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962A -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 - Google Patents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962A
KR20130047962A KR1020110112811A KR20110112811A KR20130047962A KR 20130047962 A KR20130047962 A KR 20130047962A KR 1020110112811 A KR1020110112811 A KR 1020110112811A KR 20110112811 A KR20110112811 A KR 20110112811A KR 20130047962 A KR20130047962 A KR 20130047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end mill
inequality
cutting edg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1433B1 (ko
Inventor
한진용
진병순
강광현
박동복
Original Assignee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4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03Milling-cutters with vibration sup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4Angles
    • B23C2210/0407Cutting angles
    • B23C2210/0414Cutting angles diffe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40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65/00Details of general geometric configurations
    • B23C2265/16Ellip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은 제1 나선각(hea)을 가지는 복수의 제1 절삭날(2a); 상기 제1 나선각(hea)과 다른 제2 나선각(heb)을 가지는 복수의 제2 절삭날(2b); 상기 복수의 제1 절삭날(2a)과 상기 복수의 제2 절삭날(2b)의 사이에 형성되어 절삭 칩이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1 플루트(3a); 상기 복수의 제2 절삭날(2b)과 상기 복수의 제1 절삭날(2a)의 사이에 형성되어 절삭 칩이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2 플루트(3b); 및 상기 복수의 제1플루트(3a)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루트(3b)에 내접하여 형성되는 웹(11);을 포함하고,
상기 웹(11)은, 부등분할 엔드밀(1)의 길이 방향으로 엔드밀 센터(C)를 지나는 제1 횡단면에서 백 테이퍼(back taper: 12a)형상을 이루며, 상기 엔드밀 센터(C)를 지나고 상기 제1 횡단면과 직각을 이루는 제2 횡단면에서 테이퍼(taper: 12b)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Description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 {Unequal Endmill of leading edge with oval web}
본 발명은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물의 평면 및 측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드밀을 이용하여 절삭 가공할 때에 진동이 발생하고, 그 진동은 피삭면이 거칠어지는 원인이 된다.
엔드밀의 진동을 억제하는 기술로써 부등 분할 엔드밀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부등 분할 엔드밀은 각 절삭날의 나선각을 달리하는 부등리드(부등 나선)를 형성한 기술, 각 절삭날을 원주방향으로 부등 간격으로 형성한 기술, 저인 간격(Indexing angle)을 부등 분할한 기술 등이 있다.
종래의 부등 분할 엔드밀은 절삭 가공할 때에 절삭날간 간격에 따라 절삭저항의 차이가 발생되고, 부등리드의 영향으로 접촉면적을 변화시켜 불균일한 절삭저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부등 분할 엔드밀은 절삭날간 간격의 차이가 발생됨에 따라 절삭날의 위치에 따라 절삭력이 불균일한 현상이 발생되고, 나아가 공구의 진동에 영향을 줌으로써 가공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부등 분할 엔드밀은 부등 분할된 만큼의 어느 한쪽의 절삭날 두께와 플루트의 깊이는 다른 한쪽의 절삭날 두께와 플루트 깊이가 다르므로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좁은 쪽에서 강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강성이 약화됨에 따라 부등 분할 엔드밀의 결손 및 치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73555호, 2007.01.17.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3787호, 2007.08.24.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0959호, 2009.07.27.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8655호, 2009.09.17.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등 분할된 저인과 리드 영향으로 부등 분할 엔드밀이 회전할 때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저감하고, 부등 분할된 만큼의 강성을 확보하여 부등 분할 엔드밀의 결손 및 치핑을 방지하도록 하는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은, 제1 나선각(hea)을 가지는 복수의 제1 절삭날(2a); 상기 제1 나선각(hea)과 다른 제2 나선각(heb)을 가지는 복수의 제2 절삭날(2b); 상기 복수의 제1 절삭날(2a)과 상기 복수의 제2 절삭날(2b)의 사이에 형성되어 절삭 칩이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1 플루트(3a); 상기 복수의 제2 절삭날(2b)과 상기 복수의 제1 절삭날(2a)의 사이에 형성되어 절삭 칩이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2 플루트(3b); 및 상기 복수의 제1플루트(3a)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루트(3b)에 내접하여 형성되는 웹(11);을 포함하고, 상기 웹(11)은, 부등분할 엔드밀(1)의 길이 방향으로 엔드밀 센터(C)를 지나는 제1 횡단면에서 백 테이퍼(back taper: 12a)형상을 이루며, 상기 엔드밀 센터(C)를 지나고 상기 제1 횡단면과 직각을 이루는 제2 횡단면에서 테이퍼(taper: 12b)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은, 상기 웹(11)은, 상기 제1 횡단면과 상기 제2 횡단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제3 횡단면에서 타원 형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은, 상기 제1 절삭날(2a)과 상기 엔드밀 센터(C)와 상기 제2 절삭날(2b)이 이루는 제1 부등분할각(Aa): 상기 제2 절삭날(2b)과 상기 엔드밀 센터(C)와 상기 제1 절삭날(2a)이 이루는 제2 부등분할각(Ab); 상기 복수의 제1 절삭날(2a)을 가로지르는 제1 웹 폭(Wa); 및 상기 복수의 제2 절삭날(2b)을 가로지르는 제2 웹 폭(W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등분할각(Aa)과 상기 제2 부등분할각(Ab)의 비율은 상기 제1 웹 폭(Wa)과 상기 제2 웹 폭(Wb)의 비율에 정비례하여 부등분할 각도가 클수록 웹 폭이 정비례하여 커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은, 상기 제1 절삭날(2a)과 엔드밀 센터(C)와 상기 제2 절삭날(2b)이 이루는 제1 부등분할각(Aa): 상기 제2 절삭날(2b)과 상기 엔드밀 센터(C)와 상기 제1 절삭날(2a)이 이루는 제2 부등분할각(Ab); 상기 제1 절삭날(2a)의 제1 플루트 깊이(Ha); 및 상기 제2 절삭날(2b)의 제2 플루트 깊이(H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등분할각(Aa)과 상기 제2 부등분할각(Ab)의 비율은 상기 제1 플루트 깊이(Ha)와 상기 제2 플루트 깊이(Hb)의 비율에 반비례하여 부등분할 각도가 클수록 플루트 깊이가 반비례하여 얕아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은, 상기 제1 절삭날(2a)과 엔드밀 센터(C)와 상기 제2 절삭날(2b)이 이루는 제1 부등분할각(Aa): 상기 제2 절삭날(2b)과 상기 엔드밀 센터(C)와 상기 제1 절삭날(2a)이 이루는 제2 부등분할각(Ab); 상기 복수의 제1 절삭날(2a)을 가로지르는 제1 웹 폭(Wa); 상기 복수의 제2 절삭날(2b)을 가로지르는 제2 웹 폭(Wb); 상기 제1 절삭날(2a)의 제1 플루트 깊이(Ha); 및 상기 제2 절삭날(2b)의 제2 플루트 깊이(H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등분할각(Aa)과 상기 제2 부등분할각(Ab)의 비율은 상기 제1 웹 폭(Wa)과 상기 제2 웹 폭(Wb)의 비율에 정비례하고, 상기 제1 플루트 깊이(Ha)와 상기 제2 플루트 깊이(Hb)의 비율에 반비례하여 부등분할 각도가 클수록 웹 폭이 정비례하여 커지고, 플루트 깊이가 반비례하여 얕아지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은 웹(web)을 타원형으로 적용하고,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비율은 부등분할각과 동일한 비율과 동일하게 제공함으로써 회전모멘트에 균형을 가지게 되고, 이로써 절삭 가공 중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은 큰 절삭력이 걸리는 절삭날에 강성이 증가되어 절삭 가공할 때에 절삭날의 결손이 줄어들고, 원활한 칩 생성으로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절삭가공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웹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웹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은 웹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에서 플루트의 깊이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에서 저인 쪽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7은 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도 6의 D-D선 단면도이고,
(b)는 도 6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에 의해 절삭가공된 가공품질을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의 엔드밀에 의해 절삭가공된 가공품질을 보인 예시도면이다.
에서 저인 쪽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등 분할 엔드밀(1)은 웹(11)의 외측에 복수의 제1, 제2 절삭날(2a)(2b)이 형성되고, 복수의 제1, 제2 절삭날(2a)(2b)의 단부에는 각각 제1, 제2 저인(4a)(4b)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제2 저인(4a)(4b)의 한쪽에는 각각 저인 여유면(7)과 저인경사면(8)이 형성된다.
제1, 제2 저인(4a)(4b)는 제1, 제2 절삭날(2a)(2b)과 연결되는 형태이고, 제1 저인(4a)과 제2 저인(4a)이 이루는 각도는 제1 절삭날(2a)과 제2 절삭날(2b)이 이루는 부등 분할 각도와 동일한 비율로 제공된다.
복수의 제1 절삭날(2a)을 제1 나선각(Hea)을 가지고, 복수의 제2 절삭날(2b)은 제2 나선각(Heb)을 가지며, 제1 나선각(Hea)과 제2 나선각(Heb)은 서로 다르게 제공된다.
또한, 복수의 제1, 제2 절삭날(2a)(2b)은 각각 제1, 제2 외주여우면(6a)(6b)이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제1 절삭날(2a)은 제1 플루트(3a)를 가지고, 복수의 제2 절삭날(2b)은 제2 플루트(3b)를 가지며, 제1, 제2 플루트(3a)(3b)는 절삭 가공할 때 발생하는 절삭 칩을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홈으로 이용된다.
또한, 부등 분할 엔드밀(1)은 엔드밀 센터(C)를 중심으로 복수의 제1 플루트(3a)와 복수의 제2 플루트(3b)를 접하는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의 웹(11)이 형성된다.
상술한 웹(11)의 단면 형상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는 웹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A선 단면도,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에서 플루트의 깊이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절삭날(2a)(2b)의 특정한 부분에서 단면을 살펴보면 엔드밀 센터(C)의 길이 방향에 직각하는 단면에서 웹(11)은 타원형상을 이루게 된다.
타원 형상은 폭이 가장 넓은 부분과 가장 좁은 부분이 존재하고, 이를 각각 제1 웹 폭(Wa)과 제2 웹 폭(Wb)으로 정의한다.
제1 절삭날(2a)과 엔드밀 센터(C)와 제2 절삭날(2b)는 제1 부등분할각(Aa)을 이루고, 제2 절삭날(2b)과 엔드밀 센터(C)와 제1 절삭날(2a)는 제2 부등분할각(Ab)을 이루며, 제1 부등분할각(Aa)과 제2 부등분할각(Ab)은 서로 다르게 제공된다.
여기서, 제1 플루트 깊이(Ha)와 제2 플루트 깊이(Hb)의 비율은 제1 부등분할각(Aa)과 제2 부등분할각(Ab)의 비율과 동일하게 제공된다.
한편, 제1 플루트(3a)와 제2 플루트(3b)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플루트 깊이(Ha)와 제2 플루트 깊이(Hb)로서 깊이가 서로 다르게 제공된다.
또한, 제1 플루트 깊이(Ha)와 제2 플루트 깊이(Hb)의 비율은 타원 장축(Wa)과 타원 단축(Wb)의 비율과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즉, 제1, 제2 절삭날(2a)(2b)에 대한 상대적인 부등분할 각도가 클수록 웹 폭이 비례하여 커지고, 플루트 깊이는 비례하여 얕아지는 것이다.
반대로, 제1, 제2 절삭날(2a)(2b)에 대한 상대적인 부등분할 각도가 작을 클수록 웹 폭이 비례하여 작아지고, 플루트 깊이는 비례하여 깊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웹(11)의 외관 형상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에서 저인 쪽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7은 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도 6의 D-D선 단면도이며, 도 7의 (b)는 도 6의 E-E선 단면도이다.
부등 분할 엔드밀(1)에서 웹(11)의 윤곽은 제1 절삭날(2a)에 인접한 위치를 지나는 단면과 그 단면에 직교되는 위치에서의 제2 절삭날(2b)에 인접한 위치를 지나는 단면은 서로 전혀 다른 형상모양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부등분할 엔드밀(1)의 길이 방향으로 엔드밀 센터(C)를 지나는 제1 횡단면에서 백 테이퍼(back taper: 12a)형상을 이룬다.
또한, 엔드밀 센터(C)를 지나고 상술한 제1 횡단면과 직각을 이루는 제2 횡단면에서 테이퍼(taper: 12b)형상을 이룬다.
즉,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특정한 단면에서는 역 테이퍼(12a)형상이고,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단면에서는 테이퍼(12b)형상이다.
한편, 웹(11)의 단면 형상은 상술한 제1 횡단면과 상술한 제2 횡단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제3 횡단면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즉, 웹(11)의 외관 형상은 역 테이퍼(back taper) 형상과 순방향 테이퍼(taper) 형상을 복합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장의 길이에 따라 부등 분할각도가 변화되는 부등리드구조에서 타원의 형상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제1, 제2 절삭날(2a)(2b)이 섕크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타원형상의 웹(11)과 부등 분할각이 균일한 비율로 변화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등분할 엔드밀(10)은, 타원형 웹(11)의 적용으로 인하여 많은 절삭력이 발생되는 플루트 쪽으로 웹(web)이 커짐에 따라 플루트 깊이가 얕아지고, 이로써 경사각이 둔각에 가까워짐으로써 절삭날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절삭 가공할 때에 진동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진동이 감소됨에 따라 가공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등분할 엔드밀(10)은, 가공 깊이가 깊어질수록 절삭 날의 위치마다 경사각이 변화되어 절삭날당 이송이 불규칙하게 되고, 이로써 절삭력이 서로 다르게 작용되지만 특정의 절삭날 부분에서 절삭력에 상응하는 강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웹(11)에 부등 테이퍼를 적용함으로써 부등분할각의 변화에 따라 타원형상 웹(11)의 장축과 단축의 비율 변화가 균등하게 적용되고, 이로써 회전모멘트의 균형이 이루게 되어 가공효율이 향상되며 나아가 가공 품질이 향상되는 것이다.
절삭가공의 가공품질 향상은 첨부도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1)에 의해 절삭가공된 가공품질을 보인 예시도면이고, 도 9는 비교예의 엔드밀에 의해 절삭가공된 가공품질을 보인 예시도면이다.
다음의 [표 1]과 같은 절삭가공의 조건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등 분할 엔드밀(1)과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엔드밀을 이용하여 절삭가공을 실시하고 가공품질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Figure pat00002
소정의 깊이(12mm), 직경 8mm의 홀을 가공한 후에 홀의 표면이 보이도록 소재를 절단하여 보인 것이고, 도 8 및 도 9의 상세도면은 홀의 표면을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절삭가공 중에서도 코너(corner) 및 숄더링(shouldering) 가공할 때에 공구의 떨림으로 인하여 절삭 가공된 표면에 떨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때 표면에 형성되는 무늬 또는 표면 조도를 보고 가공품질을 가늠할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에서 비교하여 알 수 있듯이, 도 8에는 가공된 표면(홀 표면)에 무늬가 거의 없고 매끈한 것을 알 수 있고, 도 9에는 가공된 표면(홀 표면)에 빗살무늬가 선명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등분할 엔드밀(1)에 의해 가공된 가공 품질이 비교예에 비교하여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은 평면과 측면을 절삭 가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 부등 분할 엔드밀
2a, 2b: 제1, 제2 절삭날
3a, 3b: 제1, 제2 플루트(Flute)
4a, 4b: 제1, 제2 저인
6a, 6b: 제1, 제2 외주여유면
7: 저인여유면
8: 저인경사면
11: 웹(web) 타원
12a: 백 테이퍼(Back taper)
12b: 테이퍼(taper)
C: 엔드밀 센터
Hea, Heb: 제1, 제2 나선 각(Helix angle)

Claims (5)

  1. 제1 나선각(hea)을 가지는 복수의 제1 절삭날(2a);
    상기 제1 나선각(hea)과 다른 제2 나선각(heb)을 가지는 복수의 제2 절삭날(2b);
    상기 복수의 제1 절삭날(2a)과 상기 복수의 제2 절삭날(2b)의 사이에 형성되어 절삭 칩이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1 플루트(3a);
    상기 복수의 제2 절삭날(2b)과 상기 복수의 제1 절삭날(2a)의 사이에 형성되어 절삭 칩이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2 플루트(3b); 및
    상기 복수의 제1플루트(3a)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루트(3b)에 내접하여 형성되는 웹(11);을 포함하고,
    상기 웹(11)은,
    부등분할 엔드밀(1)의 길이 방향으로 엔드밀 센터(C)를 지나는 제1 횡단면에서 백 테이퍼(back taper: 12a)형상을 이루며,
    상기 엔드밀 센터(C)를 지나고 상기 제1 횡단면과 직각을 이루는 제2 횡단면에서 테이퍼(taper: 12b)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11)은, 상기 제1 횡단면과 상기 제2 횡단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제3 횡단면에서 타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날(2a)과 상기 엔드밀 센터(C)와 상기 제2 절삭날(2b)이 이루는 제1 부등분할각(Aa):
    상기 제2 절삭날(2b)과 상기 엔드밀 센터(C)와 상기 제1 절삭날(2a)이 이루는 제2 부등분할각(Ab);
    상기 복수의 제1 절삭날(2a)을 가로지르는 제1 웹 폭(Wa); 및
    상기 복수의 제2 절삭날(2b)을 가로지르는 제2 웹 폭(W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등분할각(Aa)과 상기 제2 부등분할각(Ab)의 비율은 상기 제1 웹 폭(Wa)과 상기 제2 웹 폭(Wb)의 비율에 정비례하여 부등분할 각도가 클수록 웹 폭이 정비례하여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날(2a)과 엔드밀 센터(C)와 상기 제2 절삭날(2b)이 이루는 제1 부등분할각(Aa):
    상기 제2 절삭날(2b)과 상기 엔드밀 센터(C)와 상기 제1 절삭날(2a)이 이루는 제2 부등분할각(Ab);
    상기 제1 절삭날(2a)의 제1 플루트 깊이(Ha); 및
    상기 제2 절삭날(2b)의 제2 플루트 깊이(H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등분할각(Aa)과 상기 제2 부등분할각(Ab)의 비율은 상기 제1 플루트 깊이(Ha)와 상기 제2 플루트 깊이(Hb)의 비율에 반비례하여 부등분할 각도가 클수록 플루트 깊이가 반비례하여 얕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날(2a)과 엔드밀 센터(C)와 상기 제2 절삭날(2b)이 이루는 제1 부등분할각(Aa):
    상기 제2 절삭날(2b)과 상기 엔드밀 센터(C)와 상기 제1 절삭날(2a)이 이루는 제2 부등분할각(Ab);
    상기 복수의 제1 절삭날(2a)을 가로지르는 제1 웹 폭(Wa);
    상기 복수의 제2 절삭날(2b)을 가로지르는 제2 웹 폭(Wb);
    상기 제1 절삭날(2a)의 제1 플루트 깊이(Ha); 및
    상기 제2 절삭날(2b)의 제2 플루트 깊이(H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등분할각(Aa)과 상기 제2 부등분할각(Ab)의 비율은 상기 제1 웹 폭(Wa)과 상기 제2 웹 폭(Wb)의 비율에 정비례하고, 상기 제1 플루트 깊이(Ha)와 상기 제2 플루트 깊이(Hb)의 비율에 반비례하여 부등분할 각도가 클수록 웹 폭이 정비례하여 커지고, 플루트 깊이가 반비례하여 얕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
KR1020110112811A 2011-11-01 2011-11-01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 KR101301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811A KR101301433B1 (ko) 2011-11-01 2011-11-01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811A KR101301433B1 (ko) 2011-11-01 2011-11-01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962A true KR20130047962A (ko) 2013-05-09
KR101301433B1 KR101301433B1 (ko) 2013-08-28

Family

ID=4865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811A KR101301433B1 (ko) 2011-11-01 2011-11-01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4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9387A1 (en) * 2016-01-27 2017-08-03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n end mill
US10052700B2 (en) 2015-07-28 2018-08-21 Kennametal Inc. Rotary cutting tool with blades having repeating, unequal indexing and helix angles
KR102208022B1 (ko) * 2020-04-28 2021-01-28 주식회사 와이지-원 절삭날별 피드에 비례하여 칩 공간을 구현한 엔드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6246B2 (en) * 2018-02-26 2019-11-26 Iscar, Ltd. End mill having a peripheral cutting edge with a variable angle configu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1409B2 (en) * 2002-12-24 2006-01-31 Niagara Cutter Rotary cutting tool
IL174720A (en) * 2006-04-02 2010-04-15 Alexander Khina Cutting too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2700B2 (en) 2015-07-28 2018-08-21 Kennametal Inc. Rotary cutting tool with blades having repeating, unequal indexing and helix angles
WO2017129387A1 (en) * 2016-01-27 2017-08-03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n end mill
JP2019507023A (ja) * 2016-01-27 2019-03-14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エンドミル
US10828706B2 (en) 2016-01-27 2020-11-10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End mill
EP3199281B1 (en) * 2016-01-27 2021-04-2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n end mill
KR102208022B1 (ko) * 2020-04-28 2021-01-28 주식회사 와이지-원 절삭날별 피드에 비례하여 칩 공간을 구현한 엔드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433B1 (ko)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9185B2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CN103764327B (zh) 用于铣削的双面切削刀片
US7588396B2 (en) End mill
JP5346373B2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WO2010110009A1 (ja) 刃先交換式回転工具
JP5227342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切削方法
JP2008068345A (ja) ラフィングエンドミルおよびラフィングエンドミル用インサート
JP5357979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KR101301433B1 (ko) 타원형 웹을 적용한 부등 분할 엔드밀
KR20130072242A (ko) 부등나선각 엔드밀
WO2014080708A1 (ja) フライス加工用切削インサート
JP5157660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JP2017024173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KR102197363B1 (ko) 절삭 인서트
JP2014231115A (ja) エンドミル
CN103128373B (zh) 用于加工孔壁非连续的孔的聚晶金刚石铰刀
JP6337573B2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US11471958B2 (en) End mill and machining method
JP2022524345A (ja) 切削ツール、切削ツー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ワークピースの加工のための方法
JP2007075993A (ja) ラジアスカッタ、特にボールカッタまたは環状カッタ
JP2010201565A (ja) エンドミル
JP4812537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転削工具
JP6962688B2 (ja) 段付きドリル
JP2017113865A (ja) 面取り工具
US11491559B2 (en) End m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