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727A - 전기광학장치 및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광학장치 및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727A
KR20130041727A KR1020120107224A KR20120107224A KR20130041727A KR 20130041727 A KR20130041727 A KR 20130041727A KR 1020120107224 A KR1020120107224 A KR 1020120107224A KR 20120107224 A KR20120107224 A KR 20120107224A KR 20130041727 A KR20130041727 A KR 20130041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light emitting
period
light
pixe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449B1 (ko
Inventor
히로후미 가쓰세
다케시 오쿠노
료 이시이
나오아키 고미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4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이 고 해상도가 되고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도, 각 화소의 충전 기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개구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데이터 선, 복수의 주사선 및 데이터 선과 주사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영역을 구비하고,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화소회로를 1개만 구비하는 화소영역이 1줄 걸러에 설치되며, 1개의 화소회로를 구비하는 화소영역 사이의 행에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화소회로를 2개 구비하는 화소영역이 1줄 걸러 설치되고, 2개의 화소회로를 구비하는 화소영역은 한 쪽 화소회로에서 발광소자를 발광시켜 있는 기간에 다른 쪽의 화소회로에서 상기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광학장치 및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 {DIPLAY DEVICE COMPRISING THE PIXEL AND DRIVING METHOD OF THE DIPLAY DEVICE}
본 발명은 전기광학장치 및 전기광학장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시부는, 투과형 혹은 반투과 반사형의 액정 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나, 유기EL소자가 구성된 유기EL표시 패널을 구비한 유기EL표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광학장치는, 근래에는 해상도가 높아지고 삼차원 화상 표시에 따라, 화소 회로의 고속 구동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삼차원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화소회로 및 화소회로의 구동 방법에 관한 기술이, 특허문헌 1, 2 및 비특허문헌 1, 2 등으로 공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종래 기술 및 그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장치가 표시하는 화상을 삼차원 화상으로 사용자에 지각시키기 위해서는, 액정 등의 편광소자로 이루어지는 셔터 글래스를 이용할 수 있다.
셔터 글래스는 AMOLED 패널이 좌우의 눈에 비추는 화상을 1프레임(60Hz)동안 변경하여 표시하는 타이밍에 동기 되어 셔터를 개폐하고, 적절한 눈에만 표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셔터가 개폐를 완료하지 않고 있는 기간에 패널을 발광시키면, 좌우 2개의 영상이 혼재해서 보인다.
이로 인해, 셔터가 개폐를 완료하지 않고 있는 기간 동안은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소광 상태로 하고, 한쪽 셔터만 연 상태로 된 후에 패널의 전 화소를 동시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좌안 및 우안용 화상이 전혀 혼재해서 보일 일이 없는, 소위 3D cross talk 가 없는 표시 화질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의 화소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전기광학장치(10)의 화소 구성 예로서, 주사선(SCAN)(40)과 데이터 신호 선(41)과의 교점에 설치되는, 파선에서 나타낸 1개의 화소(30)의 화소 영역 중 1개의 발광소자(21)와, 화소 전압유지 및 전류제어 회로를 구비한 화소회로(20)를 나타내고 있다.
발광소자(21)는, 전류가 흐르면, 그 전류량에 따라 자발광 하는 소자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의 화소(3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의 패널 구동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과 같이 PMOSFET로 구성된 화소 회로의 경우, 주사선(SCAN)(40)에 LOW전압이 인가되어 화소 스위치(11)가 온 된 타이밍에 동기 되고, 데이터 신호선(41)으로부터 영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소 전압이 충전되어 커패시터(22)가 갱신된다.
그 후, 다시 주사선(40)에 HIGH 전압이 인가되어 화소 스위치(11)가 OFF 되어 화소 전압이 보유된다.
모든 화소의 데이터의 갱신이 종료된 후, 전 화소 동시에 발광 제어선(44)을 LOW전압으로 하여 발광용 스위치(12)가 온 되면, 애노드측 전원선(42)으로부터 캐소드측 전원선(43)에 흐르는 전류로 발광소자(21)가 발광한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난 전기광학장치(10)의 패널 구동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의 화소 회로용 제어신호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각각의 영상이 120Hz의 서브프레임 기간마다 전환되게 패널의 화소 전압이 갱신된다.
전기광학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3D cross talk를 없애기 위하여,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반의 기간을 소광기간에서 하여 좌안용 영상 데이터에 근거해 선 순차 주사해서 패널의 직전 화소 전압을 재기입하고, 직전 화소 전압 재 기입이 종료한 후에 화소를 발광하여 좌안용 영상을 표시한다.
부호 50으로 나타내는 파선은, 선 순차 주사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부호 51은 좌안용의 화상의 표시 데이터가 각 화소에 기입되고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는, 첫째 줄의 주사선(40)에 인가되는 SCAN [1], 2줄째의 주사선(40)에 인가되는 SCAN [2], ..., n-번째 줄의 주사선(40)에 인가되는 SCAN [n], n행째의 주사선(40)에 인가되는 SCAN [n], 발광용 스위치(12)를 온으로 하기 위한 신호선(41)에 인가되는 DATA[m]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첫째 줄로부터 순차로 주사선에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는 동안 데이터 신호선(41)로 영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소 전압이 충전되고, 발광용 스위치(12)를 온으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용 스위치(12)를 온 하여 화면이 발광된다.
동일하게, 다음 서브프레임 기간에서 소광 기간 동안 우안용의 영상 데이터에 근거해 선 순차 주사해서 패널의 직전 화소 전압을 재기입하고, 직전 화소 전압의 재기록이 종료한 후에 화소를 발광해 우안용 영상을 표시한다.
부호 52는, 우안용의 화상의 표시 데이터가 각 화소에 기입되고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1프레임의 거의 4분의 1의 기간에 직전 화소가 갱신된다.
그러나 화면이 고해상도가 되고 크기가 커지면, 각 화소에 표시 데이터를 갱신하는 기간이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화면이 고해상도가 되거나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도, 각 화소에 표시 데이터를 갱신하는 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의 화소 구성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전기광학장치(10')의 화소 구성 예로서, 주사선(SCAN)(40d, 40e)과 데이터 신호선(41)과 애노드측 전원선(42)에 둘러싸인, 파선으로 나타낸 1개의 화소(30)의 화소영역 중에, 1개의 발광소자(21)와, 화소 전압유지 및 전류제어 회로를 구비한 2개의 화소회로(20a, 20b)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는, 1개의 화소(30) 안의 2개의 화소회로 (20a, 20b)로 좌우 각각의 화소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의 패널 구동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화소회로(20a)의 화소 전압으로 유지된 좌안용의 영상의 발광 표시기간 동안에, 화소회로(20b)에 우안용의 영상의 표시 데이터를 써 넣을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 10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에서는, 이전 프레임의 발광 기간이 종료하고 나서, 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 근거한 선 순차 구동에 의해 화소 전압이 갱신되었다.
도 14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에서는, 이전 프레임의 제2 발광 기간부터 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소 전압 갱신이 되고, 제1 소광기간 종료까지의 기간을 표시 데이터 갱신 기간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에서는 발광 동작에만 소비되어 있었던 기간이, 도 14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에서는 소광시의 종래 데이터 갱신 기간에 가해진다.
따라서, 도 14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의 총 데이터 갱신 기간은 도 10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의 실질 2배로 증가 된다.
도 14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는 데이터 갱신 기간의 부족에 대하여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도 14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에는, 각 화소에 화소회로가 복수 개 설치되므로, 1화소당의 회로 소자 수는 현저하게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또 화소회로가 없는 개구부로부터 광을 투과하는 bottom emission 타입의 AMOLED의 경우, 개구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특개 2011-034039호 공보 [특허문헌2] 특개 2010-250111호 공보
[비특허문헌1] SID2011 DIGEST p.1725 [비특허문헌2] AM-FPD'11 p.12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이 고해상도가 되고, 커지는 경우에도, 각 화소의 충전 기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개구율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하고 개량된 전기광학장치 및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있는 관점에 의하면, 복수의 데이터 선, 복수의 주사선 및 상기 데이터 선과 상기 주사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설치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영역; 및 1프레임 중에, 상기 발광소자가 모든 상기 화소영역에서 소정의 기간에 일제히 발광하는 발광 기간과 상기 발광소자가 발광하지 않는 비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전기광학 장치에 있어서,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화소회로를 1개만 구비하는 화소영역이 1줄 걸러 설치되고, 1개의 화소회로를 구비하는 화소영역 사이의 행에,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화소회로를 2개 구비하는 화소영역이 1줄 걸러 설치되며, 2개의 화소회로를 구비하는 상기 화소영역은, 한쪽 화소회로에서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고 있는 기간에 다른 쪽 화소회로에 상기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기록 처리를 실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광학장치는, 복수의 데이터 선과, 복수의 주사선과, 데이터 선과 주사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영역을 구비한다.
전기광학장치는, 1프레임 중에, 발광소자가 모든 화소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에 일제히 발광하는 발광 기간과 발광소자가 발광하지 않는 비발광 기간을 가지고,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화소회로를 1개만 구비하는 화소영역과,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화소회로를 2개 구비하는 화소영역이 1줄 걸러 설치된다.
그리고, 2개의 화소회로를 구비하는 화소영역은, 한쪽 화소회로에서 발광소자를 발광시켜 있는 기간에 다른 쪽의 화소회로에서 상기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기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상기 전기광학장치는, 화면이 고해상도가 되고, 또 화면이 대화면화 된 경우에도, 각 화소의 충전 기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개구율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개의 화소회로를 구비하는 화소영역 가운데 한쪽 화소회로는 물리적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분할되어 있을 뿐의 화소회로는, 화소회로를 1개만 구비하는 화소영역의 일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발광 기간과 비발광 기간을 1프레임 중에 2회 반복해도 된다.
발광 기간과 비발광 기간의 길이는 동일하여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상기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복수의 데이터 선과, 복수의 주사선과, 데이터 선과 주사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영역을 구비하고, 1프레임 중에, 발광소자가 모든 화소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에 일제히 발광하는 발광 기간과 발광소자가 발광하지 않는 비발광 기간을 가지고,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화소회로를 1개만 구비하는 화소영역이 1줄 걸러 설치되고, 1개의 화소회로를 구비하는 화소영역 사이의 행에,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화소회로를 2개 구비하는 화소영역이 1줄 걸러 설치되는 전기광학장치에 있어서, 발광소자가 발광하고 있는 발광 기간에, 화소회로를 2개 구비하는 화소영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고 있는 화소회로가 상기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제1 스텝과, 발광소자가 발광하지 않고 있는 비발광 기간에 화소회로를 1개 구비하는 화소영역에 있어서 화소회로가 상기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제2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발광 기간과 비발광 기간이 1프레임중에 2회 반복되어 있어도 된다.
발광 기간과 비발광 기간의 길이는 동일하여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발광 기간 쪽이 비발광 기간보다도 길 경우는, 제1 스텝은, 비발광 기간의 길이만 실행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화소의 충전 기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개구율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개량된 전기광학장치 및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의 화소 (130a, 130b)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의 패널 구동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으로 삼차원화상을 표시할 때의, 셔터 글래스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에 포함되는 패널 내장 회로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의 화소회로의 제어신호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는 전기광학장치(100)의 표시 데이터의 필요 유지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의 패널 구동 타이밍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의 패널 구동 타이밍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의 화소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의 화소(3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의 패널 구동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의 화소회로의 제어신호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의 화소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의 패널 구동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전기광학장치 및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의 구성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는, 주사선(SCAN) (140a, 140b, 140c)과, 데이터 신호 선(141)과, 애노드측 전원선 (142)에 둘러싸여진, 파선으로 나타낸 화소 (130a, 130b)가 1라인 걸러 교대로 설치된다.
각 화소 (130a, 130b)는, 각각 화소회로(120a)와, 발광소자 (121a, 12lb)를 포함한다.
발광소자 (121a, 12lb)은, 전류가 흐르면, 그 전류량에 따라 자발광 하는 소자이다.
화소회로(120a)은 발광소자(121a)를 발광시키기 위해, 화소 전압 유지 및 전류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화소(130a)에 구비되어 있는 발광소자(121a)에는, 화소회로(120a) 이외에, 화소회로(120b)가 연결되어 있다.
화소회로(120b)는, 화소회로(120c, 120d)로 이루어지고, 화소회로 (120c, 120d)는 화소회로(120b)를 2분할 한 것이다.
화소회로(120c)는 화소(130a)에 포함되지만, 화소회로(120d)는 화소(130b)에 걸쳐있다.
화소회로(120b)를 구성하는 화소회로(120c)와 화소회로(120d)는, 발광소자(121a)가 상하의 화소(130)으로 등 간격 배치할 수 있게 화소회로를 분할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화소회로(120a)와 화소회로(120b)는 전기 회로로서는 동등한 기능을 갖고 발광소자와 화소회로의 위치 관계는 관련된 예에 한정되지 않다.
어느 경우에나 화소회로(120a)와 화소회로(120b)가, 발광소자(121a)에 접속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화소 전압을 갱신 및 보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소(130b)에 포함되는 화소회로(120a)는, 발광소자(12lb)에만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간결화 때문에 주사선(140a, 140b, 140c)만 기재하고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에는, 화소회로(120a, 120b)를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제어 선이 추가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의 화소(130a, 130b)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는, 화소회로(120a, 120b)를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할 수 있는 발광 제어 선(144a, 144b, 144c)이 도시되어 있다.
도 2과 같이 PMOSFET에서 구성된 화소 회로의 경우, 주사선(140a, 140b, 140c)에 LOW전압이 인가 되어서 화소 스위치(111a, 11lb, 111c)가 각각 온 된 타이밍에 동기되고, 데이터 신호 선(141)으로부터 영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소 전압이 충전되어 커패시터(122a, 122b, 122c)가 갱신된다.
그 후, 다시 주사선(140a, 140b, 140c)에 HIGH 전압이 인가되어 화소 스위치(111a, 11lb, 111c)가 OFF 되면, 화소 전압이 보유된다.
모든 화소의 데이터의 갱신이 종료된 후, 직전 화소 발광 제어 선을 동시에 LOW전압으로 해서 발광용 스위치(112a, 112b, 112c)가 온 되면, 애노드측 전원선 (142)으로부터 캐소드측 전원선(143)에 흐르는 전류로 발광소자 (121a, 12lb, 121c)가 발광한다.
여기에서, 화소회로(120a, 120b)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고, 발광용 스위치(112a, 112b)는 각각 배타적으로 온, 오프가 제어된다.
다시 말해, 화소회로(120a)에 화소 전압이 충전되어 있을 경우는 발광 기간에 있어서 발광용 스위치(112a)가 온 되고, 화소회로(120b)에 화소 전압이 충전되어 있을 경우는 발광 기간에 있어서 발광용 스위치(112b)가 온 된다.
이렇게 화소회로(120a, 120b)가 독립적으로 구동하고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는, 화소(130a)의 한쪽 화소회로가 보유한 화소 전압으로 발광소자(130a)를 발광시켜 있는 사이에, 다른 한쪽의 화소회로의 화소 전압을 충전하는 것으로 표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고, 표시 데이터의 갱신 시간을 확보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것 같은 화소회로(120b)를, 도 1과 같이 화소회로 (120c, 120d)의 2개로 분할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회로 면적상 큰 면적을 소유하는 커패시터(122b)과, 그 이외의 소자로 나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의 패널 구동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로 삼차원화상을 표시할 때 셔터 글래스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전기광학장치(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각각의 영상이 120Hz 서브프레임 기간별로 전환하도록 패널의 화소 전압이 갱신된다.
전기광학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3D cross talk를 없애기 위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광기간에서 절반의 기간을 좌안용의 영상 데이터에 근거해 직전 순차 주사하여 패널의 직전 화소 전압을 재기입하고, 직전 화소 전압 기입이 종료한 후에 화소를 발광해 좌안용 영상을 표시한다.
부호 201, 202, 203로 나타내는 파선은, 선 순차 주사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부호 201은 화소(130a)의 화소회로(120a)가 선 순차 주사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부호 202는 화소(130a)의 화소회로(120b)가 선 순차 주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부호 203은 화소(130b)의 화소회로(120a)가 선 순차 주사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발광(1)은 좌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기간을 나타내고, 발광(2)는, 예를 들면 우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기간을 나타낸다.
부호 201및 부호 203로 나타내는 선 순차 주사에 의해 표시 데이터가 기입된 각 화소는, 그 후의 발광(1) 기간에서 발광한다.
부호 202및 부호 203로 나타내는 선 순차 주사에 의해 표시 데이터가 기입된 각 화소는, 그 후의 발광(2) 기간에서 발광한다.
도 3의 타이밍 차트로 나타내고 있는 「표시 데이터 갱신 시간」은, 화소(130a)에 포함된 화소회로(120a) 또는 화소회로(120b)의 어느 한쪽 표시 데이터를 갱신하는 시간 및 화소(130b)에 포함되는 화소회로(120a)의 표시 데이터를 갱신하는 시간이다.
예를 들면, 화소회로(120a)가 화소 전압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화소회로(120a)로 표시 데이터를 갱신할 수는 없다.
표시하는 화상이 무너져버리기 때문이다.
그 경우는, 화소회로(120a)로 화소 전압을 보유하면서, 화소회로(120b)에 표시 데이터를 갱신한다.
발광(2)의 기간에서, 화소(130a)의 화소회로(120a)는, 주사선(140a)에 LOW전압이 인가되어 화소 스위치(111a)가 온 된 타이밍에 동기 되고 데이터 신호 선(141)으로부터 좌안용 영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소 전압이 충전되어, 커패시터(122a)가 갱신되고, 다시 주사선(140a)에 HIGH전압이 인가되어 화소 스위치(111a)가 OFF 되면 화소 전압이 보유된다.
이때, 주사선(140a)은 종방향으로 2화소마다 설치되어 있으므로, 1라인 날리기에서 (예를 들면 홀수 라인이) 주사되어, 직전 화소의 반이 갱신된다.
발광(2)의 기간에서, 발광 제어선(144b, 144c)에는 LOW전압을 인가되어 발광 제어 스위치(112b, 112c)를 온 해서 발광소자(121a, 12lb)를 구동 제어한다.
여기서 화소(130a)의 화소회로(120b)는, 또한 이전의 프레임에 있어서, 후술하는 순서로 표시 데이터가 갱신되어 있다.
적어도, 패널 전원 투입 직후는, 직전 화소 데이터는 발광 제어 스위치를 OFF로 한 상태에서 흑 표시의 화소 전압에 갱신되어 있다.
계속해서 발광(2)기간이 종료한 타이밍, 즉 현 프레임의 최초 소광기간에서 화소(130b)의 화소회로(120a)가, 현 프레임의 좌안용 영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소 전압의 갱신을 시작한다.
이때, 주사선(140c)은, 주사선(140a)와 동일하게 1라인 날리기에서 (예를 들면 짝수 라인이) 주사되어, 동일한 제어에 의해 직전 화소의 나머지 반이 갱신된다.
최초의 소광기간에서는 모든 발광 제어 선(144a, 144b, 144c)에 HIGH전압이 인가되어 발광 제어 스위치(112a, 112b, 112c)는 OFF 상태가 되어 있다.
화소(130b)의 화소회로(120a)의 화소 전압이 모두 갱신된 타이밍에서 발광 제어선(144a, 144c)에 LOW전압이 인가되고, 화소(130a)의 화소회로(120a) 및 화소(130b)의 화소회로(120a)의 유지전압에 의해 각각 접속된 발광소자 (121a, 12lb)를 구동 제어하여 좌안용의 영상 데이터에 근거한 발광(1)의 기간이 개시된다.
이 발광(1)기간 동안, 화소(130a)의 화소회로(120b)가, 현 프레임의 우안용 영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소 전압 갱신을 시작한다.
이때, 주사선(140b)은 1라인 날리기에서 주사되어, 직전 화소의 절반이 갱신된다.
발광(1)의 기간이 종료(=화소(130a)의 화소회로(120b)의 갱신이 종료)된 2번째 소광기간에, 화소(130b)의 화소회로(130a)가 동일하게 1라인 날리기에서 주사되어 직전 화소의 나머지 반이 갱신된다.
그 후, 발광 제어선(144b, 144c)에 LOW전압이 인가되고, 화소(130a)의 화소회로(120b) 및 화소(130b)의 화소회로(120a)의 유지전압에 의해 각각 접속된 발광소자(121a, 12lb)을 구동 제어하고, 우안용의 영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발광(2)의 기간이 개시된다.
이하, 이 제어가 순차 반복되어, 좌안용 및 우안용의 영상표시가 실현된다.
이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데이터 갱신 시간은 종래 기술 보다 실질적으로 2배 확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에 포함되는 매트릭스 형 배치의 화소(130)(화소(130a, 130b)을 총칭하고 있다), 주사 제어 회로(131)와, 데이터 신호 제어 회로(132)를 포함한 패널 내장 회로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사선(140a, 140b)에 인가되는 신호는, 120Hz마다 주사 제어 회로(131)의 출력이 전환되면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 제어 회로(131)의 뒤에, 서브프레임마다 출력처를 변경하는 제어 회로(133)를 별도 설치하여 주사 제어 회로(131)의 출력을 주사선(140a) 또는 주사선(140b)으로 변경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5에는, 서브프레임마다 출력처를 변경하는 제어 회로(133)를 제어하기 위한 대상 화소 전환 신호선(LR)(145)의 용도를 설명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드는 전기광학장치(100)는, 1라인 건너 주사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주사 제어 회로(131)안의 시프트레지스터 회로는, 종래 기술과 비교해서 반이 된다.
4분의 1 프레임마다 화소(130a)와 화소(130b)로 출력처가 전환되고, 2분의 1 프레임마다 화소(130a)의 화소회로(120a)와 화소회로(120b)로 출력처가 전환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의 화소회로용 제어신호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는, 데이터 신호 선(141)에 인가되는 DATA [m], 첫째 줄의 주사선(140a) 또는 주사선 (140b)에 인가되는 SCAN [1], 2줄째의 주사선(140c)에 인가되는 SCAN [2], ...,  n-첫째 줄의 주사선(140a) 또는 주사선(140b)에 인가되는 SCAN [n-1], n행째의 주사선(140c)에 인가되는 SCAN [n], 주사선(140a) 또는 주사선(140b)중 어느 하나를 유효하게 하는 때문에 대상화소 전환신호선(145)에 인가되는 대상 화소 전환 신호선(LR), 발광용 스위치(112a, 112b, 112c)를 온으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 EM1 [n], EM2 [n], EM3 [n]을 나타내고 있다.
대상 화소 전환 신호선(LR)이HIGH일 때는 주사선(140a)가 선택되고, 대상 화소 전환 신호선(LR)이LOW일 때는 주사선(140b)가 선택된다.
대상 화소 전환 신호선(LR)이HIGH 일때 SCAN [1], [2], ..., [n-1], [n]이 순차적으로 LOW가 되면, 1줄 걸러  주사선(140a)와 주사선(140c)이 선택된다.
또 대상 화소 전환 신호선(LR)이LOW일때 SCAN [1], [2], ..., [n-1], [n]이 순차적으로 LOW가 되면, 1줄 걸러  주사선(140b)과 주사선(140c)이 선택된다.
도 6에 나타낸 것 같은 신호를 각 선에 인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에 있어서, 표시 데이터의 필요유지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a)는, 도 3의 주사 기간(201)으로 갱신된 표시 데이터의 필요유지시간을 나타내고, 도 7(b)는, 도 3의 주사 기간(202)으로 갱신된 표시 데이터의 필요유지시간을 나타내며, 도 7(c)는, 도 3의 주사 기간(201)으로 갱신된 표시 데이터의 필요유지시간을 나타낸다.
한편, 도 7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화소회로가 표시를 위해 화소 전압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기간을 부호 301, 302, 303을 붙인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기간마다 표시에 이용할 수 있는 유지전압이, 화소(130a)의 화소회로(120a)와 화소회로(120b)가 교대로 반복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직전 화소의 반을 미리 발광 기간에서 선 순차로 주사해서 화소 전압을 화소회로로 유지시키고, 나머지의 화소를 소광기간에서 선 순차 주사해서 화소 전압을 화소회로에서 유지시키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는, 화면이 고해상도가 되고, 커지는 경우에도 각 화소의 충전 기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는, 종래의 각 화소에 2개의 화소회로를 구비할 경우와 비교해서 개구율이 상승하고, 화상 표시시의 밝기를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의 패널 구동 타이밍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소광기간과 발광 기간이 거의 동등한 길이이면, 데이터 갱신 기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소광기간이 발광 기간보다 긴 경우에도, 양쪽기간의 합계의 반에 화소(130a) 및 화소(130b)의 데이터 기록을 할당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 기록 기간을 확대할 수 있다.
도 9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광학장치(100)의 패널 구동 타이밍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와 같이 소광기간이 발광 기간보다 짧을 경우, 소광기간 길이를 기준으로 화소(130a) 및 화소(130b)의 데이터 갱신 기간을 확보하면 최대한의 데이터 기록 기간을 확대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걸리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소유하는 자이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 예 또는 수정 예에 이를 수 있는 것은 명확하여 이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AMOLED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패널의 백플랜(backplane)에 LTPS를 이용했을 경우 등에 적용되는 구동용TFT의 특성 격차 보상 회로를 내장한 화소회로에서 본 발명의 구동 타이밍을 적용할 수도 있다.
100 전기광학장치
110a, 110b, 110c 구동용TFT
111a, 11lb, 111c 스위치용TFT
112a, 112b, 112c 발광 제어용 스위치TFT
120a, 120b 화소회로
121a, 12lb, 121c 발광소자
122a, 122b, 122c 커패시터
130a, 130b 화소
131 게이트 신호측 드라이버
132 데이터 신호측 드라이버
133 구동 화소회로 셀렉터
140a, 140b, 140c 주사 신호 선
141 데이터 신호 선
142 애노드측 전원선
143 캐소드측 전원선
144 발광 제어신호선
145 대상화소전환 신호 선

Claims (11)

  1. 복수의 데이터 선, 복수의 주사선 및 상기 데이터 선과 상기 주사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설치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영역; 및
    1프레임 중에, 상기 발광소자가 모든 상기 화소영역에서 소정의 기간에 일제히 발광하는 발광 기간과 상기 발광소자가 발광하지 않는 비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전기광학 장치에 있어서,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화소회로를 1개만 구비하는 화소영역이 1줄 걸러 설치되고,
    1개의 화소회로를 구비하는 화소영역 사이의 행에,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화소회로를 2개 구비하는 화소영역이 1줄 걸러 설치되며,
    2개의 화소회로를 구비하는 상기 화소영역은, 한쪽 화소회로에서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고 있는 기간에 다른 쪽 화소회로에 상기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2개의 화소회로를 구비하는 상기 화소영역 가운데 한쪽 화소회로는 물리적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분할되어 있는 상기 화소회로는, 화소회로를 1개만 구비하는 상기 화소영역의 일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광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기간과 상기 비발광 기간을 1프레임 중에 2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기간과 상기 비발광 기간의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기간과 상기 비발광 기간의 길이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장치.
  7. 복수의 데이터 선, 복수의 주사선 및 상기 데이터 선과 상기 주사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설치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영역; 및
    1프레임 중에, 상기 발광소자가 모든 상기화소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에 일제히 발광하는 발광 기간과 상기 발광소자가 발광하지 않는 비발광 기간을 포함하며,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화소회로를 1개만 구비하는 화소영역이 1줄 걸러 설치되고, 1개의 화소회로를 구비하는 화소영역 사이의 행에,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화소회로를 2개 구비하는 화소영역이 1줄 걸러 설치되는 전기광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발광하고 있는 상기 발광 기간에, 화소회로를 2개 구비하는 상기 화소영역에서 상기 발광소자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화소회로가 상기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제1 스텝 및
    상기 발광소자가 발광하지 않고 있는 상기 비발광 기간에 화소회로를 1개 구비하는 상기 화소영역에서 화소회로가 상기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제2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기간과 상기 비발광 기간이 1프레임 중에 2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기간과 상기 비발광 기간의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기간과 상기 비발광 기간의 길이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기간이 상기 비발광 기간보다도 길 경우, 상기 제1 스텝은 상기 비발광 기간의 길이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20107224A 2011-10-17 2012-09-26 전기광학장치 및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 KR101962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7597A JP5930654B2 (ja) 2011-10-17 2011-10-17 電気光学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JP-P-2011-227597 2011-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727A true KR20130041727A (ko) 2013-04-25
KR101962449B1 KR101962449B1 (ko) 2019-07-18

Family

ID=4808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224A KR101962449B1 (ko) 2011-10-17 2012-09-26 전기광학장치 및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53667B2 (ko)
JP (1) JP5930654B2 (ko)
KR (1) KR101962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7641A (ja) * 2014-03-26 2015-10-29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CN104732929A (zh) * 2015-04-16 2015-06-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06409222A (zh) * 2016-10-31 2017-02-15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双路驱动的oled电路、驱动方法及显示面板
KR20200144827A (ko) * 2019-06-19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별로 다르게 설정된 주파수 동작 사이클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1646A1 (en) * 2007-07-23 2010-06-10 Pioneer Corporatio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JP2010250111A (ja) 2009-04-16 2010-11-04 Hitachi Ltd 時分割2眼立体視に対応した表示装置
JP2011034039A (ja) 2009-08-03 2011-02-1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93152B (en) * 1999-12-24 2002-07-01 Semiconductor Energy Lab Electronic device
GB0307476D0 (en) * 2003-04-01 2003-05-0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parkling display pixels of such a device
KR101066414B1 (ko) * 2004-05-19 2011-09-2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유기발광소자의 구동소자 및 구동방법과, 이를 갖는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100646935B1 (ko) * 2004-06-24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FR2882457B1 (fr) * 2005-02-21 2007-09-2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ircuit d'adressage de pixels et procede de controle d'un tel circuit
KR101112556B1 (ko) * 2005-04-04 2012-03-1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7345659B2 (en) * 2005-08-09 2008-03-18 Sin-Min Chang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display employing an array of pixels each employ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100635511B1 (ko) * 2005-09-30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143009B1 (ko) * 2006-01-16 2012-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R2900492B1 (fr) * 2006-04-28 2008-10-31 Thales Sa Ecran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FR2913818B1 (fr) * 2007-03-16 2009-04-17 Thales Sa Matrice active d'un ecran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KR20100070857A (ko) 2008-12-18 2010-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331750B1 (ko) * 2009-09-04 2013-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5367063B2 (ja) * 2010-03-31 2013-12-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立体表示装置
KR101324553B1 (ko) * 2010-05-17 2013-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122894B1 (ko) 2011-12-12 2012-03-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1646A1 (en) * 2007-07-23 2010-06-10 Pioneer Corporatio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JP2010250111A (ja) 2009-04-16 2010-11-04 Hitachi Ltd 時分割2眼立体視に対応した表示装置
JP2011034039A (ja) 2009-08-03 2011-02-17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 SID2011 DIGEST p.1725
[비특허문헌2] AM-FPD'11 p.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449B1 (ko) 2019-07-18
US20130093736A1 (en) 2013-04-18
JP5930654B2 (ja) 2016-06-08
JP2013088540A (ja) 2013-05-13
US9053667B2 (en) 201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465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wo power drivers for supplying different powers,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228482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46208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84921B1 (ko) 전기 광학 장치
US930547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P2217000B1 (en) Electronic imag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or displaying plain and stereoscopic images
US2015013805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159263B2 (en) Pixel with enhanced luminance non-uniformity, 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ixel and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KR102137521B1 (ko) 화소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JP2013171234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2088587A (ja) 画素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733381B1 (ko)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US20120147000A1 (en) Stereopsis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20057669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30041727A (ko) 전기광학장치 및 전기광학장치의 구동 방법
US10417963B2 (en) Electro-optic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optical apparatus
US20090179879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656687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JP5966537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5012396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9187063A1 (ja) 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表示装置
US20230300304A1 (en) Projec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projection device
US12002427B2 (en) Proje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ion device
CN112669752B (zh) 显示面板的驱动方法和显示装置
JP2005148173A (ja) フルカラー液晶表示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