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230A - 날개가 없는 선풍기 - Google Patents

날개가 없는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230A
KR20130045230A KR1020127010540A KR20127010540A KR20130045230A KR 20130045230 A KR20130045230 A KR 20130045230A KR 1020127010540 A KR1020127010540 A KR 1020127010540A KR 20127010540 A KR20127010540 A KR 20127010540A KR 20130045230 A KR20130045230 A KR 20130045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lower
motor
fa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씨아오 민 조우
Original Assignee
동관 쉬에메이 일렉트리컬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관 쉬에메이 일렉트리컬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동관 쉬에메이 일렉트리컬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4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5Add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풍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날개가 없는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기류를 생성하는 베이스 및 기류를 분출하는 전단에 송풍구를 구비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며, 베이스는 기류를 생성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 밑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켜 수평회전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회전부는 송풍장치와 연결되는 회전 케이스 및 상기 회전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터빈 및 모터를 포함하며, 터빈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 케이스의 측벽에는 공기흡입구가 설치되고, 고정부는 고정 케이스 및 고정 케이스에 상단에 고정되어 회전 케이스를 수평회전시키는 동기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고정 케이스에는 터치스크린 제어장치가 설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장치는 고정부에 설치되며, 이는 바람이 부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회전이 발생하지 않으며, 사용자 조작이 편리하고, 터치스크린 제어장치의 신호수신효과가 좋도록 보장하며, 조작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실용성이 강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날개가 없는 선풍기{FAN WITH NO BLADES}
본 발명은 선풍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날개가 없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선풍기는 팬 프레임, 팬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날개로 구성된다. 선풍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날개 앞의 송풍구에 보호 커버를 설치한다. 이러한 선풍기의 보호 커버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어린이들의 손가락을 쉽게 다치게 하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선풍기는 블레이드로 바람을 일으키며 사용시 인체를 향하여 격렬한 바람 충격을 주며, 풍력이 부드럽지 못하며, 사람이 불편한 느낌을 받게 한다. 또한 날개식 선풍기는 일상생활에서 세척할 경우 먼저 분리하고 세척하여, 다시 새로 조립하며, 테스트 등이 필요하므로 아주 불편하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들은 날개 은폐형 선풍기를 설계하였다. 상기 선풍기는 기체(機體) 및 기체와 연통되는 앞단에 송풍구(出風口)를 구비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며, 기체는 기체 케이스, 기체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날개 및 모터를 포함하며, 날개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기체 케이스에는 공기흡입구(進風口)가 설치되며, 상기 선풍기는 블레이드가 필요하지 않지만 상기 선풍기는 단지 공기를 밀어 유동하도록 하는 역할만 하므로, 기능이 단일하여 현대 사람들이 하나의 기계에 다기능(一機多用)을 원하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어 실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전기 선풍기의 제어 버튼은 일반적으로 기체 케이스에 설치되어 사용시 기체 케이스의 회전에 따라 제어 버튼도 회전하므로 선풍기의 송풍레벨과 선풍기의 온/오프 등 조작을 조절하는데 불리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단점에 대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실용성이 강한 날개가 없는 선풍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방안을 이용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는 기류를 생성하는 베이스 및 기류를 분출하는 전단에 송풍구를 구비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기류를 생성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 밑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켜 수평회전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송풍장치와 연결되는 회전 케이스, 상기 회전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터빈 및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터빈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회전 케이스의 측벽에는 공기흡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고정 케이스 및 상기 고정 케이스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케이스를 수평회전시키는 동기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케이스에는 터치스크린 제어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방안을 더 포함한다.
그 중에서 상기 회전부는 모터를 고정하는 모터 베이스, 모터 베이스를 고정하는 모터 보조 베이스, 모터 받침대, 모터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모터 커버 및 모터 커버 상부에 설치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빈은 상기 모터 보조 베이스와 상기 모터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 받침대는 분리가능하게 상기 회전 케이스 내측벽에 설치된다.
그 중에서, 상기 동기구동 메커니즘은 동기 회전판과 동기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동기 회전판의 중부와 상기 동기 브래킷의 중부는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동기 회전판에는 동기 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동기 브래킷에는 편심축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편심축 시트에는 편심축이 설치되며, 상기 동기 모터의 회전축은 트랜스미션 메탈 시트를 통하여 편심축과 연결된다.
그 중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장치는 상기 고정 케이스 측벽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 브래킷, 터치스크린 브래킷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 고정 케이스 밑부분에 설치되는 제 1 PCB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PCB 보드와 상기 터치스크린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중에서, 상기 고정부의 밑부분에는 분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분무장치는 상기 고정부와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분무장치는 수조 본체, 수조 본체와 연결되는 초음파 분무기와 송풍 메커니즘, 초음파 분무기 상방에 설치되는 분무 메커니즘(54) 및 초음파 분무기와 연결되는 제 2 PCB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분무 메커니즘(54)은 상기 송풍장치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PCB 보드는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중에서, 상기 수조 본체는 수조 케이스, 수조 케이스를 밀봉하는 수조 하부 케이스, 수조 하부 케이스 밑부분에 설치되는 바텀 박스, 상기 수조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수조구 고정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분무기는 상기 바텀 박스의 상부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PCB 보드는 상기 바텀 박스의 하부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 메커니즘은 상기 분무 메커니즘(54)과 연결되는 송풍대 및 상기 송풍대와 연결되는 선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대는 상기 바텀 박스의 상부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선풍기는 상기 바텀 박스의 하부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분무 메커니즘(54)은 상기 바텀 박스 상부에 설치되는 송풍 프레임, 송풍 프레임에 설치되고 서로 연통되는 제 1 보스와 분무통, 분무통과 연결되는 분무관 및 분무관 상부에 설치되는 분무 링을 포함하고, 상기 분무통은 상기 초음파 분무기 상방에 정면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송풍 프레임은 상기 제 1 보스를 통하여 상기 수조 하부케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수조 하부케이스의 제 2 보스는 상기 제 1 보스의 상방에 슬리브 접속되어 연결되며, 상기 송풍 프레임은 상기 수조 케이스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그 중에서, 상기 수조 본체는 상기 수조 케이스 외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외부케이스 및 상기 외부케이스를 고정하는 밑판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케이스는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케이스에는 앞문이 설치되며, 상기 앞문의 일측은 상기 후방 케이스와 힌지 연결되며, 상기 앞문의 또 다른 일측은 상기 후방 케이스와 자석흡착 연결되며, 앞문을 오픈하여 상기 수조 케이스를 노출한다.
그 중에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송풍장치 사이에는 공기흡입구 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공기흡입구 브래킷은 힌지 연결되며, 상기 공기흡입구 브래킷의 밑부분에는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와 상기 회전 케이스는 분리가능하게 세팅되어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공기흡입구 브래킷의 횡단면적보다 크며, 상기 송풍장치, 상기 공기 흡입구 브래킷 및 상기 회전부는 기류통도를 형성한다.
그 중에서, 상기 송풍장치의 외측벽에는 각도 포지션 링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 브래킷의 양단에는 상기 각도 포지션 링이 슬리브 접속되며, 상기 각도 포지션 링의 스윙 각도는 20 내지 60도이다.
상기 기술 방안에서, 상기 고정부 내에는 제 1 PCB 보드와 연결되는 음이온 발생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날개가 없는 선풍기는 기류를 생성하는 베이스 및 송풍구를 구비하고 기류를 분출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며, 베이스는 기류를 생성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 밑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켜 수평 회전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회전부는 송풍장치와 연결되는 회전 케이스, 상기 회전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터빈 및 모터를 포함하며, 터빈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 케이스의 측벽에는 공기흡입구가 설치되고, 고정부는 고정 케이스, 고정 케이스에 상단에 고정되어 회전 케이스를 수평회전시키는 동기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고정 케이스에는 터치스크린 제어장치가 설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제어장치는 고정부에 설치되며, 이는 바람이 부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회전이 발생하지 않으며, 사용자 조작이 편리하고, 터치스크린 제어장치의 신호 수신 효과가 좋도록 확보하며, 조작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실용성이 강한 장점이 있다.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도면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가 없는 선풍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가 없는 선풍기의 또 다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가 없는 선풍기의 동기구동 메커니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가 없는 선풍기의 제2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첫 번째 시각으로 절단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6의 두 번째 시각으로 절단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가 없는 제2실시예의 또 다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가 없는 선풍기의 분무기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가 없는 선풍기의 제3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을 좀 더 명확히 알게 하기 위하여 도면 및 실시예와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날개가 없는 선풍기는 기류를 생성하는 베이스(2) 및 기류를 분출하는 전단에 송풍구를 구비하는 송풍장치(1)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2)는 기류를 생성하는 회전부(21) 및 상기 회전부(21) 밑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21)를 구동하여 수평회전하도록 하는 고정부(22)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21)는 송풍장치(1)와 연결되는 회전 케이스(211), 상기 회전 케이스(211) 내에 설치되는 터빈(212) 및 모터(213)를 포함하며, 상기 터빈(212)은 상기 모터(213)에 의하여 구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 케이스(211)의 측벽에는 공기흡입구(3)가 개설되며, 상기 고정부(22)는 고정 케이스(221), 상기 고정 케이스(221)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케이스(211)를 구동하여 수평 회전시키는 동기구동 메커니즘(22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케이스(221)에는 터치스크린 제어장치(4)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터치스크린 제어장치(4)는 고정부(22)에 설치되며 사용시 고정부(22)의 동기구동 메커니즘(222)은 회전부(21)와 송풍장치(1)를 구동하여 왕복 수평 회전시키며, 터치스크린 제어장치(4)는 송풍 각도의 변화로 인하여 회전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의 조작을 편리하게 되며, 터치스크린 제어장치(4)의 신호 수신 효과가 좋도록 확보하며, 조작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실용성이 강한 장점을 가진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송풍장치(1)는 송풍 내부 케이스(11)와 송풍 외부 케이스(12)를 포함하고, 송풍 내부 케이스(11)와 송풍 외부 케이스(12)는 베이어닛 락(Bayonet lock)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송풍 내부 케이스(11)와 송풍 외부 케이스(12)는 모두 고리형 또는 타원형이며, 송풍장치(1)는 고리형 또는 타원형이며,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성형하기 편리하며 또한 송풍이 균일하고, 사용하는데 쾌적감이 크게 된다. 물론 송풍장치(1)는 기타 모양일 수 있으며, 송풍 내부 케이스(11)와 송풍 외부 케이스(12) 사이에 송풍구가 설치되어 기류분출을 제공할 수만 있으면 된다. 공기가 강제적으로 송풍장치(1)의 송풍구에서 불어나오므로 공기량이 15배까지 증가될 수 있고 시속이 35km까지 증가될 수 있으며 공기유동이 통상의 선풍기가 생성하는 바람보다 부드러우며 사용 시 쾌적하다.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흡입구(3)는 상기 회전 케이스(211)의 측벽에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설치되며, 각 상기 공기흡입구(3)의 통풍 면적은 외부로부터 내부로 가면서 차례로 감소되며, 각 상기 공기흡입구(3)의 최대 통풍 면적은 상기 공기흡입구(3)의 최소 통풍 면적의 2 내지 5배이다. 공기흡입구(3)의 횡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이며, 인접한 두 개의 상기 공기흡입구(3)의 간격은 1 내지 2mm이고, 공기흡입량이 크고 또한 공기흡입 효과가 좋으며 기류가 순리롭게 공기흡입구(3)를 통하여 회전부(21) 내로 진입하도록 보장하여 잡음의 생성이 효과적으로 감소되고 공기흡입이 균일하며 사용효과가 좋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1)는 모터(213)를 고정하는 모터 베이스(214), 모터 베이스(214)를 고정하는 모터 보조 베이스(215), 모터 받침대(216), 모터(213) 상단을 덮도록 설치되는 모터 커버(217) 및 모터 커버(217) 상단에 설치되는 브래킷(218)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빈(212)은 상기 모터 보조 케이스(215)와 상기 모터 받침대(216)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 받침대(216)는 상기 회전 케이스(211)의 내측벽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래킷(218)과 상기 모터 커버(217)는 후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모터(213)는 모터 베이스(214) 내에 삽입되며, 모터 베이스(214)는 모터 보조 베이스(215)의 수용 챔버내에 삽입되며, 터빈(212)은 모터 보조 베이스(215)와 모터 받침대(216) 사이에 클램핑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분리와 부품 교체가 편리하고, 조립이 편리하며, 제품구조 안정성이 강하며 또한 가공효율이 높다.
그 중에서, 본 실시예의 터빈(212) 내부에는 복수개의 모양과 구조가 동일한 블레이드가 설치되며, 복수개의 블레이드는 나선 배열되고 또한 인접한 두 개의 블레이드의 간격은 동일하며, 터빈의 증압 원리를 이용하여 유량 증압 후 송풍장치로 통과시켜 송풍장치(1)의 기류량을 증가시킴으로 송풍량이 크고 또한 송풍효과가 좋다.
그 중에서, 본 실시예의 모터(213)는 직류 브러시레스 모터이며, 직류 브러시레스 모터는 탄소 브러시의 마모로 인하여 생기는 부품 파손이 존재하지 않으며, 잡음이 낮고, 고장이 적으며 사용수명이 길어 더 경제적이고 저렴하다.
도 2,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동기구동 메커니즘(222)은 동기 회전판(223)과 동기 브래킷(224)을 포함하며, 상기 동기 회전판(223)의 중부와 상기 동기 브래킷(224)의 중부는 회전축(225)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동기 회전판(223)에는 동기 모터(226)가 설치되고, 상기 동기 브래킷(224)에는 편심축 시트(227)가 설치되며, 상기 편심축 시트(227)에는 편심축(228)이 설치되며, 상기 동기 모터(226)의 회전축은 트랜스미션 메탈 시트(229)와 상기 편심축(228)을 통하여 연결된다.
사용시, 동기 모터(226)는 트랜스미션 메탈 시트(229)를 통하여 편심축(228)을 이끌어 회전하며 따라서 동기 브래킷(224)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회전하도록 하며, 회전부(21)와 송풍장치(1)를 이끌어 수평회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동기 모터(226)의 회전축에는 제 2 편심축 시트가 연결되며, 상기 제 2 편심축 시트의 제 2 편심축은 트랜스미션 메탈 시트(229)와 연결되어 동기 브래킷(224)이 동기 회전판(223)에 상대하여 왕복회전하는데 유리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실용성이 강하다. 동기 브래킷(224)의 회전각도는 60 내지 150도가 바람직하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정 케이스(221) 밑부분에는 코드 라인 고정구(201)가 설치되어 본 발명의 전기줄을 고정하는데 유리하며, 반복적으로 전기줄을 잡아당기고 꼽는 것으로 인하여 전기줄이 제 1 PCB 보드(43)로부터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신뢰성이 강하다. 그 중에서, 동기 회전판(223)과 동기 브래킷(224)의 접촉면에는 적어도 두 개의 POM 마찰판(202)이 설치되어 동기 브래킷(224)이 반복적으로 회전하여 동기 회전판(223)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기 브래킷(224)과 동기 회전판(223)의 마모성을 증강시키며, 동기 브래킷(224)과 동기 회전판(223)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며, 사용신뢰성이 강하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터치스크린 제어장치(4)는 상기 고정 케이스(221) 측벽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 브래킷(41), 터치스크린 브래킷(41)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42), 고정 케이스(221) 밑부분에 설치되는 제 1 PCB 보드(43)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PCB 보드(43)와 상기 터치스크린(42)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치스크린 제어장치(4)를 조종할 경우, 원격조종장치를 통하여 원격제어할 수 있고 사람이 손으로 터치스크린(20)을 터치하는 것을 이용하여서도 본 발명의 날개가 없는 선풍기의 온 또는 오프, 송풍 각도 및 풍량 크기 등의 제어를 실현할 수 있어, 조작이 간단하고 실용성이 강하다.
실시예 2
도 6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1의 서로 다른 점은 본 실시예의 고정부(22)의 밑부분에는 분무장치(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무장치(5)와 상기 고정부(22)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분무장치(5)는 수조 본체, 수조 본체와 연결되는 초음파 분무기(52)와 송풍 메커니즘(53), 초음파 분무기(52) 상방에 설치되는 분무 메커니즘, 및 초음파 분무기(52)와 연결되는 제 2 PCB 보드(55)를 포함하며, 상기 분무 메커니즘은 상기 송풍장치(1)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PCB 보드(55)와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장치(4)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초음파 분무기(52)의 작용에 의하여 압전 세라믹의 고유 초음파 진동 특징을 이용하여, 진동회로와 압전 세라믹 고유 진동 주파수를 통하여 공진을 생성하여 압전 세라믹과 직접 접촉하는 액체 분무가 1 내지 3μm미니 과립이 되도록 한다. 송풍 메커니즘(53)을 이용하여 분무 후의 액체 미니 과랍은 분무 메커니즘를 통하여 균일하게 공기속으로 확산되어 공기를 습윤하며 또한 풍부한 음이온을 생성하여 공기를 맑게 하며 건강에 이롭다.
분무장치(5)의 설치는 여름의 더운 날씨에 의한 실내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실내환경을 더 시원하게 하며, 실내 에어컨의 사용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전기를 절약하며 전기소모를 줄인다. 겨울철 실내가 건조하면 터치스크린 제어장치(4)를 제어하여 분무장치(5)를 단독으로 작동시켜 실내를 가습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쾌적한 생활환경을 만들고, 사용이 편리하며 사람들의 다기능 선풍기(532)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킨다.
도 10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조 본체는 수조 케이스(510), 수조 케이스(510)를 밀봉하는 수조 하부 케이스(511), 수조 하부 케이스(511)의 밑부분에 설치되는 바텀 박스(512)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 하부 케이스(511)에는 수조구 고정부품(513)이 설치되며, 상기 초음파 분무기(52)는 상기 바텀 박스(512)의 상부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PCB 보드(55)는 상기 바텀 박스(512)의 상부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 메커니즘(53)은 상기 분무 메커니즘과 연결되는 송풍대(531) 및 상기 송풍대(531)와 연결되는 선풍기(532)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대(531)는 상기 바텀 박스(512)의 상부 표면에 고정되며, 상기 선풍기(532)는 상기 바텀 박스(512)의 하부 표면에 고정되며, 상기 분무 메커니즘은 상기 바텀 박스(512) 상부에 설치되는 송풍 프레임(541), 송풍 프레임(541)에 설치되고 서로 연통되는 제 1 보스(542)와 분무통(543), 분무통(543)과 연결되는 분무관(544) 및 분무관(544) 상부에 설치되는 분무 링(545)을 포함하며, 상기 분무통(543)은 상기 초음파 분무기(52)의 상방에 정면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송풍 프레임(541)은 상기 제 1 보스(542)를 통하여 상기 수조 하부 케이스(511)와 연결되며, 상기 수조 하부 케이스(511) 의 제 2 보스(514)는 상기 제 1 보스(542)의 상방에 슬리브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 프레임(541)은 상기 수조 케이스(510)와 하나의 세트로 설치된다.
사용시, 수조구 고정부품(513)을 오픈시켜 물 등 액체를 수조 케이스(510) 내에 담고, 수조 본체내의 물이 수조구 고정부품(513)을 통하여 물을 채우는 것과 물을 내보내는 것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전용 입수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가공이 편리하고 생산원가를 낮춘다. 제 1 보스(542)는 송풍대(531) 위를 덮도록 설치되고, 제 2 보스(514)는 제 1 보스(542) 상방에 슬리브 접속되어 설치되므로 송풍 프레임(541)이 수조 케이스(510)와 래빗 조인트(rabbet joint) 되는데 유리하며, 송풍 프레임(541)과 수조 본체의 연결의 안정성이 높고 또한 송풍 프레임(541)의 이용공간을 절약하며, 디자인이 합리적이고, 조립과 분리가 편리하며 사용이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분무관(544)은 호스(5441)와 하드 튜브(5442)를 포함하며, 호스(5441)는 분무통(543)과 연결되며, 하드 튜브(5442)의 하부는 호스(5441)의 상부와 연결되며, 하드 튜브(5442)의 상부는 분무 링(545)과 연결되어 분무관(544)과 분무통(543)의 연결이 안정되도록 보장하며, 기밀성이 좋고 또한 분무관(544)과 분무 링(545)의 연결의 안정성이 높으며, 사용수명이 길고 내후성이 강하다. 그 중에서, 분무 링(545)은 분무 전방 케이스와 분무 후방 케이스를 포함하고, 분무 전방 케이스와 분무 후방 케이스 사이에는 분무 공간이 설치되며, 분무 공간의 분무방향과 송풍장치(1)의 송풍구의 풍향은 동일하여 분무의 균일함을 보장하고 분무효과가 좋다.
도 10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텀 박스(512) 내에 센서 장착 서포팅 푸트(9, supporting foot)를 설치하고, 바텀 박스(512)의 상부표면에는 자석기둥(10)이 설치되고, 센서 장착 서포팅 푸트(9)는 액체의 상부표면에 떠있어 바텀 박스(512) 내의 액체가 감소됨에 따라 내려가며, 바텀 박스(512) 내에 액체가 없을 경우 센서 장착 브래킷(218)은 자석기둥(10)에 흡착되어 고정되며, 동시에 물부족 경보를 울리며, 이와 동시에 제 2 PCB 보드(55)를 통하여 자동으로 분무처리를 중단하므로, 건조 상태에서의 작동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좋고 사용 안전성이 높다.
도 10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조 본체는 상기 수조 케이스(510) 외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를 고정하는 밑판(515)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스는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516)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케이스에는 앞문(517)이 설치되고, 상기 앞문(517)의 일측은 상기 후방 케이스(516)와 힌지 연결되며, 상기 앞문(517)의 또 다른 일측은 상기 후방 케이스(516)와 자석흡착 연결되며, 앞문(517)을 열어 상기 수조 케이스(510)를 노출한다.
상기 자석흡착 연결은 앞문(517)에는 제1자석이 설치되고, 후방 케이스(516)에는 제1자석의 위치에 대응되게 자석 블럭(5161)을 설치하거나, 앞문(517)은 자성재료로 형성된 앞문이고, 후방 케이스(516)와 앞문(517)이 연결된 곳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 블럭(5161)을 설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 앞문(517)과 후방 케이스(516)가 자석흡착 연결된 일측의 중부에는 호형 돌출 블럭(519)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앞문(517)을 오픈하는데 편리하고 따라서 수조 케이스(510)의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 자석 블럭(5161)은 바람직하게는 2개 또한 대칭되게 후방 케이스(516)의 호형 돌출 블럭(519)의 상부 및 하부에 대응되게 분포시켜, 앞문(517)의 온 오프에 유리하며 앞문(517)의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한다. 앞문(517)에는 투명한 앞문 창(518)이 설치되고, 앞문 창(518)에는 스케일이 설치되어, 수조 케이스(510) 내의 물 저장량을 관찰하는데 유리하며, 수조 케이스(510)가 물부족으로 건조 상태에서의 작동을 방지하며,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그 중에서 밑판(515)의 설치는 분무장치(5)를 안정하게 놓이도록 하며, 구체적으로, 밑판(515)의 하부 표면에는 보빈 스풀이 설치되어 전기줄을 밑판(515)의 밑부분에 수납하는데 유리하며, 사용공간을 절약하고 저장이 편리하며 조작이 간단하다.
본 실시예의 기타 부분은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실시예 3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 2의 서로 다른 점은 본 실시예의 회전부(21)와 상기 송풍장치(1) 사이에는 공기흡입구 브래킷(6)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장치(1)와 상기 공기흡입구 브래킷(6)은 힌지 연결되며, 상기 공기흡입구 브래킷(6)의 밑부분에는 흡입부(63)가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부(63)는 상기 회전 케이스(211)와 분리가능하게 세팅되어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63)의 횡단면적은 상기 브래킷(218)의 횡단면적보다 크며, 상기 송풍장치(1), 상기 공기흡입구 브래킷(6) 및 상기 회전부(21)는 기류통도를 형성한다.
흡입부(63)는 상기 회전 케이스(211)와 분리가능하도록 세팅되어 설치되며, 흡입부(63)의 구경과 회전 케이스(211)의 구경은 동일하여 회전부(21) 내에 기류가 생성될 경우 즉시 순조롭게 흡입부(63)를 통하여 공기흡입구 브래킷(6) 양측으로 진입하도록 확보하며, 공기흡입구 브래킷(6)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하여 송풍장치(1) 좌우 양측 공기흡입량이 동일하도록 확보하여 송풍량이 균일하고, 송풍효과가 좋게 된다. 그 중에서, 본 실시예의 좌우 양측에 표시한 방향은 도 2에서와 같이 공기흡입구 브래킷(6)의 좌우 방향을 참조방향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흡입구 브래킷(6)은 제 1 풍도 브래킷(61) 및 제 1 풍도 브래킷(61)과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2 풍도 브래킷(6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풍도 브래킷(61)은 상기 제 2 풍도 브래킷(62)과 세팅되어 설치되며, 분리와 교체가 편리하고, 가공성형이 편리하며, 가공효율이 높다.
공기흡입구 브래킷(6)은 송풍장치(1)와 힌지 연결되어 360도로 송풍장치(1)의 송풍방향을 조정하는데 유리하며, 조작이 간단하고 사용자가 사용수요에 의하여 융통성있게 송풍장치(1)의 스윙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수요되는 송풍풍향을 제어하여 인도적인 수요를 만족하고 사용 편리성을 향상한다.
도 11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송풍장치(1)의 외측벽에는 각도 포지션 링(7)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 브래킷(6)의 양단은 상기 각도 포지션 링(7)에 슬리브 접속되며, 상기 각도 포지션 링(7)의 스윙 각도는 20 내지 60도이다. 구체적으로, 각도 포지션 링(7)의 상부는 반원형이며, 각도 포지션 링(7)의 하부에는 호형 돌기가 설치되며, 송풍장치(1)의 스윙 각도는 각도 포지션 링(7)의 호형 돌기가 송풍장치(1)의 기류통로의 내벽에 접촉되는데 따라 결정되어, 송풍장치(1)가 송풍 과정에서 외력의 원인으로 송풍방향이 개변되는 것을 방지하며, 포지션 효과가 좋고, 송풍풍향이 정확하도록 보장하며 실용성이 강하다.
본 실시예의 기타 부분은 실시예2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실시예 4
도 2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3의 서로 다른 점은 본 실시예의 고정부(22) 내에는 제 1 PCB 보드(43)와 연결되는 음이온 발생부(8)가 설치된다. 제 1 PCB 보드(42)와 터치스크린(4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터치스크린(42)을 원격조정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손으로 터치스크린(42)을 조종하면 음이온 발생부(8)를 작동시킬 수 있고, 음이온 발생부(8)가 생성한 음이온은 터빈(212)이 고속도록 회전하여 생성되는 고속기류를 따라 송풍장치(1)에 진입하고, 다음 송풍구를 통하여 분출되어 빠른 속도로 공기속으로 확산되며 공기를 맑게 하는데 유리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사람들의 다기능 요구를 만족시킨다.
본 실시예의 기타 부분은 실시예 3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내용들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 의하여 구체적인 실시방식 및 적용범위에서 모두 변경할 부분이 있으며 본 명세서의 내용을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1: 송풍장치 11: 송풍 내부케이스
12: 송풍 외부케이스 2: 베이스
21: 회전부 211: 회전 케이스
212: 터빈 213: 모터
214: 모터 베이스 215: 모터 보조 베이스
216: 모터 받침대 217: 모터커버
218: 브래킷 22: 고정부
221: 고정 케이스 222: 동기구동 메커니즘
223: 동기 회전판 224: 동기 브래킷
225: 회전 축 226: 동기 모터
227: 편심축 시트 228: 편심축
229: 트랜스미션 메탈 시트 201: 코드 라인 고정구
202: POM 마찰판 3: 송풍구
4: 터치스크린 제어장치 41: 터치 브래킷
42: 터치스크린 43: 제 1 PCB 보드
5: 분무장치 510: 수조 케이스
511: 수조 하부 케이스 512: 바텀 박스
513: 수조구 고정부품 514: 제 2 보스
515: 섀시 516: 후방 케이스
5161: 자석 블럭 517: 앞문
518: 앞문창 519: 호형 돌출 블럭
52: 초음파 분무기 53: 송풍 메커니즘
531: 송풍대 532: 선풍기
541: 송풍 프레임 542: 제 1 보스
543: 분무통 544: 분무관
5441: 호스 5442: 하드 튜브
544: 분무 링 55: 제 2 PCB 보드
6: 공기흡입구 브래킷 61: 제 1 풍도 브래킷
62: 제 2 풍도 브래킷 63: 흡입부
7: 각도 포지션 링 8: 음이온 생성부
9: 센서 장착 서포팅푸트 10: 자석기둥

Claims (10)

  1. 기류를 생성하는 베이스 및 기류를 분출하는 전단에 송풍구를 구비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기류를 생성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 밑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켜 수평회전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송풍장치와 연결되는 회전 케이스와, 상기 회전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터빈 및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터빈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회전 케이스의 측벽에는 공기흡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고정 케이스 및 상기 고정 케이스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케이스를 수평회전시키는 동기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케이스에는 터치스크린 제어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모터를 고정하는 모터 베이스, 상기 모터 베이스를 고정하는 모터 보조 베이스, 모터 받침대, 상기 모터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모터 커버 및 상기 모터커버 상부에 설치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빈은 상기 모터 보조 베이스와 상기 모터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 받침대는 분리가능하게 상기 회전 케이스 내측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구동 메커니즘은 동기 회전판과 동기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동기 회전판의 중부와 상기 동기 브래킷의 중부는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동기 회전판에는 동기 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동기 브래킷에는 편심축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편심축 시트에는 편심축이 설치되며, 상기 동기 모터의 회전축은 트랜스미션 메탈 시트를 통하여 상기 편심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장치는 상기 고정 케이스 측벽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 브래킷, 상기 터치스크린 브래킷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고정 케이스 밑부분에 설치되는 제 1 PCB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PCB 보드와 상기 터치스크린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밑부분에는 분무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분무장치는 상기 고정부와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분무장치는 수조 본체, 상기 수조본체와 연결되는 초음파 분무기와 송풍 메커니즘, 상기 초음파 분무기 상방에 설치되는 분무 메커니즘(54) 및 상기 초음파 분무기와 연결되는 제 2 PCB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분무 메커니즘(54)은 상기 송풍장치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PCB 보드는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본체는 수조 케이스, 상기 수조케이스를 밀봉하는 수조 하부 케이스, 상기 수조 하부 케이스 밑부분에 설치되는 바텀 박스, 상기 수조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수조구 고정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분무기는 상기 바텀 박스의 상부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PCB 보드는 상기 바텀 박스의 하부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 메커니즘은 상기 분무 메커니즘(54)과 연결되는 송풍대 및 상기 송풍대와 연결되는 선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대는 상기 바텀 박스의 상부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선풍기는 상기 바텀 박스의 하부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분무 메커니즘(54)은 상기 바텀 박스 상부에 설치되는 송풍 프레임, 상기 송풍 프레임에 설치되고 서로 연통되는 제 1 보스와 분무통, 상기 분무통과 연결되는 분무관 및 상기 분무관 상부에 설치되는 분무 링을 포함하고, 상기 분무통은 상기 초음파 분무기 상방에 정면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송풍 프레임은 상기 제 1 보스를 통하여 상기 수조 하부 케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수조 하부 케이스의 제 2 보스는 상기 제 1 보스의 상방에 슬리브 접속되어 연결되며, 상기 송풍 프레임은 상기 수조 케이스와 하나의 세트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본체는 상기 수조 케이스 외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를 고정하는 밑판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스는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케이스에는 앞문이 설치되며, 상기 앞문의 일측은 상기 후방 케이스와 힌지 연결되며, 상기 앞문의 또 다른 일측은 상기 후방 케이스와 자석흡착 연결되며, 상기 앞문을 오픈하여 상기 수조 케이스를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송풍장치 사이에는 공기흡입구 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공기흡입구 브래킷은 힌지 연결되며, 상기 공기흡입구 브래킷의 밑부분에는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와 상기 회전 케이스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풍도 브래킷의 횡단면적보다 크며, 상기 송풍장치, 상기 공기 흡입구 브래킷 및 상기 회전부는 기류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의 외측벽에는 각도 포지션 링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 브래킷의 양단에는 상기 각도 포지션 링이 슬리브 접속되며, 상기 각도 포지션 링의 스윙 각도는 20 내지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내에는 제 1 PCB 보드와 연결되는 음이온 발생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

KR1020127010540A 2011-09-30 2011-11-02 날개가 없는 선풍기 KR201300452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2918419A CN102338133A (zh) 2011-09-30 2011-09-30 一种无风叶风扇
CN201110291841.9 2011-09-30
PCT/CN2011/081661 WO2013044546A1 (zh) 2011-09-30 2011-11-02 一种无风叶风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230A true KR20130045230A (ko) 2013-05-03

Family

ID=4551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540A KR20130045230A (ko) 2011-09-30 2011-11-02 날개가 없는 선풍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42676A1 (ko)
KR (1) KR20130045230A (ko)
CN (1) CN102338133A (ko)
WO (1) WO2013044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19500D0 (en) 2011-11-11 2011-12-21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500005B (en) 2012-03-06 2014-08-27 Dyson Technology Ltd A method of generating a humid air flow
SG11201405367VA (en) 2012-03-06 2014-10-30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500011B (en) * 2012-03-06 2016-07-06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00017B (en) 2012-03-06 2015-07-29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00012B (en) 2012-03-06 2016-07-06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00010B (en) 2012-03-06 2016-08-24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CN102661295B (zh) * 2012-04-10 2014-12-31 宁波宏钜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无叶风扇的底座组件
CN102966607B (zh) * 2012-11-19 2015-08-05 姜国忠 一种空气增倍机
AU350140S (en) 2013-01-18 2013-08-13 Dyson Technology Ltd Humidifier or fan
BR302013003358S1 (pt) 2013-01-18 2014-11-25 Dyson Technology Ltd Configuração aplicada em umidificador
AU350181S (en) 2013-01-18 2013-08-15 Dyson Technology Ltd Humidifier or fan
AU350179S (en) 2013-01-18 2013-08-15 Dyson Technology Ltd Humidifier or fan
EP3093575B1 (en) 2013-01-29 2018-05-09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GB2510195B (en) 2013-01-29 2016-04-27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CA152658S (en) * 2013-03-07 2014-05-20 Dyson Technology Ltd Fan
USD729372S1 (en) * 2013-03-07 2015-05-12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CA152657S (en) 2013-03-07 2014-05-20 Dyson Technology Ltd Fan
CA152656S (en) * 2013-03-07 2014-05-20 Dyson Technology Ltd Fan
BR302013004394S1 (pt) * 2013-03-07 2014-12-02 Dyson Technology Ltd Configuração aplicada a ventilador
CA152655S (en) * 2013-03-07 2014-05-20 Dyson Technology Ltd Fan
CA154723S (en) 2013-08-01 2015-02-16 Dyson Technology Ltd Fan
TWD172707S (zh) 2013-08-01 2015-12-21 戴森科技有限公司 風扇
CA154722S (en) 2013-08-01 2015-02-16 Dyson Technology Ltd Fan
GB2518638B (en) 2013-09-26 2016-10-12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JP1518059S (ko) * 2014-01-09 2015-02-23
JP1518058S (ko) * 2014-01-09 2015-02-23
GB2528709B (en) 2014-07-29 2017-02-08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GB2528708B (en) 2014-07-29 2016-06-29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528704A (en) 2014-07-29 2016-02-03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CN104500371A (zh) * 2014-12-18 2015-04-08 任文华 风扇
TWD179707S (zh) * 2015-01-30 2016-11-21 戴森科技有限公司 風扇之部分(四)
TWD173932S (zh) * 2015-01-30 2016-02-21 戴森科技有限公司 風扇之部分(三)
TWD173930S (zh) * 2015-01-30 2016-02-21 戴森科技有限公司 風扇之部分(一)
TWD173929S (zh) * 2015-01-30 2016-02-21 戴森科技有限公司 風扇(二)
TWD173928S (zh) * 2015-01-30 2016-02-21 戴森科技有限公司 風扇(一)
TWD173931S (zh) * 2015-01-30 2016-02-21 戴森科技有限公司 風扇之部分(二)
TWD178213S (zh) * 2015-06-11 2016-09-11 戴森科技有限公司 風扇之部分(三)
TWD178214S (zh) * 2015-06-11 2016-09-11 戴森科技有限公司 風扇之部分(四)
AU366176S (en) * 2015-06-11 2015-12-22 Dyson Technology Ltd A fan
TWD178212S (zh) * 2015-06-11 2016-09-11 戴森科技有限公司 風扇(二)
TWD177270S (zh) * 2015-06-11 2016-07-21 戴森科技有限公司 風扇之部分(二)
USD804007S1 (en) * 2015-11-25 2017-11-28 Vornado Air Llc Air circulator
CN105650760B (zh) * 2016-03-24 2017-09-26 上海源投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负离子气雾增程发生器
CN107299920A (zh) * 2016-04-14 2017-10-27 广东德昌电机有限公司 无叶风扇
CN106224212B (zh) * 2016-09-30 2018-07-10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无叶风扇
CN107120313B (zh) * 2017-05-26 2023-06-20 小鹿科技(重庆)有限公司 一种新型的无叶风扇
USD888927S1 (en) * 2017-12-11 2020-06-30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USD888219S1 (en) * 2017-12-11 2020-06-23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USD888928S1 (en) * 2017-12-11 2020-06-30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USD888220S1 (en) * 2017-12-11 2020-06-23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USD888929S1 (en) * 2017-12-11 2020-06-30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USD895781S1 (en) * 2017-12-11 2020-09-08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CN111886413B (zh) * 2018-03-29 2022-02-2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风扇
US10926210B2 (en) 2018-04-04 2021-02-23 ACCO Brands Corporation Air purifier with dual exit paths
USD913467S1 (en) 2018-06-12 2021-03-16 ACCO Brands Corporation Air purifier
CN110425170A (zh) * 2019-09-02 2019-11-08 李�诚 一种静音的加湿温控风扇
USD934410S1 (en) * 2019-09-12 2021-10-26 Elbee Pty Ltd. Base for a fa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7897A (en) * 1980-05-28 1981-12-23 Toshiba Corp Fan
CN201306295Y (zh) * 2008-12-04 2009-09-09 杭州厚德通信技术有限公司 智能型电风扇
GB2468325A (en) * 2009-03-04 2010-09-08 Dyson Technology Ltd Height adjustable fan with nozzle
CN202056982U (zh) * 2009-03-04 2011-11-30 戴森技术有限公司 加湿设备
GB0919473D0 (en) * 2009-11-06 2009-12-23 Dyson Technology Ltd A fan
CN201771875U (zh) * 2010-09-07 2011-03-23 李德正 无叶片风扇
CN201779040U (zh) * 2010-08-27 2011-03-30 温锦华 一种超声波雾化型喷雾降温式电风扇
CN201786706U (zh) * 2010-09-21 2011-04-06 邹小敏 无扇叶风扇
CN201991807U (zh) * 2011-02-23 2011-09-28 张志昌 触控式显示图形的散热风扇
CN201982338U (zh) * 2011-04-15 2011-09-21 应方胤 一种加湿无叶风扇
CN202284573U (zh) * 2011-09-30 2012-06-27 东莞市旭尔美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无风叶风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2676A1 (en) 2013-06-06
WO2013044546A1 (zh) 2013-04-04
CN102338133A (zh)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5230A (ko) 날개가 없는 선풍기
JP5564080B2 (ja) ファン組立体
JP6012965B2 (ja) 送風装置及び送風方法
WO2023124064A1 (zh) 出风装置
CN105588190B (zh) 一种挂壁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04863871A (zh) 风扇
JP6704103B1 (ja) 首振り式羽なし扇風機
KR102094290B1 (ko) 음원에 연동하여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수분 분출을 조절하는 초음파 가습기
KR102054286B1 (ko)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2087932B1 (ko) 음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초음파 가습기
CN208651295U (zh) 一种具有显示功能的无叶风扇
CN208918873U (zh) 一种塔扇
CN110584523A (zh) 气墙式智能化干手器及洗漱池
CN208296179U (zh) 便携式冷风扇
CN207815578U (zh) 一种火龙果香薰加湿器
KR101322676B1 (ko) 회전형 토출구를 갖는 가습기
CN209431807U (zh) 一种碳纤维发热线缆加工用热风烘干装置
CN202284573U (zh) 一种无风叶风扇
JP2011033305A (ja) 静電霧化装置
CN218296077U (zh) 一种具有远程控制功能的加湿装置
JP6545107B2 (ja) 流体送り装置
CN210961742U (zh) 一种气墙式智能化干手器及洗漱池
CN210980152U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2478597B1 (ko) 부유형 초음파 가습기
CN212319989U (zh) 雾化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