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901A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901A
KR20130047901A KR1020110112713A KR20110112713A KR20130047901A KR 20130047901 A KR20130047901 A KR 20130047901A KR 1020110112713 A KR1020110112713 A KR 1020110112713A KR 20110112713 A KR20110112713 A KR 20110112713A KR 20130047901 A KR20130047901 A KR 20130047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amount
management devic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진
채수용
오세승
유병규
박석인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12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7901A/ko
Publication of KR2013004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에 관한 것으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에 따라 충전의 순위를 결정하고, 순위에 따라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충전소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순위를 운전자의 제안금액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정하여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배터리 충전 기준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요청한 운전자에게 고품품질의 전력을 공급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공급자는 부가 수익을 올릴 수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순위를 부여받은 운전자들은 대기시간에 비례하여 충전 금액을 할인 받을 수 있는 보상서비스를 통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for managing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charged management apparatus thereof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에 따라 충전의 순위를 결정하고, 순위에 따라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시대의 자동차는 지속적으로 개발 및 보완되면서 대표적인 이동 수단으로 자리 잡았으며, 근래에 들어서 대형 고급 차종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소형차 등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가 등장하면서, 한 가구당 한대 이상의 자동차를 보유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최근에는,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서, 환경 친화적인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 대한 요구가 증가 되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의 경우 대기보존법 제정에 의하여 EV의 보급이 의무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에서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그린카(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 고유가 시대를 맞이하여 국가 물류비 절감을 위한 실효적인 대응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운행에 있어서, 운전자가 에너지소모율을 최적화하는 경제속도를 유지할 경우, 경제적이며 환경친화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가 부족하여 배터리 충전을 위해 많은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원하는 운전자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충전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대기소에 정차하고 있는 전기자동차 운전자들이 제안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에 상응하는 충전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해 높은 금액을 제안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에게 고품질의 전력을 차등적으로 공급하고, 제안금액에 따른 순위가 낮은 전기자동차로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 요금에 할인을 적용하는 보상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관리장치는 다수의 단말기들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 및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충전대기소에 있는 다수의 전기자동차 운전자들의 단말기들로부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안금액을 확인하여 충전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관리장치에 있어서, 제어모듈은 다수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운전자들의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수신하고, 시간정보를 확인하여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관리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에 대한 충전 우선순위와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관리장치에 있어서, 제어모듈은 높은 제안금액을 제안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를 구분하고, 구분된 전기자동차로 고품질의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관리장치에 있어서, 제어모듈은 제안금액에 따른 순위가 낮은 전기자동차를 구분하고, 구분된 전기자동차로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 요금에 기 설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충전관리장치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추천금액 및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입력하고, 입력된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충전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제안금액에 연관된 배터리의 충전 순위를 충전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고, 해당되는 순위에 충전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충전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추천금액을 충전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추천금액을 기초로 제안금액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충전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충전 제안금액을 입력하는 화면, 충전 대기시간 및 충전 순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은 충전관리장치가 충전대기소에 있는 다수의 전기자동차 운전자들의 단말기들로부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수신하는 단계와, 충전관리장치가 수신된 제안금액을 확인하여 충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충전관리장치가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는 충전관리장치가 다수의 전기자동차 운전자들의 단말기들과 통신하는 단계와, 충전관리장치가 다수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운전자들의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충전관리장치가 시간정보를 확인하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안금액은 다수의 전기자동차 운전자들이 각각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제안하는 시세에 따른 기준금액 보다 높거나 혹은 낮은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충전관리장치가 충전 우선순위와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공급하는 단계는 충전관리장치가 높은 제안금액을 제안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를 구분하는 단계 및 충전관리장치가 구분된 전기자동차로 고품질의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공급하는 단계는 충전관리장치가 제안금액에 따른 순위가 낮은 전기자동차를 구분하는 단계 및 충전관리장치가 구분된 전기자동차로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 요금에 기 설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은 단말기가 충전관리장치와 통신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입력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입력된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충전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제안금액에 연관된 충전 순위를 충전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고, 해당되는 순위에 충전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입력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충전관리장치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추천금액을 충전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추천금액을 기초로 제안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소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순위를 운전자의 제안금액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정하여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 기준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요청한 운전자에게 고품질의 전력을 공급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공급자는 부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순위를 부여 받은 운전자들은 대기시간에 비례하여 충전 금액을 할인 받을 수 있는 보상서비스를 통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충전관리장치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시스템(이하, 충전 관리 시스템(100))은 충전관리장치(20)와 통신망(30)을 통해 통신하여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입력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에 대한 정보를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하고, 제안금액에 연관된 충전 순위를 충전관리장치(20)로부터 수신하여 순위에 맞게 충전을 실행하는 단말기(10) 및 충전대기소에 정차하고 있는 전기자동차 운전자의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확인하여 충전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관리장치(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말기(10)와 충전관리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망(30)은 단말기(10) 및 충전관리장치(2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기(10)는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소지하거나 전기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는 통신망(30)을 통해 충전관리장치(2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는 통신망(30)으로 접속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는 DSL(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 모뎀(cable modem), 이더넷(Ethernet) 등의 고정 접속(Fixed Access) 방식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는 이동 접속(Mobile Access) 방식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충전관리장치(20)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해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충전관리장치(20)로부터 대기 가능한 시간에 따라 산출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을 수신하고, 추천금액을 기초로 제안금액을 결정한다. 이때, 제안금액은 다수의 전기자동차 운전자들이 각각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제안하는 시세에 따른 기준금액 보다 높거나 혹은 낮은 금액이 될 수 있다.
충전관리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단말기(10)와 통신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충전관리장치(20)는 다수의 전기자동차 운전자들의 단말기들과 통신하고, 전기자동차 운전자의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충전관리장치(20)는 대기 가능시간을 확인하여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을 산출하여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또한, 충전관리장치(20)는 충전 우선순위와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충전관리장치(20)는 배터리 충전을 위해 높은 제안금액을 제안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를 구분하고, 구분된 전기자동차 별로 전력품질을 차등적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높은 제안금액을 제안하는 운전자는 배터리 충전을 위해 대기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한 운전자, 급한 용무가 있는 운전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낮게 설정한 운전자라고 하더라도 저품질의 전력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고, 기준 품질에 맞는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충전관리장치(20)는 배터리 충전을 위해 제안한 제안금액에 따른 순위가 낮은 전기자동차를 구분하고, 구분된 전기자동차로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 요금에 할인을 적용하는 보상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충전소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순위를 운전자의 제안금액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정하여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배터리 충전 기준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요청한 운전자에게 고품질의 전력을 공급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공급자는 부가 수익을 올릴 수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순위를 부여 받은 운전자들은 대기시간에 비례하여 충전 금액을 할인 받을 수 있는 보상서비스를 통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관리장치(20)는 제어모듈(21), 저장모듈(22) 및 통신모듈(23)로 구성된다.
통신모듈(23)은 단말기(10)와 통신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통신모듈(23)은 다수의 단말기들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추천금액 및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저장모듈(22)은 충전관리장치(20)의 기능 실행을 위한 전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모듈(22)은 각각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 우선순위와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모듈(21)은 충전관리장치(2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모듈(21)은 충전대기소에 정차하고 있는 전기자동차 운전자의 단말기(10)로부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안금액은 다수의 전기자동차 운전자들이 각각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제안하는 시세에 따른 기준금액 보다 높거나 혹은 낮은 금액이다. 이때, 제어모듈(21)은 다수의 전기자동차 운전자들의 단말기들과 통신하고, 운전자의 입력에 따라 배터리 충전을 위해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모듈(21)은 대기 가능시간을 확인하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을 산출하여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제어모듈(21)은 수신된 제안금액을 확인하여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이후, 제어모듈(21)은 충전 우선순위와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모듈(21)은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되는 전기자동차로 이동을 요청하고,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제어모듈(21)은 배터리 충전을 위해 높은 제안금액을 제안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를 구분하고, 구분된 전기자동차에게 고품질의 전력을 차등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제어모듈(21)은 배터리 충전을 위해 제안한 금액에 따른 순위가 낮은 전기자동차를 구분하고, 구분된 전기자동차로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 요금에 할인을 적용하는 보상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21)은 충전소에서 대기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일정 비율로 배터리 충전 요금을 할인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충전관리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및 통신부(16)로 구성된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표시부(13)는 입력부(12)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3)는 충전관리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을 화면에 출력한다.
저장부(14)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처리부(15)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5)는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처리부(15)는 단말기(10)의 기능 실행에 따른 모든 효과음, 설정음 또는 실행음을 출력한다.
통신부(16)는 충전관리장치(20)와 통신망(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6)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iFi, Wireless Fidelity 또는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 모듈 및 무선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기(1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무선망 통신 모듈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부(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충전관리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망 통신 모듈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충전관리장치(2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11)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랜 통신 모듈은 무선 랜(WLAN), 와이파이(WiFi) 또는 와이맥스(WiMAX)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랜 통신 모듈은 제어부(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접속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통신 모듈은 접속 포인트를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충전관리장치(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11)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팬 통신 모듈은 무선 팬(WPAN)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망 통신 모듈 및 무선랜 통신 모듈에 비해 짧은 거리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팬 통신 모듈은 단말기간에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즉, 무선팬 통신 모듈을 통해 다른 단말기와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팬 통신 모듈은 통신망(30)에 게이트웨이(Gateway)에 직접 또는 멀티 홉(multi-hop)을 통해 연결 가능한 경우,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선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에 따른 통신을 예시할 수 있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충전관리장치(2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30)에 접속하며, 통신망(30)을 통해 충전관리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6)는 충전관리장치(20)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추천금액 및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1)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전원이 켜지면, 운영 체제를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하기 위한 부팅(booting)을 수행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는 충전관리장치(20)와 통신하고,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입력한다. 이때, 제어부(11)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운전자가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시간정보를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하고, 충전관리장치(20)로부터 대기 가능한 시간에 대응하여 산출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을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1)는 수신된 추천금액을 기초로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금액에 따라 제안금액을 결정한다.
제어부(11)는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제안금액에 연관된 충전 순위를 충전관리장치(20)로부터 수신하고, 해당되는 순위에 충전관리장치(20)의 지시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이동을 요청하여 충전을 실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에 따른 데이터 흐름은 먼저, 단말기(10)와 충전관리장치(20)는 S11 단계에서 통신을 연결한다. 이때, 단말기(10)는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소지하거나 전기자동차의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단말기(10)는 S13 단계에서 충전대기소에 정차한 상태에서 배터리 충전을 위해 운전자가 대기 가능한 시간을 입력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15 단계에서 충전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한다.
충전관리장치(20)는 S17 단계에서 수신된 시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시간에 따른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을 생성한다. 이후, 충전관리장치(20)는 S19 단계에서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을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충전관리장치(20)는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대기 가능한 시간이 5분인 경우, 현재 대기 중인 운전자들의 제안금액 및 대기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5분내에 충전할 수 있는 추천금액을 산출한다.
단말기(10)는 S21 단계에서 충전관리장치(20)로부터 수신된 추천금액을 확인하고, 확인된 추천금액을 토대로 운전자의 입력에 따라 제안금액을 입력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S23 단계에서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한다.
충전관리장치(20)는 S25 단계에서 수신된 제안금액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안금액에 따른 배터리 충전에 대한 순위를 결정한다. 여기서, 충전관리장치(20)는 충전대기소에 정차하고 있는 모든 전기자동차에 연관된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된 제안금액을 조합하고 비교하여 배터리 충전 순위를 결정한다. 이후, 충전관리장치(20)는 S27 단계에서 결정된 충전 순위와 예상 대기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단말기(10)는 S29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충전 순위와 예상 대기시간을 화면에 표시한다.
충전관리장치(20)는 S31 단계에서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전기자동차의 이동을 단말기(10)로 요청한다. 이후, 단말기(10)는 S33 단계에서 충전 이동 요청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전기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ECU)와 같은 제어장치와 통신하여 차량의 구동장치를 제어, 오디오 기능을 통해 알람, 문자메시지서비스(SMS)와 같은 기능을 통해 운전자에게 차량 이동을 알릴 수 있다.
충전관리장치(20)는 S35 단계에서 전기자동차의 이동에 따라 충전기를 관리하여 배터리 충전을 실행한다.
이를 통해, 충전소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순위를 운전자의 제안금액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정하여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배터리 충전 기준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요청한 운전자에게 고품질의 전력을 공급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공급자는 부가 수익을 올릴 수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순위를 부여 받은 운전자들은 대기시간에 비례하여 충전 금액을 할인 받을 수 있는 보상서비스를 통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관리장치(20)는 S41 단계에서 충전대기소에 정차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단말기(10)로부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충전대기소에 정차한 상태에서 배터리 충전을 위해 운전자가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하고, 충전관리장치(20)는 수신된 시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시간에 따라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을 생성한다. 이후, 단말기(10)는 충전관리장치(20)로부터 수신된 추천금액을 확인하고, 확인된 추천금액과 연관되어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결정하여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한다.
충전관리장치(20)는 S43 단계에서 수신된 제안금액을 확인하여 배터리 충전을 위한 순위를 결정한다. 이때, 충전관리장치(20)는 충전대기소에 정차하고 있는 모든 전기자동차에 연관된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된 제안금액을 조합하고 비교하여 배터리 충전 순위를 결정한다. 이후, 충전관리장치(20)는 S45 단계에서 결정된 충전 순위와 예상 대기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충전관리장치(20)는 S47 단계에서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전기자동차의 이동을 단말기(10)로 요청하고, 전기자동차의 이동에 따라 충전기를 관리하여 배터리 충전을 실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S51 단계에서 충전대기소에 정차한 상태에서 배터리 충전을 위해 운전자가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입력받아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한다.
단말기(10)는 S53 단계에서 충전관리장치(20)로부터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에 상응하여 수신된 추천금액을 확인하고, 표시한다.
단말기(10)는 S55 단계에서 확인된 추천금액과 연관된 제안금액에 대한 정보를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한다. 이때, 충전관리장치(20)는 제안금액을 확인하여 배터리 충전 순위를 결정한다. 여기서, 충전관리장치(20)는 충전대기소에 정차하고 있는 모든 전기자동차에 연관된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된 제안금액을 조합하고 비교하여 배터리 충전 순위를 결정한다.
단말기(10)는 S57 단계에서 충전 순위와 예상 대기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충전 순위와 예상 대기시간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후, 단말기(10)는 S59 단계에서 충전관리장치(20)로부터 이동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동이 요청되면, 단말기(10)는 S61 단계에서 전기자동차의 이동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충전관리장치(20)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제어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전기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ECU)와 같은 제어장치와 통신하여 차량의 구동장치를 제어, 오디오 기능을 통해 알람, 문자메시지서비스(SMS)와 같은 기능을 통해 운전자에게 차량 이동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의 이동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10)는 대기모드를 수행하며, 충전관리장치(20)의 신호를 계속 모니터링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를 위한 실시 예를 예시도를 통해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대기소에서 운전자가 충전을 위해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입력하여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관리장치(10)는 충전을 위해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충전 추천금액, 기준 금액, 전력의 등급 등에 해당하는 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하고, 단말기(10)는 이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여기서, 충전 추천금액은 배터리 충전을 위해 대기 가능한 시간과 현재 대기 중인 전기자동차들에 연관된 제안금액에 따라 생성된다. 또한, 기준 금액은 현재 공급되고 있는 전력의 시세에 따른 가격이 된다. 또한, 전력의 등급은 전력의 효율에 따라 나뉘어진 등급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관리장치(20)는 현재 충전소의 기준금액 100/KW이며, 운전자의 대기 가능시간을 고려한 추천금액 110/KW, 전력의 등급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는 충전제안장치(20)로부터 수신된 충전 추천금액을 기초로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충전 제안금액에 대한 정보를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는 운전자의 입력에 따라 충전관리장치(20)로부터 수신된 추천금액을 토대로 결정되는 충전 제안금액 105/KW에 대한 정보를 충전관리장치(20)로 전송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관리장치(20)는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충전 제안금액을 종합하여 대기인원, 충전순위, 대기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하고, 단말기(10)는 이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충전관리장치(20)는 충전 제안금액을 기초로 충전소의 대기차량 6대, 순위 2순위, 대기시간 3분 예상 등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10)로부터 제공하고, 단말기(10)는 이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에 관한 것으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에 따라 충전의 순위를 결정하고, 순위에 따라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충전소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순위를 운전자의 제안금액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정하여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 기준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요청한 운전자에게 고품질의 전력을 공급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공급자는 부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순위를 부여 받은 운전자들은 대기시간에 비례하여 충전 금액을 할인 받을 수 있는 보상서비스를 통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단말기 11: 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통신부 20: 충전관리장치 21: 제어모듈
22: 저장모듈 23: 통신모듈 30: 통신망
100: 충전 관리 시스템

Claims (16)

  1. 다수의 단말기들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 및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충전대기소에 있는 다수의 전기자동차 운전자들의 단말기들로부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안금액을 확인하여 충전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다수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운전자들의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간정보를 확인하여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에 대한 충전 우선순위와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높은 제안금액을 제안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전기자동차로 고품질의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안금액에 따른 순위가 낮은 전기자동차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전기자동차로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 요금에 기 설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관리장치.
  6. 충전관리장치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추천금액 및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충전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안금액에 연관된 배터리의 충전 순위를 상기 충전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고, 해당되는 순위에 충전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상기 충전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추천금액을 상기 충전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추천금액을 기초로 상기 제안금액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충전 제안금액을 입력하는 화면, 충전 대기시간 및 충전 순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충전관리장치가 충전대기소에 있는 다수의 전기자동차 운전자들의 단말기들로부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관리장치가 상기 수신된 제안금액을 확인하여 충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관리장치가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관리장치가 상기 다수의 전기자동차 운전자들의 단말기들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관리장치가 상기 다수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운전자들의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관리장치가 상기 시간정보를 확인하여 충전을 위한 추천금액을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안금액은
    상기 다수의 전기자동차 운전자들이 각각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제안하는 시세에 따른 기준금액 보다 높거나 혹은 낮은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관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충전관리장치가 상기 충전 우선순위와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관리장치가 높은 제안금액을 제안한 운전자의 전기자동차를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관리장치가 상기 구분된 전기자동차로 고품질의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관리장치가 상기 제안금액에 따른 순위가 낮은 전기자동차를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관리장치가 상기 구분된 전기자동차로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 요금에 기 설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관리 방법.
  15. 단말기가 충전관리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안금액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입력된 제안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충전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안금액에 연관된 충전 순위를 상기 충전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고, 해당되는 순위에 충전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충전관리장치로 상기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대기 가능한 시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추천금액을 상기 충전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추천금액을 기초로 상기 제안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KR1020110112713A 2011-11-01 2011-11-01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30047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713A KR20130047901A (ko) 2011-11-01 2011-11-01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713A KR20130047901A (ko) 2011-11-01 2011-11-01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901A true KR20130047901A (ko) 2013-05-09

Family

ID=4865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713A KR20130047901A (ko) 2011-11-01 2011-11-01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790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312B1 (ko) * 2013-07-18 2014-10-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488674B1 (ko) * 2013-06-26 2015-02-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492734B1 (ko) * 2013-10-23 2015-02-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부가 서비스의 품질보장을 위한 우선순위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5118A (ko) * 2019-05-23 2020-12-0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317756B1 (ko) * 2021-04-27 2021-10-26 황민순 시퀀셜 전기차 충전시스템
KR102665877B1 (ko) * 2023-11-14 2024-05-14 주식회사 젠커스 전기차 충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674B1 (ko) * 2013-06-26 2015-02-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450312B1 (ko) * 2013-07-18 2014-10-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492734B1 (ko) * 2013-10-23 2015-02-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부가 서비스의 품질보장을 위한 우선순위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5118A (ko) * 2019-05-23 2020-12-0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317756B1 (ko) * 2021-04-27 2021-10-26 황민순 시퀀셜 전기차 충전시스템
KR102665877B1 (ko) * 2023-11-14 2024-05-14 주식회사 젠커스 전기차 충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Optimal pricing for ride-sourcing platforms
KR20130047901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EP3502889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loading application, storage medium, and terminal device
KR20130100822A (ko) 전기자동차의 컨텐츠 및 광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50266391A1 (en) Method of efficiently managing energy
US201901304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y of a targeted advertisement by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US201500179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predicted duration of a context
US202302864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parking space availability
CN103281666A (zh) 用于无线通信环境中的小窗口互通信的设备和方法
CN104040584A (zh) 基于预测的用户兴趣来选择内容格式
US10915929B1 (en) Detecting user interaction and delivering content using interaction metrics
JP6273033B2 (ja) ユーザの計画及び目標のコンテキスト理解に基づくリソースのプラットフォーム自己管理
JP7179088B2 (ja)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RU249851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эффектив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оператора в электронной сети
WO2021192470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10490703A (zh) 一种基于车辆情况的车辆推荐方法和装置
JP6726581B2 (ja) 管理装置
Masuch et al. A context-aware mobile accessible electric vehicle management system
US10713598B2 (en) Anticipating user dissatisfaction via machine learning
KR20120136967A (ko) 환율 개념을 적용한 게임 제공 방법,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140127948A (ko) 승하차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810024B1 (ko)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80211349A1 (en) Mobile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CN111988407B (zh) 一种内容推送方法和相关装置
US11720398B2 (en) Harvesting vehicle hardware accelerators and GPU computing capabilities when i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