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312B1 -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312B1
KR101450312B1 KR1020130084743A KR20130084743A KR101450312B1 KR 101450312 B1 KR101450312 B1 KR 101450312B1 KR 1020130084743 A KR1020130084743 A KR 1020130084743A KR 20130084743 A KR20130084743 A KR 20130084743A KR 101450312 B1 KR101450312 B1 KR 10145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devices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윤동
송유진
채수용
오세승
정학근
박석인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84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70Interactions with external data bases, e.g. traffic cent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4Energy consumption esti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충전 시스템은 복수의 충전 모듈에 전력소비장치가 연결되면 연결된 충전 모듈을 제어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모듈 제어부, 복수의 충전 모듈을 통해 전력소비장치들의 충전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충전 장치; 및 복수의 충전 장치로부터 시간대 별로 충전 조건 정보를 획득하고 변동이 있는 경우 이를 분석하여 충전 제어 정보를 갱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HARGING}
본 발명은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충전 장치의 복수의 충전 모듈을 통해 복수의 전력 소비장치가 충전하는 충전 방법, 충전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충전 기술은 주로 충전 효율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진보되어 왔다. 이러한 충전 기술에서 전력 공급원은 무한한 전력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으며, 충전 기술에서 중요한 것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력 수요처로 전력을 변환 처리할 때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최근 전력 자원을 사용하는 제품들이 증가하면서, 또한 전기 자동차와 같이 대용량의 전력 자원을 사용하는 제품들이 증가하면서 전력 공급원이 무한한 전력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솔린을 공급하는 주유소를 대체하여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소를 살펴 보면, 충전소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 자원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전력 자원의 한계는 충전소로 전력을 공급하는 계통 라인의 한계에서 비롯될 수도 있고, 계통을 관리하는 정책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충전소로 연결되어 있는 계통 라인의 한계 공급량에 따라 충전소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 자원의 한계가 정해질 수도 있고, 계통 라인을 관리하는 정책에서 일정 정도 이상의 전력 자원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을 둠에 따라 충전소에서의 전력 자원의 한계가 정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제한된 전력 자원 공급 조건 하에서 복수의 제품을 충전하는 방법으로 복수의 제품을 동시에 충전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충전하거나 복수의 제품으로 균등하게 전력 자원을 분배하여 각각의 제품을 충전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자는 모든 제품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 전력 자원의 비효율적 사용, 충전 능력이 제품의 전력 수용 한계로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후자는 더 시급하게 충전이 필요한 제품에는 비효율적이며 충전 능력이 제품의 전력 수용 한계로 제한되는 문제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전력 분배 방식은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전력소비장치의 충전 조건과 사용자의 요구 및 필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제한된 전력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복수의 제품을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분배함에 있어서 시간대 별로 변동하는 충전 조건 및 사용자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기존의 전력 분배에 관한 계획을 변동하여 운용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전력 자원을 이용하여 복수의 충전 장치의 복수의 충전 모듈을 제어하여 복수의 제품을 충전함에 있어서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충전 조건에 따라 전력 분배 계획을 변경하여 충전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충전 모듈에서 충전 중인 전력 소비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 조건이 변경되면 이에 따른 충전 우선순위 변경 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충전 제어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갱신된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에서 충전 중인 상기 전력 소비장치들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을 제공한다.
충전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조건 변경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력소비장치들 또는 상기 전력소비장치들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갱신된 충전 제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조건 변경에 대해 상기 전력소비장치 또는 상기 전력소비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한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된 충전 조건에 따라 상기 타 전력소비장치들의 상기 충전 제어 정보를 분석하고 변경하고자 하는 해당 전력소비장치 및 상기 해당 전력소비장치에 등록된 타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조건 변경에 따라 상기 충전 제어 정보가 갱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소비장치 및 상기 전력소비장치에 등록한 사용자 단말로 상기 충전 조건 변경을 요청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갱신된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소비장치들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조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에서 현재 충전 중인지 여부, 충전 중인 경우 급속 충전 여부, 충전 단가, 충전 모드, 충전 완료 예상 시각, 충전 중이지 않은 경우 고속 충전 또는 저속 충전시 소요되는 예상 충전 시간과 예상 가격, 충전 후 배터리 잔량, 충전 후 주행 거리 정보, 배터리 SOC(State of Charge), 충전 소요 시간, 연결 순서 정보, 전력 자원을 공급받는 계통의 전력 가격 정보, 상기 전력 가격에 연동하여 결정되는 충전 단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충전 모듈에 전력소비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충전 모듈을 제어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모듈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을 통해 상기 전력소비장치들의 충전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충전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로부터 시간대 별로 상기 충전 조건 정보를 획득하고 변동이 있는 경우 이를 분석하여 충전 제어 정보를 갱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 중인 복수의 전력소비장치의 충전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충전 조건 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충전 조건에 따라 충전 제어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조건 정보가 변경되어 상기 충전 제어 정보가 갱신된 경우 상기 충전 조건 정보의 변경을 상기 전력소비장치 및 상기 전력소비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소비장치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서버에서 복수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 중인 복수의 전력소비장치의 충전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충전 조건 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충전 조건에 따라 충전 제어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조건 정보가 변경되어 상기 충전 제어 정보가 갱신된 경우 상기 충전 조건 정보의 변경을 상기 충전 장치, 상기 전력소비장치 및 상기 전력소비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충전 제어 정보를 상기 충전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전력소비장치의 충전을 제어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 조건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요청된 충전 조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충전 조건의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분석하고, 상기 충전 제어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 상기 충전 조건이 변경되는 해당 전력소비장치 및 상기 해당 전력소비장치에 등록된 타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조건 정보 요청에 대해 상기 해당 전력소비장치 또는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허락의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요청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상기 충전 조건 변경을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소비장치들의 충전을 제어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방법을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한된 전력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복수의 제품을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분배함에 있어서 시간대 별로 변동하는 충전 조건에 따라 적응적으로 유연하게 전력 분배 계획을 수정하여 충전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충전 중에도 충전 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시간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자신의 요구와 필요에 맞게 전력을 분배받을 수 있어 전력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와 주변 장치들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와 주변 장치들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연결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다른 충전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또 다른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에 대한 다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에 대한 또 다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와 주변 장치들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충전 장치들(100 및 200)은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있다. 도 1은 일 예시로서 충전 장치들(100 및 200)이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장치(100 또는 200)는 계통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발전하는 디젤 발전기, 태양광 발전기, 풍력 발전기 등의 분산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배터리와 같이 에너지 저장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물론, 상기에서 나열한 발전기 등의 조합이 충전 장치(100 또는 20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이 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충전 장치(110)와 계통 사이에 연결된 굵은 실선은 전력의 경로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충전 장치(110)는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있다. 충전 장치(110)는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 이외에 전력 공급원으로서의 계통을 관리하는 서버인 계통 관리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통해 계통의 상태라든지 계통의 전력 가격과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계통의 상태 정보 혹은 계통의 전력 가격 정보 등과 같은 충전 조건 정보는 충전 장치(100 및 200)가 제한된 전력 자원에 대한 전력 자원 분배 계획을 구성하는데에 있어서 하나의 인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충전 장치(100)는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및 130)과, 그리고 충전 장치(200)은 복수의 충전 모듈(210, 220 및 230)과 전력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복수의 충전 장치로서 두 개의 충전 장치(100 및 200)을 예시하고 있으나 충전 장치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세 개 이상의 복수의 충전 장치가 가능하다. 또한 각 충전 장치에 대해 복수의 충전 모듈로서 세 개의 충전 모듈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 개 이상 또는 그 이하의 충전 모듈이 가능하다.
충전 장치(100 또는 200)는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다시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및 130, 또는 210, 220 및 230)로 전달한다. 도 1에서 충전 장치(100 또는 200)와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및 130, 또는 210, 220 및 230) 사이에 연결된 굵은 실선은 전력의 경로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충전 장치들(100 또는 200)과 연결된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및 130, 또는 210, 220 및 230)은 통신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충전 장치(100 또는 200)와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및 130, 또는 210, 220 및 230)에 연결된 점선은 충전 장치(100 또는 200)와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및 130, 또는 210, 220 및 230)이 각각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신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또한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에는 각각 전력을 공급받고자 하는 전력 소비 장치(10, 20, 30, 40, 50 및 60)들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과 전력 소비 장치(10, 20, 30, 40, 50 및 60) 사이에 연결된 굵은 실선은 전력의 경로를 의미한다. 전력 소비 장치(10, 20, 30, 40, 50 및 60)는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에 각각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데, 도 1은 전력 소비 장치(10, 20, 30, 40, 50 및 60)로서 전기 자동차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은 주유소(Gas Station)을 대체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일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소는 충전 장치들(100 및 200)을 구비하고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복수 개 설치되어 있는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로 전력을 전달한다. 전력 공급량 계측기가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은 각각의 충전 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 소비 장치(10, 20, 30, 40, 50 및 60)로 전력을 공급하여 각각의 전력 소비 장치(10, 20, 30, 40, 50 및 60)에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와 같은 저장 장치에 전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한편, 충전 장치(100 또는 200)은 전기 자동차 충전소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일 충전 장치(100 또는 200)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에 설치되고 타 충전 장치(200 또는 100)는 별도로 개별 가정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은 전력 소비 장치(10, 20, 30, 40, 50 및 60)로서 전기 자동차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에너지 저장 장치를 구비한 장치는 어떤 것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비 장치(10, 20, 30, 40, 50 및 60)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장치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비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와 주변 장치들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연결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의 차이는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이다.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은 도 1과 같이 자체적인 외관(커버 등)을 갖추고 독립된 장치로서 존재할 수도 있으며,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 각각은 도 2와 같이 충전 장치(100 또는 200)와 외관(커버 등)을 공유하면서, 충전 장치(100 또는 200)를 포함하는 바디(101 또는 201)의 부속 모듈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 각각은 각 충전 장치(100 또는 200)를 포함하는 각 바디(101 또는 201)의 부속 모듈로서 바디(101 또는 201)의 내부에 설치된 데이터 라인과 전력 라인을 통해 각 충전 장치(100 또는 200)와 전력을 주고 받고 또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 장치(100 또는 200)는 제한된 전력 자원을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로 분배하기 위해 우선 순위에 따라 전력 자원을 분해하는 제어부(160 및 260)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한된 전력 자원이 분배되도록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을 제어하는 충전 모듈 제어부(170 및 2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충전 장치(100 및 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와 각각 접속할 수 있고, 제어부(160 및 260)는 이러한 복수의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에 대한 시간대별 충전 우선 순위 정보에 따른 스케줄 정보에 따라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에 대한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충전 우선 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충전 조건 정보에는 충전 장치(100 및 200)가 접속한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들의 SOC(state-of-charge) 정보, 각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가 지불하는 충전 비용, 긴급 충전과 같은 충전 소요 시간에 대한 요구 조건 정보, 충전 모드 정보, 각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의 충전 예약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이러한 충전 조건들에 기초하여 충전 우선 순위 정보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현재 접속한 각각의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에 대한 충전 제어 정보를 설정하여 각각의 전력소비장치에 대한 충전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해당 전력소비장치 및 상기 해당 전력소비장치에 등록된 타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충전 조건 변경 허락의 응답이 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충전 조건 변경을 요청한 전력소비장치는 대기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전술한 충전 조건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어 충전 조건이 변경하도록 제어하기까지 충전 조건 변경을 요청한 전력 소비장치를 대기모드로 설정하여 타 전력소비장치에는 정상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시간대별 충전 우선 순위 정보에 따르면 시간 흐름에 따라 충전 장치(100 및 200)에 접속한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들의 충전 우선 순위 정보가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각각의 전력소비장치의 충전 조건에 따라 충전 우선 순위 정보를 변경하고 이에 따라 충전 제어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각각의 전력소비장치에 대한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100)와 접속한 제1 전력소비장치(10)와 제2 전력소비장치(20)에 대해 제1 시점에 제1 전력소비장치(10)의 SOC가 20%이고 제2 전력소비장치(20)의 SOC가 50%이었으나 시간이 흐른 후 제2 시점에 전력 수급 상황 등 여타 상황에 따라 제1 전력소비장치(10)의 SOC가 90%이고 제2 전력소비장치(20)의 SOC가 60%가 되었을 때, 제어부(160)는 제1 시점에서는 제1 전력소비장치(10)가 먼저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 제어 정보를 결정하였으나 충전 제어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2 시점에는 제2 전력소비장치(20)가 먼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충전 장치(100)와 접속한 제1 전력소비장치(10)가 제1 시점에서 SOC가 30%이고 긴급 충전, 높은 충전 비용에 따라 높은 충전 우선 순위로 충전되고 있었으나 제2 시점에서 제1 전력소비장치(10)는 SOC가 90%가 된 경우, 충전 장치(100)와 제2 시점에 접속한 제2 전력소비장치(20)의 SOC가 30%이고 긴급 충전을 요청하는 경우 충전 장치(100)는 제1 전력소비장치(10) 또는 그 사용자의 단말(70)에 충전 조건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력소비장치(10)의 충전 조건 변경이 허가되는 경우 충전 장치(100)는 충전 우선 순위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제1 전력소비장치(10) 및 제2 전력소비장치(20)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70)은 제1 전력소비장치(1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서 충전 장치(100)가 그 등록 정보를 입수한 경우라야 가능한 시나리오이다. 또한 제1전력 소비장치(70)가 사용자 입력 및 출력을 구비한 경우 사용자 단말(70)이 아닌 제1 전력소비장치(10)로 직접 충전 조건 변경을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각 제어부(160 및 260)는 충전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예를 들면 충전 모드를 비연속 충전 모드와 연속 충전 모드로 구분하고, 비연속 충전 모드에서는 충전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각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에 대하여 시간대별로 충전과 비충전을 교번하도록 제어하고, 연속 충전 모드에서는 충전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에 대한 시간대별 충전 전류량을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충전 장치(100 및 200)는 각각 통신부(150 및 2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충전 장치(100 및 200) 각 통신부(150 및 250)를 통해 상호 통신하여 각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과 각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의 충전 조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장치(100 및 200)는 각각 통신부(150 및 250)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사용자 단말(70 및 80)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50 및 250)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WiFi,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와 같은 무선 네크워크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폐쇄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 및 250)는 해당 전력소비장치에 등록된 타 사용자 단말로의 상기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은 이메일, 문자 및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통지 수단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조건 변경 요청 또는 충전 조건 요청에 대한 응답의 경우 이메일 형식 또는 문자 메시지 형식 또는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형식으로 해당 요청 및 응답이 송/수신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다른 충전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전 장치(100 및 200)는 각각 디스플레이(180 및 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 및 280)는 복수 개로 구현되어 각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에 대한 정보를 각각 표시할 수도 있고 충전 장치(100 및 200) 또는 바디(101 및 201)에 구현되어 각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에 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충전 장치(100 및 200)의 디스플레이는 내부 디스플레이(180 및 280)가 아닌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를 포함한다.
또한 충전 장치(100 및 200)는 통신부(150 및 250)를 통해 사용자 단말(70 및 80)로 각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70 및 80)은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70 및 80)은 전력소비장치(10, 20, 30, 40, 50 및 60) 에 고정 또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장비를 포함한다.
통신부(150 및 250)는 사용자 단말(70 및 80)과의 통신을 위해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WiFi,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와 같은 무선 네크워크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폐쇄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충전 우선 순위에 따라 충전 제어 정보를 설정하여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60 및 260)는 각각 충전 우선 순위를 설정하기 위해 각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의 충전 조건을 데이터 형태로 구성하고 이에 따라 설정된 충전 우선 순위 및 이에 따른 충전 제어 정보를 충전 모듈 제어부(170 및 270)가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충전 우선 순위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는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다가 충전 모듈 제어부(170 및 270)로 전달될 수도 있지만 제어부(160 및 260)에서 직접 충전 모듈 제어부(170 및 27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충전 모듈 제어부(170 및 270)는 획득한 충전 우선 순위에 따른 충전 제어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을 각각 제어한다. 충전 모듈 제어부(170 및 270)는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제어 라인을 통해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로 제어 명령에 관련한 신호를 송신하여 각각의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을 제어할 수도 있지만 각 충전 장치(100 및 200)와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다용도의 통신부(150, 250 및 미도시) 각각을 통해 제어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충전 장치(110)가 복수의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을 제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충전 모듈 제어부(170 및 270)는 전술한 충전 조건 변경을 요청한 전력소비장치를 제외한 상기 충전 조건이 변경된 해당 전력소비장치들의 충전단가, 충전속도, 마일리지 혜택 및 충전순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충전 모듈 제어부(170 및 270)는 충전 조건 변경을 요청한 전력 소비장치를 제외하고 충전 조건 변경에 따라 충전 우선순위가 늦춰지거나 충전 전력이 약해지는 등의 충전 조건이 변경된 해당 전력소비장치들에 대해서 충전단가, 충전속도, 마일리지 혜택 및 충전순서에 대한 혜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혜택이 돌아가도록 제어하여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허락한 사용자에게 보상이 돌아가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충전조건 변경요청에 대한 응답을 유도할 수 있고, 좀 더 효율적인 충전이 되도록 관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또 다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충전 장치(100 및 200)는 충전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서버(300)와 연결되어 통합 충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서버(300)는 예를 들면 계통을 관리하는 계통 관리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충전 시스템에서 서버(300)는 예를 들면 충전 장치(100 및 200)를 통해 전력소비장치(10, 20, 30, 40, 50 및 60) 및 사용자 단말(70 및 80)과 통신할 수 있다.
충전 시스템에서 서버(300)는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폐쇄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를 통해 각 충전 장치(100 및 200) 및 사용자 단말(70 및 80)과 무선으로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통신부(310)를 통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충전 장치(100 및 200)으로부터 시간대 별로 각 충전 모듈과 각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의 충전 조건, 또는 각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70 또는 80)의 등록 정보 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330)를 통해 이를 분석하여 충전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충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서버(300)는 시간대 별로 상술한 충전 모듈과 전력소비장치의 충전 조건 정보가 변경되어 이에 따른 충전 우선 순위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따라 충전 제어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각 충전 장치(100 및 200)로 전송하거나 전력소비장치(10, 20, 30, 40, 50 및 60) 또는 사용자 단말(70 및 80) 등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 또는 사용자 단말(70 및 80)과 통신하여 충전 조건의 변경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 유무에 따라 또는 충전 조건 변경이 미리 허가된 경우에는 요청 없이도 업데이트된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각 충전 장치(100 및 200)를 제어하여 전력 자원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후술하게 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 의해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서술하는 제어부는 충전 장치(100 및 200)의 제어부(160 및 260) 또는 서버(300)의 제어부(330)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 정보는 각 충전 장치(100 및 200)에서 수행하고 서버(300)는 충전 제어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사용자 단말(70 또는 80) 또는 서버(300)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각 충전 장치(100 및 200)가 각 충전 모듈(110, 120, 130, 140, 150 및 160)에 대한 정보 및 각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의 충전 조건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서버(300)의 제어부(330)가 제공된 정보에 따라 각 충전 장치(100 및 200)에서의 충전 우선 순위에 따른 충전 제어 정보를 설정 및 변경하고 설정된 충전 제어 정보에 대한 정보를 각 충전 장치(100 및 200) 또는 사용자 단말(70 및 80)에 제공하고, 또한 설정 또는 변경된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각 충전 장치(100 및 200)를 제어하여 각 충전 장치(100 및 200)가 그 각각의 충전 모듈(110, 120, 130, 140, 150 및 160)을 적절히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각 충전 장치(100 및 200)의 시간대 별로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과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의 충전 조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 이를 분석하여 충전 우선 순위에 따라 충전 제어 정보를 설정 및 변경하거나 충전 제어 정보의 변경을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설정 및 변경된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충전 장치(100 및 200)를 제어하도록 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설정된 충전 우선 순위에 따른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충전 장치(100 및 200)를 제어하여 각 충전 모듈을 통한 각 전력소비장치의 충전을 제어한다.
서버(300)가 충전 제어 중 특정 전력소비장치, 예를 들면 전력소비장치(20)로부터 충전 요청을 수신하면(S710), 해당 전력소비장치(20)가 연결된 충전 모듈(120) 및 충전 장치(100)를 통해 충전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포함한 모든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 및 전력소비장치(10, 30, 40, 50 및 60)의 충전 조건 정보를 분석한다(S720).
서버(300)는 충전 조건 분석에 따라 현재 시점의 충전 제어 정보를 변경해야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730), 충전 제어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하는 각 전력소비장치 및/또는 충전 장치로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전송한다(S740). 이때 해당하는 전력소비장치에 대해 등록한 사용자 단말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 단말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전송한 이후 이에 대한 긍정의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S750), 허락의 응답이 수신된 경우에는 충전 제어 정보를 갱신하고(S770) 갱신된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충전을 제어하도록 갱신된 충전 제어 정보를 충전 장치(100 및/또는 200)로 전송한다(S780).
한편 서버(300)는 충전 조건 변경 요청에 응답이 없거나 거부의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S750의 N), 충전 제어 정보를 갱신하지 않고 종전의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충전을 제어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충전 조건이 변경될 수 있음을 미리 사용자에게 고지한 경우나 정책적 필요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전력 분배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충전 조건 변경 요청 및 이에 대한 응답의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에 대한 다른 흐름도이다.
서버(300)는 설정된 충전 우선 순위에 따른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제한된 전력 자원을 제한된 전력 자원을 충전 장치(100 및 200)의 각 충전 모듈(110, 120, 130, 210, 220 및 230)로 분배하기 위해, 미리 설정되거나 요청에 의해 소정 시간 간격으로 충전 조건 정보를 충전 장치(100 및 200)으로부터 수신한다.
충전 조건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해당 충전 모듈에서 충전이 진행 중인지 여부, 충전 중인 경우 급속 충전 여부, 충전 단가, 충전 모드, 충전 완료 예상 시각 등의 해당 충전 모듈에서 충전하고 있는 전력소비장치에 대한 충전 정보, 즉 충전중인 전력 소비 장치들의 배터리 SOC(State of Charge), 충전 소요 시간, 연결 순서 정보, 전력 자원을 공급받는 계통의 전력 가격 정보, 상기 전력 가격에 연동하여 결정되는 충전 단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충전 조건 정보를 수신한 서버(300)의 제어부는 시간대 별로 수신된 충전 조건 정보에 변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10).
충전 조건 정보에 변동이 있는 경우 서버(300)의 제어부는 새로 수신된 충전 조건 정보를 분석하여 변경된 충전 조건 정보를 해당하는 충전 장치(100 및 200) 및/또는 해당하는 전력소비장치(10 내지 60) 및/또는 해당하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70 또는 80)로 전송하여(S830)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300)의 제어부는 변경된 충전 조건 정보에 따라 충전 제어 정보를 갱신하고(S840) 이어서 갱신된 충전 제어 정보를 각 충전 장치(100 및 200)으로 전송하여 각 충전 모듈에서의 전력소비장치의 충전을 제어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에 대한 또 다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예를 들면 충전 장치(100)에서 충전 중이던 사용자 단말(70)이 자신의 종전 충전 조건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충전 장치(100)를 통해서 또는 직접, 서버(300)로 충전 조건 정보를 요청하고(S910), 이에 따라 서버(300)에서 해당하는 충전 조건 정보를 전송하면(S920), 수신된 충전 조건 정보를 확인하고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전송한다(S930).
한편 사용자 단말(70)이 S930 단계에서 일방적으로 자신이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충전 조건 정보를 입력하여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70)이 충전 조건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S910 및 S92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70)로부터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수신한 서버(300)는 충전 조건 변경 요청에 따라 현재 충전 중인 타 전력소비장치의 충전 조건 중 요청된 충전 조건과 최대한 부합하는 조건을 찾아 해당하는 타 전력소비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80)에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94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80)로부터 충전 조건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80)의 응답이 충전 조건 변경을 허락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960), 충전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충전 조건이 변경됨을 사용자 단말(70 및 80)에 전송한다.
이때, 충전 조건 변경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70)에 대해서는 충전 조건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도 충전 조건 변경 여부에 대해 알려주고(S970), 충전 조건 변경을 요청받은 사용자 단말(80)에 대해서는 충전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에 한해 충전 조건 변경을 통지(S980)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조건 변경을 통지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허락의 응답이 있는 경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의 상기 전력소비장치를 선택하고, 충전조건 변경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 및 충전조건 변경을 허락한 타 사용자 단말로 충전 조건 변경을 통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허락의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허락의 응답을 한 복수의 타 사용자가 이용중인 전력소비장치의 충전시간, 충전 진행상태, 충전예상시간 및 충전 단가 등의 전력소비장치 관련 정보에 대해서 실험 등을 통해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력소비장치를 선택하여 충전 조건 변경을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은 충전 시간 및 충전 단가 등을 고려하여 최단 시간에 최대한 많은 차량이 충전을 완료할 수 있도록 실험 및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서 미리 설정된 기준 정보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이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 방식에 따라 각 단계의 수행 절차가 바뀌거나 둘 이상의 단계가 통합되거나 하나의 단계가 둘 이상의 단계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충전장치 300: 서버

Claims (23)

  1. 복수의 충전 모듈에서 충전 중인 전력소비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 조건이 변경되면 이에 따른 충전 우선순위 변경 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충전 제어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갱신된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에서 충전 중인 상기 전력소비장치들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되,
    충전 조건 변경에 대해 상기 전력소비장치 또는 상기 전력소비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한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된 충전 조건에 따라 상기 타 전력소비장치들의 상기 충전 제어 정보를 분석하고 변경하고자 하는 해당 전력소비장치 및 상기 해당 전력소비장치에 등록된 타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해당 전력소비장치 및 상기 해당 전력소비장치에 등록된 타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충전 조건 변경 허락의 응답이 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충전 조건 변경을 요청한 전력소비장치는 대기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조건 변경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력소비장치들 또는 상기 전력소비장치들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전력소비장치에 등록된 타 사용자 단말로의 상기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은 이메일, 문자 및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통지 수단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 제어부는 상기 충전 조건 변경을 요청한 전력소비장치를 제외한 상기 충전 조건이 변경된 해당 전력소비장치들의 충전단가, 충전속도, 마일리지 혜택 및 충전순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조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에서 현재 충전 중인지 여부, 충전 중인 경우 급속 충전 여부, 충전 단가, 충전 모드, 충전 완료 예상 시각, 충전 중이지 않은 경우 고속 충전 또는 저속 충전시 소요되는 예상 충전 시간과 예상 가격, 충전 후 배터리 잔량, 충전 후 주행 거리 정보, 배터리 SOC(State of Charge), 충전 소요 시간, 연결 순서 정보, 전력 자원을 공급받는 계통의 전력 가격 정보, 상기 전력 가격에 연동하여 결정되는 충전 단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 조건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요청된 충전 조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충전 조건의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분석하고, 상기 충전 조건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 상기 충전 조건이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당 전력소비장치 및 상기 해당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소비장치에 등록된 타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충전 조건 변경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조건 정보 요청에 대해 상기 해당 전력소비장치 또는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허락의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요청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상기 충전 조건 변경을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충전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소비장치들의 충전을 제어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조건 변경을 통지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허락의 응답이 있는 경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의 상기 전력소비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요청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상기 충전 조건 변경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
KR1020130084743A 2013-07-18 2013-07-18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450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743A KR101450312B1 (ko) 2013-07-18 2013-07-18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743A KR101450312B1 (ko) 2013-07-18 2013-07-18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312B1 true KR101450312B1 (ko) 2014-10-23

Family

ID=5199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743A KR101450312B1 (ko) 2013-07-18 2013-07-18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057A (ko) * 2016-11-04 2018-05-14 칩월드 주식회사 전기이륜차용 멀티 충전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81215A (ko) * 2017-01-06 2018-07-16 한국전력공사 다수의 전기자동차 전력 적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294A (ko) * 2009-07-07 2011-01-13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차등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254593A (ja) * 2010-05-31 2011-12-15 Toyota Motor Corp 充電装置
KR20130047901A (ko) * 2011-11-01 2013-05-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294A (ko) * 2009-07-07 2011-01-13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차등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254593A (ja) * 2010-05-31 2011-12-15 Toyota Motor Corp 充電装置
KR20130047901A (ko) * 2011-11-01 2013-05-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충전관리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057A (ko) * 2016-11-04 2018-05-14 칩월드 주식회사 전기이륜차용 멀티 충전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81215A (ko) * 2017-01-06 2018-07-16 한국전력공사 다수의 전기자동차 전력 적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KR101971951B1 (ko) 2017-01-06 2019-04-24 한국전력공사 다수의 전기자동차 전력 적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 et al. Balancing power demand through EV mobility in vehicle-to-grid mobile energy networks
US98316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9692259B2 (en) Power management and priority charging assignments
US9682633B2 (en) Charge control device, battery management device, charge control method, and record medium
Zhou et al. Randomized PHEV charging under distribution grid constraints
Dhungana et al. Peer-to-peer energy sharing in mobile networks: Applications, challenges, and open problems
US20160380440A1 (en) Electric charging power management
CN105610213A (zh) 电子设备及其电池充电/放电控制方法
KR20180108923A (ko) 무선 전력 분배 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6575876A (zh) 用于智能无线充电的系统和方法
CN105324902B (zh) 用于电子系统的自适应需求/响应能量管理的技术
CN103688435A (zh) 信息处理装置、方法、程序、记录介质和信息处理系统
US20150169907A1 (en) Electronic tag, system for wirelessly charging electronic tag,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electronic tag
Alsabbagh et al. Distributed charging management of electric vehicles considering different customer behaviors
Rezgui et al. A two-way communication scheme for vehicles charging control in the smart grid
JP2012210130A (ja) 蓄電装置、蓄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188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harging
EP3080739A1 (en) Platform self-management of resources based on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user plans and goals
KR101450312B1 (ko)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Sallabi et al. Online scheduling scheme for smart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JP6151164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US20170040798A1 (en) Controlling a Load and an Energy Source Based on Future Energy Level Determinations
Ancillotti et al. Experimental set-up of DC PEV charging station supported by open and interoperab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KR101348916B1 (ko)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101488674B1 (ko)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