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977A - 스텐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텐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977A
KR20130045977A KR1020110110249A KR20110110249A KR20130045977A KR 20130045977 A KR20130045977 A KR 20130045977A KR 1020110110249 A KR1020110110249 A KR 1020110110249A KR 20110110249 A KR20110110249 A KR 20110110249A KR 20130045977 A KR20130045977 A KR 20130045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protrusion
laminated
upward
s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브로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브로지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브로지아
Priority to KR1020110110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5977A/ko
Publication of KR20130045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9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 rings flexibly connected by separat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24Anti-adhesion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 제조방법은, 링 형상의 모재를 둘 이상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모재의 지름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각 모재에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재의 전체 또는 일부에 용가재 또는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용가재 또는 접착제가 도포된 부위가 상호 맞닿도록 상기 둘 이상의 모재를 상기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된 모재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텐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stent}
본 발명은 스텐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텐트를 쉽고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스텐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관은 혈전, 동맥경화 등에 의해 혈관의 협착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노화나 기타의 질병에 의해 혈관의 일부분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동맥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혈관의 협착부위나 동맥류 부위에는 주로 외과적인 수술을 통하여 상기한 부위에 인조혈관 대치술 또는 우회적인 조성술을 이용하였으나 이는 병변부위를 절개해야 하므로 큰 흉터를 남김은 물론 수술효과가 그다지 높지 못한 단점 등이 있었다. 또한, 상기 혈관의 협착이외에 식도, 담도, 요도의 협착, 경정맥 간내 문매간 인공통로 설치는 물론이고 기타 장기의 폐색 또는 협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최근에는 상기한 신체의 협착, 혈관의 동맥류 등과 같은 병변부위로 외과적인 수술을 행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시술하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는바, 그 중 하나가 스텐트에 의한 시술이다. 스텐트는 식도나 장기 등에 사용되는 비스텐트와 혈관에 사용되는 혈관용 스텐트로 구분되는데, 통상 비스텐트는 와이어를 중공식 원통 형상으로 넷팅하는 공정을 통해 제작되고, 스텐트는 통상적으로 튜브형상의 모재를 레이저 컷팅하는 공정을 통해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와이어 넷팅 공정에 의한 스텐트 제조방법은 많이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고, 레이저 컷팅 공정에 의한 스텐트 제조방법은 매우 정교한 가공기술이 요구되는바, 결과적으로 제조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넷팅 방식이나 레이저 컷팅 방식에 비해 스텐트를 쉽고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스텐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링 형상의 모재를 둘 이상 마련하는 단계; 상기 모재의 지름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각 모재에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재의 전체 또는 일부에 용가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용가재가 도포된 부위가 상호 맞닿도록 상기 둘 이상의 모재를 상기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적층된 모재를 브레이징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가재는, 상기 상향 돌출부 끝단과 상기 하향 돌출부 끝단에 도포되고, 상기 둘 이상의 모재는, 상측 모재의 하향 돌출부와 하측 모재의 상향 돌출부 끝단이 맞닿도록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링 형상의 모재를 둘 이상 마련하는 단계; 상기 모재의 지름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각 모재에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두 모재를 상기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적층하되, 적층되는 두 모재가 맞닿는 부위에 용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적층된 모재를 브레이징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되는 두 모재는 상측 모재의 하향 돌출부 끝단과 하측 모재의 상향 돌출부 끝단이 마주보도록 적층되며, 상기 용가재는 상측 모재의 하향 돌출부 끝단과 하측 모재의 상향 돌출부 끝단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링 형상의 모재를 둘 이상 마련하는 단계; 상기 모재의 지름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각 모재에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두 모재를 상기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적층하는 단계; 적층된 모재를 액상 용가재에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적층된 모재를 액상 용가재로부터 인출시킨 후 브레이징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되는 두 모재는 상측 모재의 하향 돌출부 끝단과 하측 모재의 상향 돌출부 끝단이 마주보도록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링 형상의 모재를 둘 이상 마련하는 단계; 상기 모재의 지름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각 모재에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재의 전체 또는 일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부위가 상호 맞닿도록 상기 둘 이상의 모재를 상기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적층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상향 돌출부 끝단과 상기 하향 돌출부 끝단에 도포되고, 상기 둘 이상의 모재는 상측 모재의 하향 돌출부와 하측 모재의 상향 돌출부 끝단이 맞닿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상향 돌출부와 하향 돌출부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향 돌출부와 하향 돌출부는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텐트 제조방법은, 상호 결합된 둘 이상의 모재를 혈관 재협착방지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넷팅 방식이나 레이저 컷팅 방식에 비해 스텐트를 쉽고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고, 각 모재 간의 결합부위에 열응력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스텐트(100)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모재(10)를 둘 이상 마련하고, 상기 모재(10)의 지름방향과 직각인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모재(10)를 가압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재(10)에 상향 돌출부(12) 및 하항 돌출부(14)를 둘 이상 교번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향 돌출부(12) 및 하항 돌출부(14)를 형성하는 단계는, 모재(10)를 사이에 두고 상부 지그와 하부 지그를 압착시키는 공정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모재(10)를 상향 및 하향으로 교번 가압하는 소성가공 공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향 돌출부(12)와 하항 돌출부(14)는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바, 모재(10)의 평면 형상은 링 형상으로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링 형상의 모재(10)에 상향 돌출부(12)와 하항 돌출부(14)가 교번으로 형성되면, 모재(10)의 직경방향(도 2에서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직경방향과 직경을 이루는 방향(도 2에서 수직방향)으로도 탄성을 가지게 되어 변형 자유도가 매우 높아지는바, 결과적으로 상기 모재(10)가 적층 방식으로 복수개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스텐트(100)(도 3 참조)의 유연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0)에 상향 돌출부(12)와 하항 돌출부(14)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모재(10)의 전체 또는 일부에 용가재(F)를 도포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모재(10)를 상기 상향 돌출부(12) 및 하항 돌출부(14)의 돌출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적층시킨 후, 브레이징 시킴으로써 각 모재(10)를 하나로 결합시킨다.
이때 브레이징 방법은 가열 방식에 따라, 용가재(F)만을 가열하는 부분가열 방식과, 용가재(F)와 모재를 모두 가열하는 전체가열 방식으로 크게 구분되며, 부분가열 방식으로는 토치가열, 유도가열, 저항가열, 적외선가열 등이 있고, 전체가열 방식으로는 가열로 내에 모재 전체를 넣어 가열하는 방식과 고온의 염욕조에 침지시켜 가열하는 방식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브레이징 공정은, 모재에 열변형, 뒤틀림, 잔류응력이 발생되지 아니할 수만 있다면 상기 언급한 어떠한 브레이징 방식 중 어떠한 방식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가재(F)는 여러 개의 모재(10)가 적층되었을 때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 도포되어야 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모재(10)의 하항 돌출부(14)와 하측 모재(10)의 상향 돌출부(12)가 접촉되도록 적층되는 경우에는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돌출부(12)와 하항 돌출부(14)에 각각 용가재(F)가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가재(F)가 상측 모재(10)의 하항 돌출부(14)에만 도포되거나 하측 모재(10)의 상향 돌출부(12)에만 도포되더라도 상측 모재(10)의 하항 돌출부(14)와 하측모재(10)의 상향 돌출부(12)가 접촉되었을 때 상호 접촉되는 부위가 용가재(F)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바, 상기 용가재(F)는 상측 모재(10)의 하항 돌출부(14)와 하측 모재(10)의 상향 돌출부(12) 중 어느 한 부위에만 도포될 수도 있다.
한편, 모재(10)의 크기가 너무 작아 용가재(F)를 상향 돌출부(12)와 하항 돌출부(14)에만 도포시키는 작업이 어려운 경우, 상기 용가재(F)는 모재(10) 전체에 걸쳐 도포될 수도 있다. 이때, 제작자는 각 모재(10) 전체에 용가재(F)를 도포시킨 후 모재(10)를 적층시킬 수도 있고, 제조공정이 단축될 수 있도록 두 모재(10)를 상향 돌출부(12) 및 하항 돌출부(14)의 돌출 방향으로 적층한 후 적층된 모재(10)를 액상 용가재(F)에 침지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용가재(F)가 모재(10) 전체에 걸쳐 도포되는 경우, 각 모재(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모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항 돌출부(14) 끝단과 상향 돌출부(12) 끝단이 접촉되는 형상으로 적층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항 돌출부(14)의 측면과 상향 돌출부(12)의 측면이 접촉되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향 돌출부(12)와 하항 돌출부(14)가 교번으로 형성되도록 모재(10)를 형상 가공하여 브레이징시키는 공정은 와이어를 일일이 꼬아 원통 형상으로 만드는 와이어 넷팅 공정에 비해 매우 단순하고 간단하므로, 크기가 작은 스텐트(100)를 매우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텐트(100)의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하로 적층된 모재(10) 간 접촉부위를 용접 방식으로 결합시키면, 모재(10)간 접촉부위가 가열되어 액체상태로 상변화 되었다가 냉각되는 과정을 통해 고체상태로 되돌아오므로, 열변형, 뒤틀림, 잔류응력, 분자결합 구조변화 등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모재(10)간 접촉부위의 탄성 및 강도가 변경된다. 이와 같이 모재(10)간 접촉부위만이 탄성 및 강도가 변경되면 모재(10)간 접촉부위가 쉽게 파손될 수도 있고, 스텐트(100)의 탄성 및 강도가 전체적으로 고르지 못하게 되므로 스텐트의 각 부위별 휨량이 상이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텐트(100)는 그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모재(10)간 접촉부위를 용접하는 작업이 매우 난해하다는 제작 상의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 제조방법과 같이 적층된 모재(10)를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결합시키게 되면, 모재(10)가 고온으로 가열되지 아니하므로(즉, 액체상태가 되도록 가열되지 아니하므로), 열변형이 발생되거나 뒤틀림 현상이 발생되거나 잔류응력이 발생되거나 분자결합 구조가 변화되지 아니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재의 어느 일부분 탄성 및 강도가 변화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모재(10) 간의 접촉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고, 스텐트(100)의 탄성 및 강도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지되는바 스텐트의 어느 일부위가 기형적으로 많이 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브레이징 공정을 이용하는 경우 국부적인 열변형이 발생되지 아니한다는 사실은 본 발명이 해당하는 분야의 당업자라면 누구라도 인지하는 사실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브레이징 공정을 이용하면 스텐트(100)의 크기에 관계없이 각 모재(1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바, 제조공정이 매우 단순해지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가 현저히 저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 제조방법은 용가재(F)를 이용하는 브레이징공정 대신,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공정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모재(10)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용가재(F) 대신 접착제를 모재(10)의 상향 돌출부(12)와 하향 돌출부(14)에 도포한 후, 접착제가 도포된 부위가 서로 맞닿도록 각 모재(10)를 수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각 모재(10)를 하나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는 위치는 용가재(F) 도포 위치와 마찬가지로 상향 돌출부(12)와 하향 돌출부(14) 중 어느 한 부위에만 도포될 수도 있고, 모재(10)의 전체에 걸쳐 도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각 모재(10)를 결합시키는 경우, 각 모재(10)는 전혀 가열되지 아니하므로 열변형, 뒤틀림현상, 잔류응력 등이 전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모재(10) 간의 접합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 확보될 수 있도록 합성유기질 접착제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모재(10)에 형성되는 상향 돌출부(12)와 하항 돌출부(1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을 이루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 제조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링 형상의 모재(10)를 마련하는 단계와, 모재(10)의 지름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모양의 상향 돌출부(12) 및 하항 돌출부(14)를 형성하는 단계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모재(10)를 적층한 후 브레이징시킴으로써 각 모재(10)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링 형상의 모재(10)에 상향 돌출부(12)와 하항 돌출부(14)를 형성하는 방법이나, 적층된 모재(10)를 브레이징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향 돌출부(12)와 하항 돌출부(14)가 절곡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절곡점을 중심으로 좌우 비율 및 경사각을 일정하게 제작하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상향 돌출부(12)와 하항 돌출부(14)로 인가되는 외력이 좌우 균형을 맞추어 분산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향 돌출부(12)와 하항 돌출부(14)를 절곡된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만곡된 곡선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보다 용이하므로, 제품의 단가가 낮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브레이징을 위해 모재(10)에 도포되는 용가재(F)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스텐트(100)가 혈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용가재(F)가 혈관에 접촉되어 예기지 아니한 혈관 재협착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 제조방법은,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둘 이상의 모재(10)를 혈관 재협착방지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혈관 재협착방지 조성물은 다양한 종류로 개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텐트(100)에 이미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모재 12 : 상향 돌출부
14 : 하향 돌출부 100 : 스텐트
F : 용가재

Claims (11)

  1. 링 형상의 모재를 둘 이상 마련하는 단계;
    상기 모재의 지름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각 모재에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재의 전체 또는 일부에 용가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용가재가 도포된 부위가 상호 맞닿도록 상기 둘 이상의 모재를 상기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적층된 모재를 브레이징하여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가재는, 상기 상향 돌출부 끝단과 상기 하향 돌출부 끝단에 도포되고,
    상기 둘 이상의 모재는, 상측 모재의 하향 돌출부와 하측 모재의 상향 돌출부 끝단이 맞닿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3. 링 형상의 모재를 둘 이상 마련하는 단계;
    상기 모재의 지름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각 모재에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두 모재를 상기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적층하되, 적층되는 두 모재가 맞닿는 부위에 용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적층된 모재를 브레이징하여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두 모재는 상측 모재의 하향 돌출부 끝단과 하측 모재의 상향 돌출부 끝단이 마주보도록 적층되며,
    상기 용가재는 상측 모재의 하향 돌출부 끝단과 하측 모재의 상향 돌출부 끝단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5. 링 형상의 모재를 둘 이상 마련하는 단계;
    상기 모재의 지름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각 모재에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두 모재를 상기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적층하는 단계;
    적층된 모재를 액상 용가재에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적층된 모재를 액상 용가재로부터 인출시킨 후 브레이징하여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두 모재는 상측 모재의 하향 돌출부 끝단과 하측 모재의 상향 돌출부 끝단이 마주보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7. 링 형상의 모재를 둘 이상 마련하는 단계;
    상기 모재의 지름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각 모재에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재의 전체 또는 일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부위가 상호 맞닿도록 상기 둘 이상의 모재를 상기 상향 돌출부 및 하향 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적층하여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상향 돌출부 끝단과 상기 하향 돌출부 끝단에 도포되고,
    상기 둘 이상의 모재는, 상측 모재의 하향 돌출부와 하측 모재의 상향 돌출부 끝단이 맞닿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돌출부와 하향 돌출부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돌출부와 하향 돌출부는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결합된 둘 이상의 모재를 혈관 재협착방지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KR1020110110249A 2011-10-27 2011-10-27 스텐트 제조방법 KR20130045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249A KR20130045977A (ko) 2011-10-27 2011-10-27 스텐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249A KR20130045977A (ko) 2011-10-27 2011-10-27 스텐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977A true KR20130045977A (ko) 2013-05-07

Family

ID=4865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249A KR20130045977A (ko) 2011-10-27 2011-10-27 스텐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59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034A (ko) 2017-04-26 2018-11-05 광주과학기술원 스마트재료를 이용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스텐트 및 스텐트의 제조방법
KR20180124627A (ko) 2017-05-12 2018-11-21 광주과학기술원 스마트재료의 변형을 이용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스텐트 및 스텐트의 제조방법
KR20190088320A (ko) 2018-01-18 2019-07-26 광주과학기술원 분기형 스텐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034A (ko) 2017-04-26 2018-11-05 광주과학기술원 스마트재료를 이용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스텐트 및 스텐트의 제조방법
KR20180124627A (ko) 2017-05-12 2018-11-21 광주과학기술원 스마트재료의 변형을 이용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스텐트 및 스텐트의 제조방법
KR20190088320A (ko) 2018-01-18 2019-07-26 광주과학기술원 분기형 스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09545B (zh) 具有通过柔性卷材相连的相邻元件的支架
US11103371B2 (en) Highly flexible st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783316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ndovascular graft section
US7837726B2 (en) Visible endoprosthesis
EP1244389B1 (en) Process for laser joining dissimilar metals especially for producing endoluminal stents
JP5800774B2 (ja) 素線末端を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結果得られる装置
US8328865B2 (en) Highly flexible st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30045977A (ko) 스텐트 제조방법
US20110004290A1 (en) Highly flexible st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30226282A1 (en) Stent wir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stent wires and stents
JP2007534838A5 (ko)
JP2006503636A (ja) ステントを作成するためのマンドレル及び方法
JPWO2009050888A1 (ja) 脈管ステント用の管状体形成エレメント及び脈管ステント
JP2009523050A (ja) 血管内人工装具及び関連する製造方法
US7666496B2 (en) Micro-sintered node ePTFE structure
KR101110229B1 (ko) 스텐트 제조 방법
US2004007897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 mesh jewel
Elsisy et al. Materials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of nitinol endovascular devices
JP2019209621A (ja) スクリーン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47140A (ja) 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ステント
KR101790576B1 (ko) 마커 부재를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JP2006218836A (ja) 防汚性膜材接合体
KR101512234B1 (ko) 와이어형 스텐트
JP2019122551A (ja) ステント
TWM317873U (en) Joint structure of golf club head with heterogeneous me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