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844A - 전자기기 진단/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진단/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844A
KR20130046844A KR1020110111478A KR20110111478A KR20130046844A KR 20130046844 A KR20130046844 A KR 20130046844A KR 1020110111478 A KR1020110111478 A KR 1020110111478A KR 20110111478 A KR20110111478 A KR 20110111478A KR 20130046844 A KR20130046844 A KR 20130046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iagnosis
mobile device
related command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317B1 (ko
Inventor
권대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3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전자기기 관리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관리방법은, 전자기기와 근접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진입하면 전자기기와 근접 통신 연결을 설정하고, 전자기기에 상태 정보를 요청/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의해,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에 근접 통신으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로 제공가능하므로, 전자기기의 이상 파악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진단/수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diagnosing/repairing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 진단/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대한 자가 진단, A/S 센터에 의한 원격 진단 및 원격 수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및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주택 및 가전제품에 자동화 기술을 적용한 u-City 및 스마트 홈 등이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냉장고, 에어컨, TV 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인공지능화로 인하여, 자신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하는 기술이 등장하였지만, 이를 진단하여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정도에만 그치고 있다.
따라서, 자체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이상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가전제품을 직접 A/S 센터에 가지고 가서 진단/수리를 받아야 하거나, A/S 기사가 방문하여 가전제품을 진단/수리하여야 하는데, 어떠한 경우이든 많은 시간, 비용 및 불편을 유발한다.
또한,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은 가전제품의 경우 자신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제공할 방법이 없는데, 이는 구체적인 문제점을 알 수 없는 사용자의 답답함으로 귀결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답답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에 근접 통신으로 전달하여 제공하는 전자기기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와 A/S 센터 모두의 편의를 위한 방안으로, 근접 통신으로 연결된 모바일 기기의 중계하에 전자기기의 원격 진단 및 원격 수리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관리방법은, 전자기기와 근접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진입하면, 상기 전자기기와 근접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에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연결은, NFC P2P(Near Field Communication Peer-To-Peer) 연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전자기기 관리방법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A/S 센터 서버에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A/S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청단계는, 사용자로부터 A/S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A/S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전자기기 관리방법은, 상기 A/S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기기 진단에 필요한 진단관련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진단관련 명령을 상기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진단관련 명령 수행 결과를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관련 명령 수행 결과를 상기 A/S 센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전자기기 관리방법은, 상기 진단관련 명령 수행 결과로부터 생성한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전자기기 또는 상기 A/S 센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전자기기 관리방법은, 상기 A/S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기기 수리에 필요한 수리관련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리관련 명령을 상기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전자기기 관리방법은, 상기 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 전자기기와 근접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진입하면, 상기 전자기기와 근접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에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관리방법은, 모바일 기기와 근접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진입하면, 전자기기가 상기 모바일 기기와 근접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태 정보를 요청받으면, 자신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근접 통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에 근접 통신으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로 제공가능하므로, 전자기기의 이상 파악이 용이 해져 사용자의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근접 통신으로 연결된 모바일 기기의 중계하에 전자기기의 원격 진단 및 원격 수리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와 A/S 센터 모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수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모바일 기기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6은 전자제품의 상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품(100)과 모바일 기기(200)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구체적으로, 전자제품(100)과 모바일 기기(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140, 210)을 이용하여 NFC P2P(Peer-To-Peer)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자가진단 시스템에서는, 전자제품(100)의 상태를 모바일 기기(2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 안내한다.
따라서, 전자제품(100)이 LED와 7-세그먼트 등을 통해 단순 정보는 표시가능하지만,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은 제품인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자가진단 시스템이 유용하다. 하지만,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제품(100)의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는 않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자가진단 시스템에 의해, 전자제품(10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자제품(100)과 NFC가 가능할 정도로, 모바일 기기(200)가 전자제품(100)에 충분히 근접하면(S310), 모바일 기기(200)와 전자제품(100)은 NFC P2P 연결을 설정한다(S320).
이후, 모바일 기기(200)가 전자제품(100)에 NFC로 정보를 요청하면(S330), 전자제품(100)은 모바일 기기(200)에 NFC로 제품정보와 상태정보를 전송한다(S340).
제품정보는 전자제품(10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 전자제품(100)의 종류, 명칭, 사양, 정격, S/N 등이 포함된다.
상태정보는 전자제품(100)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로, 전자제품(100)의 정상/이상 여부, 이상 내역 등이 포함된다.
모바일 기기(200)는 S340단계를 통해 수신한 제품정보와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S350),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200)를 통해 전자제품(100)의 제품정보와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A/S 센터의 개입에 의한 전자제품(100)의 원격 진단과 원격 수리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원격 진단/수리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품(100)과 모바일 기기(200) 외에 A/S 센터 서버(300)가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구체적으로, 전자제품(100)과 모바일 기기(200)는 NFC 모듈을 이용하여 NFC P2P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모바일 기기(200)와 A/S 센터 서버(300)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모바일 네트워크는 이동통신망과 무선 인터넷 등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원격 진단/수리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기기(200)의 중계하에 전자제품(100)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A/S 센터 서버(300)가 전자제품(100)을 원격에서 진단하고 수리한다.
이하에서, 도 3에 도시된 원격 진단/수리 시스템에 의해, 전자제품(100)을 원격 진단/수리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수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200)는 도 3에 도시된 절차들을 통해, 전자제품(100)과 NFC P2P 통신 연결을 설정한 상태이고, 전자제품(100)의 제품정보와 상태정보를 확보한 상태인 것으로 상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A/S 요청이 입력되면(S405-Y), 모바일 기기(200)는 A/S 센터 서버(300)와 통신 연결을 설정한다(S410).
이후, 모바일 기기(200)가 A/S 센터 서버(300)에 전자제품(100)의 제품정보와 상태정보를 전송하면서 A/S를 요청하면(S415), A/S 센터 서버(300)는 모바일 기기(200)에 전자제품(100) 진단관련 명령을 전송한다(S420).
진단관련 명령은, 전자제품(100)을 진단하기 위해 전자제품(100)이 수행하여야 할 명령으로, 명령 수행 결과를 토대로 진단결과가 생성된다.
모바일 기기(200)가 S420단계에서 수신한 진단관련 명령을 전자제품(100)에 NFC로 전송하면(S425), 전자제품(100)은 S425단계를 통해 수신한 진단관련 명령을 수행하고(S430), S430단계에서의 진단관련 명령 수행결과를 모바일 기기(200)에 NFC로 전송한다(S435).
그러면, 모바일 기기(200)는 S435단계를 통해 수신한 진단관련 명령 수행결과를 A/S 센터 서버(300)에 전달하며(S440), A/S 센터 서버(300)는 S440단계를 통해 전달받은 진단관련 명령 수행결과를 분석하여 전자제품(100)에 대한 진단결과를 생성한다(S445).
A/S 센터 서버(300)는 S445단계를 통해 생성된 진단결과를 모바일 기기(200)를 통해 전송 가능한데(S450), 이 경우 모바일 기기(200)는 S450단계를 통해 수신한 진단결과를 디스플레이하여(S455), 사용자에게 안내 가능하다.
한편, 전자제품(100)에 대한 진단결과, 전자제품(100)의 이상을 원격에서 수리가능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리셋, 이상 데이터 삭제, 펌웨어 재설치/업데이트 등에 의해 전자제품(100)의 이상이 수리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A/S 센터 서버(300)는 전자제품(100) 수리에 필요한 수리관련 명령을 모바일 기기(200)에 전송한다(S460). 수리관련 명령은, 리셋 명령, 이상 데이터 삭제 명령, 펌웨어 재설치/업데이트 명령 등이다. 펌웨어 재설치/업데이트 명령의 경우는, 수리관련 명령에 재설치/업데이트할 펌웨어가 부가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기기(200)가 S460단계를 통해 수신한 수리관련 명령을 전자제품(100)에 NFC로 전송하면(S465), 전자제품(100)은 S465단계를 통해 수신한 수리관련 명령을 수행한다(S470).
다음, 전자제품(100)이 S470단계에서의 수리관련 명령 수행결과를 모바일 기기(200)에 NFC로 전송하면(S475), 모바일 기기(200)는 S475단계를 통해 수신한 수리관련 명령 수행결과를 A/S 센터 서버(300)에 전달하며(S480), A/S 센터 서버(300)는 S480단계를 통해 전달받은 수리관련 명령 수행결과를 분석하여 전자제품(100)에 대한 수리결과를 생성한다(S485).
A/S 센터 서버(300)는 S485단계를 통해 생성된 수리결과를 모바일 기기(200)를 통해 전송 가능한데(S490), 이 경우 모바일 기기(200)는 S490단계를 통해 수신한 수리결과를 디스플레이하여(S495), 사용자에게 안내 가능하다.
지금까지, 자가진단, 원격 진단 및 원격 수리 등을 통해 전자제품을 관리하는 방법/시스템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NFC P2P는 근접 통신의 일 예를 언급한 것으로, 다른 종류의 근접 통신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위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기기(200)는 A/S 센터 서버(300)로부터 진단결과와 수리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200)는 A/S 센터 서버(300)가 아닌 전자제품(100)으로부터 진단결과와 수리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는 전자제품(100)이 진단결과와 수리결과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을 것이 요구된다.
또한, 위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모바일 기기(200)는 휴대폰, 태블렛 PC 등은 물론이고, NFC 모듈을 구비하여 NFC가 가능한 기기라면 어떠한 기기로도 구현가능하다.
도 5에는 모바일 기기(200)의 상세 블럭도를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는, NFC 모듈(210), 터치 스크린(220), 프로세서(230), 저장부(240) 및 모바일 통신 모듈(250)을 구비한다.
NFC 모듈(210)은 전자제품(100)과 NFC P2P 연결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고, 모바일 통신 모듈(250)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A/S 센터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터치 스크린(220)은 제품정보, 상태정보, 진단결과 및 수리결과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과, A/S 요청과 같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240)에는 모바일 기기(2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프로세서(23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230)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절차들 중 모바일 기기(200)가 수행하는 절차들을 수행한다.
한편, 위 실시예에서 언급한 전자제품(100)은, 냉장고, TV, 세탁기 등 대형 가전제품,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소형 가전제품은 물론, 사무용 기기, 다른 전자제품이 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전자제품(100)의 상세 블럭도를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품(100)은, 기능 블럭(110), 제어부(120), 메모리(130) 및 NFC 모듈(140)을 구비한다.
기능 블럭(110)은 전자제품(100)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이다. 즉, 전자제품(100)이 냉장고인 경우 기능 블럭(110)은 냉장기능을 수행하고, 전자제품(100)이 TV인 경우 기능 블럭(110)은 방송수신기능을 수행한다.
NFC 모듈(140)은 모바일 기기(200)와 NFC P2P 연결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NFC 모듈(140)은 전자제품(100)의 상부 패널에 가까운 내부에 마련된다. 이는, 모바일 기기(200)를 전자제품(100)의 상단에 올려 놓는 경우, 모바일 기기(200)와 전자제품(100) 간의 NFC가 가능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메모리(130)에는 전자제품(1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제품(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 도 2와 도 4에 도시된 절차들 중 전자제품(100)이 수행하는 절차들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자제품
140 : NFC 모듈
200 : 모바일 기기
210 : NFC 모듈
220 : 터치 스크린
300 : A/S 센터 서버

Claims (12)

  1. 전자기기와 근접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진입하면, 상기 전자기기와 근접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에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은,
    NFC P2P(Near Field Communication Peer-To-Peer) 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A/S 센터 서버에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A/S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단계는,
    사용자로부터 A/S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A/S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S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기기 진단에 필요한 진단관련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진단관련 명령을 상기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진단관련 명령 수행 결과를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관련 명령 수행 결과를 상기 A/S 센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관련 명령 수행 결과로부터 생성한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전자기기 또는 상기 A/S 센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S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기기 수리에 필요한 수리관련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리관련 명령을 상기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방법.
  11. 디스플레이;
    전자기기와 근접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진입하면, 상기 전자기기와 근접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에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12. 모바일 기기와 근접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진입하면, 전자기기가 상기 모바일 기기와 근접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태 정보를 요청받으면, 자신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근접 통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방법.
KR1020110111478A 2011-10-28 2011-10-28 전자기기 진단/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70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478A KR101270317B1 (ko) 2011-10-28 2011-10-28 전자기기 진단/수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478A KR101270317B1 (ko) 2011-10-28 2011-10-28 전자기기 진단/수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844A true KR20130046844A (ko) 2013-05-08
KR101270317B1 KR101270317B1 (ko) 2013-05-31

Family

ID=4865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478A KR101270317B1 (ko) 2011-10-28 2011-10-28 전자기기 진단/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3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735A1 (en) * 2016-01-08 2017-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80086878A (ko) * 2017-01-24 2018-08-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기기 진단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434B1 (ko) 2013-11-12 2020-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칩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735A1 (en) * 2016-01-08 2017-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534519B2 (en) 2016-01-08 202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80086878A (ko) * 2017-01-24 2018-08-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기기 진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317B1 (ko)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2279B2 (en) Smart device configuration guidance via automated assistant interface of separate client device
RU2645177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с изделием, имеющим процессор
US20110115816A1 (en) Augmented reality building operations tool
KR20140144504A (ko) 가전 기기와 모바일 기기, 가전 기기의 제어 시스템
KR20070013090A (ko) 가전기기 및 그 고장대처방법
CN104378781A (zh) 一种检测移动终端故障的方法及移动终端
EP3474517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ot device to correspond to stat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3739911B1 (en) Method and device for event notification in home network system
CN106403188A (zh) 一种空调维护方法及其维护装置
US10108515B2 (en) Remotely testing electronic devices using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JP2016039575A (ja) 情報機器および制御機器
EP3532694A1 (en) Smart driver
KR101270317B1 (ko) 전자기기 진단/수리 방법 및 시스템
US10644896B2 (en) Control device, storage medium, control method for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terminal device, and controlled device
KR101770156B1 (ko) 사물인터넷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4486662A (zh) 一种远程控制电视机的方法和电视机
EP293777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creen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CN102457777B (zh) 一种电视网络问题分级处理方法、处理系统及电视
US20230379404A1 (en) Terminal device, apparatus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EP2876886B1 (en) Methods and systems to notify user of a problem with a remote control
CN103900192A (zh) 空调器的服务提供系统、方法和空调无线控制器
CN104483865A (zh) 智能硬件设备的安装实现方法及装置
US10397223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n authorized communication between a physical object and a communication device enabling a write access
CN107543980A (zh) 电子产品自动诊断装置及方法
CN104641305A (zh) 用于账户设置和/或设备安装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