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109A -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109A
KR20130048109A KR1020110113058A KR20110113058A KR20130048109A KR 20130048109 A KR20130048109 A KR 20130048109A KR 1020110113058 A KR1020110113058 A KR 1020110113058A KR 20110113058 A KR20110113058 A KR 20110113058A KR 20130048109 A KR20130048109 A KR 20130048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extract
fraction
pneumonia
budd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웅진
장유영
Original Assignee
서웅진
장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웅진, 장유영 filed Critical 서웅진
Priority to KR102011011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8109A/ko
Publication of KR20130048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61K36/12Filicopsida or Pteridopsi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따르면,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폐렴 연쇄상 구균에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폐렴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PNEUMONIA CONTAINING SELAGINELLA TAMARISCINA SPRING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본 발명은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을 말하며,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폐 증상과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폐 증상으로는 호흡기계 자극에 의한 기침,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 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가래는 끈적끈적하고 고름 같은 모양으로 나올 수 있고, 피가 묻어 나오기도 한다.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까지 염증이 침범한 경우 숨 쉴 때 통증을 느낄 수 있고 호흡기 이외에 소화기 증상, 즉, 구역, 구토, 설사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신 질환으로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도 발생할 수 있다. 전신 질환의 반응에 의해 보통 열이 나며, 폐의 염증이 광범위하게 발생하여 폐의 1차 기능인 산소 교환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면 호흡부전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폐렴 연쇄상 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은, 폐렴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균으로서, 알파-용혈성 쌍구균 세균이고 건강한 사람의 코 및 목구멍에서 빈번하게 발견되는 연쇄상 구균(Streptococcus) 속의 멤버이며 근접 접촉을 통해 사람 대 사람으로 전파된다.
이러한 폐렴 연쇄상 구균에 의한 폐렴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백신이나 페니실린 등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왔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항생제를 사용해온 결과, 현재 거의 대부분의 폐렴 구균들이 페니실린 등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있어, 이에 잘 반응하지 않아 치료 효과를 둔화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폐렴 연쇄상 구균을 치료하기 위한 항생제를 선택하는데 제한이 있고 백신은 단지 제한된 효능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천연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폐렴을 치료하는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부처손(Selaginella tamariscina Spring)은 제주도와 울릉도, 남부, 중부, 북부지방의 돌 틈에서 자라는 상록 다년생 초본으로서, 키는 약 20㎝ 정도이고, 잎은 길이가 1.5~2㎜로 끝이 실 같은 돌기로 되고 4줄로 빽빽하게 있으며 난형이다. 가지는 평면으로 갈라져 퍼지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습기가 많은 때는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고 건조할 때는 안으로 말려서 공처럼 되며 습기가 있으면 다시 퍼진다. 포자는 길이가 0.5~1.5㎝, 직경이 2㎜로 잔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네모지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잎·줄기·뿌리는 약용으로 쓰인다.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 폐렴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고, 부처손을 이러한 치료제로 사용하는 것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폐렴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처손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획물은,
상기 부처손 추출물을 비극성 또는 극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또는 부탄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부처손 추출물 또는 상기 부처손 추출물의 분획물을 0.02~5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따르면,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폐렴 연쇄상 구균에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폐렴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항균 활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처손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분획물은 부처손 추출물에 유기 용매를 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함량은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2~50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중량% 이하로 포함되면,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작용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50중량%를 초과하면 약학적 조성물의 안정성에 불리할 뿐만 아니라 과잉 부가에 따른 작용효과의 상승효과도 나타나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서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부처손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즉, 부처손의 잎, 줄기 및 뿌리를 통째로 혹은 작은 조각으로 자르거나 분쇄기로 분쇄하여 미세분말화한 후, 추출용기에 투입하고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넣고 추출한 후, 이를 일정시간 방치한 다음 여과지 등으로 여과하여 부처손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부처손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처손 추출물의 분획물은 부처손 추출물을 물 또는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비극성 또는 극성 유기 용매를 가함으로써 분획하여 얻을 수 있다. 비극성 유기 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트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극성 유기 용매는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생리식염수,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탄올, 식물성 오일 및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약제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계면 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정제, 과립제, 캡슐제, 시럽 등이 있으며 이러한 제제는 유효성분인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컨대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등이 있으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1일 0.001~100㎎/체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40㎎/체중㎏으로 투여한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여러 번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intracer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부처손 추출물 제조
건조된 부처손(대한민국 제주도 산지에서 채집)을 세절한 후, 추출용기에 넣었다. 그리고 부처손 중량의 5배의 부피를 갖는 100% 메탄올에 침지하여 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상온에서 식힌 후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추출액을 농축기를 사용하여 용액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감압 농축함으로써 부처손 추출물(12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부처손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부처손 추출물(120g)을 증류수(1L)에 현탁시킨 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하여 분획하여 각각 헥산(11g), 클로로포름(20.5g), 에틸아세테이트(23g), 부탄올(26g) 및 수성(19.5g)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실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최소저지농도( MIC )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부처손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부처손 추출물의 분획물의 최소저지농도(MIC :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각각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부처손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분획물의 400㎎을 DMSO(dimethyl sulfoxide) 1㎖에 녹여, 400㎎/㎖의 시료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400㎎/㎖의 시료 용액 0.5㎖를 2배 희석하여, 200㎎/㎖의 시료 용액을 제조하고, 마찬가지로 하여 100㎎/㎖, 50.0㎎/㎖, 25.0㎎/㎖의 시료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들 시료 용액 0.2㎖를 BHI(Brain Heart Infusion Agar) 배지 15㎖와 섞고, 4.0㎎/㎖, 3.0㎎/㎖, 2.0㎎/㎖, 1.0㎎/㎖, 0.5㎎/㎖의 평판 배지를 제조하였다.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Streptococcus pneumoniae)를 멸균한 MHB 액체배지(Muller Hinton Broth) 3㎖에 혼합하고, 탁도 1(균 농도 108/㎖)의 균액을 제조한 후, 시험관 안에 균액 1㎖를 주입하였다. 그리고, 시험관으로부터 10㎕씩 취하여 다른 시험관으로 옮기고, 균액을 100배(균 농도 106/㎖)로 희석한 후, 균액 10㎕(균수 14.0)를 각 농도의 시료 용액을 혼입해 둔 평판 배지에 부착하고, 37℃의 항온기 중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항균력 평가를 수행하였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농도(㎎/㎖) MIC
0 0.5 1.0 2.0 3.0 4.0
부처손 추출물 + + + + - - 2.0
부처손 헥산 분획물 + + + + + - 3.0
부처손 클로로포름 분획물 + + + + - - 2.0
부처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 + + + + - 3.0
부처손 부탄올 분획물 + + + + - - 2.0
(+: 생육함, -: 생육하지 않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내었고, 부처손 추출물, 부처손 클로로포름 분획물 및 부처손 부탄올 분획물은 2.0㎎/㎖의 최소저지농도(MIC)를 가졌고, 부처손 헥산 분획물 및 부처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3.0㎎/㎖의 최소저지농도(MIC)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항균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부처손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부처손 추출물의 분획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컵법(cup method)을 수행하였다. 컵법이란, 균 배지의 중심에 직경 7.32㎜의 컵을 두고 컵에 시험 용액을 적하하면, 항균 작용이 있는 경우에는 균의 번식을 저지함을 나타내는 저지원이 형성되는바, 형성된 저지원의 크기로 항균 효과의 강약을 판정하는 방법이다.
밤새 액체 배지에 키운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Streptococcus pneumoniae)를 1/1,000으로 희석하고, 그 중 100㎕을 한천 배지에 잘 펴서 깔았다. 균배지 중심에 직경 7.32㎜의 컵을 두고 그 컵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적하한 후, 형성된 저지원의 크기를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한편, 기존의 항생제인 페니실린(Penicillin), 반코마이신(vancomycin), 리팜핀(rifampin), 이미페넴(imipenem)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시험용액 저지원직경(㎜) 판정
블랭크 7.32 -
부처손 추출물 11.86 ++++
부처손 헥산 분획물 12.12 ++++
부처손 클로로포름 분획물 11.98 ++++
부처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1.58 ++++
부처손 부탄올 분획물 12.04 ++++
페니실린 8.68 +
반코마이신 11.10 ++++
리팜핀 10.87 ++++
이미페넴 12.05 ++++
(판정의 표기는 항균 효과: ++++ 상당히 강함, ++ 있음, + 약간 있음, - 없음, 여기에서 블랭크 7.32㎜는 컵의 직경이다.)
항균 시험의 결과, 표 2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들은 넓은 저지원을 형성하여 항균 활성이 매우 좋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급성 독성 실험
본 발명에서 제조된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동물로서 17~23g의 건강하고 이전에 사용되지 않은 albino mice를 사용하였다. 시험동물을 각각 3마리씩 2개의 시험군과 하나의 대조군으로 나누어 24 gauge needle syringe를 이용하여 꼬리정맥을 통해 1번 내지 3번 시험군에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부처손 추출물 30㎖/㎏을, 4번 내지 6번 시험군에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부처손 추출물의 분획물 30㎖/㎏을,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 30㎖/㎏을 주입하였다. 투여 직 후, 4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에 시험동물의 체중 및 생물학적 이상 징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찰기간 동안 시험군과 대조군 모두 생물학적 이상 징후 및 사망한 개체가 없었다. 따라서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사 이상징후 / 체중변화
생존 사망 직후 4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시험군 1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2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3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4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5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6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대조군 1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2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3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하기에는,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제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다음 표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제예로서, 정제 형태의 제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성분 함량
실시예 1의 부처손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분획물 10㎎
유당 100㎎
옥수수 전분 1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캡슐제의 제조
다음 표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제예로서, 캡슐제 형태의 제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성분 함량
실시예 1의 부처손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분획물 10㎎
유당 50㎎
옥수수 전분 50㎎
탈크 5㎎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통상의 캡슐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주사제의 제조
다음 표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제예로서, 주사제 형태의 제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성분 함량
실시예 1의 부처손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분획물 10㎎
만니톨 180㎎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00㎎
Na2HPO412H20 25㎎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2㎖)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처손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기 부처손 추출물을 비극성 또는 극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유기 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또는 부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부처손 추출물 또는 상기 부처손 추출물의 분획물을 0.02~5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10113058A 2011-11-01 2011-11-01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48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058A KR20130048109A (ko) 2011-11-01 2011-11-01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058A KR20130048109A (ko) 2011-11-01 2011-11-01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109A true KR20130048109A (ko) 2013-05-09

Family

ID=4865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058A KR20130048109A (ko) 2011-11-01 2011-11-01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81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736A (ko) * 2017-02-27 2018-09-05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190135448A (ko) * 2019-11-28 2019-12-0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736A (ko) * 2017-02-27 2018-09-05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190135448A (ko) * 2019-11-28 2019-12-0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garpanah et al. Chemistry, pharmacology and medicinal properties of Peganum harmala L
Adeshina et al. Phytochemical and antimicrobial studies of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Alchornea cordifolia leaf found in Abuja, Nigeria
KR102149973B1 (ko)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US20140322324A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WO2018062605A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JP2005200339A (ja) 抗菌剤
ES2933427T3 (es) Extracto líquido de propóleo, formulación y utilizaciones del mismo
KR101392808B1 (ko)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30048109A (ko)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폐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29182B1 (ko) 로즈마리 정유 및 기존 항생제를 함유한 내성균 억제용항균 조성물
KR102468406B1 (ko)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WO2017020861A1 (zh) 头花蓼组合物抗幽门螺旋杆菌的用途
KR102142370B1 (ko) 소포라플라바논 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ES2697049T3 (es) Composiciones basadas en plantas y utilizaciones
KR20130042726A (ko)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편도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2920718B (zh) 苯乙醇苷类单体化合物的应用
KR20220094308A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4698167B2 (ja) アルツハイマー病予防・治療剤
KR20140047563A (ko) 수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족수 인식 억제용 조성물 또는 항균용 조성물
US20110223118A1 (en) Antibacteri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ceriphyllum rossii extract and activ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KR101548162B1 (ko)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17338B1 (ko) 섬기린초 유래 성분 및 베타 락탐계 항생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KR101392810B1 (ko) 된장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N107095903A (zh) 一种具有解热功效的中药组合物、其口服液及制备方法
ITMI20092343A1 (it) Composizione battericida e virucida per il cavo or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