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563A -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563A
KR20130045563A KR1020110109837A KR20110109837A KR20130045563A KR 20130045563 A KR20130045563 A KR 20130045563A KR 1020110109837 A KR1020110109837 A KR 1020110109837A KR 20110109837 A KR20110109837 A KR 20110109837A KR 20130045563 A KR20130045563 A KR 20130045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mortar
supply device
transmission tower
bucke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006B1 (ko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김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규 filed Critical 김용규
Priority to KR1020110109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0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28B13/023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by using a feed box transferring the moulding material from a hopper to the moulding cavities
    • B28B13/023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by using a feed box transferring the moulding material from a hopper to the moulding cavities the feed box being provided with agitating means, e.g. stirring vanes to avoid premature setting of the mould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로 험준한 산악지대에 설치되는 송전철탑 건설시에 헬기 또는 삭도 등의 공중운반수단에 의해 콘크리트를 실은 버킷을 매달아 타설지점까지 운반하게 될 때 버킷을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버킷에 담겨진 콘크리트 몰탈을 골고루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송전철탑을 건설하기 위해 헬기 또는 삭도 등의 공중운반수단으로 콘크리트 몰탈을 실은 버킷을 운반하여 버킷 하부의 출구를 통해 부어지는 콘크리트 몰탈을 거푸집 설치장소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로 이루어지되 상향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콘크리크 몰탈 수집부를 구비하는 장방형의 공급장치 본체와, 상기 수집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지지대가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다수의 통공을 가진 버킷 안착부와, 상기 수집부의 하부에 전후방으로 배치된 이송스크류가 설치되어 전방의 배출구멍을 통해 콘크리트 몰탈이 반출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서 된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Supply Device of Concrete Mortar for Transmission Iron Tower Base}
본 발명은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로 험준한 산악지대에 설치되는 송전철탑 건설시에 헬기 또는 삭도 등의 공중운반수단에 의해 콘크리트를 실은 버킷을 매달아 타설지점까지 운반하게 될 때 버킷을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버킷에 담겨진 콘크리트 몰탈을 골고루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철탑은 진입로 개설이 없는 험준한 산악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송전철탑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공사시에 헬기 또는 삭도 등의 공중운반수단에 의해 콘크리트 몰탈을 실은 버킷을 매달아 타설지점 부근까지 운반하여 임시 구덩이에 콘크리트 몰탈을 부은 후 인력과 장비를 이용하여 거푸집에 타설하는 형태로 시공되고 있다.
즉, 종래에는 헬기 또는 삭도 등을 통해 버킷에 담겨진 콘크리트 몰탈을 부을 수 있는 임시 구덩이를 매번 타설지점마다 조성해야되므로 많은 인력 및 장비를 투입해야 되고, 작업시간이 걸리게 될 뿐만 아니라 버킷을 하부 출구를 통해 콘크리트 몰탈을 웅덩이에 붓는 과정에서 웅덩이를 벗어나 주변에 떨어지게 되거나 사용하고 남은 웅덩이에 있는 콘크리트 몰탈을 처리하는 데도 쉽지 않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몰탈의 손실 및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선행기술로서 특허 제10-0712221호로 개시된 송전 철탑 건설을 위한 콘크리트 이송배관 라인 시공방법 및 구조에서는. 산악지대에 건설되는 송전철탑 시공 방법에 있어서, 송전철탑 부지를 선정한 후 산 아래의 고압펌프카 설치 위치까지 지형구조파악과 최근접거리를 측량한 후 이송관 설치라인을 선정하는 단계; 헬기로 심형철근과 중간펌프, 콘크리트 이송관등 장비를 운반하는 준비단계;
경사가 깊은 계곡에 와이어로프 거치대를 설치하고 이송관을 직선으로 설치하는 거치대 및 직선이송관 설치단계; 15도 내지 30도의 완만한 굴곡진 협곡에 콘크리트 분리 방지관 및 엘보이송관을 설치하는단계; 계곡에 설치된 거치대의 직선이송관과 협곡에 설치된 엘보이송관 및 산등성이에 위치한 직선 이송관을 연결하는 단계; 만곡형이송관이 설치된 협곡 및 산등성이에 설치된 직선형이송관에 콘크리트 압송증력을 위한 중간 펌프를 설치하는 단계; 고압펌프카의 호퍼 배관과 직선이송관을 연결한 후 콘크리트를 이송관으로 압송시켜 심형철근구조물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한 송전철탑 건설을 위한 콘크리트 이송배관 라인 시공방법 및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 의해 험준한 산악지역에 송전철탑을 건설시 기초지반을 굴착 후 설치한 심형철근 구조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이송배관 라인을 설치하여 고압펌프카로 콘크리트를 압출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협곡 및 계곡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가 장대한 장소에 콘크리트 몰탈을 이송배관 라인을 설치하는 것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시간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하부지점에 있는 고압펌프카로 콘크리트 몰탈을 이송배관라인을 통해 상향 압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어서 콘크리트 몰탈을 상향이송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송전철탑이 설치되는 장소 주변의 지반에 콘크리트 몰탈이 담겨질 수 있는 통형의 수집부를 가진 공급장치 본체를 구비하되 수집부의 상단에 지지대가 격자로 배치되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버킷 안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버킷을 안착시키고 버킷의 하부 출구를 통한 콘크리트 몰탈이 수집부에 담겨질 수 있도록 하고, 수집부의 하부에는 이송스크류에 설치하여 수집부에 담겨진 콘크리트 몰탈을 혼합 및 외부로 반출하여 관로를 통해 거푸집 설치장소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송전철탑을 건설하기 위해 헬기 또는 삭도 등의 공중운반수단으로 콘크리트 몰탈을 실은 버킷을 운반하여 버킷 하부의 출구를 통해 부어지는 콘크리트 몰탈을 거푸집 설치장소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로 이루어지되 상향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콘크리크 몰탈 수집부를 구비하는 장방형의 공급장치 본체와, 상기 수집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지지대가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다수의 통공을 가진 버킷 안착부와, 상기 수집부의 하부에 전후방으로 배치된 이송스크류가 설치되어 전방의 배출구멍을 통해 콘크리트 몰탈이 반출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서 된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킷 안착부는, 테두리면 하부에 걸림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수집부의 상단 내측에 걸리도록 한 구성으로 안착부가 움직이지 않고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집부는, 내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콘리리트 몰탈이 하부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하는 상광하협상으로 구비되되 수집부의 중앙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집부는, 내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콘리리트 몰탈이 하부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하는 상광하협상으로 구비되되 수집부의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멍의 선단부에 개폐부재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몰탈이 이송되지 않고 혼합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집부의 상단 일측에는 장방형의 보조 수집판을 힌지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는 송전철탑이 설치되는 장소 주변의 지반에 콘크리트 몰탈이 담겨질 수 있는 수집부의 상단에 구비된 버킷 안착부에 공중운반되는 버킷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고 버킷의 하부 출구를 통해 부어지는 콘크리트 몰탈을 수집부에 수집하여 이를 이송스크류를 통해 골고루 혼합 및 배출구멍을 통해 거푸집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타설할 수 있게 되어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임시 구덩이를 조성하는 대신 공중운반 또는 구름이동이 가능한 공급장치 본체에 의해 콘크리트 몰탈의 수집 및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콘크리트 몰탈의 손실을 최소화함과 아루러 인력 및 장비투입 절감, 환경오염 등을 바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의 수집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구성에 의한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의 수집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본체에 이동바퀴를 구비한 상태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진입로 개설이 없는 험준한 산악지에 송전철탑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공사시에 헬기 또는 삭도 등의 공중운반수단에 의해 콘크리트 몰탈을 실은 버킷을 매달아 타설지점까지 운반되는 버킷(A)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버킷(A) 하부의 출구(A-1)를 통해 부어지는 콘크리트 몰탈을 수집하여 이를 혼합 및 거푸집 설치장소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송전철탑을 건설하기 위해 헬기 또는 삭도 등의 공중운반수단으로 콘크리트 몰탈을 실은 버킷(A)을 운반하여 버킷(A) 하부의 출구(A-1)를 통해 부어지는 콘크리트 몰탈을 거푸집(도시되지 않음) 설치장소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로 이루어지되 상향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콘크리크 몰탈 수집부(20)를 구비하는 장방형의 공급장치 본체(10)와, 상기 수집부(20)의 상단에 설치되되 철근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대(32)가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다수의 통공(34)을 가진 버킷 안착부(30)와, 상기 수집부(20)의 하부에 전후방으로 배치된 이송스크류(40)가 설치되어 전방의 배출구멍(50)을 통해 콘크리트 몰탈)이 반출되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급장치 본체(10)는, 중량물에 해당하므로 헬기 또는 삭도 등의 공중운반수단이나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운반하여 설정된 장소의 지면에 평평하게 설치를 하되 산악지대와 같은 경우에는 대부분 경사진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이때는 경사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평평한 상태를 만들어 설치해야 한다.
또한, 공급장치 본체(10)의 하부에 이동바퀴(12)를 구비하여 가까운 설정장소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이동설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킷 안착부(30)는, 테두리면 하부 4부분에 걸림돌기(36)를 각각 형성하여 수집부(20)의 상단 내측에 걸리도록 한 구성으로 버킷 안착부(30)가 움직이지 않고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지지대(32)는 철근으로 구비되어 헬기 또는 삭도 등의 공중운반수단에 의해 매달려있는 콘크리트 몰탈)이 담겨진 버킷(A)이 하향되어 안착될 때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되 버킷(A)의 하부 출구(A-1)를 통한 콘크리트 몰탈)은 지지대(32)를 격자형으로 배치하여 구비되는 다수의 통공(34)을 통해 수집부(20)에 콘크리트 몰탈이 담겨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집부(20)는, 내부에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콘리리트 몰탈이 하부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하는 상광하협상으로 구비되되 수집부(20)의 중앙 양측에 경사면(22)이 형성되거나 수집부(20)의 일측에 경사면(2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스크류(40)는, 수집부(20)의 하부에 모여지는 콘크리트 몰탈)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방의 배출구멍(50)을 통해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배출구멍(50)의 선단부에 개폐부재(52)를 설치하여 배출구멍(50)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이송스크류(40)의 회전시에 콘크리트 몰탈이 이송되지 않고 혼합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배출구멍(50)의 선단에는 이송관로(B)가 설치되어 콘크리트 몰탈을 거푸집에 이송 공급하여 타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집부(20)의 상단 일측에는 장방형의 보조 수집판(24)을 힌지(26) 연결하여 공중이동수단에 의해 매달린 버킷(A)이 수집부(20)의 직상방을 벗어나는 위치에 놓여지는 경우에는 보조 수집판(24)으로 콘크리트 몰탈)을 부어 수집부(20)로 수집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보조 수집판(24)은 수집부(20)에 콘크리트 몰탈이 이송될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보조 수집판(24)은 경사진 지면을 이용하여 경사지게 받쳐지거나 별도의 토사 등을 보조 수집판(24) 하부에 쌓는 형태로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급장치 본체(10)의 수집부(20) 바깥쪽에 위치하는 하부 일측 공간부에는 이송스크류(40)를 구도하기 위한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장치(42)와, 수집부(20)를 호스를 이용하여 물청소하기 위한 물탱크(60)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진입로 개설이 없는 험준한 산악지에 송전철탑을 설치하기 위한 콘크리트 몰탈로 기초공사를 하게 될 때 헬기 또는 삭도 등의 공중운반수단에 의해 콘크리트 몰탈을 실은 버킷(A)을 매달아 타설지점 부근까지 운반한 다음 버킷(A)의 하부 출구(A-1)를 통해 공급장치 본체(10)의 수집부(20)에 부어지는 콘크리트 몰탈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집하여 콘크리트 몰탈이 굳지 않도록 골고루 혼합함과 아울러 이를 반출하여 이송관로(B)를 통해 거푸집에 타설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공급장치 본체(10)는 송전철탑을 설치하기 위한 거푸집 시공장소의 상측 위치에서 평평한 지면에 설치하되 경사면의 경우에는 절개시켜 지면을 평평하게 한 다음 설치한 다음 수집부(20)의 상단에 안착부(30)를 설치하고 배출구멍(50)은 거푸집으로 콘크리트 몰탈이 반출될 수 있도록 이송관로(B)를 연결한 상태에서 공중운반되는 버킷(A)을 수집부(20)의 상측위치에서 하강하여 안착부(30)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킨 다음 버킷(A)의 하부 출구(A-1)를 개방하게 되면 안착부(30)의 통공(34)을 통해 버킷(A)에 담겨진 콘크리트 몰탈이 수집부(20)에 낙하하여 수집이 된다.
이때 수집부(20)의 이송스크류(40)는 회전시켜 배출구멍(50)을 통해 반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송관로(B)를 거쳐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반출시간을 지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배출구멍(50)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개폐부재(52)에 의해 배출구멍(50)을 차단하게 되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40)에 의해 콘크리트 몰탈은 수집부(20) 내에서 콘크리트 몰탈이 굳지 않도록 하면서 골고루 혼합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수집부(20)의 상단 일측에 힌지(26) 연결된 보조 수집판(24)에 의해 버킷(A)이 수집부(20)의 직상방을 벗어나는 위치에 놓여지는 경우에는 보조 수집판(24)으로 콘크리트 몰탈)을 수집하여 수집부(20)로 수집 안내할 수 있게 되므로 버킷(A)을 통해 부어지는 콘크리트 몰탈의 수집범위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 몰탈이 지면에 직접 닿는 것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몰탈의 손실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수집부(20)에 의해 버킷(A)에 의해 공중운반된 콘크리트 몰탈을 수집하여 거푸집에 간편하게 타설할 수 있게 되고, 또 다른 장소에 이동하여 송전철탑의 기초공사를 하고자 할 때에는 공급장치 본체(10)를 헬기 등을 통해 공중운반하거나 이동바퀴(12)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버킷 A-1 : 출구
B : 이송관로 10 : 공급장치 본체
12 : 이동바퀴 20 : 수집부
22 : 경사면 24 : 보조 수집판
26 : 힌지 30 : 안착부
32 : 지지대 34 : 통공
36 : 걸림돌기 40 : 이송스크류
42 : 구동장치 50 : 배출구멍
52 : 개폐부재 60 : 물탱크

Claims (6)

  1. 송전철탑을 건설하기 위해 헬기 또는 삭도 등의 공중운반수단으로 콘크리트 몰탈을 실은 버킷(A)을 운반하여 버킷(A) 하부의 출구(A-1)를 통해 부어지는 콘크리트 몰탈을 거푸집 설치장소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로 이루어지되
    상향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콘크리크 몰탈 수집부(20)를 구비하는 장방형의 공급장치 본체(10)와,
    상기 수집부(20)의 상단에 설치되되 지지대(32)가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다수의 통공(34)을 가진 버킷 안착부(30)와,
    상기 수집부(20)의 하부에 전후방으로 배치된 이송스크류(40)가 설치되어 전방의 배출구멍(50)을 통해 콘크리트 몰탈이 반출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안착부(30)는, 테두리면 하부에 걸림돌기(36)를 각각 형성하여 수집부(20)의 상단 내측에 걸리도록 한 구성으로 안착부(30)가 움직이지 않고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20)는, 내부에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콘리리트 몰탈이 하부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하는 상광하협상으로 구비되되 수집부(20)의 중앙 양측에 경사면(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20)는, 내부에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콘리리트 몰탈이 하부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하는 상광하협상으로 구비되되 수집부(20)의 일측에 경사면(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멍(50)의 선단부에 개폐부재(52)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몰탈이 이송되지 않고 혼합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20)의 상단 일측에는 장방형의 보조 수집판(24)을 힌지(26)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KR1020110109837A 2011-10-26 2011-10-26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KR101315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837A KR101315006B1 (ko) 2011-10-26 2011-10-26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837A KR101315006B1 (ko) 2011-10-26 2011-10-26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563A true KR20130045563A (ko) 2013-05-06
KR101315006B1 KR101315006B1 (ko) 2013-10-04

Family

ID=4865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837A KR101315006B1 (ko) 2011-10-26 2011-10-26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0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5561A (zh) * 2014-05-16 2014-08-27 浙江海洋学院 混泥土浇筑设备
CN112324142A (zh) * 2020-10-20 2021-02-05 温州春桦秋时科技有限公司 建筑施工用的水泥上料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492Y1 (ko) * 1993-05-26 1996-03-25 김영성 몰탈 분출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5561A (zh) * 2014-05-16 2014-08-27 浙江海洋学院 混泥土浇筑设备
CN112324142A (zh) * 2020-10-20 2021-02-05 温州春桦秋时科技有限公司 建筑施工用的水泥上料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006B1 (ko) 201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80953B (zh) 一种自移式再生块体的下料及混合振捣装置
CN210361786U (zh) 混凝土试块制作装置
KR101189480B1 (ko) 콘크리트 배합기를 구비한 운반장치
KR101315006B1 (ko) 송전철탑 공사용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CN213898162U (zh) 一种用于暗涵混凝土浇筑的移动式溜槽
JP2011058314A (ja) 門型架台及びセントル台車
CN203403420U (zh) 一种混凝土垂直运输浇筑系统
CN203034808U (zh) 楼层垃圾运输及泵管清洗两栖用管道
KR101028288B1 (ko) 연약지반 안정화를 위한 팽이말뚝
CN209837250U (zh) 一种道路边沟混凝土浇筑的移动式布料装置
CN201419898Y (zh) 一种卧式预拌砂浆储料罐
CN206748675U (zh) 一种小型预制构件加工装置
KR102005371B1 (ko) 콘트리트 타설용 주입장치
CN203031746U (zh) 一种管桩混凝土喂料系统
JP7244119B2 (ja) 床版の設置方法
CN205636746U (zh) 一种用于水电站地下厂房混凝土快速入仓的装置
CN112476783B (zh) 混凝土拌合站储料系统及操作方法
CN207072028U (zh) 具有提升功能的小型搅拌站
CN109987381B (zh) 一种混凝土近距离立体运输系统
CN106223619A (zh) 建筑浇筑用卸料斗
CN219138391U (zh) 一种泵管出口混凝土转运装置
CN213233354U (zh) 一种专用大坡度带圆弧衬砌底板的滑模装置
CN220336479U (zh) 一种混凝土布料机
CN210592988U (zh) 平台架体
CN218699847U (zh) 一种混凝土构件预制台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