전장치의 장착위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위치에 상기 수전장치가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와, 중간부 위치에 상기 수전장치가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와, 하부 위치에 상기 수전장치가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이 수전장치의 장착위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상기 충전대의 전체 면에 모두 전력전송유닛을 설치할 경우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상기 수전장치의 장착위치에 관계없이 수전장치가 최적의 상태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충전대의 전체 면에 모두 전력전송유닛을 설치하는 것은 복수 개의 전력전송유닛을 사용해야 되는 것으로서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수전장치의 위치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전력전송유닛의 위치를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가로 방향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의 위치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켜 수전장치가 최적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장치가 수신하는 전력량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전력전송유닛을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장치에 전력을 충전하는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진동이 발생하여도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전력전송유닛을 고정시켜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되고 수전장치로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전력전송유닛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력전송유닛을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각기 형성되어 있는 장공형의 안내구멍과, 일단이 상기 전력전송유닛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 구멍에 삽입되어 이동이 안내되는 복수 개의 안내판과, 상기 복수 개의 안내판들 중에서 하나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에는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의 모델명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전력전송유닛을 이동시킬 위치에 위치표지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일부가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시킬 수 있는 이동 롤러와, 2개의 회전 롤러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롤러의 회전에 따라 순환 회전되는 벨트와, 일단이 상기 전력전송유닛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롤러 및 상기 벨트의 외주연에는 상호간에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 롤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정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 롤러의 하부에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 롤러와 상기 지지대의 사이에 상기 벨트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각기 형성되어 있는 장공형의 안내구멍과, 일단이 상기 전력전송유닛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 구멍에 삽입되어 이동이 안내되는 복수 개의 안내판과, 상기 복수 개의 안내판들 중에서 하나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에 고정되는 손잡이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부착되고 톱니가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와, 상기 손잡이가 설치된 안내판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를 구비한 정지부재와, 상기 정지부재를 상부로 올리는 판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에는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의 모델명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전력전송유닛을 이동시킬 위치에 위치표지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수전장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접촉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시트는 베이스 필름 부재와, 상기 베이스 필름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폴리우레탄 50-80 중량%, 칼슘카보네이트 20-40 중량%를 포함하는 마찰 저항층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 시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시온 잉크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 부재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이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수전장치가 수신하는 전력량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수전장치가 전송하는 정보신호를 상기 전력전송유닛을 통해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전력전송유닛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하는 정보신호에서 수신 전력량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수신 전력량을 표시하는 전력전송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는 전력전송유닛에 이동부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이동부를 간단히 조작하여 전력전송유닛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수전장치에 전력을 충전시킬 경우에 수전장치를 본체의 상면에 놓은 위치에 따라 간단히 이동부를 조작하여 상기 수전장치의 위치로 전력전송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가로 방향에서의 위치 자유도는 유지하면서도 길이 방향의 위치 자유도를 더욱 크게 개선하여 수전장치가 최적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장치가 수신하는 전력량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히 최적의 위치로 전력전송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서 이동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이동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이동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에서 접촉시트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수전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무선 전력전송장치의 본체이다.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전력을 충전할 수전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 또는 수전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놓을 수 있는 충전대가 형성된다.
상기 충전대의 상면에는 접촉시트(102)가 부착된다. 상기 접촉시트(102)는 고탄성의 폴리우레탄과 칼슘카보네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수전장치를 접촉시트(102)의 상부에 놓아 전력을 충전하는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진동모듈이 진동하거나 또는 외력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가 진동하게 되어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접촉시트(102)의 상부에서 움직이지 않아 충전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시트(102)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상면의 적당한 위치 예를 들면,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 위치에, 상기 수전장치가 수신하는 전력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0)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10)는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무선 전력전송장치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부품들이 실장되는 회로기판(120)이 고정됨과 아울러 코어(132) 및 전력전송코일(134)을 구비하는 전력전송유닛(130)이 내장된다.
여기서, 상기 전력전송코일(134)은 원형으로 권선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트랙형으로 권선된 코일이나, 모서리가 라운드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등으로 권선된 코일 등, 다양한 기하학적 도형의 모양으로 권선된 코일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이들을 서로 결합한 형태의 모양으로 권선된 코일들도 실시 환경이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전력전송코일(134)을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2개 이상 복수 개의 전력전송코일(134)을 상기 코어(132)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은 상기 회로기판(120)과 플렉시블 케이블(1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부(15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150)는 상기 본체(100)의 양 측면에 장공형의 안내구멍(152, 15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의 좌우 양측에는, 일단이 상기 안내구멍(152, 152a)에 삽입되어 이동이 안내되는 안내판(154, 154a)이 고정되고, 일측의 안내판(154a)은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손잡이(15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내구멍(152a)이 위치하는 상기 본체(100)의 주변 예를 들면, 본체(100)의 상면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을 이동시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위치표지(160)가 표시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수전장치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전력전송유닛(130)을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킬 수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모델명 등을 확인하고, 사용자 매뉴얼 등을 통해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을 이동시킬 위치가 복수 개의 위치표지(160)들 중에서 어느 위치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매뉴얼에는 복수 개의 위치표지(160)들 각각에 대하여 최적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들의 모델명들이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수전장치에 전력을 충전시킬 전력전송유닛(1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전송유닛(130)을 이동시킬 위치를 확인한 상태에서 전력전송유닛(130)의 위치를 이동시킬 경우에 사용자는 손가락 등을 손잡이(156)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밀면, 안내판(154, 154a)이 안내구멍(152, 152a)을 따라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력전송유닛(130)을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수전장치의 장착위치에 따라 상기 손잡이(156)를 간단히 조작하여 전력전송유닛(1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위치표지들(160)의 구성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환경이나 의도에 따라 보다 단순화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를 접촉시트(102)의 상부에 올려놓으면, 무선 전력전송장치가 자동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수전장치를 인식하여 전력을 전송하고, 전송하는 전력을 수전장치가 수신하여 충전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는 상기 수전장치가 수신하는 전력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전력량을 표시부(11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을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켰는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10)는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전력량을 표시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상기 표시부(110)를 세그먼트로 구성하여 숫자로 전력량을 표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전장치가 수신하는 전력량을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가 검출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하는 동작은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 도 1에 도시한 일 실시 예에서는 안내구멍(152a) 및 손잡이(156)를 본체(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상기 안내구멍(152a) 및 손잡이(156)를 본체(100)의 저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상기 안내구멍(152a) 및 손잡이(156)를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 위치시킬 경우에 상기 손잡이(156)가 본체(100)의 저면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 내에 상기 안내구멍(152a) 및 상기 손잡이(156)를 상기 홈 내에 위치시켜 상기 손잡이(156)가 본체(100)의 저면 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서 이동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여기서, 부호 200은 이동 롤러이다. 상기 이동 롤러(200)는 외주면에 톱니(202)가 형성되고, 본체(100)의 상부로 일부가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부호 210은 정지부재이다. 상기 정지부재(21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이동 롤러(200)의 방향으로 정지돌기(212)가 돌출되어 상기 정지부재(210)를 상기 이동 롤러(200)의 방향으로 밀었을 경우에 상기 정지돌기(212)가 상기 톱니(202)에 삽입되게 한다.
부호 220 및 222는 회전 롤러이고, 부호 230은 벨트이다. 상기 벨트(230)는 외주면에 톱니(232)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롤러(220, 222)에 순환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부호 240은 지지대이다. 상기 지지대(240)는 상기 이동 롤러(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 롤러(200)와 상기 지지대(240)의 사이에는 상기 벨트(230)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 롤러(200)의 톱니(202)와 상기 지지대(240)의 톱니(232)가 상호간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부호 250은 고정부재이다. 상기 고정부재(250)는 일단이 전력전송유닛(1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벨트(2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력전송유닛(130)을 이동시킬 경우에 사용자가 먼저 정지부재(210)를 밀어 정지돌기(212)가 이동 롤러(200)의 톱니(202)에서 이탈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이동 롤러(2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 롤러(200)의 톱니(202)와 맞물려 있는 톱니(232)의 벨트(230)가 순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벨트(230)가 순환 회전하면, 상기 벨트(23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250)가 이동되어 전력전송유닛(130)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을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시켰을 경우에 상기 정지부재(210)를 상기 이동 롤러(200)의 방향으로 밀면, 상기 정지부재(210)의 정지돌기(212)가 이동 롤러(200)의 톱니(202)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 롤러(20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은 이동된 위치에 계속 고정되게 된다.
상술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을 이동시킬 위치를 표시할 수 없다. 그러나 사용자는 표시부(110)의 표시상태를 보고,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수전장치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을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켰는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 2 및 도 3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본체(100)의 상면에 이동 롤러(200) 및 정지부재(210)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본체(100)의 저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 내에 상기 이동 롤러(200) 및 상기 정지부재(210)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에서 이동부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부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본체(100)의 좌우 양측면에 안내구멍(300, 302)이 형성되고, 전력전송유닛(130)에 안내판(310, 312)이 구비되어 상기 안내구멍(300, 302)에 삽입되며, 일측의 안내판(310)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손잡이(320)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일측 내부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톱니(332)가 형성된 고정 가이드(330)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가이드(330)의 하부에는 판스프링(340)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 가이드(330)와 상기 판스프링(340)의 사이에 상기 안내판(310)이 위치되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 가이드(330) 및 상기 판스프링(3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안내판(310)에는 상기 고정 가이드(330)의 톱니(332)와 맞물리는 톱니(352)를 구비한 정지부재(3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구멍(300)이 위치하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을 이동시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위치표지(360)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 표지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술한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모델명 등을 확인하고, 사용자 매뉴얼 등을 통해 복수 개의 위치표지(360)들 중에서 전력전송유닛(130)을 이동시킬 하나의 위치표지(360)를 확인한다.
그리고 요구되는 위치표지(360)의 위치로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을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가 손잡이(320)를 하부 방향으로 민다.
그러면, 안내판(310)이 판스프링(340)의 탄성력을 이기고 하부로 내려가게 되고, 상기 안내판(310)이 하부로 내려가게 됨에 따라 정지부재(350)가 하부로 내려가면서 톱니(332)(353)가 상호간에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안내판(310, 312)이 안내구멍(300, 302)에 의해 안내되면서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안내판(310, 312)의 이동에 따라 전력전송유닛(130)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력전송유닛(130)을 요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손잡이(320)를 놓으면, 판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판(310)에 상부로 올라가게 되고, 정지부재(350)의 톱니(352)가 고정 가이드(330)의 톱니(332)와 맞물리면서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손잡이(320)를 조작하여 전력전송유닛(130)을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이동을 완료하였을 경우에 정지부재(350)의 톱니(352)가 고정 가이드(330)의 톱니(332)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이 임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에서 이동부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안내판(310)에 고정부재(360)을 구비한다. 그리고 전력전송유닛(130)을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상부, 중간부 및 하부로 이동시켰을 경우에 상기 고정부재(360)에 대응하는 가이드(330)의 저면에 상기 고정부재(360)가 삽입되는 고정홈(33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수전장치의 위치에 따라 전력전송유닛(130)을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상부, 중간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킬 경우에 먼저 손잡이(320)를 하부로 누른다.
그러면, 안내판(310)이 판스프링(340)의 탄성력을 이기고 하부로 내려가게 되어 고정부재(360)가 가이드(330)의 고정홈(334)에서 이탈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320)를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력전송유닛(130)을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상부, 중간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을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상부, 중간부 또는 하부로 이동을 완료하고, 손잡이(320)를 놓으면, 판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판(310)이 상부로 올라가면서 고정부재(360)가 가이드(330)의 고정홈(334)에 삽입되고, 상기 전력전송유닛(130)이 임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안내구멍(300) 및 손잡이(320)를 본체(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본체(100)의 저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 내에 상기 안내구멍(300) 및 상기 손잡이(320)이 위치되게 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이동가능한 전력전송유닛들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거나 도시된 특정 구성 예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명한 예들임을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이동부(150)의 형태나 구성은 당업자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전력전송유닛(130)을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태든지 가능하다. 또한, 위 실시 예들에서 표현된 안내구멍(152, 152a, 300, 302), 가이드(330), 안내판(154, 154a, 310), 회전 롤러(220, 222)와 벨트(230), 지지대(240), 고정부재(250, 360)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이동부(150)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기계적인 구조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며, 손잡이(156, 320), 톱니(202)를 구비한 이동 롤러(200), 판스프링(340)과 고정 가이드(330), 톱니(332,352), 정지돌기(212)를 구비한 정지부재(210), 고정홈(334) 등의 구성은 이동부(150)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그 위치에서 이동부(150)를 고정시켜 놓을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기계적 구조라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 및 그 명칭들은 본 발명의 실시를 쉽게 하고 발명의 이해를 명확히 하고자 한 것으로서 상술한 설명 및 기능에 국한시킬 필요가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장치에서 접촉시트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접촉시트(102)는 베이스 필름 부재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400)의 상부에 폴리우레탄과 칼슘카보네이트로 구성되는 마찰 저항층(402)이 배치되며, 상기 마찰 저항층(402)의 상면에는 음각 패턴으로 시온 잉크층(404)이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접촉시트(102)의 구성비를 살펴보면, 상기 마찰 저항층(402)은 폴리우레탄 50-80 중량% 및 칼슘카보네이트 20-40 중량%를 포함하고, 마이크로 셀 구조로 이루어져 마찰계수가 0.40 이상이다.
여기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폴리올 성분으로 이루어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등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은 알코올기와 아이소사이안산기의 우레탄 결합으로 만들어진 고분자 물질로서, 상기 마찰 저항층(402)의 점도를 높이는 기능을 한다.
칼슘카보네이트는 폴리우레탄 제조시에 포함되는 충진제로 남게 되는 성분이다. 칼슘카보네이트는 폴리우레탄의 경도를 상승시켜 주고,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켜주며, 탄성 모듈러스를 향상시켜주어 충격이나 진동 흡수 또는 미끄럼 방지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폴리올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평균 분자량이 200~8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55-65 중량% 및 칼슘카보네이트 20-30 중량%의 비율로 섞여야, 마찰계수가 0.40 이상을 갖게 되어, 핸드폰의 진동 모듈이 동작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가 충전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 되며, 또한, 충분한 충격 흡수율을 갖게 되어 우수한 촉감을 갖게 된다. 또한, 무선 전력전송장치의 구조가 평판형이 아닌 일정 경사면을 갖는 거치식 구조인 경우에 미끄러져 충전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폴리우레탄이 50 중량% 미만, 칼슘카보네이트가 40중량 % 초과인 경우, 및 폴리우레탄이 80 중량% 이상, 칼슘카보네이트가 20 중량 % 미만인 경우에는 마찰계수가 0.40 이하로 급격히 낮아지게 되어, 본 발명이 얻고자 하는 효과를 가지기 힘들게 된다.
베이스 필름 부재인 PET(400)는 상기 접촉시트(102)를 무선 전력전송장치의 본체(100)에 부착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접촉시트(102)의 마찰 저항층(402)은, 상기 폴리우레탄 50-80 중량%, 상기 칼슘카보네이트 20-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 저항층(402)에는 색상을 나타내게 하기 위하여 이산화티타늄, 또는 카본블랙과 같은 유색 안료나 염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색상을 위한 염료 또는 안료는 3 중량 % 이하로 포함되어야, 본 발명이 요구하는 마찰계수 및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찰 저항층(402)의 상면에는 음각 패턴으로 형성되는 시온 잉크층(4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의 충전 위치에 수전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가 놓여져 무선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면, 전력 전송에 따라 누설되는 전기에너지는 대부분 열에너지로 변환되고, 이에 따라, 본체(100)의 상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여기에 시온 잉크층(404)이 배치되면, 사용자는 무선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수전장치에 구비된 온도 보호회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가 통상적으로 45℃에서 온도 보호기능이 동작된다는 점과, 통상적으로 실내 온도가 23℃이상 오르지 않는다는 점과, 무선 전력 표준에서 무선 전력전송장치의 표면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10℃ 이상 차이 나는 것을 지양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 시온 잉크층(404)의 색상 변화 온도는, 30℃ 내지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시온 잉크층(404)이 음각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찰 저항층(402)이 투명할 경우에 마찰 저항층(151)과 PET(400)의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온 잉크층(404)의 두께, 깊이, 폭 및 형상 등은 사용자가 온도 변화에 따른 색상 변화로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인 수치 범위내에서라면 실시 환경 및 설계 적용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수전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500은 교류/직류 컨버터이다. 상기 교류/직류 컨버터(5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한다.
부호 600은 무선 전력전송장치이다.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600)는 상기 교류/직류 컨버터(600)가 변환한 직류전력을 스위칭하고, 스위칭한 전력을 예를 들면,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교류/직류 컨버터(500)가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600)와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600) 내에 상기 교류/직류 컨버터(500)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부호 700은 수전장치이다. 상기 수전장치(700)는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600)가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하고 충전한 전력을 휴대용 단말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에 동작전력으로 공급한다.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600)는 전력전송 제어부(610)와, 구동 드라이버(620)와, 직렬 공진형 컨버터(630)와, 신호 수신부(640)와, 전력전송코일(134)과, 표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전송 제어부(610)는 상기 수전장치(700)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수전장치(700)가 수신하는 전력량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110)에 표시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구동 드라이버(620)는 상기 전력전송 제어부(610)의 제어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구동신호 등을 발생한다.
상기 직렬 공진형 컨버터(630)는 상기 구동 드라이버(620)가 발생하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교류/직류 컨버터(50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스위칭하여 상기 전력전송코일(134)로 출력한다.
상기 신호 수신부(640)는 상기 수전장치(700)가 전송하는, 전력량 신호를 포함하는 정보신호를 상기 전력전송코일(134)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전력전송 제어부(610)에 제공한다.
상기 수전장치(700)는 전력충전 제어부(710), 전력수신코일(720), 정류부(730), 충전부(740), 배터리 셀 모듈(750) 및 신호 전송부(7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충전 제어부(710)는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600)가 전송하는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 셀 모듈(750)에 충전하는 것을 제어하고, 수신 전력량 신호를 포함하는 정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600)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전력수신코일(720)은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600)의 전력전송코일(134)과 전자기 유도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력전송코일(134)이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력을 수신한다.
상기 정류부(730)는 상기 전력수신코일(720)이 수신한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전력으로 변환한다.
상기 충전부(740)는 상기 정류부(730)가 정류한 직류전력을 상기 전력충전 제어부(7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 모듈(750)에 충전한다.
상기 신호 전송부(760)는 상기 전력수신 제어부(710)의 제어에 따라 수신 전력량 신호를 포함하는 정보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정보신호를 상기 전력수신코일(720)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600)로 전송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무선 전력전송장치(600)는 교류/직류 컨버터(500)가 외부의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직류 전력을 동작전력으로 사용하여 정상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무선 전력전송장치(600)가 수전장치(700)로 전력을 전송할 경우에 구동 드라이버(620)를 제어하여 전력을 전송할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전력을 전송할 구동신호에 따라 직렬 공진형 컨버터(630)가 직류전력을 스위칭시키며, 스위칭시킨 전력이 전력전송코일(134)에 인가되어 공진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력전송코일(134)은 100㎑에 공진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직렬 공진형 컨버터(630)는 상기 전력을 전송할 구동신호에 따라 직류전력을 스위칭하여 100㎑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전력을 발생하며, 100㎑의 교류전력이 상기 전력전송코일(134)에 인가되어 공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전력전송코일(134)에 공진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전력전송코일(134)로 많은 전류가 흐르면서 무선으로 전력이 전송된다.
상기 전력전송코일(134)이 전송하는 전력을 수전장치(700)의 전력수신코일(720)이 수신하고, 수신한 전력을 정류부(730)가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며, 변환한 직류전력을, 전력충전 제어부(710)의 제어에 따라 충전부(740)가 배터리 셀 모듈(750)에 충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력충전 제어부(710)는 상기 충전부(740)가 상기 배터리 셀 모듈(750)에 충전시키는 전력량을 판단하고, 판단한 전력량에 따라 신호 전송부(760)를 제어하여 수신 전력량 신호를 포함하는 정보신호를 발생하며, 발생한 정보신호는 전력수신코일(720)을 통해 무선 전력전송장치(600)로 전송된다.
상기 충전상태 신호를 무선 전력전송장치(600)의 신호 수신부(640)가 전력전송코일(134)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신호를 전력전송 제어부(610)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력전송 제어부(610)는 상기 정보신호에서 수신 전력량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수전장치(500)가 수신하는 전력량을 판단한다.
상기 수신 전력량이 판단되면, 상기 전력전송 제어부(610)는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수신 전력량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표시부(110)의 표시상태에 따라 상기 전력전송코일(134)을 이동시켜 상기 수전장치(700)가 최적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게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전송 제어부(610)는 상기 수전장치(500)가 수신하는 전력량이나 수전 상태에 따라 전력전송코일(134)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전력전송유닛 상의 어느 위치에든지 수전장치(700)가 놓여지는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되게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위치 자유도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전력전송코일(134)을 하나만 사용할 경우에 상기 전력전송 제어부(610)는 구동 드라이버(620)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전송코일(134)에 인가하는 전력의 세기, 유도된 전류나 전압의 세기, 또는 주파수 등을 제어함으로써 본체(100)의 폭 방향으로 수전장치(700)를 놓을 위치 자유도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전송코일(134)을 2개 이상 복수 개를 사용할 경우에는 수전장치(700)의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전력전송코일(134)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전력을 전송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폭 방향으로는 상기 수전장치(700)가 놓인 위치에 따라 전력전송 제어부(610)가 전력전송코일(134)을 제어하여 본체(100)의 폭 방향을 포함하여 어느 방향 어느 위치에서든지 수전장치(700)를 놓을 위치 자유도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폭 방향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으로 위치 자유도를 본래 갖고 있는데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이동부의 구성을 구비하여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자유도를 더욱 개선한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력전송유닛(130)을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전장치(700)를 본체(100)의 상면 어느 위치에 놓더라도 최적의 상태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본체(100)의 폭 방향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으로는 위치 자유도를 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본체 102 : 접촉시트
110 : 표시부 120 : 회로기판
130 : 전력전송유닛 132 : 코어
134 : 전력전송코일 140 : 플렉시블 케이블
150 : 이동부 152, 152a : 안내구멍
154, 154a,310, 312 : 안내판 156, 320 : 손잡이
160, 360 : 위치표지 200 : 이동 롤러
202, 232, 332, 352 : 톱니 210, 350 : 정지부재
212 : 정지돌기 220, 222 : 회전 롤러
230 : 벨트 240 : 지지대
250 : 고정부재 300, 302 : 안내구멍
330 : 고정 가이드 334 : 고정홈
340 : 판스프링 400 :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350 : 정지부재 402 : 마찰 저항층
404 : 시온 잉크층 500 : 교류/직류 컨버터
600 : 무선 전력전송장치 610 : 전력전송 제어부
620 : 구동 드라이버 630 : 직렬 공진형 컨버터
640 : 신호 수신부 700 : 수전장치
710 : 전력충전 제어부 720 : 전력수신코일
730 : 정류부 740 : 충전부
750 : 배터리 셀 모듈 760 : 신호 전송부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되고 수전장치로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전력전송유닛;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력전송유닛을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각기 형성되어 있는 장공형의 안내구멍;
    일단이 상기 전력전송유닛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 구멍에 삽입되어 이동이 안내되는 복수 개의 안내판; 및
    상기 복수 개의 안내판들 중에서 하나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의 모델명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전력전송유닛을 이동시킬 위치에 위치표지가 표시된,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일부가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시킬 수 있는 이동 롤러;
    2개의 회전 롤러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롤러의 회전에 따라 순환 회전되는 벨트; 및
    일단이 상기 전력전송유닛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롤러 및 상기 벨트의 외주연에는;
    상호간에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롤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정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롤러의 하부에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 롤러와 상기 지지대의 사이에 상기 벨트가 위치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각기 형성되어 있는 장공형의 안내구멍;
    일단이 상기 전력전송유닛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안내 구멍에 삽입되어 이동이 안내되는 복수 개의 안내판;
    상기 복수 개의 안내판들 중에서 하나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에 고정되는 손잡이;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부착되고 톱니가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
    상기 손잡이가 설치된 안내판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를 구비한 정지부재; 및
    상기 정지부재를 상부로 올리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의 모델명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전력전송유닛을 이동시킬 위치에 위치표지가 표시된,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수전장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접촉시트;를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트는;
    베이스 필름 부재; 및
    상기 베이스 필름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폴리우레탄 50-80 중량%, 칼슘카보네이트 20-40 중량%를 포함하는 마찰 저항층;을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시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시온 잉크층을 더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 부재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인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수전장치가 수신하는 전력량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수전장치가 전송하는 정보신호를 상기 전력전송유닛을 통해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전력전송유닛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하는 정보신호에서 수신 전력량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수신 전력량을 표시하는 전력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KR1020110113242A 2011-11-02 2011-11-02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KR10130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242A KR101304515B1 (ko) 2011-11-02 2011-11-02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242A KR101304515B1 (ko) 2011-11-02 2011-11-02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407A true KR20130048407A (ko) 2013-05-10
KR101304515B1 KR101304515B1 (ko) 2013-09-05

Family

ID=4865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242A KR101304515B1 (ko) 2011-11-02 2011-11-02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5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937A1 (en) * 2014-06-27 2015-12-30 Inte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wireless charging
CN106451614A (zh) * 2016-09-26 2017-02-22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电源后盖的无线充电装置、系统及其方法
WO2017099331A1 (ko) * 2015-12-09 2017-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FR3059485A1 (fr) * 2016-11-29 2018-06-0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 charge par induction d'un equipement d'utilisa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KR200486888Y1 (ko) * 2017-03-06 2018-07-11 주식회사 퍼시스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93750A (en) * 2009-01-06 2013-09-27 Access Business Group Int Llc Inductive power supply
JP2010273466A (ja) 2009-05-22 2010-12-02 Nidec Copal Electronics Corp 非接触充電器の送電コイルの移動装置
KR20120099571A (ko) 2009-06-25 2012-09-11 다나신덴기가부시키가이샤 2차원 이동 기구를 탑재한 무접점 충전기
KR20110034773A (ko) * 2009-09-29 201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성 결합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937A1 (en) * 2014-06-27 2015-12-30 Inte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wireless charging
US10630108B2 (en) 2014-06-27 2020-04-21 Inte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wireless charging
WO2017099331A1 (ko) * 2015-12-09 2017-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10886793B2 (en) 2015-12-09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providing user interface
CN106451614A (zh) * 2016-09-26 2017-02-22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电源后盖的无线充电装置、系统及其方法
FR3059485A1 (fr) * 2016-11-29 2018-06-0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 charge par induction d'un equipement d'utilisa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KR200486888Y1 (ko) * 2017-03-06 2018-07-11 주식회사 퍼시스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515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515B1 (ko)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KR101963906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이에 이용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가구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JP5829270B2 (ja) 無線充電用電力受信機及びそれを備える携帯用電子機器
KR100792308B1 (ko) 코일 어레이를 구비한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101134625B1 (ko)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0734676B1 (ko) 다수의 충전 셀을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92370B1 (ko) 무선 전력 통신 시스템,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무선 전력 공급기 및 수신기
KR101698293B1 (ko) 차량용 무선충전 장치
KR20070015264A (ko)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JP2013513350A (ja) 電源から誘導電力アウトレットへの接続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5119415A1 (ko)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KR101063154B1 (ko) 무접점 충전 장치
WO2011155672A1 (ko) 휴대용 조명장치
KR100971714B1 (ko)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가 복층형으로구비된 멀티무접점충전스테이션
KR101267943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용 접촉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WO2018117383A1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81061Y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책상
CN209949170U (zh) 可用于无线充电的手机支架
EP1457955A4 (en) DISPLAY APPARATUS AND CELLULAR DEVICE
KR20100010649U (ko) 무접점 충전 정위치 표시기능이 구비된 스탠드 조명장치
KR20090106965A (ko) 무접점 충전시스템
KR20140141964A (ko) 충전 상태의 시인성을 높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장착한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가구
KR20050048315A (ko) 무접점 충전 방식을 이용한 무선 광마우스 충전 시스템
CN207251315U (zh) 一种无线充电器
CN214755750U (zh) 无线充电装置及无线充电指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