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804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804A
KR20130046804A KR1020110111397A KR20110111397A KR20130046804A KR 20130046804 A KR20130046804 A KR 20130046804A KR 1020110111397 A KR1020110111397 A KR 1020110111397A KR 20110111397 A KR20110111397 A KR 20110111397A KR 20130046804 A KR20130046804 A KR 20130046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mpressor
water
outflow
targe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5182B1 (ko
Inventor
박일웅
박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1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1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fluid cooled by the evaporator
    • F25B2700/21173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fluid cooled by the evaporator at the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를 공조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부하에 지속적으로 대응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압축기가 가동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물과 열교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에서 유출되는 물의 온도인 출수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수온도로부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되는 냉매의 압력에 대한 목표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를 공조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부하에 지속적으로 대응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산업용 공기조화기 또는 중앙식 공기조화기의 경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각기에서 물을 냉각하고 냉각기에서 냉각된 물을 이용하여 빌딩, 공장, 체육관 등과 같은 대형 건물의 실내를 공조한다.
이러한 냉각기는 실내를 공조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부하에 지속으로 대응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를 공조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부하에 지속적으로 대응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압축기가 가동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물과 열교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에서 유출되는 물의 온도인 출수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수온도로부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되는 냉매의 압력에 대한 목표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 상기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물과 열교환하여 증발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물이 유출되는 출수배관; 상기 출수배관을 유동하는 물의 출수온도를 측정하는 출수배관 온도센서; 및 상기 출수배관 온도센서가 측정한 출수온도로부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되는 냉매의 압력에 대한 목표압력을 설정하는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냉각기에서 유출되는 물의 온도인 출수온도로 냉각기의 증발압력에 대한 목표압력을 설정하여 안정적인 출수온도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압축기의 운전속도를 결정하는 증발압력에 대한 목표압력을 설정하여 부하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장점도 있다.
셋째, 출수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목표압력을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부하에 지속적으로 대응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며 시스템 성능을 높이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서 설정되는 목표압력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물을 냉각하는 냉각기(100)와, 냉각기(100)에서 냉각된 물을 이용하여 건물의 실내를 공조하는 공조유닛(200)을 포함한다.
공조유닛(200)은 냉각기(100)에서 냉각된 물을 이용하여 건물의 실내를 냉각, 가열, 환기, 제습, 또는 가습한다. 공조유닛(200)은, 실내로 순환되는 실내 공기와 신선한 실외 공기를 혼합하고 냉각기(100)에서 냉각된 물과 열교환하여 실내를 공조하는 AHU(Air handling unit)와, 냉각기(100)에서 냉각된 물을 코일로 유동하고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FCU(Fan coil unit) 등이 있다. 공조유닛(200)과 냉각기(100)는 물이 순환하는 입수배관(161) 및 출수배관(162)으로 연결된다.
냉각기(10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20)와, 압축기(12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130)와, 응축기(130)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40)와, 팽창기구(140)에서 팽창된 냉매가 물과 열교환하여 증발되는 증발기(150)와, 증발기(150)로 물이 유입되는 입수배관(161)과, 증발기(150)로부터 물이 유출되는 출수배관(162)을 포함한다.
압축기(120)는 냉매를 압축한다. 압축기(120)는 왕복동형, 로타리형, 스크롤형 등 다양한 형태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롤형 압축기인 경우이다. 스크롤형 압축기(120)는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어 모터가 스크롤을 회전하여 냉매를 압축한다.
압축기(120)는 냉매를 압축하여 냉매의 압력을 높인다. 압축기(120)는 운전속도를 변동하여 압축되어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변경할 수 있다. 압축기(120)는 저속으로 운전할 때 보다 고속으로 운전할 때 더 높은 압력의 냉매를 토출한다. 압축기(120)는 성능에 따라 운전속도의 범위가 결정된다. 압축기(120)는 흡입배관(114) 및 토출배관(111)과 연결되어, 흡입배관(114)을 통하여 흡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배관(111)으로 토출한다.
토출배관(111)은 압축기(120)와 응축기(130)를 연결한다. 토출배관(111)에는 압축기(120)에서 압축되어 토출배관(111)을 유동하는 냉매의 압력인 토출압력을 측정하는 토출배관 압력센서(175)와, 압축기(120)에서 압축되어 토출배관(111)을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인 토출온도를 측정하는 토출배관 온도센서(176)가 구비된다.
응축기(130)는 토출배관(111)과 연결되어 압축기(120)에서 압축되어 토출배관(111)으로 토출된 냉매를 응축한다. 응축기(130)는 냉각수나 실외 공기 등의 유체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한다.
응축기(130)가 냉매와 냉각수를 열교환하는 경우, 냉각탑(미도시)와 냉각수 유로로 연결되어 냉각탑으로 순환하는 냉각수와 냉매가 열교환하는 수냉식 열교환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130)가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하는 경우, 송풍기(135)에 의하여 송풍되는 실외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하는 공냉식 열교환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130)는 응축배관(112)과 연결되어 응축기(130)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기구(140)로 유동된다.
응축배관(112)은 응축기(130)와 팽창기구(140)를 연결한다. 응축배관(112)에는 응축기(130)에서 응축되어 응축배관(112)을 유동하는 냉매의 압력인 응축압력을 측정하는 응축배관 압력센서(177)와, 응축배관(112)에는 응축기(130)에서 응축되어 응축배관(112)을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인 응축온도를 측정하는 응축배관 온도센서(178)가 구비된다.
팽창기구(140)는 응축배관(112)과 연결되어 응축기(130)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한다. 팽창기구(140)는 냉매를 팽창하는 캐필러리 튜브나 전자팽창밸브(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s)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팽창기구(140)는 냉매를 팽창하여 냉매의 압력을 낮춘다. 팽창기구(140)는 개도를 조절하여 냉매의 팽창 정도를 조절한다. 팽창기구(140)는 팽창배관(113)과 연결되어 팽창기구(140)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기(150)로 유동된다.
증발기(150)는 팽창배관(113)과 연결되어 팽창기구(140)에서 팽창된 냉매를 물과 열교환하여 응축한다. 증발기(150)는 공조유닛(200)을 순환하는 물을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한다. 증발기(150)는 입수배관(161)을 통하여 공조유닛(200)으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출수배관(162)을 통하여 공조유닛(200)으로 물이 유출된다.
증발기(150)는 냉매가 통과하는 쉘과 물이 통과하는 튜브로 구성되는 쉘-튜브형 열교환기 또는 냉매가 통과하는 유로와 물이 통과하는 유로가 판상의 전열부재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판형 열교환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증발기(150)는 흡입배관(114)과 연결되어 증발기(150)에서 증발된 냉매가 압축기(120)로 흡입된다.
흡입배관(114)은 증발기(150)와 압축기(120)를 연결한다. 흡입배관(114)에는 증발기(150)에서 증발되어 흡입배관(114)을 유동하는 냉매의 압력인 증발압력을 측정하는 흡입배관 압력센서(173)와 증발기(150)에서 증발되어 흡입배관(114)을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인 증발온도를 측정하는 흡입배관 온도센서(174)가 구비된다.
입수배관(161)은 공조유닛(200)으로부터 증발기(150)로 물이 유입된다. 입수배관(161)은 공조유닛(200)에서 실내를 공조한 물이 유동하여 증발기(150)로 유입된다. 입수배관(161)을 통하여 증발기(150)로 유입된 물은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된다.
입수배관(161)에는 입수배관(161)을 유동하는 물의 온도인 입수온도를 측정하는 입수배관 온도센서(171)가 구비된다. 입수배관 온도센서(171)는 공조유닛(200)으로부터 증발기(150)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온도를 측정한다.
출수배관(162)은 증발기(150)로부터 공조유닛(200)으로 물이 유출된다. 출수배관(162)은 증발기(150)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된 물이 유출하여 공조유닛(200)으로 유동된다. 출수배관(162)을 통하여 공조유닛(200)으로 유출된 물은 실내를 공조한다.
출수배관(162)에는 출수배관(162)을 유동하는 물의 온도인 출수온도를 측정하는 출수배관 온도센서(172)가 구비된다. 출수배관 온도센서(172)는 증발기(150)로부터 공조유닛(200)으로 출수되는 물의 출수온도를 측정한다.
제어부(190)는 공조유닛(200)의 부하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냉각기(10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90)는 공조유닛(200)의 부하에 따라 압축기(120), 팽창기구(140), 또는 송풍기(135) 등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출수배관 온도센서(172)가 측정한 출수온도로부터 증발기(150)에서 증발되는 냉매의 압력에 대한 목표압력을 설정한다. 제어부(190)는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 목표압력을 설정값만큼 낮춘다. 목표온도는 공조유닛(200)이 실내를 공조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물의 온도이다. 제어부(190)는 설정된 목표압력에 의하여 압축기(120)의 운전속도를 조절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서 설정되는 목표압력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어부(190)는 출수배관 온도센서(172)가 측정한 출수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지 판단한다(S210). 공조유닛(200)이 가동하면 물이 순환하여, 공조유닛(200)으로부터 물이 입수배관(161)을 통하여 증발기(150)로 유입되고, 증발기(150)를 통과한 물이 출수배관(162)으로 출수된다. 출수배관 온도센서(172)는 증발기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온도인 출수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90)에 전달한다.
제어부(190)는 출수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지 판단한다. 설정온도는 공조유닛(200)이 실내를 공조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물의 온도인 목표온도와 연관이 있다. 설정온도는 목표온도에서 가중치를 더한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다.
(설정온도) = (목표온도) + 1
제어부(190)는 출수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압축기(120)를 가동한다(S220). 제어부(190)는 출수배관 온도센서(172)가 측정한 출수온도가 설정온도, 즉 목표온도에 가중치를 더한 값보다 높은 경우 압축기(120)를 가동하여 냉매를 압축한다. 제어부(190)는 압축기(120)를 기설정된 특정 운전속도로 가동하거나, 증발되는 냉매의 압력에 대한 목표압력을 기설정 목표압력으로 설정하여 이에 따른 운전속도로 가동하거나, 최대 운전속도 또는 최소 운전속도로 가동할 수 있다.
출수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물을 냉각시킬 것이 요구되므로, 제어부(190)는 압축기(120)를 가동하여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130)에서 응축되고, 팽창기구(140)에서 팽창한 후 증발기에서 물과 열교환하여 증발되도록 한다. 증발기(150)에서 증발되는 냉매와 열교환하는 물은 냉각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90)는 압축기(120)를 가동하며 송풍기(135)를 가동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냉각기(100)가 안정화되었는지 판단한다(S230). 제어부(190)는 압축기(120)를 가동하여 냉매의 압축, 응축, 증발, 팽창 과정이 이루어지며 냉동 사이클이 안정화되었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90)는 냉각기(100)의 냉동 사이클의 안정화 여부를 다양한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냉각기(100)의 안정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토출 과열도가 정상값인지 판단할 수 있다. 토출 과열도는, 토출배관 압력센서(175)가 측정한 토출압력으로부터 산출된 포화온도와, 토출배관 온도센서(176)가 측정한 토출온도의 차이다. 제어부(190)는 토출 과열도가 정상값인지 판단하여 냉각기(100)의 안정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냉각기(100)의 안정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팽창 과냉각도가 정상값인지 판단할 수 있다. 팽창 과냉각도는, 응축배관 압력센서(177)가 측정한 응축압력으로부터 산출된 포화온도와, 응축배관 온도센서(178)가 측정한 응축온도의 차이다. 제어부(190)는 팽창 과냉각도가 정상값인지 판단하여 냉각기(100)의 안정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냉각기(100)의 안정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흡입 과열도가 정상값인지 판단할 수 있다. 흡입 과열도는, 흡입배관 압력센서(173)가 측정한 증발압력으로부터 산출된 포화온도와, 흡입배관 온도센서(174)가 측정한 증발온도의 차이다. 제어부(190)는 흡입 과열도가 정상값인지 판단하여 냉각기(100)의 안정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흡입배관 온도센서(174)가 측정한 증발온도, 토출배관 온도센서(176)가 측정한 토출온도, 또는 응축배관 온도센서(178)가 측정한 응축온도가 정상값인지 판단하여 냉각기(100)의 안정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냉각기(100)가 안정화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지속적으로 안정화 여부를 판단한다(230).
제어부(190)는 냉각기(100)가 안정화 되었다고 판단되면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은 지 판단한다(S240). 제어부(190)는 출수배관 온도센서(172)가 측정한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은 지 판단한다. 즉, 제어부(190)는 다음과 같이 비교한다.
(출수온도) > (목표온도)
제어부(190)는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현재 냉각기(100)의 운전을 유지한다. 즉, 제어부(190)는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압축기(120)의 운전속도를 유지하고 팽창기구(140)의 개도를 유지하고 송풍기(135)의 회전속도를 유지한다.
제어부(190)는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 증발기(150)에서 증발되는 냉매의 압력에 대한 목표압력을 설정값(a) 만큼 낮춘다(S250).
S250 단계가 처음 수행되는 경우, 목표압력은 압축기(120)의 가동시(S220) 기절정된 목표압력이거나 현재 흡입배관 압력센서(173)가 측정한 증발압력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목표압력을 기설정된 설정값(a)만큼 낮추고 설정값(a)만큼 낮아진 목표압력에 따라 압축기(120)의 운전속도를 조절한다. 제어부(190)는 목표압력이 설정값(a)만큼 낮아지면 압축기(120)의 운전속도를 기설정된 값만큼 높인다.
제어부(190)는 목표압력을 기설정된 설정값(a)만큼 낮춘 후 출수배관 온도센서(172)가 재측정한 현재의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은 지 판단한다(S240). 제어부(190)는 목표압력을 기설정된 설정값(a)만큼 낮추고 기설정된 시간만큼 경과된 후 재측정된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은 지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90)는 목표압력을 기설정된 설정값(a)만큼 낮춘 후 냉각기(100)의 안정화 여부를 판단(S230)하여 냉각기(100)가 안정화 된 후 재측정된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은 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재측정된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설정된 목표압력으로 현재 냉각기(100)의 운전을 유지한다.
제어부(190)는 재측정된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 설정값(a)만큼 낮아진 목표압력을 설정값(a) 만큼 다시 낮춘다(S250). 제어부(190)는 재측정된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여전히 높은 경우 공조유닛(200)이 실내를 공조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물의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것이므로 목표압력을 설정값(a) 만큼 다시 낮춘다. 제어부(190)는 목표압력을 기설정된 설정값(a)만큼 다시 낮추고 설정값(a)만큼 다시 낮아진 목표압력에 따라 압축기(120)의 운전속도를 조절한다. 제어부(190)는 목표압력이 설정값(a)만큼 다시 낮아지면 압축기(120)의 운전속도를 기설정된 값만큼 다시 높인다.
제어부(190)는 목표압력을 기설정된 설정값(a)만큼 다시 낮춘 후 출수배관 온도센서(172)가 재측정한 현재의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은 지 다시 판단한다(S240).
이와 같이 제어부(190)는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거나 같아 질 때까지 반복하여 목표압력을 설정값(a) 만큼 낮춘다. 제어부(190)는 출수온도를 목표온도와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목표압력을 설정값(a) 만큼 단계적으로 조절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 목표압력을 설정값(a) 만큼 단계적으로 낮추고, 출수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목표압력을 유지한다.
실시예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제어부(190)는 출수배관 온도센서(172)가 측정한 출수온도에 따라 압축기(120)의 운전속도를 낮추거나 가동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출수온도가 상술한 목표온도에서 제 1 가중치를 뺀 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압축기(120)의 운전속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출수온도가 상술한 목표온도에서 제 2 가중치를 뺀 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제어부(190)는 압축기(120)의 가동을 중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다.
(출수온도) < (목표온도) - 1 : 압축기(120)의 운전속도 낮춤
(출수온도) < (목표온도) - 2 : 압축기(120)의 가동 중단
실시예에 따라, 냉각기(100)가 물을 가열하는 가열기로 작동되는 경우 본 발명의 사상은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증발기(150)가 압축기(120)에서 압축된 냉매가 물과 열교환하여 응축되는 응축기로 작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응축기는 입수배관(161)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제어부(190)는 출수온도로부터 응축기(130)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압력에 대한 목표압력을 설정하여 압축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냉각기 111: 토출배관
112: 응축배관 113: 팽창배관
114: 흡입배관 120: 압축기
130: 응축기 135: 송풍기
140: 팽창기구 150: 증발기
161: 입수배관 162: 출수배관
171: 입수배관 온도센서 172: 출수배관 온도센서
173: 흡입배관 압력센서 174: 흡입배관 온도센서
175: 토출배관 압력센서 176: 토출배관 온도센서
177: 응축배관 압력센서 178: 응축배관 온도센서
190: 제어부 200: 공조유닛

Claims (14)

  1. 압축기가 가동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물과 열교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에서 유출되는 물의 온도인 출수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수온도로부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되는 냉매의 압력에 대한 목표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출수온도가 실내를 공조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물의 온도인 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목표압력을 설정값만큼 낮추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압력을 상기 설정값만큼 낮춘 후 출수온도를 재측정하여 상기 목표압력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측정된 상기 출수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설정값만큼 낮아진 상기 목표압력을 상기 설정값만큼 다시 낮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압축기가 가동된 후 안정화된 경우 상기 목표압력을 설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출수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가동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설정된 목표압력에 의하여 운전속도가 조절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8.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
    상기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물과 열교환하여 증발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물이 유출되는 출수배관;
    상기 출수배관을 유동하는 물의 출수온도를 측정하는 출수배관 온도센서; 및
    상기 출수배관 온도센서가 측정한 출수온도로부터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되는 냉매의 압력에 대한 목표압력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온도가 실내를 공조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물의 온도인 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목표압력을 설정값만큼 낮추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압력을 상기 설정값만큼 낮춘 후 상기 출수배관 온도센서가 재측정한 출수온도로부터 상기 목표압력을 재설정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배관 온도센서가 재측정한 상기 출수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설정값만큼 낮아진 상기 목표압력을 상기 설정값만큼 다시 낮추는 공기조화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가 가동된 후 상기 공기조화기가 안정화 된 경우 상기 목표압력을 설정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온도인 출수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압축기를 가동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설정된 목표압력에 의하여 운전속도가 조절되는 공기조화기.
KR1020110111397A 2011-10-28 2011-10-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65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397A KR101965182B1 (ko) 2011-10-28 2011-10-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397A KR101965182B1 (ko) 2011-10-28 2011-10-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804A true KR20130046804A (ko) 2013-05-08
KR101965182B1 KR101965182B1 (ko) 2019-04-03

Family

ID=4865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397A KR101965182B1 (ko) 2011-10-28 2011-10-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1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4318A (ja) * 2007-07-09 2009-01-22 Ntt Facilities Inc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4318A (ja) * 2007-07-09 2009-01-22 Ntt Facilities Inc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182B1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9809B2 (en) Method of conditioning air with a refrigeration loop connected to a water circuit
US11959652B2 (en) Machine learning apparatus,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achine learning method
EP3301376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3835453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8064439A (ja) 空気調和装置
KR102408579B1 (ko) 스크류 압축기를 갖는 냉각 장치를 위한 용량 제어
US20210063042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74579Y1 (ko) 공기조화기
JP6105933B2 (ja) 直膨コイルを使用した空気調和機
JP3668750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8071864A (ja) 空気調和機
KR10130323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80031288A1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074422B2 (ja) 空調機とその制御方法
KR101153421B1 (ko)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KR10196518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3558788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70138703A (ko)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938950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6370425B2 (ja) 直膨コイルを使用した空気調和機
KR10185433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0323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7462830B2 (ja) 空気調和装置
WO2022234860A1 (ja) 空気調和装置
JP7466786B2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