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341A -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341A
KR20130047341A KR1020110112303A KR20110112303A KR20130047341A KR 20130047341 A KR20130047341 A KR 20130047341A KR 1020110112303 A KR1020110112303 A KR 1020110112303A KR 20110112303 A KR20110112303 A KR 20110112303A KR 20130047341 A KR20130047341 A KR 20130047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cceleration
wheel
rotation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주
현해승
강순석
송종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2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7341A/ko
Priority to EP12151299.0A priority patent/EP2586633A1/en
Publication of KR2013004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15Automatically identifying wheel mounted units, e.g. after replacement or exchange of wheels
    • B60C23/0416Automatically identifying wheel mounted units, e.g. after replacement or exchange of wheels allocating a corresponding wheel position on vehicle, e.g. front/left or rear/r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8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omprising additional sensors in the wheel or tyre mounted monitoring device, e.g. movement sensors, microphones or earth magnetic field sensors
    • B60C23/0488Movement sensor, e.g. for sensing angular speed, acceleration or centripetal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는 타이어를 가진 복수의 차륜에 각각 구비되고, 각 차륜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송신기; 및 차체에 구비되고,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각 차륜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해당 차륜의 좌우를 식별하며, 상기 각 차륜의 회전 주기에 따라 해당 차륜의 전후를 식별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며, ID 정보 및 ID 정보 업데이트의 필요 없이 각 타이어의 위치 식별이 가능하므로 타이어 교환이나 교체에 의한 타이어 위치 변경 자유도가 향상되고, 가속도 센서의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처리함으로써 노이즈에 강하고 부하가 적으므로 신속하게 각 타이어의 위치 검출이 가능하며 정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신호선을 설치할 필요 없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TIRE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동 및 구동시에는 토오크를 전달하며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등을 감쇠하는 것으로 휠(wheel)과 타이어(tire)가 있다.
상기 타이어는 휠에 끼워져 일체로 회전하면서 노면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제동, 구동 및 선회시에는 노면과의 미끄럼을 적절히 방지시켜 주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타이어의 공기압은 외부의 변화 및 주행상태에 따라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타이어는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외부에서 적절히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타이어 내부와 연통되면서 타이어 외부로 돌출된 공기주입밸브가 설치되고, 타이어 내부에는 타이어의 현재 공기압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타이어 상태 측정 모듈(Tire Pressure Measure System; 이하 ' TPMS'라 칭함)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TPMS는 우선 차량의 각 타이어의 위치를 파악하고, 각 타이어들에 부착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회전력이나 공기압, 온도 등을 체크하여 타이어의 안정상태를 파악한다.
따라서, 상기 TPMS의 구동을 위해서는 각 타이어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구별해주는 오토 로케이션(Auto Location) 기능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타이어의 압력이 정상 수준에서 벗어났을 때 어느 위치의 타이어에서 정상 압력을 벗어났는지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함이다.
이러한 오토 로케이션 기능을 TPMS에 탑재하기 위해 많은 방법들이 도출되었다.
예를 들면, 종래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은 각 타이어에 부착된 TPMS에 압력 센서 등의 센서가 갖춰진 송신기가 직접 장착된다.
그리고, 각각의 송신기가 압력 신호와 함께 위치 식별을 나타내는 식별 신호(이하 'ID 신호'라 칭함)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차량의 본체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수신기가 장착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각각의 송신기로부터 ID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는 상기 수신기 내부에 등록된 기준 ID 신호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각각의 기준 ID 신호는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의 ID 신호와 일치하고 송신기의 위치와 관련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신기는 수신된 ID 신호와 내부에 등록된 기준 ID 신호를 비교하도록 작동할 수 있고, ID 신호가 기준 ID 신호와 일치하면 ID 신호를 송신한 송신기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는 차량(즉, 대응하는 송신기가 장착되는 휠)의 대응하는 송신기의 위치와 ID 신호를 연계시키는 것을 통해 수신기 내에 기준 ID 신호로써 대응하는 송신기에 맞는 ID 신호를 미리 등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타이어 교환이나 타이어 위치 변경이 수행되면, 수신기 내의 기준 ID 신호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위치 식별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LF 트랜스미터를 각각의 타이어 근처에 설치하여 LF 트랜스미터에서 선택적으로 특정한 TPMS로 송신되는 신호와 이에 TPMS의 센서 모듈이 반응하여 센서 모듈에서 송신되는 RF 신호를 분석하여 타이어의 위치를 판별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타이어 근처까지 신호선을 연결하고 LF 트랜스미터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시스템 설치 비용이 고가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각각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RF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수신부가 검출된 각 송신기의 RF 신호 세기에 따라 타이어의 위치(예컨대, 전륜과 후륜의 위치 검출)를 식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RF 신호의 세기에 따른 타이어 위치 식별은 주변 RF 신호에 의한 간섭 등으로 인해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저가이면서 별도의 ID 정보의 필요 없이 빠르고 정밀한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차륜의 좌우를 식별하고 각 차륜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차륜의 전후를 식별하는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는, 타이어를 가진 복수의 차륜에 각각 구비되고, 각 차륜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송신기; 및 차체에 구비되고,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각 차륜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해당 차륜의 좌우를 식별하며, 상기 각 차륜의 회전 주기에 따라 해당 차륜의 전후를 식별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송신기는, 상기 해당 차륜의 제1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제1 가속도 검출부; 상기 제1 가속도 신호와 90° 위상차를 갖는 상기 해당 차륜의 제2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제2 가속도 검출부; 상기 제1 및 제2 가속도 검출부로부터 구형파로 출력된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두 신호 간 위상차를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고, 두 신호의 위상 변화시마다 출력되는 틱(Tick)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쿼드러처 디코더; 기준 클록 신호로 동작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속도 검출부로부터 구형파로 출력된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두 신호의 위상 변화시마다 출력되는 매 틱(tick)마다 상기 기준 클록 신호의 클록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매 틱의 주기를 측정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는 타이머; 및 상기 쿼드러처 디코더로부터 검출된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과 상기 타이머로부터 검출된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는 송신 제어부(M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속도 검출부는, 제1 위상을 가지고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가속도 센서; 상기 제1 가속도 신호를 소신호 증폭하는 제1 소신호 증폭기; 상기 소신호 증폭된 제1 가속도 신호의 저주파 대역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상기 필터링된 제1 가속도 신호를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시키는 제1 버퍼 증폭기; 및 상기 제1 버퍼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제1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제1 슈미트 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속도 검출부는, 제1 위상과 90° 위상차를 가지고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2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가속도 센서; 상기 제2 가속도 신호를 소신호 증폭하는 제2 소신호 증폭기; 상기 소신호 증폭된 제2 가속도 신호의 저주파 대역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 상기 필터링된 제2 가속도 신호를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시키는 제2 버퍼 증폭기; 및 상기 제2 버퍼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제2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제2 슈미트 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각각 전송된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주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여 좌우를 판단하여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전후를 판단하여 위치를 식별하는 수신 제어부(E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 제어부(ECU)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해당 차륜의 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위치 검출 방법은 (A) 복수의 차륜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송신기가 해당 차륜의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로부터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수신기가 수신한 상기 신호로부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좌우를 판단하여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기가 수신한 상기 신호로부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전후를 판단하여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각 송신기가 해당 차륜의 제1 및 제2 가속도 검출부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하여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구형파로 출력하는 단계; (A-2) 쿼드러처 디코더가 상기 구형파로 출력된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두 신호 간 위상차를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두 신호의 위상 변화시마다 출력되는 틱(Tick)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해당 차륜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단계; (A-3) 기준 클록 신호로 동작하는 타이머가 상기 구형파로 출력된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매 틱마다 상기 기준 클록 신호의 클록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A-4) 송신 제어부(MCU)가 상기 쿼드러처 디코더로부터 검출된 회전 방향 및 상기 타이머로부터 검출된 회전 주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1) 단계는, (A-1-1) 제1 위상을 가지고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A-1-2) 상기 제1 가속도 신호를 소신호 증폭하는 단계; (A-1-3) 상기 소신호 증폭된 제1 가속도 신호의 저주파 대역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단계; (A-1-4) 상기 필터링된 제1 가속도 신호를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시키는 단계; 및 (A-1-5) 상기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된 제1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1) 단계는, (A-1-6) 상기 제1 위상과 90° 위상차를 가지고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2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A-1-7) 상기 제2 가속도 신호를 소신호 증폭하는 단계; (A-1-8) 상기 소신호 증폭된 제2 가속도 신호의 저주파 대역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단계; (A-1-9) 상기 필터링된 제2 가속도 신호를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시키는 단계; 및 (A-1-10) 상기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된 제2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ID 정보 및 ID 정보 업데이트를 통해 별도의 ID 인식 작업의 필요 없이 각 타이어의 자동 위치 인식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타이어 교환이나 교체에 의한 타이어 위치 변경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의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처리함으로써 노이즈에 강하고 MCU의 부하가 적으므로 신속하게 각 타이어의 위치 검출이 가능하며 정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신호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가속도 검출부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된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륜의 전후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위치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송신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는 송신기(10)와 수신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송신기(10)는 타이어를 가진 복수의 차륜에 각각 구비되고, 각 차륜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전송하며, 상기 수신기(20)는 차체에 구비되고, 상기 송신기(10)로부터 전송된 상기 각 차륜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해당 차륜의 좌우를 식별하며, 상기 각 차륜의 회전 주기에 따라 해당 차륜의 전후를 식별한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송신기(10)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속도 검출부(11), 제2 가속도 검출부(12), 쿼드러처 디코더(Quadrature Decoder)(13), 타이머(14), 송신 안테나(15) 및 송신 제어부(MCU)(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가속도 검출부(11)는 해당 차륜의 제1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한다.
이러한 상기 제1 가속도 검출부(11)는 제1 가속도 센서(11-1), 제1 소신호 증폭기(11-2), 제1 대역 통과 필터(BPF)(11-3), 제1 버퍼 증폭기(11-4) 및 제1 슈미트 트리거(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가속도 센서(11-1)는 제1 위상(예컨대, 0°)을 가지고 해당 차륜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가속도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 가속도 센서(11-1)로부터 출력된 제1 가속도 신호는 소신호이므로 상기 제1 소신호 증폭기(11-2)를 거쳐 증폭시킨다.
이러한 상기 제1 가속도 신호는 저주파이므로 해당 저주파 대역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BPF)(11-3)를 통해 상기 제1 가속도 신호를 필터링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필터링된 제1 가속도 신호는 버퍼 입력을 위하여 상기 제1 버퍼 증폭기(11-4)로 증폭(예컨대, 약 7배 정도)시킨 후 상기 제1 슈미트 트리거(11-5)를 통해 노이즈에 강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한다.
상기 제2 가속도 검출부(12)는 상기 제1 가속도 신호와 90° 위상차를 갖는 상기 해당 차륜의 제2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한다.
이러한 상기 제2 가속도 검출부(12)는 상술한 제1 가속도 검출부(11)와 마찬가지로, 제2 가속도 센서(12-1), 제2 소신호 증폭기(12-2), 제2 대역 통과 필터(BPF)(12-3), 제2 버퍼 증폭기(12-4) 및 제2 슈미트 트리거(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가속도 센서(12-1)는 상기 제1 위상(예컨대, 0°)과 90°위상 차(예컨대, 90°)를 가지고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2 가속도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2 가속도 센서(12-1)로부터 출력된 제2 가속도 신호도 역시 소신호이므로 상기 제2 소신호 증폭기(12-2)를 거쳐 증폭시킨다.
이러한 상기 제2 가속도 신호는 저주파이므로 해당 저주파 대역이 통과되도록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BPF)(12-3)를 통해 상기 제2 가속도 신호를 필터링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필터링된 제2 가속도 신호는 버퍼 입력을 위하여 상기 제2 버퍼 증폭기(12-4)로 증폭(예컨대, 약 7배)시킨 후 상기 제2 슈미트 트리거(12-5)를 통해 노이즈에 강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속도 검출부(11, 12)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 신호의 일례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를 상기 제1 가속도 신호라 하고, B를 상기 제2 가속도 신호라 하면, 두 신호가 90°의 위상차를 가지고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90°의 위상차를 갖는 상기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는 구형파의 형태로 후술될 쿼드러처 디코더(13)로 입력된다.
상기 쿼드러처 디코더(13)는 상기 제1 및 제2 가속도 검출부(11, 12)로부터 구형파로 출력된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아 두 신호 간 위상차를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두 신호의 위상 변화시마다 출력되는 틱(Tick)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쿼드러처 디코더(13)는 상기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의 위상차로부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즉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쿼드러처 디코더(13)로 입력된 A신호가 B신호보다 90° 빠른 경우 +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B신호가 A신호가 90°빠른 경우 - 방향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또한, 상기 쿼드러처 디코더(13)는 상기 두 신호(A, B)의 위상 변화시마다 출력되는 틱(Tick)의 개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틱의 개수가 4개일 경우 해당 차륜은 1회전을 한 것이며, 상기 틱의 개수가 8개일 경우 해당 차륜은 2회전을 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틱의 개수를 카운팅하면 해당 차륜의 회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14)는 소정의 기준 클록 신호(예컨대, 약 1M~10M)로 동작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속도 검출부(11, 12)로부터 구형파로 출력된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두 신호의 위상 변화시마다 출력되는 매 틱마다 상기 기준 클록 신호의 클록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매 틱의 주기를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타이머(14)를 통해 매 틱마다 정확한 주기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는 곧 해당 차륜의 정확한 회전 주기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송신 제어부(MCU)(16)는 상기 쿼드러처 디코더(13)로부터 검출된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과 상기 타이머(14)로부터 검출된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송신 안테나(15)를 통해 상기 수신기(20)로 전송한다.
상기 수신기(20)는 상기 송신기(10)로부터 전송된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과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해당 차륜의 위치를 식별한다.
이러한 상기 수신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22) 및 수신 제어부(ECU)(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신부(22)는 상기 송신기(10)로부터 전송된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과 회전 주기를 포함한 신호를 상기 수신 안테나(21)를 통해 수신한다.
상기 수신 제어부(ECU)(24)는 상기 수신부(22)를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과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해당 차륜의 위치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우측 차륜을 기준으로 전진 방향으로 위상이 90° 빠른 가속도 센서를 설치했다면, 상기 수신 제어부(ECU)(24)는 상기 회전 방향이 +인 경우 상기 해당 차륜이 우측에 설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회전 방향이 -인 경우 상기 해당 차륜이 좌측에 설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차량의 좌측 차륜을 기준으로 전진 방향으로 위상이 90°빠른 가속도 센서를 설치했다면, 상기 수신 제어부(ECU)(24)는 상기 회전 방향이 +인 경우 상기 해당 차륜이 좌측에 설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회전 방향이 -인 경우 상기 해당 차륜이 우측에 설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제어부(ECU)(24)는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통해 상기 해당 차륜의 전후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전후 차륜 간 물리적 위치에 따른 차륜의 회전 주기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경우 조향이 가능한 차축과 고정된 차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조향이 가능한 차축을 앞차축으로 정의하고, 차체에 고정되어 조향이 불가능한 차축을 뒷차축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앞차축의 경우, 운전자의 조향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자유자재로 바퀴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뒷차축의 경우, 차체에 고정되어 조향이 불가능하고 차량의 진행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륜의 전후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및 6에 의하면, 앞차축과 뒷차축 간 거리(이하, '축간거리(L)'라 칭함), 뒷차축의 중심점(O)과 뒷차축에 설치된 차륜 간 거리(이하, '뒷바퀴 최소회전반경(R1)'이라 칭함) 및 상기 중심점(O)과 앞차축에 설치된 차륜 간 거리(이하, '앞바퀴 최소회전반경(R2)'라 칭함)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주행 시, 차량이 a각도 만큼 조향하는 경우 뒷바퀴는 최소회전반경(R1)을 갖고, 앞바퀴는 최소회전반경(R2)을 갖는다.
이때, 최소회전반경(R)과 이동거리(D)는 D=2ΠR 과 같은 원주 구하는 공식과 같다. 따라서, 상기 이동거리(D)는 최소회전반경(R)과 비례관계로 앞바퀴와 뒷바퀴의 이동거리 차이는 R1/R2의 비율만큼 차이가 난다.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a는 앞바퀴의 조향각이다.
만약, 차량의 주행 중 조향을 하지 않을 경우 앞바퀴와 뒷바퀴는 이론적으로 이동거리가 동일하다.
그러나, 일상 주행 시 직진만 하는 경우는 없으며 미세하게나마 조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이 조향을 하는 경우(a>0) 경우, 뒷바퀴 최소회전반경(R2)은 앞바퀴 최소회전반경(R1)보다 항상 크다.
따라서, 뒷바퀴의 최소회전반경(R1)과 앞바퀴의 최소회전반경(R2)의 불일치로 인하여 차량이 일정거리를 이동시 앞바퀴 및 뒷바퀴 간 이동거리 차이가 발생하며, 이는 곧 회전수의 차이로 나타난다.
이러한 조향에 의한 해당 차륜의 회전수 차이 값을 누적하면 앞바퀴와 뒷바퀴 간 차이가 발생된다.
즉, 상기 회전수의 차이는 주기를 나타내므로 상기 수신 제어부(ECU)(24)는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가 짧을 쪽을 앞바퀴로 판단하고,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가 긴 쪽을 뒷바퀴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기(20)는 상기 수신 제어부(ECU)(24)를 통해 해당 차륜의 위치를 표시하고, 해당 차륜의 타이어 압력 등과 같은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에 표시된 해당 차륜의 상태 정보를 보고 해당 차륜의 타이어 상태를 확인하여 교환이나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위치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송신 단계(S71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차륜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송신기(10)가 해당 차륜의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로부터 회전 방향 및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기(20)로 전송한다(S710).
그러면, 상기 수신기(20)는 상기 송신기(1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상기 신호로부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좌우를 판단하여 위치를 식별한다(S720).
또한, 상기 수신기(20)는 상기 수신한 신호로부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전후를 판단하여 위치를 식별한다(S730).
상기 단계(S720, 730)에서 식별된 상기 해당 차륜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부(23)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신 단계(S7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이 수행된다.
먼저, 상기 각 송신기(10)가 해당 차륜의 제1 및 제2 가속도 검출부(11, 12)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하여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 구형파로 출력한다(S711).
이때, 상기 구형파로 출력된 제1 가속도 신호는 제1 가속도 센서(11-1)에서 제1 위상을 가지고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제1 소신호 증폭기(11-2)를 통해 상기 제1 가속도 신호를 소신호 증폭한 후 제1 대역 통과 필터(BPF)(11-3)를 통해 상기 소신호 증폭된 제1 가속도 신호의 저주파 대역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제1 가속도 신호는 버퍼 입력을 위해 제1 버퍼 증폭기(11-4)를 통해 증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된 제1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단계를 거친다.
마찬가지로, 상기 디지털로 변환된 제2 가속도 신호는 제2 가속도 센서(12-1)에서 제1 위상과 90° 위상차를 가지고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2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제2 소신호 증폭기(12-2)를 통해 상기 제2 가속도 신호를 소신호 증폭한 후 제2 대역 통과 필터(BPF)(12-3)를 통해 상기 소신호 증폭된 제2 가속도 신호의 저주파 대역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제2 가속도 신호는 버퍼 입력을 위해 제2 버퍼 증폭기(12-4)를 통해 증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된 제2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단계(S711)에서, 상기 쿼드러처 디코더(13)는 상기 구형파로 출력된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두 신호 간 위상차를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고(S712), 상기 두 신호의 위상 변화시마다 출력되는 틱(Tick)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수를 검출한다(S713).
이때, 기준 클록 신호로 동작하는 타이머(14)가 상기 구형파로 출력된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매 틱마다 상기 기준 클록 신호의 클록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검출한다(S714).
그런 다음, 상기 송신 제어부(MCU)(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쿼드러처 디코더(13)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 및 상기 타이머(14)로부터 검출된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수신기(20)로 전송한다(S715).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은 ID 정보 및 ID 정보 업데이트를 통해 별도의 ID 인식 작업의 필요 없이 각 타이어의 자동 위치 인식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타이어 교환이나 교체에 의한 타이어 위치 변경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의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처리함으로써 노이즈에 강하고 부하가 적으므로 신속하게 각 타이어의 위치 검출이 가능하며 정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신호선을 설치할 필요 없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송신기 11 : 제1 가속도 검출부
11-1 : 제1 가속도 센서 11-2 : 제1 소신호 증폭기
11-3 : 제1 대역 통과 필터 11-4 : 제1 버퍼 증폭기
11-5 : 제1 슈미트 트리거 12 : 제2 가속도 검출부
12-1 : 제2 가속도 센서 12-2 : 제2 소신호 증폭기
12-3 : 제2 대역 통과 필터 12-4 : 제2 버퍼 증폭기
12-5 : 제2 슈미트 트리거 13 : 쿼드러처 디코더
14 : 타이머 15 : 송신 안테나
16 : 송신 제어부(MCU) 20 : 수신기
21 : 수신 안테나 22 : 수신부
23 : 디스플레이부 24 : 수신 제어부(ECU)

Claims (10)

  1. 타이어를 가진 복수의 차륜에 각각 구비되고, 각 차륜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송신기; 및
    차체에 구비되고,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각 차륜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해당 차륜의 좌우를 식별하며, 상기 각 차륜의 회전 주기에 따라 해당 차륜의 전후를 식별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송신기는,
    상기 해당 차륜의 제1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제1 가속도 검출부;
    상기 제1 가속도 신호와 90° 위상차를 갖는 상기 해당 차륜의 제2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제2 가속도 검출부;
    상기 제1 및 제2 가속도 검출부로부터 구형파로 출력된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아상기 두 신호 간 위상차를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고, 두 신호의 위상 변화시마다 출력되는 틱(Tick)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쿼드러처 디코더;
    기준 클록 신호로 동작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속도 검출부로부터 구형파로 출력된 출력된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두 신호의 위상 변화시마다 출력되는 매 틱(tick)마다 상기 기준 클록 신호의 클록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매 틱의 주기를 측정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는 타이머; 및
    상기 쿼드러처 디코더로부터 검출된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과 상기 타이머로부터 검출된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는 송신 제어부(M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속도 검출부는,
    제1 위상을 가지고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가속도 센서;
    상기 제1 가속도 신호를 소신호 증폭하는 제1 소신호 증폭기;
    상기 소신호 증폭된 제1 가속도 신호의 저주파 대역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상기 필터링된 제1 가속도 신호를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시키는 제1 버퍼 증폭기; 및
    상기 제1 버퍼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제1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제1 슈미트 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속도 검출부는,
    제1 위상과 90° 위상차를 가지고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2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가속도 센서;
    상기 제2 가속도 신호를 소신호 증폭하는 제2 소신호 증폭기;
    상기 소신호 증폭된 제2 가속도 신호의 저주파 대역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
    상기 필터링된 제2 가속도 신호를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시키는 제2 버퍼 증폭기; 및
    상기 제2 버퍼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제2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제2 슈미트 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각각 전송된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주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여 좌우를 판단하여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전후를 판단하여 위치를 식별하는 수신 제어부(E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 제어부(ECU)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해당 차륜의 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7. (A) 복수의 차륜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송신기가 해당 차륜의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로부터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수신기가 수신한 상기 신호로부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좌우를 판단하여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기가 수신한 상기 신호로부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전후를 판단하여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위치 검출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각 송신기가 해당 차륜의 제1 및 제2 가속도 검출부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구형파로 출력하는 단계;
    (A-2) 쿼드러처 디코더가 상기 구형파로 출력된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두 신호 간 위상차를 검출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두 신호의 위상 변화시마다 출력되는 틱(Tick)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단계;
    (A-3) 기준 클록 신호로 동작하는 타이머가 상기 구형파로 출력된 제1 및 제2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매 틱마다 상기 기준 클록 신호의 클록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A-4) 송신 제어부(MCU)가 상기 쿼드러처 디코더로부터 검출된 회전 방향 및 상기 타이머로부터 검출된 회전 주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위치 검출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는,
    (A-1-1) 제1 위상을 가지고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A-1-2) 상기 제1 가속도 신호를 소신호 증폭하는 단계;
    (A-1-3) 상기 소신호 증폭된 제1 가속도 신호의 저주파 대역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단계;
    (A-1-4) 상기 필터링된 제1 가속도 신호를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시키는 단계; 및
    (A-1-5) 상기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된 제1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위치 검출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는,
    (A-1-6) 상기 제1 위상과 90° 위상차를 가지고 상기 해당 차륜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2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A-1-7) 상기 제2 가속도 신호를 소신호 증폭하는 단계;
    (A-1-8) 상기 소신호 증폭된 제2 가속도 신호의 저주파 대역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단계;
    (A-1-9) 상기 필터링된 제2 가속도 신호를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시키는 단계; 및
    (A-1-10) 상기 버퍼 입력을 위해 증폭된 제2 가속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형파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위치 검출 방법.
KR1020110112303A 2011-10-31 2011-10-31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30047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303A KR20130047341A (ko) 2011-10-31 2011-10-31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EP12151299.0A EP2586633A1 (en) 2011-10-31 2012-01-16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ire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303A KR20130047341A (ko) 2011-10-31 2011-10-31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341A true KR20130047341A (ko) 2013-05-08

Family

ID=4565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303A KR20130047341A (ko) 2011-10-31 2011-10-31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586633A1 (ko)
KR (1) KR201300473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176B1 (ko) * 2014-03-13 2015-07-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속도 검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4349B (zh) * 2013-08-23 2016-06-29 惠州华阳通用电子有限公司 胎压监测系统的自动配对方法及装置、胎压监测系统
CN105774426B (zh) * 2014-12-25 2017-10-20 橙的电子股份有限公司 可定位的无线胎压检测装置、系统及其定位方法
EP3315329B1 (en) * 2016-10-25 2019-12-11 NXP USA, Inc. Determining vehicular wheel positions from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signals
FR3081988B1 (fr) * 2018-05-31 2020-06-05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e detection d'un changement de position d'une unite roue portee par une roue associee sur un vehicule automobile
CN117980158A (zh) * 2022-08-29 2024-05-03 太平洋工业株式会社 轮位置确定装置、轮位置确定系统以及轮位置确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7433A1 (de) * 2006-12-06 2008-06-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Radgrößen
JP2009029209A (ja) * 2007-07-25 2009-02-12 Texas Instr Japan Ltd タイヤ監視装置及びタイヤ不具合検出装置
DE102009045305B4 (de) * 2009-10-02 2021-01-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Drehrichtung eines rotierenden Körpers und Radsensormodul
US8528393B2 (en) * 2010-02-26 2013-09-10 Schrader Electronics Ltd. Wheel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revolution coun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176B1 (ko) * 2014-03-13 2015-07-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속도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86633A1 (en) 201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7442B2 (ja) 車輪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JP4483482B2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機能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KR20130047341A (ko)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US9139053B2 (en) Tire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JP4791815B2 (ja) 車両の車輪の、右側又は左側の位置を決定する方法、及び、位置決定装置
CN102341712B (zh) 用于在车辆移动时自动校准安装在所述车辆的轮子上的加速度传感器的方法
JP6350467B2 (ja) センサ送信機、車輪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US8095333B2 (en) Device for locating a right or left position of a tire and wheel assembly of a vehicle
KR101379652B1 (ko) 타이어 위치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US11084337B2 (en) Sensor transmitter, wheel positional detection apparatus, and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US9193224B2 (en) Tire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US10166822B2 (en) Tire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US9227471B2 (en) Tire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CN102896984A (zh) 轮胎压力发射机的定位方法和装置
CN108237848B (zh) 轮胎位置定位方法和装置
KR20140143762A (ko) 차량의 휠의 절대 각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803555B2 (ja) 車輪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JP2013082436A (ja) タイヤ取付位置判定システム
US8396629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ire position
US11092516B2 (en)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KR20220061918A (ko) 휠 단부 센서에 대한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찾는 위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1184A (ko)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송신 모듈의 위치 인식 방법
KR101743652B1 (ko) 다축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휠 모듈의 장착 위치 판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004475A (ko) 타이어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060016447A (ko)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에서의 타이어 위치 자동인식 시스템 및 그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