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398A -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398A
KR20130047398A KR1020110112393A KR20110112393A KR20130047398A KR 20130047398 A KR20130047398 A KR 20130047398A KR 1020110112393 A KR1020110112393 A KR 1020110112393A KR 20110112393 A KR20110112393 A KR 20110112393A KR 20130047398 A KR20130047398 A KR 2013004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water
building
planted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678B1 (ko
Inventor
이현정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6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흡수체, 수분흡수체에 이면이 접촉하도록 적층되어 수분흡수체에 저장된 수분을 표면 측으로 공급하는 이끼식물 식재용 식생매트, 식생매트에 포설되어 식생매트에서 식재되는 이끼식물의 탈락을 방지하는 고정네트로 구성된 식생블록 및 이 같은 식생블록을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Moss Vegetation Block and Structure Green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끼식물을 생육하기 위한 식생블록 및 이러한 식생블록을 이용하여 건축물(예를 들어, 건물의 벽면이나 바닥이나 옥상이나 지붕, 담장,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등)을 덮어 푸르게 하는 녹화(綠化)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를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농업이 발전하여 숲이 파괴되면서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등)가 증가됨으로써 지구온난화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무공해(청정)에너지 도입, 에너지 소비효율 향상, 에너지 소비량 자체의 절약 등이 있고, 도심의 녹화(綠化) 또한 매우 효과적인 조치로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도심 녹화방식에는 건물에 대한 벽면녹화, 옥상녹화 등이 있다. 녹화의 주체가 되는 식물로는 여러 가지가 검토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이끼식물은 관리가 용이한 데다, 단위면적당 설치비용이 저렴한 편이기 때문에, 전도유망한 식물로서 주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끼식물은 비교적 습윤(濕潤)한 환경에서 원활히 생장한다. 이전까지의 녹화 시스템을 보면, 녹화의 주체가 되는 식물에의 수분공급을 단지 우수에 의존하거나 수동식으로 이루었다.
본 발명은 이끼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 공급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는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분을 흡수, 저장하는 수분흡수체와; 표면에 이끼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수분흡수체의 한쪽 면에 이면이 접촉하도록 적층되어 상기 수분흡수체에 흡수, 저장된 수분을 표면 측으로 공급하는 식생매트와; 상기 식생매트에 식재되는 이끼식물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식생매트의 표면에 포설된 고정네트를 포함하는 이끼식물용 식생블록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식생매트는 부직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에 가로,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며, 이끼식물이 식재되는 복수의 식생블록과; 상기 식생블록에 식재되는 이끼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을 제공하기 위한 관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식생블록은 상기 관수장치로부터 물을 제공받아 흡수, 저장하는 수분흡수체와; 표면에 이끼식물이 식재되며, 상기 수분흡수체의 한쪽 면에 이면이 접촉하도록 적층되어 상기 수분흡수체에 흡수, 저장된 수분을 표면 측으로 공급하는 식생매트를 포함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식생매트는 부직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녹화 시스템은 상기 식생매트에 식재되는 이끼식물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식생매트들의 표면에 포설된 고정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녹화 시스템은 상기 건축물과 식생블록들 사이에 개재하도록 상기 식생블록들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된 단열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열재는 상기 식생블록들이 삽입되는 홈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녹화 시스템은 상기 건축물과 식생블록들 사이에 개재하도록 상기 식생블록들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멍을 가지는 배수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수분흡수체는 한쪽 면이 상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웃한 식생블록들 간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생매트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수분흡수체의 한쪽 면에는 토양이 충전되는 포트가 상기 관통구멍과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포트에 토양을 필요로 하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상기 관수장치는 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분출구가 마련된 물 분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물 분출관은 상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웃한 수분흡수체들 사이에 개재되거나 상기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웃한 수분흡수체들에 관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에 대한 녹화의 주체가 되는 이끼식물의 효율적 생육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녹화 시스템이 도시된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녹화 시스템의 예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녹화 시스템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녹화 시스템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녹화 시스템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녹화 시스템이 도시된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는 건물의 벽면, 옥상 등 건축물의 경사면, 수직면, 수평면 등에 적용하여 건축물에 대한 녹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나, 여기에서는 건물 벽면에 적용된 것만을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는 대략 직육면체의 구조를 가지며 건물 벽면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식생블록(도면부호 30, 40 참조)을 포함한다. 식생블록들에는 이끼식물이 식재된다. 식재되는 이끼식물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일 종류의 이끼식물만을 식재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이끼식물을 적절히 조합하여 식재할 수도 있다. 일례로, 볕이 잘 드는 양지에서의 생장이 보다 원활한 종과 그늘진 음지에서의 생장이 보다 원활한 종의 이끼식물을 함께 식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식생블록에 의한 녹화대상인 건물 벽면에는 방수시트(10)가 부착되고, 이 방수시트(10) 상에는 단열재(20)가 시공된다. 단열재(20)는 방수시트(10)에 밀착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또는, 단열재(20)는 방수시트(10)와의 사이에 단열공간(단열을 위한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마운팅유닛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식생블록은 수분을 흡수, 저장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수분흡수체(30) 및 표면에 이끼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매트(40)를 포함한다. 식생매트(40)는 수분흡수체(30)의 앞뒤 양쪽 중 한쪽 면에 이면이 밀착하도록 적층됨으로써 수분흡수체(30)로부터 흡수, 저장된 수분을 제공받는다. 즉, 수분흡수체(30)에 저장된 수분이 식생매트(40)를 통하여서 식생매트(40)에 식재되는 이끼식물 측으로 계속적으로 공급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식생매트(40)는 2 ~ 10㎜의 부직포로 구성된다. 이 같은 구성의 식생매트(40)에 의하면, 수분흡수체(30)에 흡수, 저장된 수분은 부직포의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식생매트(40)의 표면 측으로 공급된다.
수분흡수체(30)는 수분에 대한 흡수성 및 흡수된 수분에 대한 보관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게다가, 식생매트(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수준의 강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더욱 좋다. 이 때, 요구되는 수준의 강성을 재질에 의하여 충족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보강재를 이용하는 등 구조적인 변경을 통하여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분흡수체(30)는 단열재(20)에 양쪽 중 다른 쪽 면이 적층된다.
식생매트(40)들의 표면에는 식생매트(40)에서 식재되는 이끼식물이 의도하지 않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네트(80)가 포설된다. 이러한 고정네트(80)는 개구율이 70 ~ 98%이고 눈(그물코)의 크기가 3 ~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는 필요 시 수분흡수체(30)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장치(도면부호 50, 55 참조)를 더 포함하여, 수분흡수체(30)들은 관수장치로부터 물을 제공받아 흡수, 저장한다. 관수장치는 둘레의 한쪽에 복수의 분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련된 물 분출관(50)을 포함한다. 물 분출관(50)은 세로방향으로 이웃한 수분흡수체(30)들 사이에 적어도 한 개씩 위치하도록 가로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가로방향 한 열의 수분흡수체(30)와 그 상측이나 하측의 이웃한 가로방향 다른 열의 수분흡수체(30)들 사이에 물 분출관(50)을 적어도 하나씩 개재시킨 것이다. 물 분출관(50)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분흡수체(30)들의 상단이나 하단에는 물 분출관(50)을 수용하는 홈이 가로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물 분출관(50)을 수용하기 위한 홈 대신, 물 분출관(50)이 삽입되는 구멍을 가로방향으로 마련하여 물 분출관(50)이 수분흡수체(30)들을 관통하게 할 수 있다.
물 분출관(50)의 분출구를 통하여 분출되는 물은 중력의 영향력으로 물 분출관(50)의 하측에 위치한 수분흡수체(30)들에 공급되므로, 가장 상측에 위치한 수분흡수체(30)에는 물 분출관(50)으로부터의 물이 원할하게 공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관수장치는 최상측 가로방향 열의 수분흡수체(30) 상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보조 물 분출관(55)을 더 포함한다. 최상측 가로방향 열의 식생블록 상측에는 보조 물 분출관(55)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60)가 씌워진다.
살펴본 바와 같은 제1 실시예는 그 수분흡수체(30)와 식생매트(40)가 식생블록으로 모듈화되어 있기 때문에, 녹화대상에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 관수장치로부터의 물 또는 우수가 수분흡수체(30)에 저장되기 때문에, 계속적인 별도의 물 공급 없이 식생매트(40)에 식재되는 이끼식물에 수분을 적절히 공급할 수 있다.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녹화 시스템의 예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식생매트(40)에 식재되는 이끼식물에 그늘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부분의 구조를 변경한 점만이 상이하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식생매트(40)가 적층되는 수분흡수체(30A)들의 한쪽 면은 세로방향으로 이웃한 수분흡수체(30A)들 간에 세로방향으로 이웃한 수분흡수체(30A)들의 두께 변화로 인하여 단차(B-1,B-2)가 형성되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도 3과 같이, 이 경사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수분흡수체(30A)들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사구조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식생블록 측에 단차(B-1)에 의하여 적절한 그늘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도 4와 같이, 경사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수분흡수체(30A)들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경사면에서 상대적으로 하부 쪽에 경사구조에 의하여 적절한 그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차(B-1,B-2)의 형성은 세로방향으로 이웃한 수분흡수체(30A)들 간이 아닌, 가로방향으로 이웃한 수분흡수체(30A)들 간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는 비교적 그늘진 환경에서 보다 원활히 생장하는 종의 이끼식물에 대한 효율적 생육을 보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녹화 시스템이 도시된 측단면도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식생블록에 토양을 필요로 하는 식물을 이끼식물과 함께 식재할 수 있게 한 점만이 다르다. 이를 위하여, 식생매트(40)가 적층되는 수분흡수체(30B)들의 한쪽 면에는 토양이 충전되는 포트(pot)(32)가 적어도 한 개씩 마련되고, 이끼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매트(40)에는 포트(32)와 각각 대향하는 관통구멍(42)이 마련된다. 포트(32)는 홈의 구조를 가진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포트(32)에는 관통구멍(42)을 통하여 넝쿨식물을 비롯하여 토양을 필요로 하는 다른 종의 식물을 심을 수 있다. 넝쿨식물을 심으면 식생매트(40)에 식재되는 이끼식물을 넝쿨식물로 덮을 수 있어 이끼식물에 적절한 그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가 아닌, 제2 실시예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녹화 시스템이 도시된 측단면도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단열재(20A)에 수분흡수체(30)들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 점 등만이 상이하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열재(20A)는 수분흡수체(30)들이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의 열 단위로 삽입되는 홈(22)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수분흡수체(30)들은 단열재(20A)의 홈(22)에 삽입, 수용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모듈화된 식생블록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도 6의 도면부호 50A는 관수장치의 물 분출관이다. 단열재(20A) 홈(22)에 수분흡수체(30)가 수용되는 구조에 따라, 물 분출관(50A)은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이웃한 수분흡수체(30) 사이에 위치하도록 단열재(20A)에 관통된 본관 및 이 본관의 둘레 양쪽에서 이웃한 수분흡수체(30) 측으로 각각 분기되어 수분흡수체(30)에 물을 분출하는 복수의 지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가 아닌, 제2 또는 제3 실시예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녹화 시스템이 도시된 측단면도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단열재(도 1의 도면부호 20 참조) 대신에, 배수블록(70)을 적용한 점만이 상이하다.
방수시트(10) 상에는 배수블록(70)이 시공된다. 이 배수블록(70)은 방수시트(10)에 밀착하도록 적층될 수도 있고, 마운팅유닛에 의하여 방수시트(10)로부터 일정한 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배수블록(70)에는 수분흡수체(30)들이 적층된다. 배수블록(70)은 관수장치의 물 분출관(5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우수의 일부가 수분흡수체(30)에 흡수, 저장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구멍(72)을 적어도 하나 가진다. 즉, 수분흡수체(30)에 과도하게 많은 양이 수분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수블록(70)은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5 실시예는 건축물의 경사면이나 수직면보다는 수평면에 적용하면 배수블록(70)이 수분흡수체(30)들의 하측에 위치되므로 수분흡수체(30)들에 과도하게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되지 않도록 수분흡수체(30)들에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가 아닌, 제2 또는 제4 실시예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 방수시트 20, 20A : 단열재
22 : 홈 30, 30A, 30B : 수분흡수체
32 : 포트 40 : 식생매트
42 : 관통구멍 50, 50A : 물 분출관
55 : 보조 물 분출관 60 : 커버
70 : 배수블록 80 : 고정네트
B-1, B-2 : 단차

Claims (8)

  1. 수분을 흡수, 저장하는 수분흡수체와;
    표면에 이끼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수분흡수체의 한쪽 면에 이면이 접촉하도록 적층되어 상기 수분흡수체에 흡수, 저장된 수분을 표면 측으로 공급하는 식생매트와;
    상기 식생매트에 식재되는 이끼식물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식생매트의 표면에 포설된 고정네트를 포함하는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2. 건축물에 가로,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며, 이끼식물이 식재되는 복수의 식생블록과; 상기 식생블록에 식재되는 이끼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을 제공하기 위한 관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식생블록은, 상기 관수장치로부터 물을 제공받아 흡수, 저장하는 수분흡수체와; 표면에 이끼식물이 식재되며, 상기 수분흡수체의 한쪽 면에 이면이 접촉하도록 적층되어 상기 수분흡수체에 흡수, 저장된 수분을 표면 측으로 공급하는 식생매트를 포함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과 식생블록들 사이에 개재하도록 상기 식생블록들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된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식생블록들이 삽입되는 홈을 가지도록 구성된 건축물 녹화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과 식생블록들 사이에 개재하도록 상기 식생블록들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멍을 가지는 배수블록을 더 포함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분흡수체는 한쪽 면이 상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웃한 식생블록들 간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건축물 녹화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수분흡수체의 한쪽 면에는 토양이 충전되는 포트가 상기 관통구멍과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포트에 토양을 필요로 하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수장치는 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분출구가 마련된 물 분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물 분출관은 상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웃한 수분흡수체들 사이에 개재되거나 상기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웃한 수분흡수체들에 관통된 건축물 녹화 시스템.
KR1020110112393A 2011-10-31 2011-10-31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KR101304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393A KR101304678B1 (ko) 2011-10-31 2011-10-31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393A KR101304678B1 (ko) 2011-10-31 2011-10-31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398A true KR20130047398A (ko) 2013-05-08
KR101304678B1 KR101304678B1 (ko) 2013-09-06

Family

ID=4865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393A KR101304678B1 (ko) 2011-10-31 2011-10-31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6206B6 (cs) * 2015-02-18 2016-09-29 Liko-S, A. S. Pokryv fasády budov zeleným poro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992B1 (ko) 2018-11-07 2020-10-20 한국토지주택공사 식생패널 및 식생장치
KR102446089B1 (ko) 2022-04-29 2022-09-22 정정만 미세먼지 저감 및 대기정화를 위한 수직형 탄화코르크 이끼패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수직형탄화코르크 이끼패널
KR20240059050A (ko) 2022-10-27 2024-05-07 주식회사 마노 벽체에 설치되는 식생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771Y1 (ko) * 2005-07-13 2005-10-18 강태호 식생매트를 이용한 수직 인공구조물 전면 녹화장치
KR200402616Y1 (ko) * 2005-09-05 2005-12-02 한수그린텍 주식회사 벽면녹화 시공구조
KR100858993B1 (ko) 2007-04-27 2008-09-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KR101123878B1 (ko) * 2008-09-12 2012-03-15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6206B6 (cs) * 2015-02-18 2016-09-29 Liko-S, A. S. Pokryv fasády budov zeleným poro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678B1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89497A (ja) 緑化装置
DK2904895T3 (en) Vertical planting system
KR101299905B1 (ko) 수직 벽면 녹화장치
CN108360761B (zh) 一种雨水利用和减载节水控根的屋顶种植方法
KR101304678B1 (ko)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EP3011826A1 (en) A green wall and rainwater drainage module and assembly, and a method of draining rainwater
KR101315287B1 (ko)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JP2006304760A (ja) 雨水貯溜層の貯溜水を毛管現象で基盤層が吸水し緑化基盤、放熱基盤とする軽質炭酸カルシウムを主要基盤材に使用した建築物屋上,壁面のヒートアイランド現象軽減工法
JP2006129846A (ja) 壁面緑化設備の植栽ブロック受け皿
CN106550794B (zh) 一体化托架容器苗根灌植物墙
JP2000262150A (ja) 緑化用コンテナ
JP4226708B2 (ja) 壁面等の緑化用コンテナ
KR101238336B1 (ko) 녹화조성구조물
JP3847723B2 (ja) 緑化設備
KR101142352B1 (ko)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8067607A (ja) 屋根緑化用樹脂トレイおよび屋根緑化構造
KR100624746B1 (ko) 공동주택 옥상에 설치되는 녹화시설물 구조
KR101304784B1 (ko) 실내녹화 시스템
KR20050105020A (ko)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JP4604148B2 (ja) 壁面緑化設備の灌水装置
JP4657683B2 (ja) 壁面緑化設備
JP6218460B2 (ja) 植栽基盤
KR101691459B1 (ko)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JP2009022245A (ja) 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及びその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を用いた屋上緑化の施工システム
JP7369076B2 (ja) 植栽基盤及び緑化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