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717A -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717A
KR20130042717A KR1020110106754A KR20110106754A KR20130042717A KR 20130042717 A KR20130042717 A KR 20130042717A KR 1020110106754 A KR1020110106754 A KR 1020110106754A KR 20110106754 A KR20110106754 A KR 20110106754A KR 20130042717 A KR20130042717 A KR 20130042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ost
cutting mechanism
coupled
hand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11010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2717A/ko
Publication of KR20130042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4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5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turbine drive
    • A61C1/052Ducts for supplying driving or cooling fluid, e.g. ai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4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 A61B2017/1651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f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임플란트용 치조골 천공을 위한 절삭 기구와; 상기 절삭기구를 결합하여 상기 절삭기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드 피스와; 환자의 치아 또는 잇몸에 지지되는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스트와; 일측은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안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하는 상기 절삭 기구에 결합되는 미들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최소한의 부품으로 천공 작업을 편안하게 할 수 있으며, 경제성, 시술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천공 작업의 시초부터 원하는 위치 내지 경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 {Handpiece Guide Device}
본 발명은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용 치조골 천공시 절삭 기구의 위치를 안내하는 구조를 개선한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치아가 빠지거나 손상된 경우 인접치를 삭제하여 씌우지 않고 빠진 부위에 인공치아를 심어지 빠진 치아 부위를 대체해 주는 치료방법인 임플란트 시술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임플란트 시술은 영구치가 재생 불가능하게 손상된 경우 손상된 영구치를 치조골로부터 완전히 제거한 후 제거된 영구치 대신에 인공 치근을 치조골 내부에 심어 외부로 돌출시키고 외부로 노출된 인공 치근의 외표면에 영구치 형상의 인공 크라운을 덧씌워 영구치의 기능을 하도록 한다. 인공 크라운이 치아의 역할을 하며, 인공 치근의 역할을 하는 것이 임플란트이다. 임플란트 시술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치조골에 골와동이라고 불리는 홀을 천공 후 골와동에 픽스처(fixture)를 식립하여 치조골과 픽스처가 골유착 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필요에 따라 픽스처에 임시 치료용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할 수 있다. 그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임시 치료용 어버트먼트를 제거하고 영구 어버트먼트를 결합하여 영구 어버트먼트에 인공 크라운을 견고하게 부착한다.
임플란트 시술에서 치조골에 천공을 하거나, 픽스처를 식립하거나,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등의 과정은 일반적으로 모터나 에어 등으로 구동되는 드릴을 결합할 수 있는 핸드피스로 이루어진다. 특히, 인공치아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여 치조골에 천공을 하는 경우 천공을 하는 깊이, 방향 등은 인공치아의 외관, 수명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치조골에 천공을 하는 경우 핸드피스에 결합된 치공구인 드릴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도하는 것이 임플란트 시술에서 매우 중요하다. 드릴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도하는 방법 중 하나로 고안된 것이 스텐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 본 출원인의 출원번호 제 호 및 일본특허공보 제 호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핸드피스의 헤드 부분에 결합되기 때문에 가이드 부분을 고정시키기 어렵다. 즉, 착탈식이라도 사용시 미세한 요동으로 인해 정확한 위치 잡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고정식이라도 핸드피스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다양한 핸드피스의 종류만큼 가이드장치의 종류도 다양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기술은 가이드장치가 핸드피스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가이드하는 장치의 길이도 길어져야 하고 이에 따라 긴 가이드장치로 인해 환자는 시술시 입을 크게 벌려야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종래의 가이드장치에서는 상하 이동하는 경우에 왕복 운동이 어렵다는 우려가 있다. 이동 내지 슬라이딩 하는 부분 사이의 마찰력이 너무 커서 이동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공 작업시 시술하는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을 개선하여 다양한 임플란트 종류, 시술위치 내지 방법에 대응하여 최소한의 부품으로 편안하게 원하는 위치에 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위치 내지 경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드피스 헤드의 회전에 따른 유격을 예방할 수 있는 핸드피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높이가 낮은 저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과열(bone heating)을 예방할 수 있고 시술시 개구량을 줄일 수 있는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 이동에 따른 마찰을 감소시킬 있는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임플란트용 치조골 천공을 위한 절삭 기구와; 상기 절삭기구를 결합하여 상기 절삭기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드 피스와; 환자의 치아 또는 잇몸에 지지되는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스트와; 일측은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안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하는 상기 절삭 기구에 결합되는 미들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미들 가이드는, 상기 포스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포스트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절삭 기구가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들 가이드는 상기 절삭 기구가 치조골의 천공을 담당하는 영역인 천공부를 제외한 상기 핸드 피스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에서 상기 절삭 기구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들 가이드는, 가이드 본체와; 상기 가이드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포스트가 결합 가능하게 관통된 포스트 안내부와; 상기 가이드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절삭 기구가 결합되는 절삭 기구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 안내부 및 상기 절삭 기구 안내부 중 하나에는 부드러운 가이드를 위한 베어링, 마찰계수를 적게 하는 표면 코팅 처리,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공 작업시 시술하는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을 개선하여 다양한 임플란트 종류, 시술위치 내지 방법에 대응하여 최소한의 부품으로 편안하게 원하는 위치에 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 내지 경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핸드피스 헤드의 회전에 따른 유격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높이가 낮은 저중심을 유지할 수 있고, 골과열(bone heating)을 예방할 수 있고 시술시 개구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이동에 따른 마찰을 감소시킬 있는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환자의 시술위치와 스텐트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의 시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에 대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환자의 시술위치와 스텐트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의 시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용 치조골 천공을 위한 절삭 기구(130)와, 절삭 기구(130)를 결합하여 절삭 기구(1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드 피스(110)와, 환자의 치아 또는 잇몸에 지지되는 스텐트(150)와, 스텐트(15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스트(170)와, 일측은 포스트(170)에 대하여 안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하는 절삭 기구(130)에 결합되는 미들 가이드(190)를 구비한다.
통상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픽스처(Fixturer), 어버트먼트(abutment), 인공치아 등은 임플란트를 제조, 판매하는 회사에서도 다양한 형태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임플란트 제조 내지 판매 회사들 또한 세계적으로도 매우 많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종류, 크기, 시술 방법 등이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다양함에 일일이 대응한 절삭 기구(130)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환자의 치조골에 천공을 하여야 한다는 불편함 등의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 단점 등을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착안하였고 그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핸드 피스(110)는 임플란트 시술, 치석 제거 등의 치과적 시술을 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절삭 기구(130)를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핸드 피스(110)는 치아의 삭제, 치구골의 천공 등으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켜주는 냉각수 공급장치, 필요에 따라 에어 공급장치 등의 다양한 부속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임플란트 식립을 하기 위해 드릴 등의 절삭 기구(13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핸드 피스(110)를 일예로 설명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핸드 피스(110)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핸드 피스(110)는 제작사마다 다소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100)에서 미들 가이드(190)의 결합되는 부분을 회전하는 절삭 기구(130)를 선택한 것은 다양한 크기, 형상의 핸드 피스(110)에 결합되는 것보다 크기, 형상의 다양성이 비교적 적은 절삭 기구(130)를 선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즉, 덜 다양한 절삭 기구(130)에 대응하여 비교적 적은 수량으로 이루어진 규격화된 미들 가이드(190)를 구비하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더욱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기구(130)별로 표준화된 미들 가이드(190)를 사용하면 훨씬 간편하다.
절삭 기구(130)는 핸드 피스(110)에 결합되어 핸드 피스(110)의 회전력에 의해 임플란트 시술을 하기 위하여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한다. 절삭 기구(130)는 하측 단부에 형성되어 치조골에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부(137)와, 상측 단부에 마련되어 핸드 피스(1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결합되어 핸드 피스(110) 내부에 수용되는 결합부(133)와, 결합부(133)와 천공부(137) 사이에 형성되어 핸드 피스(110) 외부로 노출되어 미들 가이드(190)와 결합되는 생크부(135)를 구비한다.
스텐트(150)는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치조골에 형성하는 구멍의 위치 및 방향을 정확하게 안내하는 보조기구이다. 즉, 임플란트 시술 시 잇몸을 절개하고 치조골을 노출시킨 후 그 위에 핸드 피스(110)에 결합된 드릴 등의 절삭 기구(130)를 이용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드릴 등이 천공하는 위치와 방향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스텐트(150)는 다양한 색조를 가질 수 있고, 레진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텐트(150)에는 포스트(170)의 물림부(175)가 결합되는 걸림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텐트(150)를 잇몸 내지 치조골에 고정시킬 수 있는 미도시된 스텐트 고정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스텐트(150)는 특히 종래기술과 달리 시술하고자 하는 치아를 덮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즉, 스텐트(150)는 시술하고자 하는 치아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잇몸, 다른 치아, 치조골 등에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스텐트(150)는 정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CNC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텐트(150)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3차원 데이터, 치아 모델, X-선 자료 등을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할 적절한 중심 위치(도 3a 내지 도 3c의 “TC1” 및 “TC2” 참조)를 선정한다.
다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3차원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스텐트(150)를 설계하고 모형 등에 기초하여 제작한다. 이 때, 시술하고자 하는 치아의 중심(도 3a 내지 도 3c의 “TC1” 및 “TC2” 참조)과 스텐트(150)의 걸림부(153) 중심(도 3b 및 도 3c의 “SC1” 및 “SC2” 참조)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특히, 절삭 기구(130)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미들 가이드(190)가 흔들리지 않도록 물림부(175)와 결합되는 스텐트(150)가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고려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할 각 치아의 중심(도 3a 내지 도 3c의 “TC1” 및 “TC2” 참조)과 걸림부(153)의 중심(도 3b 및 도 3c의 “SC1” 및 “SC2” 참조)과의 거리(도 3c의 “X1” 및 “X2” 참조)가 동일하게 될 수 있도록 스텐트(150)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표준화된 미들 가이드(190)를 다양한 형태의 스텐트(150)에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각 치아의 중심과 걸림부(153)를 이은 선과 사각형 걸림부(153)의 한 변이 이루는 각도(도 3c의 “α1” 및 “α2” 참조)는 모든 걸림부(153)마다 일정(예를 들면, 도 3c에서 α1과 α2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포스트(170)를 스텐트(150)에 결합한 후, 물림부(175)가 걸림부(153)에 맞물리고 포스트 안내부(195)에 포스트(170)가 결합되면 절삭 기구(130)와 결합되는 절삭기구 안내부(197)의 중심은 항상 천공하고자 하는 구멍의 중심과 일치될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을 고려한다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53)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이 바람직하나, 전술한 방향성만 일정하다면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다른 실시예로 미도시된 원통 형상에 돌기와 돌기에 맞물리는 그루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각 절삭 기구(130)에 대응하는 하나의 표준화된 미들 가이드(190)로 다양한 스텐트(150)와, 임플란트의 규격에 대응하여 다양한 위치의 치아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이에, 경제성, 효율성 및 시술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미들 가이드(190)는, 가이드 본체(193)와, 가이드 본체(193)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절삭 기구(130)와 결합되는 절삭기구 안내부(197)와, 가이드 본체(193)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어 포스트(170)와 결합되는 포스트 안내부(195)를 구비한다.
가이드 본체(193)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본체(193)는 규격화된 크기의 포스트 안내부(195)와 절삭기구 안내부(197)를 구비하여 제품화될 수도 있다.
절삭기구 안내부(197)는 절삭 기구(130)의 생크부(135)에 결합되어 절삭 기구(130)가 회전하면서 치조골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절삭 기구(130)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절삭 기구(130)를 안내한다.
포스트 안내부(195)는 포스트(170)와 결합되어 포스트(1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본체(193)가 포스트(17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포스트 안내부(195)와, 절삭기구 안내부(197) 및 포스트(170) 중 어느 하나에서는 이동 내지 회전하면서 이동 내지 회전하는 부품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마모성을 향상시키면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지의 재료와 연마 등의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포스트 안내부(195)와, 절삭기구 안내부(197) 및 포스트(170) 중 어느 하나에서는 이동 내지 회전하면서 이동 내지 회전하는 부품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마모성을 향상시키면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면 코팅(예를 들면, DLC - Diamond-Like coating 등), 볼 베어링 또는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 등을 포함하는 부싱 부재(199a, 199b, 199c)가 포함될 수 있다.
포스트(170)의 하단부는 스텐트(150)와 맞물리며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상측은 포스트 안내부(195)와 결합되어 가이드 본체(193)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가이드 본체(193)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포스트(170)는,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재질로 마련되며, 스텐트(150)의 걸림부(153)와 맞물리는 물림부(175)와, 물림부(175)에서 연장되어 포스트 안내부(195)와 결합되어 미들 가이드(19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포스트 본체(173)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포스트(170)가 스텐트(150)에 결합되는 경우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스텐트(150)와 접촉 가능한 스토퍼(1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스트(170)을 치아의 위치 종류에 따라 미들 가이드(19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페이스(1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170)는 절삭 기구(130)와 결합된 미들 가이드(190)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포스트(170)는 스텐트(150)에 대해 핸드 피스(110) 내지 절삭 기구(13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물림부(175)와 걸림부(153)는 상호 회전 운동하지 않는다. 물림부(175)와 걸림부(153)가 결합되는 단면 형상은 사각형을 일예로 설명하였지만, 원형이 아닌 타원형, 원형 중 완전한 원형이 되지 않도록 원의 일부를 절단한 형상, 다각형 형상의 단면, 미도시된 원형의 내경 또는 외경에 돌기 내지 이에 맞물려 슬라이딩 가능한 그루브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170)는 스텐트(150)에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갖는 긴 막대형상이 바람직하다. 포스트(170)는 절삭 기구(130)의 작업시 진동, 떨림 등이 발생하지 않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료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포스트(170)는 스텐트(150)와 결합되는 걸림부(153)에 삽입되는 부분 바로 근처에 스토퍼(197)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153) 또는 물림부(175)의 깊이는 핸드 피스(110) 또는 절삭 기구(130)에서 가해지는 힘, 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드릴 크기, 천공하는 깊이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53)와 물림부(175)가 맞물린 상태에서 핸드 피스(110)에 결합된 절삭 기구(130)의 시술 깊이가 상이한 경우(도 2의 두께 “T”참조), 즉, 절삭 기구(130)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 포스트 본체(173)의 하단부와 스토퍼(197) 상단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스(17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페이스(179)는 규격별로 구비되어 상호 조합하여 그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세트화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표준화된 걸림부(153)와 포스트(170) 하나만 구비되어 있으면 스페이스(179)를 활용하여 별도의 부품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간편하고 경제성이 증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미들 가이드(190)를 사용하여 치조골을 천공하는 과정을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의 시술 위치와 포스트(170)의 중심 거리와 방향을 고려하여 제작 형성된 스텐트(150)를 도 4a와 같이 잇몸, 다른 치아, 치조골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필요에 따라 스텐트 고정부를 활용하여 스텐트(15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150)의 걸림부(153)에 포스트(170)의 물림부(175)를 맞물려 스텐트(150)에 포스트(170)가 지지 될 수 있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미리 절삭 기구(130)의 생크부(135)와 미들 가이드(190)가 결합된 상태에서 미들 가이드(190)와 포스트(170)를 결합시킨다. 이에 핸드 피스(110)에 결합되어 있는 드릴과 같은 절삭 기구(130)는 시술자가 목표로 하는 원하는 치조골 위치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시술하고자 하는 위치를 확인한 후, 도 4c 및 도 4d와 같이, 절삭 기구(130)를 작동시켜 서서히 핸드 피스(110)를 치조골을 향하여 가압하면 절삭 기구(130)는 회전함과 동시에 미들 가이드(190)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강한다. 이 과정에서 포스트(170)에 대하여 미들 가이드(190)가 치아의 위치에 따라 아래 방향 또는 위 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되어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한다. 최종적으로 미들 가이드(190)의 하측면과 포스트(170)에 형성된 스토퍼(197)의 상면이 닿으면 더 이상 절삭 기구(130)는 아래로 이동할 수 없고 시술자가 원하는 깊이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종래기술과 같이 시술부위를 스텐트 등으로 덮지 않아 냉각수가 전달되는 경로도 짧아질 수 있으며, 동시에 핸드 피스(11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는 절삭 기구(130)를 따라 형성된 구멍으로 전달될 수 있어 천공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매우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드릴과 같은 기구를 안내하는 방식과 달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임플란트보다 다양하지 않는 핸드 피스(110)에 결합되는 최소한의 부품을 이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종 기구에 적절한 도구를 교체하는 작업 등을 생략할 수 있어 별도의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시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초기부터 포스트(170)와 결합된 미들 가이드(190)에 의해 절삭 기구(130)가 원하는 위치에 안내될 수 있어 안정적인 경로를 확보하여 시술위치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시술 부위를 스텐트로 덮지 않아 잇몸을 여는 수술(flap op) 등에서도 활용할 수 있어 시술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그리고, 시술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골과열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과 달리 미들 가이드(190)가 핸드피스가 아닌 절삭 기구(130)를 안내하여 절삭 기구(130)보다 더 큰 움직임, 회전, 유동 등이 발생할 수 있는 핸드 피스(11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유격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비하여 가이드의 유동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치조골의 구멍의 크기를 보다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유격을 최소화시켜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어 환자의 회복을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치조골과의 유착 등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 피스 외부로 노출된 절삭 기구의 생크부를 지지하여 절삭 기구를 안내하기 때문에 회전하는 물체의 아래쪽을 지지하는 중심이 낮은 곳을 지지하여 저중심 구조를 가져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지지하면서도 힘이 덜 소요되며, 안정적이고 연속적으로 원하는 위치를 지지할 수 있는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되는 부위에 마찰을 줄일 수 있는 베어링, 표면 처리 등의 부싱 부재를 이용하여 보다 원활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어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이상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치조골에 천공을 하는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실시예에만 그치지 않고 환자의 치아 위치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위치에 소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구를 가이드하는 다양한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 110 : 핸드피스
130 : 절삭 기구 133 : 결합부
135 : 생크부 137 : 천공부
150 : 스텐트 153 : 걸림부
170 : 포스트
173 : 포스트 본체 175 : 물림부
177 : 스토퍼 179 : 스페이스
190 : 미들 가이드 193 : 가이드본체
195 : 포스트 안내부 197 : 절삭기구 안내부
199a, 199b, 199c : 부싱부재
T : 치아

Claims (4)

  1. 임플란트용 치조골 천공을 위한 절삭 기구와;
    상기 절삭기구를 결합하여 상기 절삭기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드 피스와;
    환자의 치아 또는 잇몸에 지지되는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스트와;
    일측은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안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하는 상기 절삭 기구에 결합되는 미들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가이드는, 상기 포스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포스트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절삭 기구가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가이드는 상기 절삭 기구가 치조골의 천공을 담당하는 영역인 천공부를 제외한 상기 핸드 피스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에서 상기 절삭 기구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핸드 피스 가이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가이드는,
    가이드 본체와;
    상기 가이드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포스트가 결합 가능하게 관통된 포스트 안내부와;
    상기 가이드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절삭 기구가 결합되는 절삭 기구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 안내부 및 상기 절삭 기구 안내부 중 하나에는 부드러운 가이드를 위한 베어링, 마찰계수를 적게 하는 표면 코팅 처리,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
KR1020110106754A 2011-10-19 2011-10-19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 KR20130042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754A KR20130042717A (ko) 2011-10-19 2011-10-19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754A KR20130042717A (ko) 2011-10-19 2011-10-19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717A true KR20130042717A (ko) 2013-04-29

Family

ID=48441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754A KR20130042717A (ko) 2011-10-19 2011-10-19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27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537A1 (ko) * 2014-03-14 2015-09-17 안경숙 버 유도부재를 가지는 핸드피스
WO2016024681A1 (ko) * 2014-08-12 2016-02-1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용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537A1 (ko) * 2014-03-14 2015-09-17 안경숙 버 유도부재를 가지는 핸드피스
WO2016024681A1 (ko) * 2014-08-12 2016-02-1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용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9000U (ja) 歯科用穿孔アセンブリ
JP4852183B2 (ja) インプラント用器具及びインプラント用器具のガイドシステム
ES2296211T3 (es) Guia quirurgica de implante a medida y fresa asociada,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las mismas.
US8708699B2 (en) Drill guide
AU2008290807B2 (en) Drill guide with a limit stop
KR20100066506A (ko) 임플란트 식립용 천공기구, 핸드피스, 핸드피스용 어댑터 및 서지컬 가이드
EP2250971A1 (en) Surgical guide, and drill position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70189136A1 (en) Implant surgical guide apparatus
WO2004098435A3 (en) Dental implant and related methods
KR200482232Y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KR20160130242A (ko) 단차 가이드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링 도구
JP2009285358A (ja) 医療用切削具のガイド部材及びそれに挿着可能な医療用切削具
TWI563986B (zh) 植牙手術導引裝置組
KR101166161B1 (ko) 구강 내 외과용 시술유도 장착물의 가공을 위한 천공용 드릴
KR101453775B1 (ko) 임플란트 정밀유도 식립용 시술 기구 키트
KR20130042717A (ko) 핸드피스 가이드 장치
KR10210490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JP6842193B2 (ja) 歯科外科手術ガイドシステム
KR20110106573A (ko) 핸드피스 가이드 스텐트
US8678819B2 (en) Surgical guide, and a method for positioning a drill using the surgical guide
KR20090121523A (ko)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장치
KR100852572B1 (ko) 치과용 의료 기기
JP2018046946A (ja) 口腔内加工装置及び口腔内治療システム
KR101528032B1 (ko) 점막관통형 임플란트 가이드
KR102009009B1 (ko) 임플란트 가이드 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