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525A - 타일줄눈 조성물 - Google Patents

타일줄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525A
KR20130042525A KR1020130031764A KR20130031764A KR20130042525A KR 20130042525 A KR20130042525 A KR 20130042525A KR 1020130031764 A KR1020130031764 A KR 1020130031764A KR 20130031764 A KR20130031764 A KR 20130031764A KR 20130042525 A KR20130042525 A KR 20130042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composition
tile joint
joint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창현
Original Assignee
주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현 filed Critical 주창현
Priority to KR1020130031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2525A/ko
Publication of KR2013004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52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6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joint fill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0Defoamers, air detr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의 화장실, 현관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된 타일 또는 대리석 사이의 줄눈이 파손되어 발생되는 물의 침습이나, 타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타일 줄눈을 마감 시공하기 위한 타일줄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우레탄을 이용하여 조성하는 타일 줄눈 조성물에 안료 또는 펄 등을 혼합하는 경우 가사 및 경화과정에서 발포현상에 의해 거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안료 또는 펄 등을 다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색상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일 줄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일줄눈 조성물{Tiles Joint Compositions}
본 발명은 주택의 화장실, 현관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된 타일 또는 대리석 사이의 줄눈이 파손되어 발생되는 물의 침습이나, 타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타일 줄눈을 마감 시공하기 위한 타일줄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우레탄을 이용하여 조성하는 타일 줄눈 조성물에 안료 또는 펄 등을 혼합하는 경우 가사 및 경화과정에서 발포현상에 의해 거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안료 또는 펄 등을 다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색상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일 줄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주거하는 공간인 아파트, 연립, 단독 또는 오피스텔 등의 화장실이나 현관 또는 베란다 등 급수시설이나 배수시설이 갖추어진 공간은 타일시공이 되어 있고, 고급주택의 경우 거실 벽면이 대리석 시공이 되어 있다.
상기 타일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마감재 상부에 타일본드나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얇게 도포한 후 그 도포된 타일본드나 콘크리트에 타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한 후, 타일사이의 공간을 백색 시멘트를 이용하여 메워 평평하게 하였다. 상기 타일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백색 시멘트를 줄눈이라 부르고 있다.
그러나 상기 줄눈은 시멘트 등 경화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기간이 경과할 수록 물이 스며들거나 동절기 및 하절기를 거치면서 수축과 팽창이 반복되어 금이 가게 되고, 더 시간이 경과 하면 그 부분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줄눈이 파손될 경우 그 줄눈 사이로 물이 스며들어 아래층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물청소시 줄눈 파손물이 자주 발생하여 타일시공된 장소가 지저분하고, 먼지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거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줄눈이 파손될 경우 대부분의 보수방법은 파손된 줄눈은 드라이버와 같은 날까로운 연장을 사용하여 뜯어내고, 그 줄눈이 제거된 공간에 다시 백색 시멘트를 채워넣는 방법으로 보수공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백색 시멘트 등을 사용할 경우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한 문제점들이 다시 반복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에폭시 계열 및 우레탄 계열의 많은 타일 줄눈 조성물들이 안출 되었으며,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특허 제1140454호(타일줄눈 조성물)에는 폴리에스터 폴리올 및 경화제를 이용하여 조성된 타일줄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에스터 폴리올 및 경화제를 이용하여 조성된 타일 줄눈 조성물은 경화될 경우 반투명 상태이기 때문에, 밑부분의 변색되거나 노출된 백색 시멘트 타일 줄눈이 드러나 미관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안료 또는 펄 등 투명도를 낮추어 바탕의 백색 시멘트 줄눈이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도, 바닥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엄폐제를 혼합하여 조성하였다.
그러나 폴리에스터 폴리올 또는 우레탄 등에 색상도나 투명도를 낮추기 위해 안료 또는 펄 등의 첨가제를 다량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량의 첨가제를 혼합할 경우 가사 및 경화과정에서 발포현산에 의해 거품이 많이 발생되어 추후 시공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되므로 미량의 첨가제만을 혼합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 경우 혼합할 경우 원하는 형태의 줄눈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액형 우레탄과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되 다량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기 위해 소량의 소포제를 혼합하여 타일 줄눈을 조성함으로써 원하는 첨가제를 혼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2액형 우레탄과 경화제 혼합물에 소량의 소포제를 혼합하여, 펄, 글리터펄, 메탈릭 파우더, 파우더, 축광안료, 형광안료, 천연광물, 조개가루, 자개분말, 백토, 홍토, 흑토, 황토 등 원하는 첨가물을 원하는 만큼 혼합하여 조성함으로써 기존 타일 줄눈의 엄폐와 미관을 더 향상시키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상의 2액형 우레탄과 경화제를 2:1 내지 1:1 중량비로 혼합한 주제와; 상기 주제에 0.1 내지 5 중량%의 소포제를 더 혼합 교반하여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줄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2액형 우레탄과 경화제를 혼합한 타일 줄눈 조성물에 혼합과정에서 소포제를 소량 더 혼합하여 조성함으로써 가사 및 경화가정에서 다양한 첨가제를 다량 혼합하더라도 발포현상에 의한 거품의 발생이 없어 양질의 타일 줄눈 조성물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다량의 첨가제를 혼합함으로써 원하는 형태의 타일 줄눈을 얻을 수 있있고, 기존 오염되거나 변색된 타일 줄눈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에 형성되어 있던 타일 사이의 줄눈이 파손되거나, 새로운 타일 시공 후 타일 사이를 매우기 위해 형성하는 줄눈에 우레탄 계열의 수지를 주입하여 탄성과 방수성이 우수한 타일줄눈을 시공하는 타일줄눈 조성물로서, 액상의 2액형 우레탄과 액상의 경화제를 1:1 내지 2:1 중량비로 혼합한 주제와, 상기 주제의 0.1 내지 5 중량%에 해당하는 소포제를 혼합 교반하여 조성한다.
또한, 상기 소포제가 혼합된 주재에, 9 내지 99 중량%의 첨가제를 더 혼합하여 원하는 색상이나 형태를 갖는 타일 줄눈 조성물을 조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타일 줄눈 조성물을 조성할 경우 가사 및 경화과정에서 발포현상에 의해 거품이 발생하거나 발포현상이 없어 양질의 타일 줄눈 조성물을 조성할 수 있다.
이때, 첨가되는 조성물은 펄, 글리터 펄, 메탈릭 파우더, 파우더, 축광안료, 형광안료, 천연광물, 조개가루, 자개분말, 백토, 홍토, 흑토, 황토 중 어느 하나를 넣어 조성함으로써 엄폐 효과를 높이고 미관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타일 줄눈 조성물은 타일 사이에 시공하여 새로운 줄눈을 형성하거나 이미 백색 시멘트 또는 실리콘 등으로 시공되어 있는 변색되거나 오염된 줄눈 상부에 덧씌우는 형태로 시공하여 손상된 줄눈을 보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3)

  1. 액상의 2액형 우레탄과 경화제를 2:1 내지 1:1 중량비로 혼합한 주제와; 상기 주제에 0.1 내지 5 중량%의 소포제를 더 혼합 교반하여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줄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줄눈 조성물에 색상이나 엄폐효과를 갖는 첨가제를 9 내지 99% 중량비로 더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줄눈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펄, 글리터 펄, 메탈릭 파우더, 파우더, 축광안료, 형광안료, 천연광물, 조개가루, 자개분말, 백토, 홍토, 흑토, 황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줄눈 조성물.

KR1020130031764A 2013-03-25 2013-03-25 타일줄눈 조성물 KR20130042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764A KR20130042525A (ko) 2013-03-25 2013-03-25 타일줄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764A KR20130042525A (ko) 2013-03-25 2013-03-25 타일줄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525A true KR20130042525A (ko) 2013-04-26

Family

ID=4844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764A KR20130042525A (ko) 2013-03-25 2013-03-25 타일줄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25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4825A (zh) * 2013-12-13 2014-04-16 芜湖佳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绝缘耐压型胆口密封圈
WO2017144745A1 (es) * 2016-02-26 2017-08-31 Celso Rodriguez Barreiro Masa para junta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4825A (zh) * 2013-12-13 2014-04-16 芜湖佳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绝缘耐压型胆口密封圈
WO2017144745A1 (es) * 2016-02-26 2017-08-31 Celso Rodriguez Barreiro Masa para junt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23321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productos de losas de cemento que tienen propiedades antimicrobianas
KR100860270B1 (ko) 시멘트를 이용한 인공 조각품의 제작방법
US10718118B2 (en) Simulated rock panels
CN101230222B (zh) 仿瓷砖涂料及其制备方法
KR100803970B1 (ko) 무기계 수성 폴리머수지 몰탈 조성물 및 이를 도포하기위한 장치
CN110761507A (zh) 一种外墙斩假石的施工方法
KR20130042525A (ko) 타일줄눈 조성물
CN103321367B (zh) 清水混凝土清水漆施工工艺
CN105350775B (zh) 一种仿石材干挂效果的建筑外墙装饰的施工工艺
CN104530914A (zh) 一种聚合物地面涂膜材料及其制备和施工方法
US20110121484A1 (en) Method of producing a color enhanced surface seeded exposed aggregate concrete
KR101202107B1 (ko) 타일줄눈 조성물
CN208776593U (zh) 一种抛光混凝土装饰地坪
KR20120093120A (ko) 우레탄을 이용한 수직 타일 줄눈 마감제
KR101140454B1 (ko) 타일줄눈 조성물
CN206581551U (zh) 一种自流平魔石地坪
KR101459992B1 (ko)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는 바닥 마감재 시공방법
CN114319779A (zh) 一种无机骨料聚氨酯磨石地坪及其制备方法和应用
Heinemann Colour alterations of historic concrete surfaces during the Dutch Interwar Period
KR100581701B1 (ko) 건축물의 마감재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건축물 마감재
CN207436437U (zh) 聚氨酯透水地坪
CN207846995U (zh) 聚氨酯泼墨地坪
CN110451856A (zh) 一种预制结构装饰一体化内隔墙板及其制备方法
JP2017115561A (ja) 化粧構造体
Pepi et al. Conservation of Dalle de Verre at the New York hall of sc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