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877A -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 - Google Patents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877A
KR20130047877A KR1020110112680A KR20110112680A KR20130047877A KR 20130047877 A KR20130047877 A KR 20130047877A KR 1020110112680 A KR1020110112680 A KR 1020110112680A KR 20110112680 A KR20110112680 A KR 20110112680A KR 20130047877 A KR20130047877 A KR 20130047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opening
closing
coupl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0647B1 (ko
Inventor
이욱진
Original Assignee
이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욱진 filed Critical 이욱진
Priority to KR102011011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6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20Safety or prote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후방에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핀브라켓; 상기 핀브라켓의 중공부에 배열되고, 유체의 소통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핀; 및 상기 개폐핀과 연결되어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는 핀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핀너트(14)는 구(spare)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핀의 유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핀브라켓의 장착부에 개폐핀이 연결된 핀너트를 삽입하여 연결하되, 개폐핀의 일단부에 연결된 핀너트는 구(spare)형태로 이루어져 개폐핀의 타단부에 구비된 개폐구의 유동을 허용함으로써 개폐구가 비정상적으로 결합되어 잠길 경우에도 개폐핀이 유동하여 개폐구의 위치를 자유로이 보정하게 됨으로써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COUPLING OF HOSE}
본 발명 종래의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는 유입공(오일구멍)이 핀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고, 개폐핀이 핀브라켓에 고정되어 있어, 개폐핀이 비정상적으로 결합되는 경우, 특히 커플링이 잠겼을 때 유체가 유실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핀브라켓의 장착부에 개폐핀이 연결된 핀너트를 삽입하여 연결하되, 개폐핀의 일단부에 연결된 핀너트는 구(spare)형태로 이루어져 개폐핀의 타단부에 구비된 개폐구의 유동을 허용함으로써 개폐구가 비정상적으로 결합되어 잠길 경우에도 개폐핀이 유동하여 개폐구의 위치를 자유로이 보정함으로써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의 커플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브라켓에 오일구멍이 일체로 형성되고, 핀이 핀브라켓에 나사구멍에 고정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커플링 비정상적으로 개폐되는 경우에 유체가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의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경우에는 유체의 이동에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커플링이 비정상적으로 닫히는 경우에는 핀이 이동슬리브에 치우쳐 닫히는 경우 유실부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핀이 핀브라켓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어 핀의 위치가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치우친 상태로 고정되어 유실부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플링 닫힌 경우 유체가 유실되지 않도록 핀브라켓과 핀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커플링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핀브라켓의 장착부에 개폐핀이 연결된 핀너트를 삽입하여 연결하되, 개폐핀의 일단부에 연결된 핀너트는 구(spare)형태로 이루어져 개폐핀의 타단부에 구비된 개폐구의 유동을 허용함으로써 개폐구가 비정상적으로 결합되어 잠길 경우에도 개폐핀이 유동하여 개폐구의 위치를 자유로이 보정하게 되어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핀너트의 외측면에는 핀브라켓의 장착부 내측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구비되고, 각 돌출부를 곡선 형태로 연결하는 곡선연결부를 형성하여 유입공을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핀브라켓, 개폐핀 및 핀너트가 상호간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개폐밸브의 청소, 부품의 교체, 수리 등과 같은 유지보수작업이 쉽고 용이하여 개폐밸브의 유지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후방에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핀브라켓; 상기 핀브라켓의 중공부에 배열되고, 유체의 소통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핀; 및 상기 개폐핀과 연결되어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는 핀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핀너트는 구(spare)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핀의 유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핀너트는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각 돌출부를 곡선 형태로 연결하여 유체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유입공을 형성하는 곡선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개폐핀의 후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너트에는 상기 나사산에 상응하는 대응나사산이 형성된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개폐핀의 전단부는 상기 핀브라켓과 연결되고,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이동슬리브의 전단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는 핀브라켓의 장착부에 개폐핀이 연결된 핀너트를 삽입하여 연결하되, 개폐핀의 일단부에 연결된 핀너트는 구(spare)형태로 이루어져 개폐핀의 타단부에 구비된 개폐구의 유동을 허용함으로써 개폐구가 비정상적으로 결합되어 잠길 경우에도 개폐핀이 유동하여 개폐구의 위치를 자유로이 보정하게 됨으로써 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핀너트의 외측면에는 핀브라켓의 장착부 내측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구비되고, 각 돌출부를 곡선 형태로 연결하는 곡선연결부를 형성하여 유입공을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핀브라켓, 개폐핀 및 핀너트가 상호간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개폐밸브의 청소, 부품의 교체, 수리 등과 같은 유지보수작업이 쉽고 용이하여 개폐밸브의 유지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확대도,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를 이용한 커플링소켓과 결합되는 커플링플러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를 이용한 호스 커플링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는 종래의 개폐밸브가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종래의 개폐밸브를 이용한 호스 커플링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커플링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특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소켓(10)이 구비된 쪽을 ‘후방 또는 후단’이라 하고, 커플링플러그(20)가 구비된 쪽을 ‘전방 또는 전단’이라 특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소켓(10)과, 커플링플러그(20)를 이루는 각 구성들은 핀과 가압지지부(25)를 제외하고 중공을 갖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 별도의 언급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는,
중공부(12b)와, 상기 중공부(12b)의 후방에 형성된 장착부(12c)를 포함하는 핀브라켓(12); 상기 핀브라켓(12)의 중공부(12b)에 배열되고, 유체의 소통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핀(13); 및 상기 개폐핀(13)과 연결되어 상기 장착부(12c)에 삽입되는 핀너트(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핀너트(14)는 구(spare)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핀의 유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핀너트(14)에는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12c)의 내측면과접촉되는 복수의 돌출부(14b)와, 상기 각 돌출부(14b)를 곡선 형태로 연결하여 유체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유입공(IH)을 형성하는 곡선연결부(1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개폐핀(13)의 후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너트(14)에는 상기 나사산에 상응하는 대응나사산이 형성된 핀홀(14a)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개폐핀(13)의 전단부는 상기 핀브라켓(12)과 연결되고, 상기 중공부(12b)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이동슬리브(17)의 전단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구(13a)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가 도입된 호스 커플링에 관한 실시례를 통하여 개폐밸브(V)의 기능과, 호스 커플링에서의 개폐밸브의 구조적인 특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가 도입된 호스 커플링은
유입호스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11)와, 상기 제1 연결부(11)에 내장되고, 개폐핀(13)이 연결되는 핀브라켓(12)과, 상기 핀브라켓(12)을 고정 지지하고, 전방부에 탄성볼(EB)이 구비된 고정부(15)와, 상기 고정부(15)의 내측에 배열되어 미끄럼이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15)의 내측에 배열되고, 상기 핀브라켓(12)의 외측면에 내접하여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지지부(16)와, 상기 지지부(16)의 전방부에 연결되고, 상기 핀브라켓(12)의 내측면에 내접하여 상기 개폐핀(13)을 감싸며,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이동슬리브(17)를 포함하는 커플링소켓(10); 배출호스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21)와, 상기 제2 연결부(21)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5)의 탄성볼(EB)이 착탈되는 수용홈(23a)을 갖는 결합부(23)와, 상기 제2 연결부(21)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23)에 내장되고, 상기 개폐핀(13)의 전단면에 접촉되어 탄성 지지하는 가압지지부(25)를 포함하는 커플링플러그(20); 및 상기 커플링소켓(10) 고정부(15)를 감싸고, 상기 고정부(15)의 탄성볼(EB)이 착탈되는 수납홈(31)을 갖는 착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가 도입된 호스 커플링에서, 상기 커플링소켓(10)은
유입호스가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고, 커플링플러그(20)에 연결된 배출호스로 유체를 배출 또는 배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커플링소켓(10)은 유입호스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11)와, 상기 제1 연결부(11)에 내장되고, 개폐핀(13)이 연결되는 핀브라켓(12)과, 상기 핀브라켓(12)을 고정 지지하고, 전방부에 탄성볼(EB)이 구비된 고정부(15)와, 상기 고정부(15)의 내측에 배열되고, 상기 핀브라켓(12)의 외측면에 내접하여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지지부(16)와, 상기 지지부(16)의 전방부에 연결되고, 상기 핀브라켓(12)의 내측면에 내접하여 상기 개폐핀(13)을 감싸며,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이동슬리브(1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커플링플러그(20)에 연결되는 암결합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우선 상기 제1 연결부(11)는 전방부 내측에는 상기 핀브라켓(12)의 후면부를 지지하기 위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핀브라켓(12)은 후방부 외측에는 단턱부(12a)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5)의 후단부가 상기 단턱부(12a)에 결합되어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11)에 핀브라켓(12)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핀브라켓(12)은 중공부(12b)가 형성되고, 상기 핀브라켓의 후단부 내측면에는 상기 핀너트(14)의 삽입을 위한 장착부(12c)가 형성되는데,
상기 핀브라켓(12)에 연결되는 개폐핀(13)의 후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핀너트(14)에 연결되고, 전단부는 이동슬리브(17)의 전단부를 열고 닫는 개폐구(13a)가 구비되어 커플링에 의한 유체의 공급 및 차단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핀너트(14)는 중심부에 상기 개폐핀(13)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대응나사산이 형성된 핀홀(14a)이 구비되어 상기 개폐핀(13)의 후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핀홀(14a)의 주변에는 외측부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4b)가 형성되되,
상기 각 돌출부(14b)의 외측면과, 상기 핀브라켓(12)의 장착부(12c) 내측면이 접촉되어 구형태로 이루어진 핀너트(14)가 동작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개폐핀(13)의 유동을 허용하게 된다.
이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플링이 비정상적으로 개폐되는 경우,
우선 커플링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유체의 유동에는 별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나,
커플링이 비정상적으로 닫히는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개폐핀(13)의 개폐구(13a)와 이동슬리브(17)에 유실부(DS)가 형성된다.
이는 종래의 커플링의 경우에는 개폐핀(13)이 핀브라켓(12)에 고정 결합되어 있어 개폐핀(13)의 유동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개폐핀(13)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닫히는 경우 발생하는 유실부(DS) 역시 고정된 유체의 유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폐핀(13)에 나합, 고정된 핀너트(14)를 구(spare)형태로 형성하여 커플링이 비정상적으로 닫혀 유실부(DS)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개폐핀(13)이 자유롭게 유동하여 위치를 스스로 보정하여 줌으로써 유실부(DS)를 막아 커플링이 비정상적으로 닫힌 경우에도 유체의 유실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핀너트(14)에는 상기 각 돌출부(14b)를 연결하는 곡선연결부(14c)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곡선연결부(14c)는 상기 각 돌출부(14b)를 곡선 형태로 연결하여 내측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중공부(12c)와 연통되는 유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핀너트(14)에 의하여 유입공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체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15)는 후방부가 상기 제1 연결부(11)에 나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15)의 전단면이 상기 핀브라켓(12)의 단턱부(12a)에 연결되어 핀브라켓(12)을 상기 제1 연결부(11)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5)의 후방부에는 수용홀(15a)과, 전방부에는 홈(15b)이 형성되어 각각, 탄성볼(EB)와 링 형태의 탄성스프링(ES)가 삽입 장착되되,
상기 수용홀(15a)은 탄성볼(EB)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볼(EB)이 걸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탄성볼(EB)이 상기 수용홀(15a)에서 승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16)의 후단부는 상기 고정부(15)의 내측면과 상기 핀브라켓(12)의 외측면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E)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이동슬리브(17)는 상기 지지부(16)의 전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16)와 이동슬리브(17) 사이에 탄성부재(E)가 구비되며,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E)의 후단부는 상기 핀브라켓(12)의 전단부와, 상기 탄성부재(E)의 전단부는 상기 이동슬리브(17)의 전방부에 맞닿아 상기 이동슬리브(17)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슬리브(17)는 상기 개폐핀(13)을 감싸되, 그 내측면과 상기 개폐핀(13)의 외측면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유로(SS)를 형성하게 되고,
또한 상기 이동슬리브(17)의 전단부는 상기 개폐핀(13)의 개폐구(13a)에 의하여 개폐됨으로써 커플링소켓(10)에 연결된 배출호스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또는 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가 도입된 호스 커플링에서, 상기 커플링플러그(20)는
상기 커플링소켓(10)의 이동슬리브(17)와 연결되어, 커플링이 개방되는 경우 배출호스로 유체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커플링플러그(20)는 배출호스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21)와,
상기 제2 연결부(21)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5)의 탄성볼(EB)이 착탈되는 수용홈(23a)을 갖는 결합부(23)와,
상기 제2 연결부(21)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23)에 내장되고, 상기 개폐핀(13)의 전단면에 접촉되어 탄성 지지하는 가압지지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커플링의 수결합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우선 상기 제2 연결부(21)는 후방부에는 결합부(23)가 연결되고,
아울러 상기 제2 연결부(21)의 후방부 중심부에는 가압지지부(25)가 연결되는 가이드부(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3)는 상기 고정부(15)와 상기 이동슬리브(17) 사이에 삽입되어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결합부(23)의 후방부에는 수용홈(23a)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홀(15a)에 장착된 탄성볼(EB)이 착탈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지지부(25)는 후단부가 상기 제2 연결부(21)의 가이드부(21b)에 삽입되어 미끄럼이동이 하게 되는데,
상기 가압지지부(25)의 중공에는 탄성부재(E)가 내장되어 상기 가압지지부(25)의 후단부가 상기 개폐핀(13)의 개폐구(13a) 전단면에 접촉되어 상기 개폐핀(13)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가 도입된 호스 커플링에서, 상기 작동부재(30)는
상기 커플링소켓(10)과 커플링플러그(20)의 동작을 상호 연관시켜 커플링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재(30)는 상기 커플링소켓(10)의 고정부(15)를 감싸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수용홀(15a)에 구비된 탄성볼(EB)이 착탈되는 수납홈(31)이 구비되며,
상기 수납홈(31)의 전방에는 가이드홈(33)이 형성되어 상기 홈(15b)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4는 커플링이 개방된 경우이고, 도 5는 커플링이 닫힌 경우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의 개폐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는 도 5와 같이 커플링 닫힌 상태에서 작동부재(30)를 전방으로, 그리고 상기 커플링소켓(10)을 후방으로 동시에 밀게 되면,
이때 상기 지지부(16)와 이동슬리브(17)는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개폐핀(13)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커플링 개방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5)의 후방에 배열된 탄성볼(EB)은 상기 작동부재(30)의 수납홈(31)에서 배출되고, 동시에 상기 결합부(23)의 수용홈(23a)에 장착되며,
또한 상기 고정부(15)의 전방에 위치하는 탄성볼(EB)은 상기 작동부재(30)의 가이드홈(33) 후단부에 걸려 상기 작동부재(30)의 동작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는 도 4와 같이 커플링이 개방된 상태에서 작동부재(30)를 후방으로, 그리고 상기 커플링소켓(10)을 전방으로 동시에 잡아당기게 되면,
이때 상기 지지부(16)는 이동슬리브(17)는 각 탄성부재(E)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핀(13)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이동슬리브(17)를 막아 커플링이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볼(EB)은 상기 작동부재(30)의 수납홈(31)에 이동, 장착되며,
또한 탄성스프링(ES)은 상기 작동부재(30)의 가이드홈(33) 전단부에 걸려 상기 작동부재(30)의 동작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미설명 도면 6은 종래의 핀브라켓(12)에 유입공이 일체로 형성되고, 핀브라켓(12-1)과 개폐핀(13)이 나사구멍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으로,
도 7은 종래의 커플링이 정상적으로 개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8은 종래의 커플링이 비정상적으로 개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종래의 커플링이 비정상적으로 닫힌 경우로서, 이러한 경우 개폐핀(13)은 핀브라켓(2)과 완전히 고정되어 유동하지 못하게 되어 비정상적으로 커플링이 닫히는 경우 유실부(DS)가 발생하여 유체가 유실되는 문제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에서 각 부개간의 연결부위에는 기밀성 보장을 위하여 패킹 또는 밀폐부재(40)가 구비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V : 개폐밸브
DS : 유실부 E : 탄성부재
EB : 탄성볼 ES : 탄성스프링
SS : 유로 IH : 유입공
10 : 커플링소켓 11 : 제1 연결부
11a : 걸림부 12 : 핀브라켓
12a : 단턱부 12b : 중공부
12c : 장착홈 13 : 개폐핀
13a : 개폐구 14 : 핀너트
14a : 핀홀 14b : 돌출부
14c : 곡선연결부 15 : 고정부
15a : 볼홀 15b : 볼홈
16 : 지지부 17 : 이동슬리브
20 : 커플링플러그 21 : 제2 연결부
21a : 가이드부 23 : 결합부
23a : 수용홈 25 : 가압지지부
30 : 작동부재 31 : 수납홈
33 : 가이드홈 40 : 밀폐부재

Claims (4)

  1. 중공부(12b)와,
    상기 중공부(12b)의 후방에 형성된 장착부(12c)를 포함하는 핀브라켓(12);
    상기 핀브라켓(12)의 중공부(12b)에 배열되고, 유체의 소통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핀(13); 및
    상기 개폐핀(13)과 연결되어 상기 장착부(12c)에 삽입되는 핀너트(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핀너트(14)는 구(spare)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핀의 유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너트(14)는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돌출부(14b)와,
    상기 각 돌출부(14b)를 곡선 형태로 연결하여 유체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유입공을 형성하는 곡선연결부(1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핀(13)의 후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너트(14)에는 상기 나사산에 상응하는 대응나사산이 형성된 핀홀(14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핀(13)의 전단부에는 상기 핀브라켓(12)과 연결되고,
    상기 중공부(12b)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이동슬리브(17)의 전단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구(13a)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


KR1020110112680A 2011-11-01 2011-11-01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 KR10132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680A KR101320647B1 (ko) 2011-11-01 2011-11-01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680A KR101320647B1 (ko) 2011-11-01 2011-11-01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877A true KR20130047877A (ko) 2013-05-09
KR101320647B1 KR101320647B1 (ko) 2013-10-22

Family

ID=4865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680A KR101320647B1 (ko) 2011-11-01 2011-11-01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6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8028A (en) 1981-04-13 1983-03-29 Swagelok Company Quick connect coupling
US5709243A (en) * 1995-11-20 1998-01-20 Aeroquip Corporation Low spill female coupling
JP3512718B2 (ja) 2000-08-10 2004-03-31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647B1 (ko)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997B2 (en) Fluid coupling
US20090224534A1 (en) Safety type quick connector
TWI642871B (zh) 雌型接頭構件、雄型接頭構件、以及由此等構件所成的管接頭
KR102665128B1 (ko) 수형 또는 암형 퀵 커플링 요소 및 그 요소를 포함하는 퀵 커플링
KR101164159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US10520123B2 (en) Hollow body coupling device
CN104685284A (zh) 具有安全功能的阴型接头
KR20110120191A (ko) 유체 커플링
CN102729958B (zh) 车辆用灯具的清洗装置以及喷嘴罩
KR101964019B1 (ko) 원터치식 연결니플 구조를 갖춘 샤워기 헤드
JP2018105502A (ja) 相補的なオス型エレメントと連結されることとなるメス型カップリング・エレメント、及び、そのようなメス型エレメントを含むカップリング
KR200459858Y1 (ko) 유체 이송용 커플러
JP4481446B2 (ja) 複数流路を有するコネクタ
KR101320647B1 (ko) 유체의 유실방지를 위한 호스 커플링용 개폐밸브
JP4500416B2 (ja) 連結装置
KR20110035042A (ko)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KR20030028702A (ko) 커플러
KR20170119382A (ko) 호스용 밸브 조립체
JP2015086885A (ja) 管継手
CN104776235B (zh) 截止阀及具有其的空调器
JP2023546542A (ja) 半導体製造工程のガス類供給設備に適用されるカプラー
JP4841312B2 (ja) カップラー
KR101979485B1 (ko) 연료 이송 장치
JP2001304478A (ja) 継 手
KR200399786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