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468A - 감압 방식의 냉매 순환 구조 - Google Patents

감압 방식의 냉매 순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468A
KR20130046468A KR1020110110874A KR20110110874A KR20130046468A KR 20130046468 A KR20130046468 A KR 20130046468A KR 1020110110874 A KR1020110110874 A KR 1020110110874A KR 20110110874 A KR20110110874 A KR 20110110874A KR 20130046468 A KR20130046468 A KR 20130046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oling
pressure
pump
coo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5141B1 (ko
Inventor
윤세진
주규태
이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알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알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알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1011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1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1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pressure of the indo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32W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3Pump spe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압 방식의 냉매 순환 구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배출량이 서로 다른 2개의 펌프로 냉매를 유입 및 흡입하여 탱크 내부의 압력이 낮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감압 방식의 냉매 순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감압 방식의 냉매 순환 구조는 발열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탱크(M), 냉각 탱크(M)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냉각 라인(L2), 냉각 탱크(M)로부터 열을 흡수한 냉매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라인(L1), 냉각 라인(L2)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의 압력으로 발열체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유입 펌프(14), 회수 라인(L1)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 범위로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펌프(12), 회수 라인(L1)으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열 수단(11) 및 방열 수단(11)으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회수하여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매 발생기(13)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탱크는 유입 펌프(14)와 흡입 펌프(12)의 압력 차에 의하여 음의 압력이 유지된다.

Description

감압 방식의 냉매 순환 구조{Structure for Circulating Refrigerants with Reduced Pressure Method}
본 발명은 감압 방식의 냉매 순환 구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배출량이 서로 다른 2개의 펌프로 냉매를 유입 및 흡입하여 탱크 내부의 압력이 낮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감압 방식의 냉매 순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작동 과정에서 전력이 사용되는 의료 장비에 냉각 장치가 사용되고 예를 들어 전자기 발생기, 경두개 자극 장치 또는 핸드 피스에 발광원 또는 발열원을 가지는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의 사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의 제거를 위하여 냉각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피부 냉각 장치, 압착 장치 또는 고주파 치료기에 냉각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의료기에 적용되는 냉각 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0841596호 ‘자기장 치료기의 냉각 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관으로 이루어진 코일, 코일의 내부를 순환하여 열을 흡수하는 냉각액, 냉각액의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펌프 및 냉각액을 저장하는 냉각액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자기장 치료기의 냉각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의료기에 적용되는 냉각 장치에 관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 공개번호 제2010-0054097호 ‘피부 냉각 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 피부 냉각 장치에 적용되는 열 교환부는 펠티어 소자, 펠티어 소자의 흡열 측에 냉각 가능하게 배치되는 냉각 파이프, 냉각 파이프를 냉매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히트 파이프, 히트 파이프의 입구측에 펌프에 의하여 냉매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냉매 탱크, 히트파이프의 출구 측으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공냉시켜 냉매 탱크로 복귀시키는 라디에이터로 이루어진 냉각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또는 공지된 냉각 장치에서 열 교환을 통하여 발열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냉매를 발열체 주변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발열체를 감싸고 있는 냉각 탱크에 이르는 관로의 길이가 길어지면 흡입 양정에서 흡입관 손실수두가 커지므로 냉매의 순환을 위한 펌프가 흡입식에 비하여 배출식이 되는 것이 유리하다. 냉매의 순환이 배출식이 되면 펌프로부터 배출된 냉매는 탱크로 유입되어 탱크 내부에 양(positive)의 압력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후 냉매는 탱크의 배출구로 밀려나가게 되어 순환 관로를 통하여 냉각부로 공급되어 펌프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 구조에서 탱크 내부가 양의 압력이 되므로 탱크 구조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한 구조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발열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밀폐한 탱크는 강건한 금속과 견고한 볼트로 체결되어 누수의 위험을 방지할 필요가 있지만 이로 인하여 탱크의 부피와 중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지 아니하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서 개시되지 아니한 새로운 순환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량이 서로 다른 펌프로 흡입 양정을 보환하여 밀봉 효과를 증가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탱크의 경량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감압 방식의 냉매 순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감압 방식의 냉매 순환 구조는 발열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탱크, 냉각 탱크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냉각 라인, 냉각 탱크로부터 열을 흡수한 냉매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라인,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의 압력으로 발열체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유입 펌프, 회수 라인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 범위로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펌프, 회수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열 수단 및 방열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회수하여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매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탱크에서 유입 펌프와 흡입 펌프의 압력 차에 의하여 음의 압력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입 펌프와 흡입 펌프의 압력은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입 펌프 또는 흡입 펌프의 압력은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또는 전압 조절에 의하여 압력이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는 탱크 내부가 음의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밀봉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는 조립용 고정 수단의 수를 감소시키면서 경량의 소재로 탱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형 경량의 탱크 설계에 유리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는 냉각 장치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제조비용이 감소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의 실시 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에서 압력이 조절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에서 압력이 조절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의 실시 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는 발열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탱크(M), 냉각 탱크(M)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냉각 라인(L2), 냉각 탱크(M)로부터 열을 흡수한 냉매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라인(L1), 냉각 라인(L2)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의 압력으로 발열체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유입 펌프(14), 회수 라인(L1)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 범위로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펌프(12), 회수 라인(L1)으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열 수단(11) 및 방열 수단(11)으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회수하여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매 발생기(13)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탱크에서 유입 펌프(14)와 흡입 펌프(12)의 압력 차에 의하여 음의 압력이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는 임의의 냉각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자기 발생기, 경두개 자극 장치 또는 핸드 피스에 발광원 또는 발열원이 있는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 장치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열체는 전력 소비로 인하여 발열이 되는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자기 치료 장치에서 자기장의 발생으로 인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코일, 피부 냉각 장치에서 전력 소비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펠티어 소자와 같은 발열 장치 또는 경두개 자극 장치에서 자기장 코일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는 전력을 전류 또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되는 임의의 변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발열체를 둘러싸고 있는 냉각 탱크의 구조는 밀폐되고 내부에 냉매가 순환하면서 열이 교환될 수 있는 관로가 형성된 임의의 구조가 될 수 있다. 냉각 탱크는 또한 임의의 소재를 이용하여 발열체의 냉각을 위한 적절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냉각 탱크의 구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냉각 탱크(M) 또는 냉각 탱크(M)가 감싸고 있는 발열체는 냉각 라인(L2)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매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다. 냉매는 예를 들어 냉각수 또는 절연유와 같은 액체 냉매 또는 공기, 암모니아 또는 염화플루오르와 같은 기체 냉매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냉매가 될 수 있다. 냉각 탱크(M)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각 라인(L2)은 방열 수단(11)으로부터 일정량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킨 냉매를 회수하여 냉매 발생기(13)로 유입시키는 제1 냉각 라인(L21), 냉매 발생기(13)에서 온도가 낮아진 냉매를 유입 펌프(14)로 공급하는 제2 냉각 라인(L22), 유입 펌프(14)의 압력에 의하여 냉각 탱크(M)로 공급되어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3 냉각 라인(L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냉각 라인(L21)의 적어도 일정 부분은 열전도열의 낮은 소재로 만들어지거나 열전도열의 낮아지도록 코팅이 될 수 있다.
회수 라인(L1)은 발열체를 감싸고 있는 냉각 탱크(M)에서 열 교환이 일어나고 이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된 냉매를 냉각 탱크(M)로부터 회수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회수 라인(L1)은 냉각 탱크(M)로부터 흡입 펌프(12)에 이르는 제1 회수 라인(L11), 흡입 펌프(12)에서 방열 수단(11)에 이르는 제2 회수 라인(L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수 라인(L1)은 냉각 라인(L2)과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매 발생기(13)는 방열 수단(11)으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장치로 예를 들어 압축기 또는 응축기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냉매 발생기(13)가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은 냉매 발생기(13)의 구조 또는 형태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냉각 라인(L2)과 회수 라인(L1) 내부의 압력은 유입 펌프(14) 및 흡입 펌프(12)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유입 펌프(14)는 냉각 탱크(M) 내부로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고 흡입 펌프(12)는 냉각 탱크(M)로부터 회수되는 냉매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 펌프(14)에 의하여 제공되는 압력은 흡입 펌프(12)에 의하여 제공되는 압력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유입 펌프(14)에 의하여 냉각 탱크(M)에 가해지는 압력이 9가 되는 경우 흡입 펌프(12)에 의하여 냉각 탱크(M)로부터 흡입하는 압력은 12가 될 수 있다. 9 또는 12와 같은 압력 수치는 상대적인 값으로 예를 들어 흡입 펌프(12)와 유입 펌프(14)의 출력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유입 펌프(14)에 의한 압력과 흡입 펌프(12)에 의한 압력이 서로 다르면 냉각 탱크(M) 내부가 음(negative)의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냉각 탱크(M)의 내부가 음의 압력으로 유지되면 냉각 탱크(M)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소재가 안쪽으로 향하는 압력을 받게 되고 이와 함께 고정 수단 또는 실링(sealing) 수단도 마찬가지로 내부로 향하는 압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이로 인하여 냉각 탱크(M)의 밀봉 효과가 높아지는 한편 냉각 탱크(M)의 실링 소재 수의 감소 또는 냉각 탱크(M)의 소재 두께의 감소가 가능하게 된다.
방열 수단(11)은 회수 라인(L1)으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112), 냉매 발생기(13)로 냉매를 보내는 출구(113) 및 온도가 높아진 냉매의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한 방열 판(111)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수단(11)은 발열체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높아진 냉매의 온도 일부를 낮추는 것에 의하여 냉매 발생기(13)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방열판은 예를 들어 열전도율이 높으면서 표면적이 넓은 금속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라디에이터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방열 수단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서 C로 표시된 영역은 냉각 탱크와 분리된 별도의 독립적인 장치를 형성하게 되고 냉각 탱크(M)가 설치되는 부분과 분리될 수 있다. 별도로 제조된 C로 표시된 부분은 추후에 냉각 탱크(M)와 연결될 수 있다. 냉각 탱크(M) 및 발열체는 진단이 이루어지는 의료 장치가 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에서 냉각 탱크 내부의 압력은 유입 펌프와 흡입 펌프의 압력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아래에서 입력 펌프와 흡입 펌프의 압력 조절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에서 압력이 조절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냉각 라인(L2)을 통하여 냉각 탱크(M)로 주입되는 냉매의 압력은 유입 펌프(14)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고 냉각 탱크(M)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압력은 흡입 펌프(12)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펌프의 압력은 전압, 전류 또는 펄스 폭 변조에 의하여 구동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모터의 제어는 교류 일단 속도 제어, 교류 이단 속도 제어, 교류 귀환 제어 또는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와 같은 방식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교류 일단 속도 제어는 가장 간단한 제어 방식으로 3상 교류의 단속도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말하고 교료 이단 속도제어는 일단 속도 제어에서 발생하는 착상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식을 말하고 그리고 교류 귀환 제어는 모터에 직류를 흐르게 하여 제동 토크를 발생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방식은 주로 모터의 회전수 제어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이에 비하여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는 인버터 제어라고 하며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변환시켜 직류전동기와 동등한 제어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출력 제어는 정밀한 측정 및 제어를 위하여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가 바람직하다.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회수 라인(L1)에 압력 센서(21)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21)에서 측정된 값은 흡입 펌프(12)로 전달되고 그에 따라 흡입 펌프(12)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대안으로 압력 센서(21)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압력 센서(21)에서 밸브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흡입 펌프(12)의 전압 및 주파수는 미리 결정되어 압력 센서(21)에 전달될 수 있고 압력 센서(21)는 전달된 전압 및 주파수에서 냉각 탱크(M)에서 배출되는 압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압력과 흡입 펌프(12)의 출력은 제어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될 수 있고 입력 압력과 비교되어 흡입 펌프(12) 출력의 조절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압력 센서(21)가 반드시 회수 라인(L1)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압력 센서(21)는 냉각 라인(L2)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압력 센서(21)는 냉각 라인(L2)과 회수 라인(L1)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21)에 의한 유입 펌프(14) 또는 흡입 펌프(12) 출력의 제어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에서 유입 펌프(14)와 흡입 펌프(12)의 출력이 조절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에서 압력이 조절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에 의하여 냉각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냉각 장치가 냉각이 요구되는 발열체에 결합된 냉각 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S21). 냉각 장치가 냉각 탱크에 연결되면(S21) 유입 펌프와 흡입 펌프의 압력이 결정될 수 있다. 유입 펌프의 압력이 일정 범위로 설정이 되고 흡입 펌프의 압력은 유입 펌프의 압력의 최대값보다 높은 범위로 설정이 될 수 있다(S22).
압력이 설정되면(S22) 발열체의 냉각을 위하여 냉각 탱크를 경유하여 냉매가 순환될 수 있다(S23). 냉매의 순환 과정에서 일정 주기로 유입 펌프 또는 흡입 펌프의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압력이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S24). 유입 펌프 또는 흡입 펌프의 압력 조절은 어느 하나의 펌프의 출력을 고정시키고 나머지 펌프의 출력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 펌프의 출력을 일정 범위에서 고정시키고 출력 펌프의 압력이 주기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압력 값에 따라 출력 펌프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압력 센서가 흡입 펌프에 설치되고 만약 측정된 압력 값이 미리 결정된 값의 범위를 벗어나면(NO) 전압 또는 주파수를 조절하여 흡입 펌프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S25). 대안으로 밸브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회수 라인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S25). 이와 달리 측정된 압력 값이 미리 결정된 값의 범위 내에 있다면(YES) 냉매의 순환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23).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에서 냉각 탱크 내의 압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는 탱크 내부가 음의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밀봉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는 조립용 고정 수단의 수를 감소시키면서 경량의 소재로 탱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형 경량의 탱크 설계에 유리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매 순환 구조는 냉각 장치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제조비용이 감소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의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방열 수단 12: 흡입 펌프
13: 냉매 발생기 14: 유입 펌프
21: 압력 센서
111: 방열 판 112: 입구
113: 출구
L1: 회수 라인 L2: 냉각 라인
M: 냉각 탱크
L11: 제1 회수라인 L12: 제2 회수라인
L21: 제1 냉각라인 L22: 제2 냉각라인
L23: 제3 냉각라인

Claims (3)

  1. 냉매 순환 구조에 있어서,
    발열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탱크;
    냉각 탱크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냉각 라인(L2);
    냉각 탱크로부터 열을 흡수한 냉매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라인(L1);
    냉각 라인(L2)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의 압력으로 발열체로 냉매를 유입시키는 유입 펌프(14);
    회수 라인(L1)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 범위로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펌프(12);
    회수 라인(L1)으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열 수단(11); 및
    방열 수단(11)으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회수하여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매 발생기(13)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탱크에서 유입 펌프(14)와 흡입 펌프(12)의 압력 차에 의하여 냉각탱크(M)에 음의 압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순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입 펌프(14)와 흡입 펌프(12)의 압력은 개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순환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입 펌프(14) 또는 흡입 펌프(12)의 압력은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또는 전압 조절에 의하여 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순환 구조.
KR1020110110874A 2011-10-28 2011-10-28 감압 방식의 발열체의 냉각 장치 KR101415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874A KR101415141B1 (ko) 2011-10-28 2011-10-28 감압 방식의 발열체의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874A KR101415141B1 (ko) 2011-10-28 2011-10-28 감압 방식의 발열체의 냉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468A true KR20130046468A (ko) 2013-05-08
KR101415141B1 KR101415141B1 (ko) 2014-07-04

Family

ID=4865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874A KR101415141B1 (ko) 2011-10-28 2011-10-28 감압 방식의 발열체의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3534B3 (de) 2012-07-05 2013-09-19 Tobias Sokolowski Vorrichtung für repetitive Nervenstimulation zum Abbau von Fettgewebe mittels induktiver Magnetfelder
US11491342B2 (en) 2015-07-01 2022-11-08 Btl Medical Solutions A.S. Magnetic stimul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therapeutic treatments
US20180001107A1 (en) 2016-07-01 2018-01-04 Btl Holdings Limited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US10695575B1 (en) 2016-05-10 2020-06-30 Btl Medical Technologies S.R.O.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US11266850B2 (en) 2015-07-01 2022-03-08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High power time varying magnetic field therapy
US11253717B2 (en) 2015-10-29 2022-02-22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US11464993B2 (en) 2016-05-03 2022-10-11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Device including RF source of energy and vacuum system
US11247039B2 (en) 2016-05-03 2022-02-15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Device including RF source of energy and vacuum system
US11534619B2 (en) 2016-05-10 2022-12-27 Btl Medical Solutions A.S.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US10583287B2 (en) 2016-05-23 2020-03-10 Btl Medical Technologies S.R.O.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treatment
US10556122B1 (en) 2016-07-01 2020-02-11 Btl Medical Technologies S.R.O.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CA3116569C (en) 2019-04-11 2023-08-15 Btl Medical Technologies S.R.O. Methods and devices for aesthetic treatment of biological structures by radiofrequency and magnetic energy
US11878167B2 (en) 2020-05-04 2024-01-23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CA3173876A1 (en) 2020-05-04 2021-11-11 Tomas SCHWARZ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US11896816B2 (en) 2021-11-03 2024-02-13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763A (ko) * 1991-07-03 1993-02-23 이헌조 냉동사이클의 냉매순환제어장치
JP2835325B2 (ja) * 1997-01-20 1998-12-14 隆雄 原 冷凍システム並びに凝縮用熱交換装置
JPH11137227A (ja) * 1997-11-10 1999-05-25 Miura Co Ltd 真空冷却装置の運転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141B1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141B1 (ko) 감압 방식의 발열체의 냉각 장치
CN208317253U (zh) 一种变频器控制柜
CN209516297U (zh) 一种高效的激光器专用散热装置
CN107845843A (zh) 动力电池系统及车辆
KR20120110891A (ko) 인버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차량
KR101623823B1 (ko) 드라이진공펌프장치 및 그 냉각방법
CN102931569A (zh) 准分子激光器的自动温控系统
CN114244021B (zh) 一种具有高效散热降温设备的电机
CN104972892A (zh) 一种混合动力驱动系统冷却系统
JP2008130791A (ja) 電力変換装置の冷却システム
CN114531825B (zh) 一种电源辅助散热设计方法、服务器电源、数据中心
CN115869123A (zh) 一种医用控温仪
CN214592566U (zh) 一种水冷却变频器
KR101389154B1 (ko) 전동차 모터 인버터 모듈의 냉각 시스템
CN211788524U (zh) 一种具有温控功能的e型配电变压器
CN209173230U (zh) 一种重复经颅磁刺激仪的主机箱
CN210745838U (zh) 一种应用于矿山机车变频器上的散热装置
CN209459260U (zh) 一种半导体制冷、制热模块组合系统
KR101511538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동차의 흡기온도 저감장치
KR20120113612A (ko) 인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차량
CN104578817B (zh) 一种交‑直‑交变频器专用的复合型冷却系统
JP5373691B2 (ja) ドライ真空ポンプ装置
CN220642595U (zh) 一种水冷式臭氧发生器
KR20090006535A (ko)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장치
CN216317072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