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052A -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052A
KR20130041052A KR1020130037610A KR20130037610A KR20130041052A KR 20130041052 A KR20130041052 A KR 20130041052A KR 1020130037610 A KR1020130037610 A KR 1020130037610A KR 20130037610 A KR20130037610 A KR 20130037610A KR 20130041052 A KR20130041052 A KR 20130041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ovement
remote control
unit
sav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5211B1 (ko
Inventor
최은석
유호준
최상언
소병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4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버튼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모드이면 상기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고,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인식 모드이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면 기존의 버튼 리모컨에 동작 센서를 추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리모컨을 사용하여 TV상에서 커서를 움직이는 포인팅 기능 또는 동작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버튼 입력식 리모컨에 동작 센서를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TV 상에서 커서를 움직이는 포인팅 기능 또는 동작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DTV용 통합 동작 리모컨을 제공하는 것이다.
TV에서는 리모컨의 버튼을 입력하여 채널 변경이나 볼륨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의 TV는 메뉴가 단순하고, TV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TV 시청 이외에는 제한적이였다. 하지만 이제 TV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고 게임을 수행하며, 나아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다양한 웹(Web)기반 서비스들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TV 자체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되어 왔지만, 리모컨의 한계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버튼 입력식 리모컨에 동작 센서를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TV 상에서 커서를 움직이는 포인팅 기능 또는 동작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DTV용 통합 동작 리모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버튼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모드이면 상기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고,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인식 모드이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가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버튼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모드이면 상기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고,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인식 모드이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을 사용하여 포인팅 및 동작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어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에게 새롭고 재미있는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리모컨에 구비되는 동작 센서의 상태를 Power Save/Active, Sleep 상태로 상호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다른 제어 없이도 지능적인 전원 관리를 수행하여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와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원격 제어 장치가 버튼 입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송하는 패킷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원격 제어 장치가 동작 인식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송하는 패킷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와 전자 장치가 구현된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와 전자 장치가 구현된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와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100)는 리모컨, 이동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입력 장치, 포인팅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나아가, 동작 센서를 포함하여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전자 장치(15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라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0)가 될 수 있다.
기존의 리모컨은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에 송신하는 단방향 통신만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양방향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150)는, 디지털 TV, 모니터,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등일 수 있다. 나아가, 원격 제어 장치(1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라면, 상기 전자 장치(150)가 될 수 있다.
이하, 원격 제어 장치(100)와 전자 장치(15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02), 사용자 입력부(104), 감지부(106), 전원 공급부(108)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2)는 전자 장치(15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02)는 전자 장치(150)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근거리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지그비(Zigbee)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04)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버튼 선택은 원격 제어 장치(100)에 구비된 소정의 키를 입력하는 동작일 수 있다.
감지부(106)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06)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및 지자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센서들은 움직임을 전자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은, 전자 장치(150)의 소정 영역을 가리키는 포인팅 동작 및 소정 형태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은, 3차원 상의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동작 및 기능 수행을 제어하며, 이를 위한 연산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산 처리 블록, 메모리 블록, 전원 제어 블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제어 알고리즘을 프로그램화하여 각각의 메모리 블록에 저장하고, 이를 연산 처리 블록에서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모드이면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50)에 전송하고, 움직임에 의하여 전자 장치(150)를 제어하는 동작 인식 모드이면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5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필드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하거나,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필드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패킷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도 2b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한편, 동작 인식 모드인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과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모두 전자 장치(15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02)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 또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50)에 전송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통신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필드 및/또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필드를 포함하는 패킷에, 원격 제어 장치(100)의 작동 모드에 대한 필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5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 또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5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의 종류에 기초하여 작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라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50)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받지 못하면 버튼 입력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100)가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포인팅 인식 또는 움직임 감지를 위하여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동작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이 항상 active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전력 소비가 증가하여, 버튼만 이용했을 때에 비하여 배터리 사용 시간이 단축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리모컨의 버튼만을 이용하여 TV를 제어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동작 센서의 상태를 절전(power save) 모드로 전환하고, 포인팅 기능이나 동작 인식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만 동작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을 power active 상태로 전환해서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100)는 감지부(10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8)는 버튼 입력 모드로 작동하면 감지부(106)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절전 상태로 전환하도록 전원 공급부(108)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50)가 실행하는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 또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절전 상태로 전환하도록 전원 공급부(108)를 제어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부(106)는 슬립(sleep)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슬립 상태인 경우, 제어부(110)는 움직임 감지를 위한 소정 레벨의 최소 전력만을 감지부(106)에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108)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전력을 관리한다.
먼저, 제어부(110)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슬립 상태로 전환하도록 전원 공급부(108)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슬립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절전 상태로 전환하도록 전원 공급부(108)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슬립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감지부(106)에 전원을 공급하는 power active 상태로 전환하도록 전원 공급부(108)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150)는, 영상 처리부(152), 통신부(154) 및 제어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52)는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부(152)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및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4)는 원격 제어 장치(10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02)는 전자 장치(150)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근거리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지그비(Zigbee)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6)는 통신부(154)가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 입력 모드로 작동하고, 통신부(154)가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움직임에 의하여 전자 장치(150)를 제어하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은, 3차원 상의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6)는 전자 장치(150)의 전원이 온 되면, 상기 전자 장치(150)가 실행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6)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 또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6)는 상기 통신부(154)가 수신한 원격 제어 장치(100)의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버튼 입력 모드 또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제어부(156)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포인팅 커서를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15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a는 원격 제어 장치가 버튼 입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송하는 패킷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원격 제어 장치가 동작 인식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송하는 패킷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헤더 필드(210)는 신호의 전송이 시작됨을 알린다.
모드 필드(22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모드를 구분한다. 구체적으로, 모드 필드(220)에는 버튼 입력 모드인지 또는 동작 인식 모드인지 여부를 구분하는 데이터가 실린다.
버튼 데이터 필드(230)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예를 들어 눌려진 버튼의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센서 데이터 필드(240)는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Other Info필드(250)는 원격 제어를 위하여 필요한 기타 데이터를 알려주며, 체크섬(Checksum) 필드(260)에는 전송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가 실리게 된다.
원격 제어 장치(100)가 버튼 입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전송되지 않는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 경우 전송하는 패킷에는 버튼 데이터 필드(230)만이 포함되며, 센서 데이터 필드(240)는 존재하지 않는다.
원격 제어 장치(100)가 동작 인식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50)에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버튼 선택과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모두 전자 장치(15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이 경우 전송하는 패킷에는 버튼 데이터 필드(230)와 센서 데이터 필드(240)가 모두 존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작동 모드를 판단한다(S301).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전자 장치(15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 또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100)의 동작 모드는 전자 장치(15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정보를 전달받지 못한 상황에서는 기본적으로 버튼 입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전자 장치(150)가 실행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및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 또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50)에서 전자 장치(150)의 메뉴에 따라서 버튼 입력 모드 또는 동작 인식 모드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을 입력 받거나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상기 두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버튼 입력 모드인 경우(S302), 원격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50)에 전송한다(S303).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버튼 데이터 필드(230)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동작 인식 모드인 경우(S312),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50)에 전송한다(S313).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센서 데이터 필드(240)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50)의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150)의 전원이 온 된다(S401).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으로 전자 장치(150)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50)는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버튼 입력 모드로 작동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50)는 원격 제어 장치(100)에 정보를 송신한다(S402).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50)는 전자 장치(150)가 실행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장치(100)는 버튼 입력 모드 또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50)에서 전자 장치(150)의 메뉴에 따라 작동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작동 모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5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S403).
이 경우, 전자 장치(150)는 작동 모드를 판단한다(S404). 구체적으로, 수신된 데이터에서 원격 제어 장치(100)의 모드 정보를 알리는 모드 필드(220)를 참조할 수 있다.
버튼 입력 모드인 경우(S405), 전자 장치(150)는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406). 이 경우, 전자 장치(150)는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407).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된 버튼 신호에 의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인식 모드인 경우(S415), 전자 장치(15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416). 이 경우, 전자 장치(150)는 상기 움직임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50)를 제어한다(S417). 구체적으로, 감지된 움직임으로부터 포인팅 좌표 및 동작의 연산 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장치(150)는 어플리케이션상에 포인터 또는 포인팅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와 전자 장치가 구현된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TV 사용시 통합 동작 리모컨으로 포인팅 기능이 필요한 메뉴에 진입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하 좌우로 리모컨을 움직이면, 리모컨은 동작 센서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리모컨은 포인팅 알고리즘을 통하여 감지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좌표로 변환하고, 위치 좌표를 TV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50)에는 방송 화면과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100)를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시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0)를 a 방향으로 움직이면 포인터는 3차원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b 방향으로 움직이면 포인터는 2차원 평면상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c 방향으로 움직이면 포인터는 2차원 평면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를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시켜 TV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100)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각도에 따라, 채널 이동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TV 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리모컨은 버튼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0)를 이용하여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채널 UP 키를 이용하여 채널을 상향 이동시킬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자 장치(150)는,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버튼식 리모컨을 사용하여 TV의 메뉴를 선택하거나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4방향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순차적인 이동만이 가능하므로 PC에서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처럼 원하는 곳으로 한 번에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키의 안정적인 입력을 위해서 여러 번의 같은 IR 신호를 보내게 되므로, 키의 입력 속도가 느려서 게임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데 부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를 동작 인식 모드로 동작시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맞는 UI를 구현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와 전자 장치가 구현된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동작 센서가 포함되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3차원 상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TV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TV상에 표시되는 3차원 형태의 UI 또는 게임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TV화면에는 메뉴가 3차원 형태로 표시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리모컨을 2차원 평면 또는 3차원 공간 상에서 움직임으로써 3차원 형태의 UI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2차원 평면상에서 리모컨을 움직여 메뉴 A 또는 메뉴 B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공간 상에서 리모컨을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메뉴 A 또는 메뉴 B에 속하는 서브 메뉴 1, 서브 메뉴 2등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TV화면에는 게임 화면이 표시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리모컨을 2차원 평면 또는 3차원 공간 상에서 움직임으로써 3차원 형태의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을 3차원 공간상에서 아래 위로 움직임으로써, 계단상에서 공의 위치를 계단 단위로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리모컨을 2차원 평면상에서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공의 위치를 동일한 계단 상에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6a와 도 6b에 의하면, 3차원 상에서의 리모컨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3차원 형태로 구현되는 UI 또는 컨텐츠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일반적인 동작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버튼 입력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절전 상태(power save)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06)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절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50)에 전송하는 정보도 버튼 데이터만 전달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Power active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전자 장치(150)에 전송하는 정보에 버튼 데이터와 감지된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모두 포함시킨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100)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도, 소정 시간 동안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이 없으면 절전 상태로 전환한다.
나아가,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전자 장치(150)가 실행하는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절전 상태 또는 power active 상태로 상호 전환할 수 있다.
도 7b는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비하는 슬립 상태에서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동작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최근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로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한 최소한의 전력만 소비하는 상태(즉, sleep 상태)에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동작 센서가 출시되었다. 이러한 동작 센서를 사용하면 최소한의 전류를 소비하는 슬립 상태에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버튼 입력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절전 상태(power save)로 전환하거나 절전 상태를 유지한다.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Power Active 상태로 전환하거나 power active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소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06)에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력만을 공급할 수 있다. 슬립 상태에서 다시 소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절전 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슬립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power active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컨을 잡거나 일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power active 모드로 진입하여 리모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06) 일정 주기 마다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움직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슬립 상태 또는 절전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슬립 상태인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움직임 감지만을 위한 최소한의 전력만을 동작 센서에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며 효율적인 전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작동 모드를 판단한다(S801).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전자 장치(15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50)가 실행하는 기능,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버튼 입력 모드 또는 동작 인식 모드로 작동할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버튼 입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S802), 원격 제어 장치(100)는 감지부(106) 를 절전 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절전 상태로 전환한다(S803). 또한, 버튼 정보만 전자 장치(1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버튼을 입력하면(S804), 원격 제어 장치(100)는 입력된 버튼 정보를 전자 장치(150)에 전송한다(S805).
동작 인식 모드인 경우(S812), 원격 제어 장치(100)는 감지부(106)를 power active 상태로 유지하거나 전환한다(S813). 또한, 버튼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모두 전자 장치(1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움직임을 입력하면(S814), 원격 제어 장치(100)는 인식된 움직임 정보를 전자 장치(150)에 전송한다(S815).
한편, 원격 제어 장치(100)는 버튼 정보 및/또는 움직임 정보를 전자 장치(150)에 전달할 때 두 가지 모드를 구분하는 모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원격 제어 장치 102: 통신부
104: 사용자 입력부 106: 감지부
108: 전원 공급부 110: 제어부
150: 전자 장치 152: 영상 처리부
154: 통신부 156: 제어부

Claims (21)

  1. 외부 장치로 원격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포인팅 모드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비 포인팅 모드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 포인팅 모드로 작동하는 때, 상기 감지부가 절전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되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은 3차원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되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은 상기 외부 장치의 표시 영역 내의 포인팅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팅 동작 및 소정 형태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및 상기 감지된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상기 전자 장치의 작동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및 지자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감지부가 절전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절전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제1 절전 상태 및 제2 절전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절전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감지부가 상기 제1 절전 상태에서 상기 제2 절전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절전 상태보다 상기 제2 절전 상태에서 적은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및 상기 감지된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정보는 서로 다른 형식을 가지는 전자 장치.
  12. 외부 장치로 원격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제1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 절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절전 상태에서 제2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2 절전 상태로 전환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절전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절전 상태에서 상기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전자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및 상기 감지된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상기 전자 장치의 작동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및 지자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절전 상태보다 상기 제2 절전 상태에서 적은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비 포인팅 모드로 작동하면, 상기 감지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감지부가 절전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9. 전자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신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모드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포인팅 모드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비 포인팅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신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동 모드를 결정하며,
    상기 비 포인팅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메뉴 상을 이동하고,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비 포인팅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포인팅 모드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비 포인팅 모드인 경우 상기 감지부가 절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및 지자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KR1020130037610A 2009-09-03 2013-04-05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445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3204 2009-09-03
KR1020090083204 2009-09-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955A Division KR101473771B1 (ko) 2009-09-03 2009-12-14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052A true KR20130041052A (ko) 2013-04-24
KR101445211B1 KR101445211B1 (ko) 2014-09-29

Family

ID=4393276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955A KR101473771B1 (ko) 2009-09-03 2009-12-14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30037610A KR101445211B1 (ko) 2009-09-03 2013-04-05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30111380A KR101584950B1 (ko) 2009-09-03 2013-09-16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955A KR101473771B1 (ko) 2009-09-03 2009-12-14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380A KR101584950B1 (ko) 2009-09-03 2013-09-16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4737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3965A1 (en) * 2015-03-11 2016-09-1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10074545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투애니시스템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탬버린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428B1 (ko) * 2011-07-08 2013-03-25 한국과학기술원 원격 제어 단말 및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944828B1 (ko) * 2012-05-02 2019-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컨텐츠의 줌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KR101984576B1 (ko) * 2012-06-28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컨트롤 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6120B1 (ko) * 2014-11-21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26507B1 (ko) * 2019-03-29 2021-03-11 주식회사 에이스이앤티 3차원 뷰어를 위한 3차원 입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6891B1 (en) * 1998-08-31 2002-02-12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control system with handling sensor in remote control device
US8760522B2 (en) 2005-10-21 2014-06-24 I-Interactive Llc Multi-directional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7335925A (ja) * 2006-06-12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1451271B1 (ko) * 2007-10-30 2014-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780278B2 (en) * 2007-11-30 2014-07-15 Microsoft Corporation Motion-sensing remote control
FR2928245B1 (fr) 2008-03-10 2011-01-07 Air Liquide Procede de decongelation de produits alimentaires par micro-ond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3965A1 (en) * 2015-03-11 2016-09-1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554084B2 (en) 2015-03-11 2017-01-2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10074545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투애니시스템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탬버린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017A (ko) 2011-03-09
KR101584950B1 (ko) 2016-01-15
KR20130123343A (ko) 2013-11-12
KR101473771B1 (ko) 2014-12-19
KR101445211B1 (ko) 201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0355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4950B1 (ko)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US9823757B2 (en) Input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put apparatus
US9176578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input signal receiving apparatus, operation input apparatus, and input system for performing processing with input units on different surfaces
KR20130142824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8144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9142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43419B1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655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107829A (ko)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39985B1 (ko)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722230B2 (ja) 操作制御装置、操作制御方法および入力装置
KR101897828B1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0182134A (ja) リモコンシステム、制御端末装置及び、選択状態表示変更方法
MX2014015378A (es) Aparato de entrada, aparato de despliegue, metodo de control de los mismos y sistema de despliegue.
KR20130070477A (ko)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