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888Y1 -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6888Y1 KR200486888Y1 KR2020170001054U KR20170001054U KR200486888Y1 KR 200486888 Y1 KR200486888 Y1 KR 200486888Y1 KR 2020170001054 U KR2020170001054 U KR 2020170001054U KR 20170001054 U KR20170001054 U KR 20170001054U KR 200486888 Y1 KR200486888 Y1 KR 2004868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wireless charging
- frame
- transmission unit
- transmitt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 H02J7/025—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 내장된 송신부 본체와, 상기 송신부 본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 테두리와, 상기 송신부 본체의 좌측단 및 우측단을 지지하는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와, 상기 송신부 본체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송신부 본체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테두리로 구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거치 프레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 본체는, 상기 좌측 테두리와 우측 테두리의 내부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리브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거치 프레임 본체에 결합되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품의 범용성을 확장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사양에 따라 각각 상이한 위치에 내장된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를 통하여 손쉽게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휴대하는 전자기기는 자체 결합된 전원부 또는 배터리와 같이 별도로 장착 가능한 전원부에 의한 전력을 사용하여 구동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하지만, 수시로 전원을 충전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자는 가정용 전기를 끌어다 와이어 커넥터와 같은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 공급을 실시함으로써 충전시켜야 하는 바, 평상시 유선 케이블을 함께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사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기기에 자기유도방식(WPC, PMA) 또는 자가공진방식(A4WP)에 의한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 구비된 무선충전 장치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전자기기에는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를 구비하여 상호 무선에 의한 전기적인 소통에 의해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키는 제품이 다량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충전 장치들은 특히, 자기유도방식에 의한 무선충전일 경우 무선충전 송신코일부와 무선충전 수신코일부가 무선충전이 가능한 일정 영역 내에 위치되어야 하나, 최근에 출시되는 전자기기마다 무선충전 수신코일부의 위치가 상이한 한편, 전자기기의 사이즈가 상이하여 범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기기의 무선충전 수신코일부의 위치 및 전자기기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다양한 전자기기의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 내장된 송신부 본체와, 상기 송신부 본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 테두리와, 상기 송신부 본체의 좌측단 및 우측단을 지지하는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와, 상기 송신부 본체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송신부 본체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테두리로 구성된 거치 프레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 본체는, 상기 거치 프레임 본체의 어느 일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거치 프레임 본체에 결합되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 프레임 본체에는, 거치되는 전자기기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한 쌍의 거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송신부 본체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송신부 본체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가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거치 프레임 본체에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중공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송신부 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소정길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에는, 상기 중공부 내측으로 소정길이 더 돌출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송신부 본체에 제공되는 외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의 선단과 미끄럼 접촉되거나 걸림되는 절도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는, 상기 가이드 리브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형성된 걸림면과, 상기 절도산에 접촉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접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 중 하단부에는 상기 걸림면에 걸림되는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의 일측에 해당하는 두께부를 전후로 관통하는 형상변형 유도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변형 유도홀의 길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의 각 이격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 프레임 본체의 상부 테두리는, 상기 송신부 본체가 상기 삽입 공간의 상부에서 직하방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전단이 후방 상향으로 경사진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 프레임 본체의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 테두리의 좌우 측단은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무선충전 송신코일부와 상기 무선충전 송신코일부에 대응되게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무선충전 수신코일부가 무선 충전 가능 영역 내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휴대 전자기기를 가로 또는 세로로 자유롭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전자기기의 무선충전 수신코일부가 임의 고정된 상태에서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 내장된 송신부 본체를 거치 프레임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시켜 무선충전 수신코일부와 무선충전 송신코일부의 무선충전 영역을 일치시켜 줌으로써 무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작동 모습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및 단면도와 그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5a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다양한 활용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작동 모습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및 단면도와 그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5a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다양한 활용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작동 모습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및 단면도와 그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E)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송신코일부(도 5a 내지 도 6의 도면부호 “가” 참조)가 내장된 송신부 본체(20)와, 송신부 본체(20)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 프레임 본체(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 프레임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송신부 본체(2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 테두리(10c)와, 송신부 본체(20)의 좌측단을 지지하는 좌측 테두리(10a)와, 송신부 본체(20)의 우측단을 지지하는 우측 테두리(10b)와, 송신부 본체(20)의 상단부(23)를 지지하는 상부 테두리(10d)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부 테두리(10c), 좌측 테두리(10a), 우측 테두리(10b) 및 상부 테두리(10d)는 대략 장방형의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연결되고, 송신부 본체(20)의 가운데 부위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중공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상부 테두리(10d)는, 도면상 후방 상측으로 상향 경사진 위치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좌측 테두리(10a) 및 우측 테두리(10b)의 상단부와 상부 테두리(10d)의 좌우 측단은 도면상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3)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상부 테두리(10d) 전단은, 도 4의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어도 좌측 테두리(10a) 및 우측 테두리(10b)의 후단보다 더 후방에 위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상단부 중 상부 테두리(10d)와, 좌우에 구비된 경사부(13) 사이에는 송신부 본체(20)가 상부에서 하부의 직하방으로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된다.
송신부 본체(20)는, 삽입 공간을 통하여 하단이 삽입되어 그 하단부와 좌측단 및 우측단이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하부 테두리(10c)와 좌측 테두리(10a) 및 우측 테두리(10b)에 의하여 감싸지도록 삽입되고,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상부로 작용되면 다시 삽입 공간을 통하여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하부 테두리(10c)의 좌우 측단부에는, 거치되는 전자기기(E)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한 쌍의 거치단(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거치단(11)에 거치되는 전자기기(E)는 세로로 세워져 그 하단이 거치될 수 있음은 물론 가로로 눕혀져 그 좌우 측단 중 어느 하나가 거치될 수 있다.
한편,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좌측 테두리(10a)와 우측 테두리(10b)의 내부면에는 상하로 길게 가이드 리브(16)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6)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거치 프레임 본체(10)에 삽입 거치되는 송신부 본체(20)의 좌측단과 우측단을 오버랩하도록 중공부 내측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측 테두리(10a)의 내부면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16)는, 우측 테두리(10b)의 내부면을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고, 우측 테두리(10b)의 내부면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16)는, 좌측 테두리(10a)의 내부면을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 본체(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도,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좌측 테두리(10a) 및 우측 테두리(10b)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16) 각각이 수용되는 가이드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6)은, 송신부 본체(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홈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되, 하단은 송신부 본체(20)가 삽입 공간을 통하여 하방으로 삽입될 때 가이드 리브(16)의 상단이 수용 가능하게 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리브(16)의 상호 대향면에는, 중공부 내측으로 소정길이 더 돌출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7)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2개의 걸림돌기(17)가 형성된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 2 개의 걸림 돌기(17)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송신부 본체(20)에 형성된 가이드홈(26)에는, 가이드 리브(16)에 형성된 2개의 걸림돌기(17)의 선단과 미끄럼 접촉되거나 걸림되는 절도산(2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송신부 본체(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면, 가이드 리브(16)에 형성된 2개의 걸림돌기(17)는 절도산(27)에 접촉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절도산(27)을 타고 넘는 동작으로 미끄럼 접촉되고, 사용자의 외력이 제공되면 절도산(27)에 걸림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2개의 걸림돌기(17)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각각 가이드 리브(16)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형성된 걸림면(17a)과, 절도산(27)에 접촉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접촉면(17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절도산(27)은, 걸림돌기(17)의 걸림면(17a)이 접촉되는 면을 형성하는데, 대략 물결 모양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임의의 상하 수직선에 대하여 제1각도를 가지도록 가이드홈(26)의 내측으로 함몰된 제1면(27a)과, 슬립면에 연속되게 연결되고 제1각도보다 큰 각도를 가지도록 가이드홈(26)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면(27b)이 상하로 반복되게 연속 배열되게 형성된다.
한편, 가이드홈(26)의 내부 중 하단부에는 2개의 걸림돌기(17)의 걸림면(17a)에 걸림되는 이탈방지 돌기(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 돌기(29)는, 절도산(27)의 최하단에 형성되되, 절도산(27) 중 제2면(27b)과 같이 가이드홈(26)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걸림돌기(17)의 걸림면(17a)과 같이 가이드 리브(16)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 돌기(29)는, 사용자가 송신부 본체(20)를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2개의 걸림돌기(17) 중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7)의 걸림면(17a)과 걸림되어, 사용자의 사용 중 송신부 본체(20)가 거치 프레임 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가이드 리브(16)에는, 2개의 걸림돌기(17)의 일측에 해당하는 두께부를 전후로 관통하는 형상변형 유도홀(18)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6)를 포함하는 거치 프레임 본체(10)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 가이드 리브(16)에 2개의 걸림돌기(17)만이 형성되어 절도산(27)에 접촉된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사용자의 과도한 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형상변형 유도홀(18)을 2개의 걸림돌기(17)의 일측에 해당하는 두께부가 관통되어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외력이 제공될 때에는, 2개의 걸림돌기(17)가 절도산(27)에 접촉된 경우 관통된 상기 빈 공간으로 가이드 리브(16)의 일부가 형상 변형되어 절도산(27)에의 미끄럼 접촉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될 때에는, 2개의 걸림돌기(17)가 절도산(27)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형상변형 유도홀(18)의 길이는, 2개의 걸림돌기(17)의 각 이격거리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형상변형 유도홀(18)의 길이는, 절도산(27)의 형상 및 2개의 걸림돌기(17)의 형상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송신부 본체(20)의 상단부(23)는,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상부 테두리(10d) 및 경사부(13)에 대응되게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상부 테두리(10d)와 경사부(13)는,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바, 거치 프레임 본체(10)에 송신부 본체(20)가 삽입되어 거치되면 그 상부 외형이 거치 프레임 본체(10)와 상호 매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상부 테두리(10d)에는, 송신부 본체(20)의 상단부(23)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면(14)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면(14)은, 상부 테두리(10d)의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거치 프레임 본체(10)에 삽입 거치되는 송신부 본체(20)의 상단부(23) 후면과 접촉되어 지지한다.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하부 테두리(10c)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고 좌우로 길게 유동방지 리브(15)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송신부 본체(20)의 하단에는 상술한 유동방지 리브(15)가 수용되는 리브 수용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 프레임 본체(10)에 송신부 본체(20)가 삽입 거치되면, 송신부 본체(20)의 하단이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하부 테두리(10c)의 상면에 밀착될 때 유동방지 리브(15)가 리브 수용홈(25)에 수용되어 밀착된다. 유동방지 리브(15)가 리브 수용홈(25)에 수용되면, 거치 프레임 본체(10) 내부에서 송신부 본체(20)가 외부 진동에 의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송신부 본체(20)의 상단부(23)에는,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와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에 대응되게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거치단(11)에 거치되는 전자기기(E)에 구비된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가 무선 충전 가능 영역 내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2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거치 프레임 본체(10)에 송신부 본체(20)가 삽입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을 요하는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를 구비한 전자기기(E)가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거치단(11)에 거치된 경우로서, 사용자가 송신부 본체(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와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가 무선충전 가능 영역에서 일치되는데, 이때 인디케이터(21)가 점멸되거나 점등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a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다양한 활용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전자기기(E)와 도 6에 예시된 전자기기(E)는 그 내부에 내장된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의 위치가 상이하되, 도 6에 예시된 전자기기(E)의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의 위치가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전자기기(E)의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의 위치보다 상하 기준으로 더 높은 위치에 내장된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도 5a 내지 도 6에 예시된 전자기기(E)의 좌우 폭 사이즈는, 가로로 눕혀서 거치 프레임 본체(10)의 거치단(11)에 거치시킬 때, 그 내부에 내장된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와 거치 프레임 본체(10)에 하단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삽입 거치된 송신부 본체(20)에 내장된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가 일치하는 사이즈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1)의 다양한 활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기기(E)의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 및 송신부 본체(20)의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가 상호 일치하는 영역에 위치되도록 전자기기(E)를 가로로 눕혀 거치단(11)에 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송신부 본체(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필요 없이,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와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가 상호 무선 충전 가능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E)의 좌우 폭의 사이즈가 같은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도 5a의 전자기기(E)를 세로로 세워서 거치할 경우에는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의 위치가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의 위치보다 낮으므로 무선 충전이 불가능한 영역으로서 상호 불일치한 영역에 위치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송신부 본체(20)를 상부로 소정거리(도 5b의 도면부호 “D1" 참조) 슬라이딩 이동시켜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와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의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일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도 5a 및 도 5b의 전자기기(E)에 비하여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의 위치가 더 높이 내장된 경우, 사용자는 도 5b의 경우보다 송신부 본체(20)를 좀 더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도 6의 도면부호 “D2" 참조)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와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의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프레임 본체(10)에 거치되는 전자기기(E)의 크기 또는 무선충전 수신코일부(나)의 내장 위치에 관계없이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의 위치를 송신부 본체(20)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변경시켜 줄 수 있으므로, 제품의 범용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10: 거치 프레임 본체
11: 거치단 13: 경사부
14: 지지면 15: 유동방지 리브
16: 가이드 리브 17: 걸림돌기
20: 송신부 본체 21: 인디케이터
23: 상단부 25: 리브 수용홈
26: 가이드홈 27: 절도산
29: 이탈방지 돌기
11: 거치단 13: 경사부
14: 지지면 15: 유동방지 리브
16: 가이드 리브 17: 걸림돌기
20: 송신부 본체 21: 인디케이터
23: 상단부 25: 리브 수용홈
26: 가이드홈 27: 절도산
29: 이탈방지 돌기
Claims (11)
-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송신코일부가 내장된 송신부 본체와;
상기 송신부 본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 테두리와, 상기 송신부 본체의 좌측단 및 우측단을 지지하는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와, 상기 송신부 본체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송신부 본체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테두리로 구성된 거치 프레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 본체는, 상기 거치 프레임 본체의 어느 일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거치 프레임 본체에 결합되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거치 프레임 본체에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중공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리브에는, 상기 중공부 내측으로 소정길이 더 돌출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의 일측에 해당하는 두께부를 전후로 관통하는 형상변형 유도홀이 형성된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 프레임 본체에는, 거치되는 전자기기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거치단이 형성된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송신부 본체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송신부 본체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가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송신부 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소정길이 길게 형성된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송신부 본체에 제공되는 외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의 선단과 미끄럼 접촉되거나 걸림되는 절도산이 형성된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는, 상기 가이드 리브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형성된 걸림면과, 상기 절도산에 접촉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접촉면으로 구성된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 중 하단부에는 상기 걸림면에 걸림되는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된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 유도홀의 길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의 각 이격거리보다 길게 형성된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 프레임 본체의 상부 테두리는, 상기 송신부 본체가 상기 삽입 공간의 상부에서 직하방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전단이 후방 상향으로 경사진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 프레임 본체의 좌측 테두리 및 우측 테두리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 테두리의 좌우 측단은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무선충전 송신코일부와 상기 무선충전 송신코일부에 대응되게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무선충전 수신코일부가 무선 충전 가능 영역 내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054U KR200486888Y1 (ko) | 2017-03-06 | 2017-03-06 |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054U KR200486888Y1 (ko) | 2017-03-06 | 2017-03-06 |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6888Y1 true KR200486888Y1 (ko) | 2018-07-11 |
Family
ID=6290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1054U KR200486888Y1 (ko) | 2017-03-06 | 2017-03-06 |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688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66839A (zh) * | 2018-07-26 | 2018-12-21 | 东莞市摩充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壁挂式智能无线充电器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7441A (ko) | 2003-01-23 | 2004-07-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용량가변형 회전압축기 |
KR20130048407A (ko) * | 2011-11-02 | 2013-05-10 | 주식회사 스파콘 |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
KR101332388B1 (ko) * | 2012-11-08 | 2013-11-22 | 성운수 |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
KR101571530B1 (ko) | 2014-04-04 | 2015-12-14 | (주)삼아테크노솔루션 | 다용도 충전 거치대 |
KR20160003654U (ko) * | 2015-04-13 | 2016-10-21 | (주)하이텍파츠 | 무선충전 크래들 |
KR20160145963A (ko) * | 2015-06-11 | 2016-12-21 | 최문수 | 코일 부착부가 상하 이동되는 무선 충전 거치대 |
-
2017
- 2017-03-06 KR KR2020170001054U patent/KR20048688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7441A (ko) | 2003-01-23 | 2004-07-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용량가변형 회전압축기 |
KR20130048407A (ko) * | 2011-11-02 | 2013-05-10 | 주식회사 스파콘 | 이동 가능한 전력전송유닛을 구비한 무선 전력전송장치 |
KR101332388B1 (ko) * | 2012-11-08 | 2013-11-22 | 성운수 |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
KR101571530B1 (ko) | 2014-04-04 | 2015-12-14 | (주)삼아테크노솔루션 | 다용도 충전 거치대 |
KR20160003654U (ko) * | 2015-04-13 | 2016-10-21 | (주)하이텍파츠 | 무선충전 크래들 |
KR20160145963A (ko) * | 2015-06-11 | 2016-12-21 | 최문수 | 코일 부착부가 상하 이동되는 무선 충전 거치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66839A (zh) * | 2018-07-26 | 2018-12-21 | 东莞市摩充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壁挂式智能无线充电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04913B2 (en) | Induction charg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grip attachment | |
US10852771B2 (en) |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smart devices | |
US9059592B2 (en) | Fixing apparatus with wireless charging | |
US8668160B2 (en) | Cable organizer and electronic appliance with same | |
US20110227535A1 (en) | Charge clip | |
KR20170028137A (ko) |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 |
KR200486888Y1 (ko) | 무선충전용 전자기기 거치대 | |
KR101423028B1 (ko) | 착탈식 무선 충전장치와 이 무선 충전장치를 착탈식으로 내장하는 셋톱박스 | |
US20160190853A1 (en) | Portable charging station having a power sourc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transmit power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wireless power receiver | |
KR101697069B1 (ko) | 전력공급 확장용 스테이션 | |
KR101751820B1 (ko) | 거치구조를 갖는 무선 충전기 | |
KR200462350Y1 (ko) | 가정용 충전기를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 |
CN206059470U (zh) | 电池包转接装置、用电器以及电气组件 | |
US20210384745A1 (en) | Wall-mounted Wireless Charger with Storage Function | |
CN104917219A (zh) | 无线充电基座 | |
KR20140035676A (ko) | 무선 충전기 | |
CN106169548B (zh) | 电池包转接装置、用电器以及电气组件 | |
CN204885581U (zh) | 一种多功能的插座结构 | |
KR20170020058A (ko) |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 |
US20210172247A1 (en) | Electric roller shade | |
CN105119086A (zh) | 一种多功能的插座结构 | |
US11228188B2 (en) |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grip holder | |
CN212969970U (zh) | 一种嵌入式家用智能音箱 | |
KR101743826B1 (ko) | 스마트폰 거치대 | |
CN208738869U (zh) | 一种壁挂式智能无线充电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