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249A - 무름병의 방제제 및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무름병의 방제제 및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249A
KR20130041249A KR1020137004443A KR20137004443A KR20130041249A KR 20130041249 A KR20130041249 A KR 20130041249A KR 1020137004443 A KR1020137004443 A KR 1020137004443A KR 20137004443 A KR20137004443 A KR 20137004443A KR 20130041249 A KR20130041249 A KR 20130041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s
compound
methyl
pla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6952B1 (ko
Inventor
고지 스기모토
히로유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32Cyclic imides of polybasic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4Nitr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01N37/5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the nitrogen atom being doubly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 A01N41/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containing a sulfur-to-oxygen double bond
    • A01N41/04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01N41/06Sulfonic acid am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3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61,2-Diazoles; Hydrogenated 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01N43/653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4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s, e.g. biuret; Thio analogues thereof; Urea-aldehyde condensa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where at least one nitrogen atom is part of a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 A01N47/4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containing —N=CX2 groups, e.g. isothiourea
    • A01N47/44Guanidin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신규 무름병의 방제제와 그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없고, 또 토양 표면의 진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아족시스트로빈, 크레속심 메틸 등의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트리플루미졸, 시아조파미드, 아미설브롬, 티오파네이트메틸 등의 아졸계 화합물, 펜티오피라드, 보스칼리드 등의 카복스아미드계 화합물, 플루설파미드 등의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클로로타로닐 등의 유기 염소계 화합물, 프로시미돈, 이프로다이온 등의 디카복스이미드계 화합물, 플루디옥소닐 등의 페닐피롤계 화합물, 메파니피림 등의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 이미녹타딘 등의 구아니딘계 화합물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살균제를 유효성분으로서 식물 무름병의 방제제로 하고, 이것을 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한다.

Description

무름병의 방제제 및 방제방법{CONTROL AGENT FOR SOFT RO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야채류 등의 식물 무름병의 방제제 및 이 방제제를 이용한 무름병의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름병은, 에르위니아· 카로토보라 세균(Erwinia carotovora)에 의해 발생되며, 식물 조직이 연화 부패해 가는 식물 병해이다. 무름병의 방제 대상으로 되는 식물로는, 양배추, 셀러리, 무우, 담배, 양파, 토마토, 당근, 배추, 감자, 양상추, 고추냉이 등의 야채류를 들 수 있다. 세균성의 병은 약제의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기 때문에, 종래, 스트렙토마이신 등의 항생 물질이나, 또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리계 살균제를 대상 식물에 시용함으로써 방제 되고 있다. 그렇지만, 무름병과 같은 세균 병해의 방제에 사용되어 온 항생 물질은, 고가인데다가, 내성균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구리계 살균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 기온이 높으면 약해(藥害)가 발생한다, (2) 대량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방제 효과가 없고, 금속 오염의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항생 물질이나 구리계 약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제방법의 개발을 원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화 53-35127호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무름병의 방제제는, 비용이 비싸거나, 약해가 발생하거나, 또는 시용 장면에 따라서는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가 불충분하는 등, 실용상 몇 개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무름병의 방제제 및 그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무름병을 방제하기 위해서,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없고, 또 토양 표면의 진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메틸=(E)-2-{2-[6-(2-시아노페녹시)피리미딘-4-일옥시]]페닐}-3-메톡시아크릴레이트(일반명:아족시스트로빈;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메틸=(E)-메톡시이미노[2-(o-톨릴옥시메틸)페닐]아세테이트(일반명:크레속심 메틸;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등의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E)-4-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N-(1-이미다졸-1-일-2-프로폭시에틸리덴)-o-톨루이딘(일반명:트리플루미졸;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4-클로로-2-시아노-N,N-디메틸-5-p-톨릴이미다졸-1-설폰아미드(일반명:시아조파미드;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3-[(3-브로모-6-플루오로-2-메틸-1H-인돌-1-일)설포닐]-N,N-디메틸-1H-1,2,4-트리아졸-1-설폰아미드(일반명:아미설브롬;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디메틸=4,4'-(o-페닐렌)비스(3-티오알로파네이트)(일반명:티오파네이트메틸;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등의 아졸계 화합물, (RS)-N-[2-(1,3-디메틸부틸)-3-티에닐]-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스아미드(일반명:펜티오피라드;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2-클로로-N-(4'-클로로비페닐-2-일)니코틴아미드(일반명:보스칼리드;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등의 카복스아미드계 화합물, 2',4-디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4'-니트로-m-톨루엔설폰아닐리드(일반명:플루설파미드;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등의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2,4,5,6-테트라클로로-1,3-벤젠디카보니트릴(일반명:클로로타로닐;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등의 유기 염소계 화합물, N-(3,5-디클로로페닐)-1,2-디메틸시클로프로판-1,2-디카복스이미드(일반명:프로시미돈;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3-(3,5-디클로로페닐)-N-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카복스아미드(일반명:이프로다이온;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등의 디카복스이미드계 화합물, 4-(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4-일)피롤-3-카보니트릴(일반명:플루디옥소닐;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등의 페닐피롤계 화합물, N-(4-메틸-6-프롭-1-이닐피리미딘-2-일)아닐린(일반명:메파니피림;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등의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 및 1,1'-이미노디(옥타메틸렌)디구아니디늄=트리스(알킬벤젠설포네이트)(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염;이하,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등의 구아니딘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살균제를, 직접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Erwinia carotovora)에 시용해도 살균 효과는 없지만, 의외로, 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하면 무름병의 방제 효과가 있는 것을 찾아냈다.
본 발명의 식물 무름병의 방제제는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없고, 또 토양 표면의 진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이하, 「본 발명의 유효성분」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아졸계 화합물, 카복스아미드계 화합물,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유기 염소계 화합물, 디카복스이미드계 화합물, 페닐피롤계 화합물,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 및 구아니딘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살균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무름병의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방제제는, 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하는 방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무름병의 방제제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유효량을 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무름병의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유효량을 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 후, 식물 종자의 파종 또는 식물 모종의 정식(定植)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무름병의 방제방법 및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유효량을, 재배 토양에 혼화(混和)하지 않고 재배 토양의 표면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무름병의 방제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 무름병의 방제방법은, 상기한 무름병의 방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배 토양에 시용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시용량이 0.025~2.5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무름병의 방제제 또는 방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야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및 상기 야채류가 아스파라거스, 꽃상추, 칼라, 콜리플라워, 양배추, 곤약, 산동채, 셀러리, 무우, 담배, 양파, 청경채, 토마토, 가지, 당근, 파, 배추, 잎모란(Brassica oleracea x Brassica campestris), 파슬리, 감자, 브로콜리, 염교, 양상추, 고추냉이 및 유채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무름병의 방제제 또는 방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은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또는 크레속심 메틸(kresoxim methyl)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아졸계 화합물은 트리플루미졸(triflumizole), 시아조파미드(cyazofamid), 아미설브롬(amisulbrom), 또는 티오파네이트메틸(tiophanate methly)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카복스아미드계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penthiopyrad) 또는 보스칼리드(boscalid)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은 플루설파미드(flusulfamide)이고, 상기 유기 염소계 화합물은 클로로타로닐(chlorothalonil)이며, 상기 디카복스이미드계 화합물은 프로시미돈(procymidone) 또는 이프로다이온(iprodione)이고, 상기 페닐피롤계 화합물은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이며, 상기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은 메파니피림(mepanipyrim)이고, 상기 구아니딘계 화합물은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염(iminoctadine alvesilate sal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없고, 또 토양 표면의 진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아졸계 화합물, 카복스아미드계 화합물,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유기 염소계 화합물, 디카복스이미드계 화합물, 페닐피롤계 화합물,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 및 구아니딘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살균제를 무름병의 방제제로서 이용하고, 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함으로써, 종래의 방법에 비해 동등 이상의 무름병의 방제 효과가 발현된다. 또, 재배 토양에 혼화하지 않고 재배 토양 표면에 시용함으로써, 재배 토양 표면의 약제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보다 유효하게 무름병의 방제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종래의 무름병의 방제방법에 있어서는, 통상, 경엽 살포제를 3회 정도 살포하는데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처리는 1회뿐이며, 노동력 경감화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름병의 방제제 및 방제방법은, 유효성분으로서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없고, 또 토양 표면의 진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없다」란,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는 것,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의 생육을 1000ppm으로 저해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의 생육 저해 시험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행하면 좋고, 예를 들면, 본 명세서 기재의 방법에 따라서 행하면 좋다.
「토양 표면의 진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진다」란, 토양 표면에 존재하는 진균(예를 들면, 식물 병해의 원인이 되는 진균 등)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아졸계 화합물, 카복스아미드계 화합물,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유기 염소계 화합물, 디카복스이미드계 화합물, 페닐피롤계 화합물,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 및 구아니딘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살균제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살균제의 유효성분 화합물(일반명;일부 신청중을 포함하는, 또는 일본식물방역협회 시험 코드)을 이하에 예시한다.
상기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로는, 아족시스트로빈, 크레속심 메틸, 메토미노스트로빈(metominostrobin), 트리프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오리자스트로빈(oryzastrobin), 다임옥시스트로빈(dimoxystrobin),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플루옥사신트로빈(fluoxastrobin), 에네스트로블린(enestroburin)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족시스트로빈, 크레속심 메틸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졸계 화합물로는,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비터타놀(bitertanol), 트리플루미졸, 에타코나졸(etaconazole), 프로피코나졸(propiconazole), 펜코나졸(penconazole), 플루실라졸(flusilazole), 마이크로부타닐(myclobutanil), 사이프로코나졸(cyproconazole), 테브코나졸(tebuconazole), 헥사코나졸(hexaconazole), 퍼코나졸시스(furconazole-cis), 프로클로라즈(prochloraz), 메트코나졸(metconazole), 에폭시코나졸(epoxiconazole), 테트라코나졸(tetraconazole), 옥스포코나졸프말산염(oxpoconazole fumarate), 시프코나졸(sipconazole), 프로티오코나졸(prothioconazole), 트리아디메놀(triadimenol), 플루트리아폴(flutriafol),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플루퀸코나졸(fluquinconazole), 펜부코나졸(fenbuconazole), 브로무코나졸(bromuconazole), 디니코나졸(diniconazole), 트리사이클라졸(tricyclazole), 프로베나졸(probenazole), 시메코나졸(simeconazole), 펜푸라조에이트(pefurazoate), 이프코나졸(ipconazole), 이미벤코나졸(imibenconazole), 베노밀(benomyl), 티오파네이트 메틸, 카벤다짐(carbendazim), 티아벤다졸(thiabendazole), 푸베리아졸(fuberiazole), 시아조파미드, 이마자릴(imazalil), 아미설브롬(별명 아미브롬돌(amibromdole)),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플루미졸, 시아조파미드, 아미설브롬, 티오파네이트메틸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복스아미드계 화합물로는, 카복신(carboxin), 옥시카복신(oxycarboxin), 티플루자마이드(thifluzamide), 펜티오피라드, 보스칼리드, 빅사펜(bixafen), 플루오피람(fluopyram), 이소티아닐(isotianil),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1RS, 4SR, 9RS)-1,2,3,4-테트라히드로-9-이소프로필-1,4-메타노나프탈렌-5-일]피라졸-4-카복스아미드와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1RS, 4SR, 9SR)-1,2,3,4-테트라히드로-9-이소프로필-1,4-메타노나프탈렌-5-일]피라졸-4-카복스아미드의 혼합물(이소피라잠(isopyrazam)),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플루몰프(flumorph), S-2200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펜티오피라드, 보스칼리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설폰아미드계 화합물로는, 플루설파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염소계 화합물로는, 프탈라이드(fthalide), 클로로타로닐, 퀸토젠(quintozene)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클로로타로닐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카복스이미드계 화합물로는, 프로시미돈, 이프로다이온, 빈크로조린(vinclozolin) 등을 들 수 있다.그 중에서도, 프로시미돈, 이프로다이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닐피롤계 화합물로는, 플루디옥소닐, 펜피크로닐(fenpiclonil)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플루디옥소닐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로는, 메파니피림, 피리메타닐(pyrimethanil), 시프로디닐(cyprodinil), 페림존(ferimzone) 등을 들 수 있다.그 중에서도, 메파니피림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아니딘계 화합물로는, 이미녹타딘, 도다인(dodine),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염, 이미녹타딘초산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름병의 방제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통상의 농약의 제제 방법에 준하여 각종 보조제를 배합하고, 유제, 분제, 수화제, 액제, 입자제, 현탁제제 등의 여러 가지의 형태로 제제할 수 있다. 그때,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상기 보조제를 함께 혼합·제제해도 좋고, 또는 따로 따로 제제하여 그들을 혼합해도 좋다. 여기서 말하는 보조제로는, 담체, 유화제, 현탁제, 증점제, 안정제, 분산제, 전착제(展着劑), 습윤제, 침투제, 동결방지제, 소포제 등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적당히 첨가하면 좋다.
상기 담체로는, 고체 담체와 액체 담체로 나눌 수 있고, 고체 담체로는, 전분, 설탕, 셀룰로오즈 분말, 시클로덱스트린, 활성탄, 대두분, 소맥분, 왕겨가루, 목분(木粉), 어분(魚粉), 분유 등의 동식물성 분말;탈크, 카올린, 벤토나이트, 유기 벤토나이트, 탄산칼슘, 황산칼슘, 중탄산나트륨, 제올라이트, 규조토, 화이트 카본, 진흙, 알루미나, 실리카, 유황 분말, 소석회 등의 광물성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또, 액체 담체로는, 물;콩기름, 면실유 등의 식물유;소의 지방, 경유(鯨油) 등의 동물유;에틸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등의 알코올류;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이소포론 등의 케톤류;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케로신, 등유, 유동 파라핀,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톨루엔, 크실렌, 트리메틸벤젠, 테트라메틸벤젠, 솔벤트 나프타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산아미드류;초산에틸 에스테르, 지방산의 글리세린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디메틸설폭시드 등의 황-함유 화합물류, 또는 N-메틸-2-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여러 가지의 것이 이용되지만,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 유화제로서 작용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현탁제로는, 상품명 Veegum R(산요카세이(山洋化成)(주)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증점제로는, 카보네이트류, 실리케이트류 및 옥사이드류 등의 무기 입자;우레아-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등의 유기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정제로는, 에폭시화 동식물유, 비이온계 폴리옥시 에틸렌형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폴리옥시에틸렌형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및 알칼리성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산제로는, 나프탈렌 설포네이트 염, 나프탈렌 설포네이트-포르말린 축합물 염, 알킬 나프탈렌 설포네이트 염, 알킬나프탈렌 설포네이트-포르말린 축합물 염, 페놀 설포네이트 염, 페놀 설포네이트-포르말린 축합물 염, 리그닌 설포네이트 염, 폴리카복실레이트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포네이트 에스테르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포네이트 에스테르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염과 같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옥시 알킬렌 블록 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티릴 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와 같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착제로는, 나트륨 알킬 설페이트, 나트륨 알킬벤젠설 설포네이트, 나트륨 리그닌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습윤제로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의 공지와 같이, 양이온, 음이온, 양성 이온 또는 비이온형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침투제로는, 지방족 알코올 알콕실레이트, 광유, 식물유, 광유 또는 식물유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동결 방지제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소포제로는, 상품명 Rhodorsil 432(로디아 닛카(日華, NIKKA)(주)제), 상품명 Anti-mousse (BELCHIM CROP PROTECTION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각종 보조제와의 배합 비율은 중량비로 1:100,000~100,000:1 정도, 바람직하게는 1:1,000~1,000:1 정도이다.
이들 제제품의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그대로 사용하든지, 또는 물 등의 희석제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무름병의 방제제는, 다른 농약, 비료, 약해 경감제 등과 혼용, 또는 병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 한층 우수한 효과, 작용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다른 농약으로는, 제초제, 살균제, 항생 물질, 식물 호르몬,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 살토양해충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특히 기재가 없는 경우이더라도 이들 농약에 염, 알킬에스테르, 수화물, 다른 결정 형태, 각종 구조 이성체 등이 존재하는 경우는, 당연히 그것들도 포함된다.
상기 제초제의 유효성분으로는, 하기의 것(일반명;일부 ISO 신청중을 포함한다)을 들 수 있다.
(1) 2,4-D,2,4-D-부토틸(2,4-D-butotyl), 2,4-D-부틸, 2,4-D-디메틸암모늄, 2,4-D-디올아민, 2,4-D-에틸, 2,4-D-2-에틸헥실, 2,4-D-이소부틸, 2,4-D-이소옥틸, 2,4-D-이소프로필, 2,4-D-이소프로필암모늄, 2,4-D-나트륨, 2,4-D-이소프로판올암모늄, 2,4-D-트롤아민(2,4-D-trolamine), 2,4-DB, 2,4-DB-부틸), 2,4-DB-디메틸암모늄, 2,4-DB-이소옥틸, 2,4-DB-칼륨, 2,4-DB-나트륨, 디클로르프롭(dichlorprop), 디클로르프롭-부토틸(dichlorprop-butotyl), 디클로르프롭디메틸암모늄(dichlorprop-dimethylammonium), 디클로르프롭-이소옥틸(dichlorprop-isoctyl), 디클로르프롭-칼륨(dichlorprop-potassium), 디클로르프롭-P(dichlorprop-P), 디클로르프롭-P-디메틸암모늄(dichlorprop-P-dimethylammonium), 디클로르프롭-P-칼륨(dichlorprop-P-potassium), 디클로르프롭-P-나트륨(dichlorprop-P-sodium), MCPA, MCPA-부토틸(MCPA-butotyl), MCPA-디메틸암모늄(MCPA-dimethylammonium), MCPA-2-에틸헥실(MCPA-2-ethylhexyl), MCPA-칼륨(MCPA-potassium), MCPA-나트륨(MCPA-sodium), MCPA-티오에틸(MCPA-thioethyl), MCPB, MCPB-에틸(MCPB-ethyl), MCPB-나트륨(MCPB-sodium), 메코프롭(mecoprop), 메코프롭부토틸(mecoprop-butotyl), 메코프롭나트륨(mecoprop-sodium), 메코프롭-P(mecoprop-P), 메코프롭-P-부토틸(mecoprop-P-butotyl), 메코프롭-P-디메틸암모늄(mecoprop-P-dimethylammonium), 메코프롭-P-2-에틸헥실(mecoprop-P-2-ethylhexyl), 메코프롭-P-칼륨(mecoprop-P-potassium), 나프로아닐리드(naproanilide), 클로메프롭(clomeprop)과 같은 페녹시계; 2,3,6-TBA, 디캄바(dicamba), 디캄바부토틸(dicamba-butotyl), 디캄바-디글리콜아민(dicamba-diglycolamine), 디캄바-디메틸암모늄(dicamba-dimethylammonium), 디캄바-디올아민(dieamba-diolamine), 디캄바-이소프로필암모늄(dicamba-isopropylammonium), 디캄바-칼륨(dicamba-potassium), 디캄바-나트륨(dicamba-sodium), 디클로베닐(dichlobenil), 피클로람(picloram), 피클로람-디메틸암모늄(picloram-dimethylammonium), 피클로람-이소옥틸(picloram-isoctyl), 피클로람-칼륨(picloram-potassium), 피클로람-트리이소프로판올암모늄(picloram-triisopropanolammonium), 피클로람-트리이소프로필암모늄(picloram-triisopropylammonium), 피클로람-트롤아민(picloram-trolamine), 트리클로피르(triclopyr), 트리클로피르-부토틸(triclopyr-butotyl), 트리클로피르-트리에틸암모늄(triclopyr-triethylammouium), 클로피라이드(clopyraid), 클로피라이드-올아민(clopyraid-olamine), 클로피라이드-칼륨(clopyraid-potassium), 클로피라이드-트리이소프로판올암모늄(clopyraid-triisopropanolammonium), 아미노피라이드(aminopyraid)와 같은 방향족 카복실산계; 그 외 나프타람(naptlam), 베나졸린(benazolin), 베나졸린-에틸(benazolin-ethyl), 퀸클로락(quinclorac), 퀸메락(quinmerac), 다이플루펜조피르(diflufenzopyr), 디이플루펜조피르-나트륨(diflufenzopyr-sodium), 플루옥시피르(fluroxypyr), 플루옥시피르-2-부톡시-1-메틸에틸(fluroxypyr-2-butoxy-1-methylethyl), 플루옥시피르-멥틸(fluroxypyr-meptyl), 클로르플루레놀(chlorflurenol), 클로르플루레놀메틸(chlorflurenol-methyl) 등과 같이 식물의 호르몬 작용을 교란함으로써 제초효력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는 것.
(2) 클로로톨루론(chlorotoluron), 디우론(diuron), 플루오메트론(fluometuron), 리뉴론(linuron), 이소프로트론(isoproturon), 메토벤즈우론(metobenzuron), 테부티우론(tebuthiuron), 디메프론(dimefuron), 이소우론(isouron), 카르부틸레이트(karbutilate), 메타벤즈티아즈론(methabenzthiazuron), 메토수론(metoxuron), 모노리뉴론(monolinuron), 네브론(neburon), 시듀론 (siduron), 터브메톤(terbumeton), 트리에타진(trietazine)과 같은 우레아계; 시마진(simazine), 아트라진(atrazine), 아트라톤(atratone), 시메트린(simetryn), 프로메트린(prometryn), 디메타메트린(dimethametryn), 헥사지논(hexazinone), 메트리부진(metribuzin), 터부틸라진(terbuthylazine), 시아나진(cyanazine), 아메트린(ametryn), 사이부트린(cybutryne), 트리아지플람(triaziflam), 터브트린(terbutryn), 프로파진(propazine), 메타미트론(metamitron), 프로메톤(prometon), 인다지플람(indaziflam)과 같은 트리아진계; 브로마실(bromacil), 브로마실리튬(bromacyl-lithium), 레나실(lenacil), 터바실(terbacil)과 같은 우라실계; 프로파닐(propanil), 사이프로미드(cypromid)와 같은 아닐리드계; 스엡(swep), 데스메디팜(desmedipham), 펜메디팜(phenmedipham)과 같은 카바메이트계; 브로목시닐(bromoxynil), 브로목시닐 옥타노에이트(bromoxynil-octanoate), 브로목시닐 헵타노에이트(bromoxynil-heptanoate), 이옥시닐(ioxynil), 이옥시닐-옥타노에이트(ioxynil-octanoate), 이옥시닐-칼륨(ioxynil-potassium), 이옥시닐-나트륨(ioxynil-sodium)과 같은 히드록시벤조니트릴계; 그 외 피리데이트(pyridate), 벤타존(bentazone), 벤타존-나트륨(bentazone-sodium), 아미카바존(amicarbazone), 메타졸(methazole), 펜타노클로르(pentanochlor) 등과 같이 식물의 광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는 것.
(3) 파라쿼트(paraquat), 다이쿼트(diquat)와 같은 4급 암모늄염계 등과 같이, 그 자신이 식물체중에서 자유 라디칼이 되어, 활성산소를 생성시켜 효과가 빠른 제초 효력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는 것.
(4) 니트로펜(nitrofen), 클로메톡시펜(chlomethoxyfen), 비페녹스 (bifenox), 아시플루오로펜(acifluorfen), 아시플루오르펜-나트륨(acifluorfen-sodium), 포메사펜(fomesafen), 포메사펜-나트륨(fomesafen-sodium), 옥시플루오로펜(oxyfluorfen), 락토펜(lactofen), 아클로니펜(aclonifen), 에톡시펜-에틸(ethoxyfen-ethyl, HC-252),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fluoroglycofen-ethyl), 플루오로글리코펜(fluoroglycofen)과 같은 디페닐에테르계; 클로르프탈림(chlorphthalim), 플루미옥사신(flumioxaxin), 플루미클로락(flumiclorac), 플루미클로락-펜틸(flumiclorac-pentyl), 시니돈에틸(cinidon-ethyl), 플루티아세트-메틸(fluthiacet-methyl)과 같은 환상 이미드계; 그 외 옥사디알길(oxadiargyl), 옥사디아존(oxadiazon), 설펜트라존(sulfentrazone), 카펜트라존-에틸(carfentrazone-ethyl), 티디아지민(thidiazimin), 펜톡사존(pentoxazone), 아자페니딘(azafenidin), 이소프로파졸(isopropazole), 피라플루펜-에틸(pyratlufen-ethyl), 벤즈펜디존(benzfendizone), 부타펜아실(butafenacil), 사플루펜아실(saflufenacil), 플루폭삼(flupoxam), 플루아조레이트(fluazolate), 프로플루아졸(profluazol), 피라클로닐(pyraclonil), 플루펜피르-에틸(flufenpyr-ethyl), 벤카바존(bencarbazone) 등과 같이 식물의 클로로필 생합성을 저해하여, 광증감 과산화물질을 식물체중에 이상(異常) 축적시킴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는 것.
(5) 노르플루라존(norflurazon), 클로리다존(chloridazon), 메트플루라존(metflurazon)과 같은 피리다지논계; 피라졸리네이트(pyrazolynate), 피라족시펜(pyrazoxyfen), 벤조페납(benzofenap), 토프라메존(topramezone, BAS-670H), 피라설포톨(pyrasulfotole)과 같은 피라졸계; 그 외 아미트롤(amitrole), 플루리돈(fluridone), 플루르타몬(flurtamone), 디플루페니칸(ditlufenican), 메톡시페논(methoxyphenone), 크로마존(clomazone), 설코트리온(sulcotrione), 메소트리온(mesotrione), 템보트리온(tembotrione), 테프릴트리온(tefuryltrione, AVH-301), 이속사플루톨(isoxaflutole), 디펜조콰트(difenzoquat), 디펜조콰트메틸설페이트(difenzoquat-metilsulfate), 이속사클로로톨(isoxachlortole), 벤조비사이클론(benzobicyclon), 피콜리나펜(picolinafen), 비플루부타미드(beflubutamid) 등과 같이 카로티노이드 등의 식물의 색소 생합성을 저해하여, 백화(白化) 작용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효력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는 것.
(6) 디클로포프-메틸(diclofop-methyl), 디클로포프(diclofop), 피리페노프-나트륨(pyriphenop-sodium), 플루아지포프-부틸(fluazifop-butyl), 플루아지포프(fluazifop), 플루아지포프-P(fluazifop-P), 플루아지포프-P-부틸(fluazifop-P-butyl), 할록시포프-메틸(haloxyfop-methyl), 할록시포프(haloxyfop), 할록시포프-에토틸(haloxyfop-etotyl), 할록시포프-P(haloxyfop-P), 할록시포프-P-메틸(haloxyfop-P-methyl), 퀴잘로포프-에틸(quizalofop-ethyl), 퀴잘로포프-P(quizalofop-P), 퀴잘로포프-P-에틸(quizalofop-P-ethyl), 퀴잘로포프-P-테프릴(quizalofop-P-tefuryl), 사이할로포프-부틸(cyhalofop-butyl), 페녹사프롭-에틸(fenoxaprop-ethyl), 페녹사프롭-P(fenoxaprop-P), 페녹사프롭-P-에틸(fenoxaprop-P-ethyl), 메타미포프-프로필(metamifop-propyl), 메타미포프(metamifop), 클로디나포프-프로파길(clodinafop-propargyl), 클로디나포프(clodinafop), 프로파퀴자포프(propaquizafop)와 같은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온산계; 알록시딤-나트륨(alloxydim-sodium), 알록시딤(alloxydim), 클레소딤(clethodim), 세톡시딤(sethoxydim), 트랄콕시딤(tralkoxydim), 부톡시딤(butroxydim), 테프라록시딤(tepraloxydim), 프로폭시딤(profoxydim), 사이클록시딤(cycloxydim)과 같은 시클로헥산디온계; 그 외, 플람프롭-M-메틸(flamprop-M-methyl), 플람프롭-M(flamprop-M), 플람프롭-M-이소프로필(flamprop-M-isopropyl) 등의 벼과식물에 특이적으로 제초 효과가 강하게 인정되는 것.
(7) 클로리무론-에틸(chlorimuron-ethyl), 클로리무론(chlorimuron), 설포메트론-메틸(sulfometuron-methyl), 설포메트론(sulfometuron), 프리미설퍼론-메틸(primisulfuron-methyl), 프리미설퍼론(primisulfuron), 벤설퍼론-메틸(bensulfuron-methyl), 벤설퍼론(bensulfuron), 클로르설퍼론(chlorsulfuron), 메트설퍼론-메틸(metsulfuron-methyl), 메트설퍼론(metsulfuron), 시노설퍼론(cinosulfuron), 피라조설퍼론-에틸(pyrazosulfuron-ethyl), 피라조설퍼론(pyrazosulfuron), 아짐설퍼론(azimsulfuron), 플라자설퍼론(flazasulfuron), 림설퍼론(rimsulfuron), 니코설퍼론(nicosulfuron), 이마조설퍼론(imazosulfuron), 사이클로설파무론(cyclosulfamuron), 프로설퍼론(prosulfuron), 플루피르설퍼론-메틸-나트륨(flupyrsulfuron-methyl-sodium), 플루피르설퍼론(flupyrsulfuron), 트리플루설퍼론-메틸(triflusulfuron-methyl), 트리플루설퍼론(triflusulfuron), 할로설퍼론-메틸(halosulfuron-methyl), 할로설퍼론(halosulfuron), 티펜설퍼론-메틸(thifensulfuron-methyl), 티펜설퍼론(thifensulfuron), 에톡시설퍼론(ethoxysulfuron), 옥사설퍼론(oxasulfuron), 에타메트설퍼론 (ethametsulfuron), 에타메트설퍼론-메틸(ethametsulfuron-methyl), 요오드설퍼론(iodosulfuron), 요오드설퍼론-메틸-나트륨(iodosulfuron-methyl-sodium), 설포설퍼론(sulfosulfuron), 트리아설퍼론(triasulfuron), 트리베누론-메틸(tribenuron-methyt), 트리베누론(tribenuron), 트리토설퍼론(tritosulfuron), 포람설퍼론(foramsulfuron), 트리플루옥시설퍼론(trifloxysulfuron), 트리플루옥시설퍼론-나트륨(trifloxysulfuron-sodium), 메소설퍼론-메틸(mesosulfuron-methyl), 메소설퍼론(mesosulfuron), 오르토설파무론(orthosulfamuron), 플루세토설퍼론(flucetosulfuron), 아미드설퍼론 (amidosulfuron), 프로피리설퍼론(propyrisulfuron, TH-547), NC-620, 국제공개공보 WO 20050921041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과 같은 설포닐우레아계; 플루메트람(tlumetsulam), 메토설람(metosulam), 디클로설람(diclosulam), 클로란설람메틸(cloransulam-methyl), 플로라설람(florasulam), 페녹스설람(penoxsulam), 피로크스설람(pyroxsulam)과 같은 트리아조로피리미딘설폰아미드계; 이마자피르(imazapyr), 이마자피르이소프로필-암모늄(imazapyr-isopropylammonium), 이마제타피르(imazethapyr), 이마제타피르-암모늄(imazethapyr-ammonium), 이마자퀸(imazaquin), 이마자퀸-암모늄(imazaquin-ammonium), 이마자목스(imazamox), 이마자목스-암모늄(imazamox-ammonium), 이마자메타벤즈(imazamethabenz), 이마자메타벤즈-메틸(imazamethabenz-methyl), 이마자픽(imazapic)과 같은 이미다졸리논계; 피리티오박-나트륨(pyrithiobac-sodium), 비스피리박-나트륨(bispyribac-sodium), 피리미노박-메틸(pyriminobac-methyl), 피리벤족심(pyribenzoxim), 피리프탈리드(pyriftalid), 피리미설판(pyrimisulfan. KUH-021)과 같은 피리미디닐살리틸산계; 플루카바존(flucarbazone), 플루카바존-나트륨(flucarbazone-sodium), 프로폭시카바존-나트륨(propoxycarbazone-sodium),프로폭시카바존(propoxycarbazone)와 같은 설포닐아미노카보닐트리아조리논계; 그 외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글리포세이트-나트륨(glyphosate-sodium), 글리포세이트-칼륨(glyphosate-potassium), 글리포세이트-암모늄(glyphosate-ammonium), 글리포세이트-디암모늄(glyphosate-diammonium), 글리포세이트-이소프로필암모늄(glyphosate-isopropylammonium), 글리포세이트-트리메슘(glyphosate-trimesium), 글리포세이트-세스퀴나트륨(glyphosate-sesquisodium), 글루포시네이트(glufosinate),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glufosinate-ammonium), 글루포시네이트-P(glufosinate-P), 글루포시네이트-P-암모늄(glufosinate-P-ammonium), 글루포시네이트-P-나트륨(glufosinate-P-sodium), 비라나포스(bilanafos), 비라나포스-나트륨(bilanafos-sodium), 신메티린(cinmethlin) 등과 같이 식물의 아미노산 생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는 것.
(8) 트리플루라린(trifluralin), 오리자린(oryzalin), 니트라린(nitratin), 펜디메타린(pendimethalin), 에타르플루라린(ethalfluralin), 벤플루라린(benflulalin), 프로디아민(prodiamin), 부트라린(butralin), 디니트라민(dinitramin)과 같은 니트로 아닐린계; 벤설리드(bensulide), 나프로파미드(napropamide), 프로피자미드(propyzamide), 프로나미드(pronamide)와 같은 아미드계; 아미프로포스-메틸(amiprofos-methyl), 부타미포스(butamifos), 아닐로포스(anilofos), 피페로포스(piperophos)와 같은 유기 인계; 프로팜(propham), 클로르프로팜(chlorpropham), 바반(barban), 카베타미드(carbetamide)와 같은 페닐카바메이트계; 다이무론(daimuron), 쿠밀루론(cumyluron), 브로모부티드(bromobutide), 메틸다이무론(methyldymron)과 같은 쿠밀아민계; 그 외 아슐람(asulam), 아슐람-나트륨(asulam-sodium), 디티오피르(dithiopyr), 티아조피르(thiazopyr), 클로탈디-메틸(chlorthal-dimethyl), 클로탈(chlorthal), 디페나미드(diphenamid) 등과 같이 식물의 세포 유사분열을 저해함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는 것.
(9) 알라클로르(alachlor), 메타자클로르(metazachlor), 부타클로르(butachlor), 프레틸라클로르(pretilachlor), 메토라클로르(metolachlor), S-메토라클로르(S-metolachlor), 테닐클로르(thenylchlor), 페톡스아미드(pethoxamid), 아세토클로르(acetochlor), 프로파클로르(propachlor), 디메테나미드(dimethenamid), 디메테나미드-P(dimethenamid-P), 프로피소클로르(propisochlor), 디메타클로르(dimethachlor)와 같은 클로로아세트아미드계; 몰리네이트(molinate), 디메피퍼레이트(dimepiperate), 피리부틸카브(pyributicarb), EPTC, 부틸레이트(butylate), 베르놀레이트(vernolate), 페부레이트(pebulate), 사이클로에이트(cycloate), 프로설포카브(prosulfocarb), 에스프로카브(esprocarb), 티오벤카브(thiobencarb), 디알레이트(diallate), 트리-알레이트(tri-allate), 오르벤카브(orbencarb)와 같은 티오카바메이트계; 그 외 에토벤자니드(etobenzanid), 메펜아세트(mefenacet), 플루펜아세트(flufenacet), 트리디판(tridiphane), 카펜스트롤(cafenstrole), 펜트라자미드(fentrazamide), 옥사지클로메폰(oxaziclomefone), 인다노판(indanofan), 벤플레세이트(benfuresate), 피록사설폰(pyroxasulfone, KIH-485), 다라폰(dalapon), 다라폰-나트륨(dalapon-sodium), TCA나트륨(TCA-sodium), 트리클로로초산(trichloroacetic acid) 등과 같이 식물의 단백질 생합성, 또는 지방질 생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는 것.
(10) 크산토모나스 캠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 에피코코로시루스 네마토소르스(Epicoccosirus nematosorus), 에피코코로시루스 네마토스페라스(Epicoccosirus nematosperus), 엑세로힐룸 모노세라스(Exserohilum monoseras), 드레크스렐라 모노세라스(Drechsrela monoceras) 등과 같이 식물에 기생함으로써 제초 효력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는 것.
(11) MSMA, DSMA, ㎝A, 엔도탈(endothall), 엔도탈-디칼륨(endothall-dipotassium), 엔도탈-나트륨(endothall-sodium), 엔도탈-모노(N,N-디메틸알킬암모늄), 에토푸메세이트(ethofumesate), 나트륨-클로레이트(sodium-chlorate), 펠라곤산(pelargonic acid)(노나노산(nonanoic acid)), 포사민(fosamine), 포사민-암모늄(fosamine-ammonium), 피녹사덴(pinoxaden), 이프펜카바존(ipfencarbazone, HOK-201), 아크롤레인(aclolein), 암모늄 설파메이트(ammonium sulfamate), 보락스(borax), 클로로초산(chloroacetic acid), 클로로초산나트륨(sodium chloroacete), 시아나미드(cyanamide), 메틸아르신산(methylarsonic acid), 디메틸아르신산(dimethylarsinic acid), 디메틸아르신산나트륨(sodium dimethylarsinate), 디노터브(dinoterb), 디노터브-암모늄(dinoterb-ammonium), 디노터브-디올아민(dinoterb-diolamine), 디노터브-아세테이트(dinoterb-acetate), DNOC, 황산 제1철(ferrous sulfate), 플루프로파네이트(flupropanate), 플루프로파네이트-나트륨(flupropanate-sodium), 이속사벤(isoxaben), 메플루이다이드(mefluidide), 메플루이다이드-디올아민(mefluidide-diolamine), 메탐(metham), 메탐-암모늄(metam-ammonium), 메탐-칼륨(metham-potassium), 메탐-나트륨(metam-sodium),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methyl isothiocyanate), 펜타클로로페놀(pentachlorophenol), 나트륨-펜타클로로페녹시드(sodium-pentachlorophenoxide), 펜타클로로페놀 라우레이트(pentachlorophenol laurate), 퀴노클라민(quinoclamine), 황산(sulfuric acid), 우레아 설페이트(urea sulfate) 등과 같은 (1)~(10)에 기재되지 않은 제초 효력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는 것.
상기 살균제의 유효 성분 화합물(일반명; 일부 신청중을 포함하는, 또는 일본식물방역협회 시험코드)로는, 예를 들면,
5-클로로-6-(2,4,6-트리플루오로페닐)-7-(4-메틸피페리진-1-일)[1,2,4]트리아조로[1,5-a] 피리미진과 같은 트리아조로피리미딘계 화합물;
플루아지남(fluazinam)과 같은 피리디나민계 화합물;
퀴노메티오네이트(quinomethionate)와 같은 퀴녹살린계 화합물;
마네브(maneb), 지네브(zineb), 만코제브(mancozeb), 폴리카바메이트 (polycarbamate), 메티람(metiram), 프로피네브(propineb), 티람(thiram)과 같은 디티오카바메이트계 화합물;
사이목사닐(cymoxanil)과 같은 시아노아세트아미드계 화합물;
메타락실(metalaxyl), 메타락실-M(metalaxyl-M), 메페녹삼(mefenoxam), 옥사딕실(oxadixyl), 오프레이스(ofurace), 베나락실(benalaxyl), 베나락실-M(benalaxyl-M, 별명 키랄락실(kiralaxyl, chiralaxyl), 푸랄락실(furalaxyl), 사이프로푸람(cyprofuram)과 같은 페닐아미드계 화합물;
디클로플루아니드(dichlofluanid)와 같은 설펜산계 화합물:
수산화 제 2 구리(cupric hydroxide)와 같은 무기 구리나, 유기 구리(oxine Copper)와 같은 구리계 화합물;
히멕사졸(hymexazol)과 같은 이속사졸계 화합물;
포세틸알루미늄(fosetyl-Al), 톨클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 S-벤질 O,O-디이소프로필포스포로티오에이트, O-에틸 S,S-디페닐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알루미늄 에틸하이드로겐 포스포네이트, 에디펜포스(edifenphos), 이프로벤포스(iprobenfos)와 같은 유기 인계 화합물;
캡탄(captan), 캡타폴(captafol), 폴펫(folpet)과 같은 N-할로게노티오알킬계 화합물;
플루톨라닐(flutolanil), 메프로닐(mepronil), 족사미드(zoxamide), 티아디닐(tiadinil)과 같은 벤즈아닐리드계 화합물;
트리포린(trlforine)과 같은 피페라진계 화합물;
피리페녹스(pyrifenox)와 같은 피리딘계 화합물;
페나리몰(fenarimol), 플루트리아폴(flutriafol)과 같은 카르비놀계 화합물;
펜프로피딘(fenpropidin)과 같은 피페리딘계 화합물;
펜프로피모르프(fenpropimorph), 스피록사민(spiroxamine), 트리데모르프(Tridemorph)와 같은 모르폴린계 화합물;
펜틴 히드록시드(fentin hydroxide), 펜틴 아세테이트(fentin acetate)와 같은 유기 주석계 화합물;
펜사이큐론(pencycuron)과 같은 우레아계 화합물;
디에토펜카브(diethofencarb)와 같은 페닐카바메이트계 화합물;
파목사돈(famoxadone)과 같은 옥사졸리디논계 화합물;
에타복삼(ethaboxam)과 같은 티아졸카복스아미드계 화합물;
실티오팜(silthiopham)과 같은 실릴아미드계 화합물;
이프로발리카브(iprovalicarb), 벤티아발리카브-이소프로필(benthiavalicarb-isopropyl), 메틸[S-(R,S)]-[3-(N-이소프로폭시카보닐발리닐)-아미노]-3-(4-클로로-페닐)프로파오네이트(발리페날)과 같은 아미노산 아미드 카바메이트계 화합물;
페나미돈(fenamidone)과 같은 이미다졸리딘계 화합물;
펜헥사미드(fenhexamid)와 같은 하이드록시 아닐리드계 화합물;
사이플루페나미드(cyflufenamid)와 같은 옥심 에테르계 화합물;
페녹사닐(fenoxanil)과 같은 페녹시 아미드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크로톤산계 화합물;
2,3-디메틸-6-t-부틸-8-플루오로-4-아세틸퀴놀린과 같은 4-퀴놀리놀 유도체 화합물;
2-(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오)-2-(3-(2-메톡시페닐)티아졸리딘-2-일리덴)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시아노메틸렌계 화합물;
그 외의 화합물로서 피리벤카브(pyribencarb), 이소프로티올란(isoprothiolane), 피로퀴론(pyroquilon), 디클로메진(diclomezine), 퀴녹시펜(quinoxyfen), 프로파모카브 히드로클로라이드(propamocarb hydrochloride) 클로로피크린(chloropicrin), 다조메트(dazomet), 메탐-나트륨염(metam-sodium), 니코비펜(nicobifen), 메트라페논(metrafenone), UBF-307, 디클로시메트(diclocymet), 프로퀴나지드(proquinazid), 만디프로파미드(mandipropamid), 플루오피콜리드(fluopicolide), 카프로파미드(carpropamid), 멥틸디노캡(meptyldinocap), 6-t-부틸-8-플루오로-2,3-디메틸퀴놀린-4-일아세테이트, 3-(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5-클로로-2-메톡시-4-메틸피리딘,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 5-디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4-(2,3,4-트리메톡시-6-메틸벤조일)-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5-메톡시피리딘, N-[(3',4'-디클로로-1,1-디메틸) 펜아실]-3-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딘 카복스아미드, N-[(3',4'-디클로로-1,1-디메틸)펜아실]-3-메틸-2-티오펜 카복스아미드, N-[(3',4'-디클로로-1,1-디메틸)펜아실]-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4-피라졸 카복스아미드, N-[[2'-메틸-4'-(2-프로필옥시)-1,1-디메틸]펜아실]-3-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딘 카복스아미드, N-[[2'-메틸-4'-(2-프로필옥시)-1,1-디메틸]펜아실]-3-메틸-2-티오펜 카복스아미드, N-[[2'-메틸-4'-(2-프로필옥시)-1,1-디메틸]펜아실]-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4-피라졸 카복스아미드, N-[[4'-(2-프로필옥시)-1,1-디메틸]펜아실]-3-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딘 카복스아미드, N-[[4'-(2-프로필옥시)-1,1-디메틸]펜아실]-3-메틸-2-티오펜 카복스아미드, N-[[4'-(2-프로필옥시)-1,1-디메틸]펜아실]-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4-피라졸 카복스아미드, N-[[2'-메틸-4'-(2-펜틸옥시)-1,1-디메틸]펜아실]-3-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딘 카복스아미드, N-[[4'-(2-펜틸옥시)-1, 1-디메틸]펜아실]-3-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딘 카복스아미드, S-2188(fenpyrazamine), ZF-9646, BCF-051, B㎝-061 및 B㎝-062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생물질로는,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발리다마이신(validamycin), 카스가마이신(kasugamycin), 폴리옥신(polyoxins), 아베르멕틴(avermectin), 에마멕틴벤조에이트(emamectin Benzoate), 미르베멕틴(milbemectin), 미르베마이신(milbemycin), 스피노사드(spinosad), 이베르멕틴(ivermectin), 레피멕틴(Iepimectin), DE-175, 아바멕틴(abamectin), 에마멕틴(emamectin), 스피네토람(spinetoram)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물 호르몬으로는, 옥신, 지베렐린, 사이토키닌, 아브시스산, 에틸렌,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자스몬산, 플로리겐, 스트리고락톤, 살리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 또는 살토양해충제의 유효성분 화합물(일반명: 일부 신청중을 포함하는, 또는 시험코드)로는, 예를 들면 프로페노포스(profenofos), 디클로르보스(dichlovos), 페나미포스(fenamiphos), 페니트로티온(fenitrothion), EPN, 다이아지논(diazinon),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클로르피리포스-메틸(chlorpyrifos-methyl), 아세페이트(acephate), 프로티오포스(prothiofos), 포스티아제이트(fosthiazate), 카두사포스(cadusafos), 디설포톤(dislufoton), 이속사티온(isoxathion), 이소펜포스(isofenphos), 에티온(ethion), 에트림포스(etrimfos), 퀴날포스(quinalphos), 디메틸빈포스(dimethylvinphos), 디메토에이트(dimetoate), 설프로포스(sulprofos), 티오메톤(thiometon), 바미도티온(vamidothion), 피라클로포스(pyraclofos), 피리다펜티온(pyridaphenthion),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프로파포스(propaphos), 포살론(phosalone), 포르모티온(formothion), 말라티온(malathion), 테트라클로르빈포스(tetrachlorvinphos), 클로르펜빈포스(chlofenvinphos), 시아노포스(cyanophos), 트리클로르폰(trichlofon), 메티다티온(methidathion), 펜토에이트(phenthoate), ESP, 아진포스-메틸(azinphos-methyl), 펜티온(fenthion), 헵테노포스(heptenophos), 메톡시클로르(methoxychlor), 파라티온(parathion), 포스포카브(phosphocarb), 디메톤-S-메틸(demeton-S-methyl), 모노크로토포스(monocrotophos), 메타미도포스(metamidophos), 이미시아포스(imicyafos), 파라티온-메틸(parathion-methyl), 터부포스(terbufos), 포스파미돈(phosphamidon), 포스메트(phosmet), 포레이트(phorate)와 같은 유기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카바릴(carbaryl), 프로폭술(propoxur), 알디카브(aldicarb), 카보푸란(carbofuran), 티오디카브(thiodicarb), 메소밀(methomyl), 옥사밀(oxamyl), 에티오펜카브(ethiofencarb), 피리미카브(pirimicarb), 페노부카브(fenobucarb), 카보설판(carbosulfan), 벤푸라카브(benfuracarb), 벤다이오카브(bendiocarb), 푸라치오카브(furathiocab), 이소프로카브(isoprocarb), 메톨카브(metolcarb), 크시릴카브(xylylcarb), XMC, 페노티오카브(fenothiocarb)와 같은 카바메이트계 화합물;
카탑(cartap), 티오사이클람(thiocyclam), 벤설탑(bensultap), 티오설탑나트륨(thiosultap-sodium)과 같은 네라이스톡신 유도체;
디코폴(dicofol), 테트라디폰(tetradifon), 엔도설판(endosulfan), 디에노클로르(dienochlor), 딜드린(dieldrin)과 같은 유기 염소계 화합물:
펜부타틴 옥사이드(fenbutatin oxide), 사이헥사틴(cyhexatin)과 같은 유기 금속계 화합물;
펜발러레이트(fenvalerate), 퍼메트린(permethrin), 사이퍼메트린(cypermethrin), 델타메트린(deltamethrin), 사이할로트린(cyhalothrin), 테플루트린(tefluthrin), 에토펜프록스(ethofenprox), 플루펜프록스(flufenprox), 사이플루트린(cyfluthrin), 펜프로파트린(fenpropathrin), 플루사이트리네이트(flucythrinate), 플루발리네이트(fluvalinate), 사이클로프로트린(cycloprothrin), 람다-사이할로트린(lambda-cyhalothrin), 피레트린(pyrethrins), 에스펜발러레이트(esfenvalerate), 테트라메트린(tetramethrin), 레스메스린(resmethrin), 프로트리펜부트(protrifenbute), 비펜트린(bifenthrin), 제타-사이퍼메트린(zeta-cypermethrin), 아크리나트린(acrinathrin), 알파-사이퍼메트린(alpha-cypermethrin), 알레트린(allethrin), 감마-사이할로트린(gamma-cyhalothrin), 쎄타-사이퍼메트린(theta-cypermethrin), 타우-플루발리네이트(tau-fluvalinate), 트랄로메트린(tralomethrin), 프로플루트린(profluthrin), 베타-사이퍼메트린(beta-cypermethrin), 베타-사이플루트린(beta-cytluthrin), 메토플루트린(metofluthrin), 페노트린(phenothrin), 이미데이트(imidate), 플루메트린(flumethrin)과 같은 피레트로이드계 화합물;
디플루벤즈론(diflubenzuron), 클로르플루아즈론(chlorfluazuron), 테플루벤즈론(teflubenzuron), 플루페녹스론(flufenoxuron), 루페누론(Iufenuron), 노발루론(novaluron), 트리플루무론(triflumuron), 헥사플루무론(hexaflumuron), 비스트리플루론(bistrifluron), 노비플루무론(noviflumuron), 플루아즈론(fluazuron)과 같은 벤조일우레아계 화합물:
메토프렌(methoprene),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페녹시카브(fenoxycarb), 디오페놀란(diofenolan)과 같은 유약(幼若) 호르몬과 같은 화합물;
피리다벤(pyridaben)과 같은 피리다지논계 화합물:
펜피록시메이트(fenpyroximate), 피프로닐(fipronil), 테브펜피라드(tebufenpyrad), 에티피롤(ethiprole), 톨루펜피라드(tolfenpyrad), 아세트프롤(acetoprole), 피라플루프롤(pyrafluprole), 피리프롤(pyriprole)과 같은 피라졸계 화합물;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나이텐피람(nitenpyram), 아세타미프리드(acetamiprid), 티아클로프리드(thiacloprid), 티아메톡삼(thiamethoxam), 크로티아니딘(clothianidin), 니디노테푸란(nidinotefuran), 디노테푸란(dinotefuran)과 같은 네오니코티노이드;
터부페노자이드(tebufenozide), 메톡시페노자이드(methoxyfenozide), 크로마페노자이드(chromafenozide), 할로페노자이드(halofenozide)와 같은 히드라진계 화합물:
피리다릴(Pyridaryl), 플로니카미드(flonicamid)와 같은 피리딘계 화합물; 스피로디크로펜(spirodiclofen)과 같은 테트로닉산계 화합물;
플루아크리피림(fluacrypyrim)과 같은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플루페네림(flufenerim)과 같은 피리디나민계 화합물;
디니트로계 화합물, 유기 유황 화합물, 우레아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히드라존계 화합물, 또한, 그 외의 화합물로서, 뷰프로페진(buprofezin), 헥시치아족스(hexythiazox), 아미트라즈(amitraz), 클로르디메포름(chlordimeform), 실라플루오펜(silafluofen), 트리아자메이트(triazamate), 피메트로진(pymetrozine), 피리미디펜(pyrimidifen), 클로르페나피르(chlorfenapyr), 인독사카브(indoxacarb), 아세키노실(acequinocyl), 에톡사졸(etoxazole), 사이로마진(cyromazine), 1,3-디클로르프로펜,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 벤클로티아즈(benclothiaz), 비페나제이트(bifenazate), 스피로메시펜(spiromesifen), 스피로테트라매트(spirotetramat), 프로파르기트(propargite), 클로펜테진(clofentezine), 메타플루미존(metaflumizone), 플루벤디아미드(flubendiamide), 사이플루메토펜(cyflumetofen), 클로란트라닐리프롤(chlorantraniliprole), 사이에노피라펜(cyenopyrafen), 피리플루퀴나존(pyrifluquinazone), 페나자퀸(fenazaquin), 피리다벤(pyridaben), 아미도플루메트(amidoflumet), 클로로벤조에이트(chlorobenzoate), 설플루라미드(sulfluramid), 히드라메틸논(hydramethylnon), 메타알데히드(metaldehyde), HGW-86, 리아노딘(ryanodine), 플루페네림(flufenerim), 피리다릴(pyridalyl), 스피로디크로펜(spirodiclofen), 벨부틴(verbutin), 티아조릴시나노니트릴(thiazolylcinnanonitrile), 아미드플루메트(amidoflumet)와 같은 화합물: AKD-1022, IKA-200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바실러스 튜링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아이자와이(aizawai), 바실러스 튜링기엔시스 쿠스타키(kurstaki), 바실러스 튜링기엔시스 이스라엘렌시스(israelensis), 바실러스 튜링기엔시스 자포넨시스(japonensis), 바실러스 튜링기엔시스 테네브리오니스(tenebrionis), 바실러스 튜링기엔시스가 생성하는 결정 단백 독소, 곤충 병원(病原) 바이러스제, 곤충 병원 사상균제, 선충 병원 사상균제 등과 같은 미생물 농약; 아자디락틴(azadirachtin), 로테논(rotenone)과 같은 천연물; 디트(deet)와 같은 기피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료로는, 액체 비료, 활력제; 활성제, 엽면(葉面) 액체비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해 경감제로는, 탄산칼슘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다른 농약과의 배합 비율은 중량비로 1:10,000~10,000:1 정도, 바람직하게는 1:1,000~1,000:1 정도이다.
또,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비료와의 배합 비율은 중량비로 1:100,000~100,000:1 정도, 바람직하게는 1:1,000~1,000:1 정도이다.
또,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약해 경감제와의 배합 비율은 중량비로 1:100,000~100,000:1 정도, 바람직하게는 1:1,000~1,000:1 정도이다.
이들 다른 농약, 비료, 약해 경감제 등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다른 농약, 비료, 약해 경감제 등은 각각 따로 따로 제제한 것을 시용시에 혼합하여 사용해도, 양자를 함께 제제하여 사용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무름병의 방제제인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재배 토양으로의 시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시용방법의 형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하고, 농업용 멀티 시트를 치고, 그 후 농업용 멀티 시트의 식혈(植穴)을 통하여 식물 종자의 파종 또는 식물 모종의 정식을 행한다.
2.식물의 재배 토양에 농업용 멀티 시트를 치고, 식물의 종자를 파종 또는 식물의 모종을 정식하기 위한 필요한 식혈을 뚫고 나서 시용하고, 그 후 상기 식혈을 통하여 식물 종자의 파종 또는 식물 모종의 정식을 행한다.
3.식물 종자의 파종 또는 식물 모종의 정식을 행한 후, 재배 토양에 시용한다.
4.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한 후, 식물 종자의 파종 또는 식물 모종의 정식을 행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1~4에 기재하는 방제방법에 있어서, 재배 토양 표면에 시용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한 것은 상기 1~4에 기재하는 방제방법에 있어서, 재배 토양에 혼화하지 않고 재배 토양 표면에 시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무름병 방제제의 토양으로의 시용은 물뿌리개, 분무기, 수동식 산립기, 전동산립기, 살분기 등의 적당한 기구를 사용하고, 예를 들면, 살포, 분무, 미스팅, 오트마이징(atomizing), 산립 등을 행할 수 있다. 또, 셀 트레이(cell tray)의 토양에 살포하고, 셀의 토양마다 정식(定植)해도 좋다.
본 발명의 무름병 방제제의 토양으로의 시용 전 또는 후에 있어서, 멀티 필름, 기능성 멀티, 농폴리, 생분해성 플라스틱제 멀티 필름 등의 통상의 농업용 멀티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름병의 방제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재배 토양으로의 시용량이 0.025~2.5g/㎡, 바람직하게는 0.05~1g/㎡가 되도록 시용한다. 이들 재배 토양으로의 시용량은, 제제의 형태 및 시용하는 방법, 시용 대상 식물, 시용시기, 장소 및 무름병의 발생 상황 등에 의해서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무름병의 방제 대상이 되는 식물로는, 야채류 등을 들 수 있고, 야채류로는 아스파라거스, 꽃상추, 칼라, 콜리플라워, 양배추, 곤약, 산동채, 셀러리, 무우, 담배, 양파, 청경채, 토마토, 가지, 당근, 파, 배추(Chinese cabbage), 잎모란, 파슬리, 감자, 브로콜리, 염교, 양상추, 고추냉이, 유채유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약액의 조제
1) 아족시스트로빈(아미스타 20 플로아블)의 조제
200g/L의 아족시스트로빈(아미스타 20 플로아블〔상품명〕, 신젠타 재팬(주)제)을 약량이 250g ai/10a(0.25g/㎡, 1250mL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2) 시아조파미드(란만플로아블)의 조제
100g/L의 시아조파미드(란만플로아블〔상품명〕, 이시하라산교(石原産業) (주)제)를 약량이 250g ai/10a(0.25g/㎡, 2500mL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3) 아미설브롬(라이메이플로아블)의 조제
177g/L의 아미설브롬(라이메이플로아블〔상품명〕, 닛산카가쿠코우교(日産化學工業)(주)제)을 약량이 250g ai/10a(0.25g/㎡, 1412mL제품/10a), 희석수량이 각각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2) 배추의 병해 방제 시험
상기 조제한 약액을, 농업용 멀티 시트를 치고, 정식용 식혈(직경 9㎝ 정도)을 연후, 각 약액의 처리 약량이 0.25g/㎡(10a당 150L)가 되도록 식혈에 살포 후, 바람에 말린 후에, 1 시험구가 6㎡에서 30모종, 2연제(連制)가 되도록 셀 성형 트레이(128구멍/육묘상자)로 4주간 육성한 배추(품종:무소(MUSO))의 모종을 정식했다.
비교예 1
(1) 약액의 조제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마이신 20 수화제〔상품명〕, 홋코우카가쿠(北興化學)제)을 물로 1000배로 희석, 조제했다.
(2) 배추의 병해 방제 시험
농업용 멀티 시트를 친 밭에, 실시예 1와 같은 방법으로 육성한 배추(품종:무소)의 모종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정식하고, (1)에서 조제한 스트렙토마이신 약액(1회당 살포량:300L/10a)을 3회(정식 13일 후, 20일 후 및 27일 후)에 걸쳐서 경엽 살포했다.
시험 개시로부터 54일 후에 각 구(區) 전 모종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고, 하기식에 의해 발병 모종비율, 발병도 및 방제값을 산출하여, 그 효과를 A 내지 D로 판정했다. 이들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한편, 무름병은 난방제병해(難防除病害)이므로, 효과 판정이 C의 약제도 충분히 실용성이 있다.
발병 모종비율=(발병한 모종수 /조사한 모종 수)×100
발병도=〔∑(정도별 발병한 모종수×발병지수)/(조사한 모종×4)〕×100
방제값=〔1-(처리 구 발병도/무처리구 발병도)〕×100
또한, 상기 발병 지수의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발병 지수]
0:발병 없음
1:외잎의 일부에만 발병(출하 가능)
2:외잎과 결구엽의 일부에 발병(피해 부분을 제거하고, 소구(小球)로 하여 출하 가능하지만, B급품이 된다)
3:결구엽의 대부분이 발병하고, 또는 그 이상의 피해가 있는 것(출하 불가능)
4:모종 전체에 발병 및 고사(枯死)
[효과 판정]
A:효과는 높다(방제값 61 이상)
B:효과는 있다(방제값 41~60)
C:효과는 있지만 그 정도는 낮다(방제값 21~40)
D:효과는 낮다(방제값 20 이하)
Figure pct00001
표 1에 있어서 무처리구(無處理區)의 발병은 발병도의 평균이 45.0의 중발생 조건하의 시험이었다. 스트렙토마이신을 경엽 살포하긴 했지만 방제 효과는 D(효과는 낮다)였지만, 아족시스트로빈 및 아미설브롬의 방제 효과는 C(효과는 있지만 그 정도는 낮다)이며, 무름병의 방제제로 되어 있는 스트렙토마이신보다 방제 효과가 높은 것이 확인되고, 배추무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또, 시아조파미드의 방제 효과는 D(효과는 낮다)이지만, 무름병의 방제제로 되어 있는 스트렙토마이신과 동일한 정도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배추무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실시예 2
(1) 약액의 조제
1) 아족시스트로빈(아미스타 20 플로아블)의 조제
200g/L의 아족시스트로빈(아미스타 20 플로아블〔상품명〕, 신젠타 재팬(주)제)을 약량이 500g ai/10a(0.5g/㎡, 2500mL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2) 트리플루미졸(트리후민 WP)의 조제
30%w/w의 트리플루미졸(트리후민 WP〔상품명〕, 닛폰소다(日本曹達) (주)제)을 약량이 500g ai/10a(0.5g/㎡, 1667g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3) 시아조파미드(란만플로아블)의 조제
100g/L의 시아조파미드(란만플로아블〔상품명〕, 이시하라산교(주)제)를 약량이 500g ai/10a(0.5g/㎡, 5000mL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4) 펜티오피라드(가이아 WG)의 조제
50%w/w의 펜티오피라드(가이아 WG〔상품명〕, 미츠이카가쿠(三井化學) 아그로(주)제)를 약량이 500g ai/10a(0.5g/㎡, 1000g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5) 플루설파미드(스캐블록 SC)의 조제
50g/L의 플루설파미드(스캐블록 SC〔상품명〕, 미츠이카가쿠 아그로(주)제)를 약량이 500g ai/10a(0.5g/㎡, 10000mL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6) 클로로타로닐(다코닐 1000)의 조제
400g/L의 클로로타로닐(다코닐 1000〔상품명〕, 스미토모카가쿠(住友化學) (주)제)을 약량이 1000g ai/10a(1.0g/㎡, 2500mL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2) 배추의 병해 방제 시험
상기 조제한 약액을, 농업용 멀티 시트를 치고, 정식용 식혈(직경 5㎝ 정도)을 연후, 처리 약량이 클로로타로닐에 대해서는, 1.0g/㎡(10a당 150L), 그 외의 약액에 대해서는 0.5g/㎡(10a당 150L)가 되도록 식혈에 살포 후, 바람에 건조시킨 후에, 1 시험구가 2.4㎡에서 19모종, 2연제가 되도록 셀 성형 트레이(128구멍/육묘상자)로 4주간 육성한 배추(품종:하레부타이(Harebutai)65)의 모종을 정식했다.
비교예 2
(1) 약액의 조제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마이신 20 수화제〔상품명〕, 홋코우카가쿠제)를 물로 1000배로 희석, 조제했다.
(2) 배추의 병해 방제 시험
농업용 멀티 시트를 친 밭에,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육성한 배추(품종:하레부타이65)의 모종을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정식하고, (1)에서 조제한 스트렙토마이신 약액(1회당의 살포량:300L/10a)을 2회(정식 27일 후 및 48일 후)에 걸쳐서 분무기로 경엽 살포했다.
시험 개시로부터 64일 후에 각 구 전 모종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고, 발병도 및 방제값을 평가했다. 한편, 발병도 및 방제값은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구했다. 이들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한편, 무름병은 난방제병해이므로, 효과 판정이 C의 약제도 충분히 실용성이 있다.
Figure pct00002
표 2에 있어서 무처리구의 발병은 발병도의 평균이 31.6이기 때문에 중발생 조건하의 시험이었다. 아족시스트로빈, 플루설파미드, 클로로타로닐의 방제 효과는 스트렙토마이신을 경엽 살포한 것과 동등의 B판정이며, 배추무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또, 트리플루미졸, 시아조파미드, 펜티오피라드도 방제 효과 C(효과는 있지만 그 정도는 낮다)이며 배추무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참고 시험 예 1 감자무름병균 생육 저해 시험
무름병균에 직접 방제제를 시용했을 경우의 무름병균 생육 저해 시험을 행했다. 미리 용해해 둔 PSA 배양지(55℃)에 소정량의 시아조파미드(란만 400SC〔상품명〕, 이시하라산교(주)제), 아미설브롬(라이메이플로아블〔상품명〕, 닛산카가쿠코우교(주)제),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마이신 수화제〔상품명〕, 홋코우카가쿠제)의 각 약액과 무름병균(감자무름병균(Erwinia carotovora)) 현탁액을 더하여, 잘 교반한 후, 플레이트에 펴서 25℃에서 4일간 배양 후, 생육 상태를 조사했다. 그 후 형성된 콜로니를 이하의 3 단계로 조사했다.
+:무처리구와 동등
±:무처리구보다 분명하게 적다
-:대부분 인정받지 못한다
이들 시험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표 3에 있어서 시아조파미드, 아미설브롬은, 무름병균에 대하여, 유효성분 농도 1000ppm으로 처리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생육을 저해하지 않고, 무름병균에 대하여 직접적으로는 항균 활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항생 물질인 스트렙토마이신은, 유효성분 농도 1ppm으로, 무름병균에 대하여 직접적인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참고 시험 예 2 감자무름병균 생육 저해 시험
무름병균에 직접 방제제를 시용한 경우의 무름병균 생육 저해 시험을 행했다. 미리 용해해 둔 PSA 배양지(55℃)에 소정량의 아족시스트로빈(아미스타 20 플로아블〔상품명〕, 신젠타 재팬(주)제)), 펜티오피라드(가이아 WG〔상품명〕, 미츠이카가쿠 아그로(주)제), 플루설파미드(스캐브록크 SC〔상품명〕, 미츠이카가쿠 아그로(주)제),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마이신 수화제〔상품명〕, 홋코우카가쿠제)의 각 약액과 무름병균(감자무름병균(Erwinia carotovora)) 현탁액을 더하여 잘 교반 한 후, 플레이트에 펴서 27℃에서 2일간 배양 후, 생육 상태를 조사했다. 그 후 형성된 콜로니를 이하의 3 단계로 조사했다.
+:무처리구와 동등
±:무처리구보다 분명하게 적다
-:대부분 인정받지 못한다
이들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4
표 4에 있어서 아족시스트로빈, 펜티오피라드, 플루설파미드는, 무름병균에 대하여, 유효성분 농도 1000ppm으로 처리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생육을 저해하지 않고, 무름병균에 대하여 직접적으로는 항균 활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항생 물질인 스트렙토마이신은, 유효성분 농도 1ppm으로, 무름병균에 대하여 직접적인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참고 시험 예 3 감자무름병균 생육 저해 시험
무름병균에 직접 방제제를 시용한 경우의 무름병균 생육 저해 시험을 행했다. 미리 용해해 둔 PSA 배양지(55℃)에 소정량의 트리플루미졸(트리후민 WP〔상품명〕, 닛폰소다(주)제), 클로로타로닐(다코닐 1000〔상품명〕, 스미토모카가쿠(주)제),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마이신 수화제〔상품명〕, 홋코우카가쿠제)의 각 약액과 무름병균(감자무름병균(Erwinia carotovora)) 현탁액을 더하여 잘 교반 한 후, 플레이트에 펴서 27℃에서 2일간 배양 후, 생육 상태를 조사했다. 그 후 형성된 콜로니를 이하의 3 단계로 조사했다.
+:무처리구와 동등
±:무처리구보다 분명하게 적다
-:대부분 인정받지 못한다
이들 시험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5
표 5에 있어서 트리플루미졸, 클로로타로닐은, 무름병균에 대하여, 유효성분 농도 1000ppm으로 처리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생육을 저해하지 않고, 무름병균에 대하여 직접적으로는 항균 활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또, 항생 물질인 스트렙토마이신은, 유효성분 농도 10ppm으로, 무름병균에 대하여 직접적인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실시예 3
(1) 약액의 조제
1) 크레속심 메틸(스트로비플로아블)의 조제
442g/L의 크레속심 메틸(스트로비플로아블〔상품명〕, BASF제)을 약량이 500g ai/10a(0.5g/㎡, 1131mL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2)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염(벨크트플로아블)의 조제
300g/L의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염(벨크트플로아블〔상품명〕, 닛폰소다(주)제)을 약량이 500g ai/10a(0.5g/㎡, 1667 mL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2) 배추의 병해 방제 시험
상기 조제한 약액을, 농업용 멀티 시트를 치고, 정식용 식혈(직경 9㎝ 정도)을 연 후, 각 약액의 처리 약량이 0.5g/㎡(10a당 150L)가 되도록 식혈에 살포 후, 바람에 건조시킨 후에, 1 시험구가 6㎡에서 30모종, 2연제가 되도록 셀 성형 트레이(128구멍/육묘상자)로 4주간 육성한 배추(품종:무소)의 모종을 정식했다.
비교예 3
(1) 약액의 조제
옥시테트라사이크린(oxytetracycline) 1.5%와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유산염 18.8%를 포함하는 약제(아그리마이신 WP100〔상품명〕, 파이저제)를 물로 1500배로 희석, 조제했다.
(2) 배추의 병해 방제 시험
농업용 멀티 시트를 친 밭에,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육성한 배추(품종:무소)의 모종을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정식하고, (1)에서 조제한 약액(1회당 살포량:300L/10a)을 3회(정식 21일 후, 30일 후 및 39일 후)에 걸쳐서 경엽 살포했다.
시험 개시로부터 51일 후에 각 구 전 모종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발병도 및 방제값을 평가했다. 한편, 발병도 및 방제값은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구했다. 이들 시험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한편, 무름병은 난방제병해이므로, 효과 판정이 C의 약제도 충분히 실용성이 있다.
Figure pct00006
표 6에 있어서 무처리구의 발병은 발병도의 평균이 84.6의 심발생 조건하의 시험이었다. 아그리마이신 WP를 경엽 살포하기는 했지만 방제 효과는 D(효과는 낮다)였지만, 크레속심 메틸의 방제 효과는 C(효과는 있지만 그 정도는 낮다)이며,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염의 방제 효과는 B(효과는 있다)이고, 무름병의 방제제로 되어 있는 스트렙토마이신보다 방제 효과가 높은 것이 확인되어 배추무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실시예 4
(1) 약액의 조제
1) 크레속심 메틸(스트로비플로아블)의 조제
442g/L의 크레속심 메틸(스트로비플로아블〔상품명〕, BASF제)을 약량이 500g ai/10a(0.5g/㎡, 1131mL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2) 티오파네이트메틸(톱신 M WP)의 조제
70%w/w의 티오파네이트메틸(톱신 M WP〔상품명〕, 닛폰소다(주)제)을 약량이 1000g ai/10a(1g/㎡, 1429g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3) 보스칼리드(캔터스 DF)의 조제
50%w/w의 보스칼리드(캔터스 DF〔상품명〕, BASF제)를 약량이 500g ai/10a(0.5g/㎡, 1000g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4) 프로시미돈(스미렉스 WP)의 조제
50%w/w의 프로시미돈(스미렉스 WP〔상품명〕, 스미토모 아그로(주)제)을 약량이 500g ai/10a(0.5g/㎡, 1000g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5) 이프로다이온(로브럴 500 아쿠아)의 조제
400g/L의 이프로다이온(로브럴 500 아쿠아〔상품명〕, 바이엘 크롭 사이언스(주)제)을 약량이 500g ai/10a(0.5g/㎡, 1250mL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6) 플루디옥소닐(세이비아플로아블)의 조제
200g/L의 플루디옥소닐(세이비아플로아블〔상품명〕, 신젠타 재팬(주)제)을 약량이 500g ai/10a(0.5g/㎡, 2500mL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7) 메파니피림(플루피카플로아블)의 조제
400g/L의 메파니피림(플루피카플로아블〔상품명〕, 닛폰소다(주)제)을 약량이 500g ai/10a(0.5g/㎡, 1250mL제품/10a), 희석수량이 150L/10a가 되도록 조제했다.
(2) 배추의 병해 방제 시험
상기 조제한 약액을, 농업용 멀티 시트를 치고, 정식용 식혈(직경 5㎝ 정도)을 연 후, 각 약액의 처리 약량이 0.5g/㎡(10a당 150L)가 되도록 식혈에 살포 후, 바람에 건조시킨 후에, 1 시험구가 2.5㎡에서 30모종, 2연제가 되도록 셀 성형 트레이(128구멍/육묘상자)로 4주간 육성한 배추(품종:오우라쿠(OURAKU)60)의 모종을 정식했다.
비교예 4
(1) 약액의 조제
옥시테트라사이크린(oxytetracycline) 1.5%와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유산염 18.8%를 포함하는 약제(아그리마이신 WP100〔상품명〕, 파이저제)를 물로 1500배로 희석, 조제했다.
(2) 배추의 병해 방제 시험
농업용 멀티 시트를 친 밭에,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육성한 배추(품종:오우라쿠60)의 모종을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정식하고, (1)에서 조제한 약액(1회당 살포량:300L/10a)을 2회(정식 28일 후 및 42일 후)에 걸쳐서 경엽 살포했다.
시험 개시로부터 49일 후에 각 구 전 모종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발병도 및 방제값을 평가했다. 한편, 발병도 및 방제값은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구했다. 이들 시험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한편, 무름병은 난방제병해이므로, 효과 판정이 C의 약제도 충분히 실용성이 있다.
Figure pct00007
표 7에 있어서 무처리구의 발병은 발병도의 평균이 49.5의 다발생 조건하의 시험이었다. 아그리마이신 WP를 경엽 살포하기는 했지만 방제 효과는 D(효과는 낮다)였지만, 크레속심 메틸의 방제 효과는 C(효과는 있지만 그 정도는 낮다)이며, 티오파네이트메틸의 방제 효과는 B(효과는 있다)이고, 보스칼리드의 방제 효과는 C(효과는 있지만 그 정도는 낮다)이며, 프로시미돈의 방제 효과는 A(효과는 높다)이고, 이프로다이온의 방제 효과는 B(효과는 있다)이며, 플루디옥소닐의 방제 효과는 C(효과는 있지만 그 정도는 낮다)이고, 메파니피림의 방제 효과는 B(효과는 있다)이며, 무름병의 방제제로 되어 있는 스트렙토마이신보다 방제 효과가 높은 것이 확인되어 배추무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참고 시험 예 4 감자무름병균 생육 저해 시험
무름병균에 직접 방제제를 시용한 경우의 무름병균 생육 저해 시험을 행했다. 미리 용해해 둔 PSA 배양지(55℃)에 소정량의 크레속심 메틸(스트로비 DF〔상품명〕, BASF제), 티오파네이트메틸(톱신 M WP〔상품명〕, 닛폰소다(주)제), 보스칼리드(캔터스 DF〔상품명〕, BASF제), 프로시미돈(스미렉스 WP〔상품명〕, 스미토모 아그로(주)제),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마이신 수화제〔상품명〕, 홋코우카가쿠제)의 각 약액과 무름병균(감자무름병균(Erwinia carotovora)) 현탁액을 더하여 잘 교반 한 후, 플레이트에 펴서 27℃에서 2일간 배양 후, 생육 상태를 조사했다.그 후 형성된 콜로니를 이하의 3 단계로 조사했다.
+:무처리구와 동등
±:무처리구보다 분명하게 적다
-:대부분 인정받지 못한다
이들의 시험 결과를 표 8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8
표 8에 있어서 크레속심 메틸, 티오파네이트메틸, 보스칼리드, 프로시미돈은, 무름병균에 대하여, 유효성분 농도 1000ppm으로 처리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생육을 저해하지 않고, 무름병균에 대하여 직접적으로는 항균 활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또, 항생 물질인 스트렙토마이신은, 유효성분 농도 1ppm으로, 무름병균에 대하여 직접적인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참고 시험 예 5 감자무름병균 생육 저해 시험
무름병균에 직접 방제제를 시용한 경우의 무름병균 생육 저해 시험을 행했다. 미리 용해해 둔 PSA 배양지(55℃)에 소정량의 메파니피림(플루피카 FL〔상품명〕, 닛폰소다(주)제)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마이신 수화제〔상품명〕, 홋코우카가쿠제)의 각 약액과 무름병균(감자무름병균(Erwinia carotovora)) 현탁액을 더하여 잘 교반 한 후, 플레이트에 펴서 27℃에서 2일간 배양 후, 생육 상태를 조사했다. 그 후 형성된 콜로니를 이하의 3 단계로 조사했다.
+:무처리구와 동등
±:무처리구보다 분명하게 적다
-:대부분 인정받지 못한다
이들 시험 결과를 표 9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9
표 9에 있어서 메파니피림은, 무름병균에 대하여, 유효성분 농도 1000ppm으로 처리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생육을 저해하지 않고, 무름병균에 대하여 직접적으로는 항균 활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항생 물질인 스트렙토마이신은, 유효성분 농도 10ppm으로, 무름병균에 대하여 직접적인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참고 시험 예 6 감자무름병균 생육 저해 시험
무름병균에 직접 방제제를 시용한 경우의 무름병균 생육 저해 시험을 행했다. 미리 용해해 둔 PSA 배양지(55℃)에 소정량의 플루디옥소닐(세이비아 FL〔상품명〕, 신젠타 재팬(주)제),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염(벨크트 WP〔상품명〕, 닛폰소다(주)제), 이프로다이온(로브럴 WP〔상품명〕, 바이엘 크롭 사이언스(주)제),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마이신 수화제〔상품명〕, 홋코우카가쿠제)의 각 약액과 무름병균(감자무름병균(Erwinia carotovora)) 현탁액을 더하여 잘 교반 한 후, 플레이트에 펴서 27℃에서 3일간 배양 후, 생육 상태를 조사했다. 그 후 형성된 콜로니를 이하의 3 단계로 조사했다.
+:무처리구와 동등
±:무처리구보다 분명하게 적다
-:대부분 인정받지 못한다
이들의 시험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10
표 10에 있어서 플루디옥소닐, 이미녹타딘 알베실산 염, 이프로다이온은, 무름병균에 대하여, 유효성분 농도 1000ppm으로 처리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생육을 저해하지 않고, 무름병균에 대하여 직접적으로는 항균 활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항생 물질인 스트렙토마이신은, 유효성분 농도 10ppm으로, 무름병균에 대하여 직접적인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무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가지는 방제제와 그 방제제를 이용한 무름병의 방제방법으로서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가진다.

Claims (14)

  1.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없고, 또 토양 표면의 진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무름병의 방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은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아졸계 화합물, 카복스아미드계 화합물,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유기 염소계 화합물, 디카복스이미드계 화합물, 페닐피롤계 화합물,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 및 구아니딘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름병의 방제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은 메틸=(E)-2-{2-[6-(2-시아노페녹시)피리미딘-4-일옥시]페닐}-3-메톡시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E)-메톡시이미노[2-(o-톨릴옥시메틸)페닐]아세테이트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아졸계 화합물은 (E)-4-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N-(1-이미다졸-1-일-2-프로폭시에틸리덴)-o-톨루이딘, 4-클로로-2-시아노-N,N-디메틸-5-p-톨릴이미다졸-1-설폰아미드, 3-[(3-브로모-6-플루오로-2-메틸-1H-인돌-1-일)설포닐]-N,N-디메틸-1H-1,2,4-트리아졸-1-설폰아미드, 또는 디메틸=4,4'-(o-페닐렌)비스(3-티오알로파네이트)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카복스아미드계 화합물은 (RS)-N-[2-(1,3-디메틸부틸)-3-티에닐]-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스아미드, 또는 2-클로로-N-(4'-클로로비페닐-2-일)니코틴아미드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은 2',4-디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4'-니트로-m-톨루엔설폰아닐리드이며, 상기 유기 염소계 화합물은 2,4,5,6-테트라클로로-1,3-벤젠 디카보니트릴이며, 상기 디카복스이미드계 화합물은 N-(3,5-디클로로페닐)-1,2-디메틸시클로프로판-1,2-디카복스이미드, 또는 3-(3,5-디클로로페닐)-N-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카복스아미드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페닐피롤계 화합물은 4-(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4-일)피롤-3-카보니트릴이며, 상기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은 N-(4-메틸-6-프롭-1-이닐피리미딘-2-일)아닐린이며, 상기 구아니딘계 화합물은 1,1'-이미노디(옥타메틸렌)디구아니디늄=트리스(알킬벤젠설포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름병의 방제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施用)하는 방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름병의 방제제.
  5.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없고, 또 토양 표면의 진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의 유효량을 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무름병의 방제방법.
  6.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없고, 또 토양 표면의 진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의 유효량을 식물의 재배 토양에 시용한 후, 식물 종자의 파종(播種) 또는 식물 모종의 정식(定植)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무름병의 방제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에르위니아·카로토보라 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없고, 또 토양 표면의 진균에 대한 방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의 유효량을, 상기 재배 토양에 혼화하지 않고 재배 토양의 표면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름병의 방제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은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아졸계 화합물, 카복스아미드계 화합물,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유기 염소계 화합물, 디카복스이미드계 화합물, 페닐피롤계 화합물,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 및 구아니딘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무름병의 방제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은 메틸=(E)-2-{2-[6-(2-시아노페녹시)피리미딘-4-일옥시]페닐}-3-메톡시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E)-메톡시이미노[2-(o-톨릴옥시메틸)페닐]아세테이트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아졸계 화합물은 (E)-4-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N-(1-이미다졸-1-일-2-프로폭시에틸리덴)-o-톨루이딘, 4-클로로-2-시아노-N,N-디메틸-5-p-톨릴이미다졸-1-설폰아미드, 3-[(3-브로모-6-플루오로-2-메틸-1H-인돌-1-일)설포닐]-N,N-디메틸-1H-1,2,4-트리아졸-1-설폰아미드, 또는 디메틸=4,4'-(o-페닐렌)비스(3-티오알로파네이트)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카복스아미드계 화합물은 (RS)-N-[2-(1,3-디메틸부틸)-3-티에닐]-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스아미드, 또는 2-클로로-N-(4'-클로로비페닐-2-일)니코틴아미드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설폰아미드계 화합물은 2',4-디클로로-α,α,α-트리플루오로-4'-니트로-m-톨루엔설폰아닐리드이며, 상기 유기 염소계 화합물은 2,4,5,6-테트라클로로-1,3-벤젠 디카보니트릴이며, 상기 디카복스이미드계 화합물은 N-(3,5-디클로로페닐)-1,2-디메틸시클로프로판-1,2-디카복스이미드, 또는 3-(3,5-디클로로페닐)-N-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카복스아미드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페닐피롤계 화합물은 4-(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4-일)피롤-3-카보니트릴이며, 상기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은 N-(4-메틸-6-프롭-1-이닐피리미딘-2-일)아닐린이며, 상기 구아니딘계 화합물은 1,1'-이미노디(옥타메틸렌)디구아니디늄=트리스(알킬벤젠설포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름병의 방제방법.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의 시용량이 0.025~2.5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름병의 방제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야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름병의 방제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류가 아스파라거스, 꽃상추, 칼라, 콜리플라워, 양배추, 곤약, 산동채, 셀러리, 무우, 담배, 양파, 청경채, 토마토, 가지, 당근, 파, 배추, 잎모란(Brassica oleracea x Brassica campestris), 파슬리, 감자, 브로콜리, 염교, 양상추, 고추냉이 및 유채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름병의 방제제.
  13.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야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름병의 방제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류가 아스파라거스, 꽃상추, 칼라, 콜리 플라워, 양배추, 곤약, 산동채, 셀러리, 무우, 담배, 양파, 청경채, 토마토, 가지, 당근, 파, 배추, 잎모란, 파슬리, 감자, 브로콜리, 염교, 양상추, 고추냉이 및 유채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름병의 방제방법.
KR1020137004443A 2010-07-23 2011-07-21 무름병의 방제제 및 방제방법 KR101816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6427 2010-07-23
JPJP-P-2010-166427 2010-07-23
JPJP-P-2010-257612 2010-11-18
JP2010257612 2010-11-18
PCT/JP2011/004124 WO2012011287A2 (en) 2010-07-23 2011-07-21 Control agent for soft ro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249A true KR20130041249A (ko) 2013-04-24
KR101816952B1 KR101816952B1 (ko) 2018-01-09

Family

ID=4463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443A KR101816952B1 (ko) 2010-07-23 2011-07-21 무름병의 방제제 및 방제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8993584B2 (ko)
EP (1) EP2595481B1 (ko)
JP (2) JP5876046B2 (ko)
KR (1) KR101816952B1 (ko)
CN (2) CN105123695B (ko)
AR (1) AR082849A1 (ko)
AU (1) AU2011280762B9 (ko)
BR (1) BR112013001688A8 (ko)
CL (2) CL2013000220A1 (ko)
CO (1) CO6680649A2 (ko)
DK (1) DK2595481T3 (ko)
ES (1) ES2594954T3 (ko)
HU (1) HUE030726T2 (ko)
MX (1) MX345268B (ko)
PL (1) PL2595481T3 (ko)
PT (1) PT2595481T (ko)
RS (1) RS55139B1 (ko)
RU (1) RU2562213C2 (ko)
TW (1) TWI548343B (ko)
WO (1) WO201201128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9091A (zh) * 2013-12-09 2014-04-16 江阴苏利化学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氰霜唑和咯菌腈的杀菌组合物
CN103999870B (zh) * 2014-05-29 2016-07-06 江苏龙灯化学有限公司 一种杀菌组合物
CN104041543A (zh) * 2014-06-25 2014-09-17 无锡市崇安区科技创业服务中心 一种海芋软腐病的防治药剂及其使用方法
CN104336028B (zh) * 2014-11-04 2016-05-11 崔淑华 一种含吲唑磺菌胺与烯酰吗啉的杀菌组合物
CN104860759A (zh) * 2015-05-12 2015-08-26 湖州桑农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可以防治油麦菜霜霉病的复合肥
CN104860783A (zh) * 2015-05-12 2015-08-26 湖州桑农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可以提高油麦菜抵抗力的新型复合肥
CN104892154B (zh) * 2015-05-28 2017-11-10 遵义师范学院 一种防治花魔芋软腐病的药肥及其制备方法
CN105665434A (zh) * 2016-01-20 2016-06-15 潍坊市新友吉土壤消毒服务专业合作社 一种土壤消毒和土壤修复组合技术
JP2020002122A (ja) * 2018-06-20 2020-01-09 日本農薬株式会社 ネギ科植物の病害防除方法
CN112841091B (zh) * 2021-01-05 2022-11-18 赣南师范大学 一种研究哒螨灵诱导动物先天性心脏病的方法及其应用
KR102526812B1 (ko) 2021-01-11 2023-04-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리니아펀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03533B (de) * 1963-04-20 1965-10-21 Nissan Chemical Ind Ltd Bodenfungizid
GB1022218A (en) * 1964-06-24 1966-03-09 Nissan Chemical Ind Ltd Fungicidal compositions
US3965109A (en) 1971-03-19 1976-06-22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Certain aryl amino pyridines
JPS5335127B2 (ko) 1972-05-13 1978-09-26
JPS50123827A (ko) * 1974-03-15 1975-09-29
JPS6048997B2 (ja) 1976-09-11 1985-10-30 財団法人 電力中央研究所 放電ギヤツプ
CN1312681A (zh) * 1998-06-12 2001-09-12 明治制果株式会社 农业或园艺用细菌性病害防除剂
EP0976326B1 (en) * 1998-07-30 2003-05-02 Nihon Nohyaku Co., Ltd. Fung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a 1,2,3-tiadiazole derivative and its use
JP2000103710A (ja) * 1998-07-30 2000-04-11 Nippon Nohyaku Co Ltd 殺菌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EA010185B1 (ru) 2004-03-27 2008-06-30 Байер Кропсайенс Гмбх Применение сульфонилмочевин в качестве гербицидов
DE102005022149A1 (de) * 2005-05-13 2006-11-16 Lanxess Deutschland Gmbh Verwendung von Prochloraz für den Holzschutz
WO2006129510A1 (ja) * 2005-06-01 2006-12-07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農薬の省力的施用方法
EA200801901A1 (ru) * 2006-03-14 2009-02-27 Басф Се Способ индуцирования толерантности растений против бактериозов
JP2007308482A (ja) * 2006-04-18 2007-11-29 Nissan Chem Ind Ltd 農薬の施用方法
JP2008189658A (ja) 2007-01-12 2008-08-21 Nissan Chem Ind Ltd 植物病害の防除方法
JP2008291022A (ja) * 2007-04-27 2008-12-04 Sumitomo Chemical Co Ltd アミド化合物及びその用途
JP2008291012A (ja) * 2007-04-27 2008-12-04 Sumitomo Chemical Co Ltd アミド化合物ならびにその植物病害防除用途
EP2036438A1 (en) * 2007-09-12 2009-03-18 Bayer CropScience AG Post-harvest treatment
RU2342833C1 (ru) * 2007-10-02 2009-01-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наук Состав для предпосев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мян овощных культур и клубней картофеля от бактериальных болезней
WO2010072634A2 (en) * 2008-12-22 2010-07-01 Basf Se Post-harvest treatment method
GB2469059B (en) * 2009-03-31 2014-01-08 Univ Plymouth Components for animal feed and use thereof
AU2010261291B2 (en) * 2009-06-17 2013-09-26 Ishihara Sangyo Kaisha, Ltd. Control agent for soft ro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01653132B (zh) * 2009-08-12 2013-01-02 东莞市瑞德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氟啶胺的杀菌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30726T2 (en) 2017-06-28
CN103118539A (zh) 2013-05-22
EP2595481B1 (en) 2016-07-13
AR082849A1 (es) 2013-01-16
KR101816952B1 (ko) 2018-01-09
JP6151385B2 (ja) 2017-06-21
CL2016002000A1 (es) 2017-02-10
CL2013000220A1 (es) 2013-05-24
ES2594954T3 (es) 2016-12-27
EP2595481A2 (en) 2013-05-29
RU2013108061A (ru) 2014-08-27
US8993584B2 (en) 2015-03-31
CO6680649A2 (es) 2013-05-31
DK2595481T3 (en) 2016-10-31
JP2013532656A (ja) 2013-08-19
WO2012011287A3 (en) 2012-04-12
WO2012011287A2 (en) 2012-01-26
RU2562213C2 (ru) 2015-09-10
RS55139B1 (sr) 2016-12-30
PT2595481T (pt) 2016-09-29
MX2013000918A (es) 2013-03-22
AU2011280762A1 (en) 2013-01-31
CN103118539B (zh) 2015-09-16
TWI548343B (zh) 2016-09-11
US20130123287A1 (en) 2013-05-16
BR112013001688A2 (pt) 2016-05-24
AU2011280762B2 (en) 2014-04-24
AU2011280762B9 (en) 2014-09-11
MX345268B (es) 2017-01-20
PL2595481T3 (pl) 2017-01-31
BR112013001688A8 (pt) 2017-12-19
JP5876046B2 (ja) 2016-03-02
TW201216846A (en) 2012-05-01
CN105123695A (zh) 2015-12-09
JP2016094463A (ja) 2016-05-26
CN105123695B (zh)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1385B2 (ja) 軟腐病の防除剤及び防除方法
EP2442659B1 (en) Use of a control agent for soft ro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3029639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lubroot
JP2016011260A (ja) バレイショそうか病の防除方法
BR112013001688B1 (pt) Método de controle de podridão sua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