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829A -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829A
KR20140107829A KR1020130021885A KR20130021885A KR20140107829A KR 20140107829 A KR20140107829 A KR 20140107829A KR 1020130021885 A KR1020130021885 A KR 1020130021885A KR 20130021885 A KR20130021885 A KR 20130021885A KR 20140107829 A KR20140107829 A KR 20140107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put
unit
user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7829A/ko
Priority to EP13198233.2A priority patent/EP2772842A1/en
Priority to CN201410068817.2A priority patent/CN104020874A/zh
Priority to US14/193,726 priority patent/US20140240263A1/en
Publication of KR20140107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4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using alphanumeric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된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터치감지부의 입력영역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제1영역의 일부인 제2영역에 대응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2영역은 제1영역 내에서 가변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이 탑재되지 않은 터치 입력장치에서 가상 입력부의 각 버튼에 해당하는 터치감지부의 공간이 넓어져 터치입력 오류를 줄이고,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는 시스템으로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중심으로 하여 각 기능별로 분류된 복수의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에 각종 커맨드를 전송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된다.
입력장치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편의를 위해 입력장치에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더 탑재될 수 있다. 그러나, 터치감지부가 마련된 입력장치에 디스플레이를 더 탑재하는 경우, 입력장치의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비용 절감을 위해 입력장치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입력의 편의를 위한 가상 입력부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가상 입력부를 보면서 터치감지부를 조작하여 사용자 입력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쿼티 키보드와 같은 가상 입력부는 각 버튼이 조밀하게 구성되고, 터치감지부 입력영역의 크기는 제한적이므로, 터치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버튼을 정확하게 선택하기 어렵고, 실수로 주변 영역을 선택하면 이를 수정하는데 사용자의 불필요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된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터치감지부의 입력영역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제1영역의 일부인 제2영역에 대응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2영역은 제1영역 내에서 가변된다.
제어부는 입력영역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제2영역의 좌표를 결정하고, 터치감지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를 제2영역의 좌표의 중심으로 설정할 수 있다.
통신부는 입력영역의 크기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한 크기에 대응하도록 제2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영역에는 문자, 숫자, 기호 및 특수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입력부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제1영역, 제2영역 및 사용자의 선택위치가 구별되도록 표시하며, 제어부는, 입력장치로부터 터치감지부에 대한 드래그 입력 커맨드가 수신되면 드래그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가속 커맨드 여부를 결정하고, 드래그 입력 커맨드가 가속 커맨드로 결정되면 제2영역이 이동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드래그 입력 커맨드가 가속 커맨드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제2영역 내에서 선택위치가 이동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해제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제2영역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영역의 설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제1영역 내의 디폴트 영역 또는 이전에 제2영역으로 설정되었던 영역을 제2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터치감지부의 입력영역이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제1영역의 일부인 제2영역에 대응되도록 입력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2영역은 제1영역 내에서 가변된다.
제어부는 제2영역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입력영역의 좌표를 결정하고, 터치감지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영역의 크기정보를 더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2영역은 입력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한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감지부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드래그 입력의 거리 및 속도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된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대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터치감지부의 입력영역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제1영역의 일부인 제2영역에 대응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제2영역을 제1영역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영역은 제1영역 내에서 가변된다.
설정하는 단계는, 입력영역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제2영역의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와; 터치감지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를 제2영역의 좌표의 중심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입력영역의 크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정하는 단계는, 입력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한 크기에 대응하도록 제2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에는 문자, 숫자, 기호 및 특수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입력부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위치가 더 구별되도록 표시하며, 입력장치로부터 터치감지부에 대한 드래그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드래그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가속 커맨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드래그 입력 커맨드가 가속 커맨드로 결정되면 제2영역을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래그 입력 커맨드가 가속 커맨드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제2영역 내에서 선택위치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해제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2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의 설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1영역 내의 디폴트 영역 또는 이전에 제2영역으로 설정되었던 영역을 제2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은, 터치감지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터치감지부의 입력영역이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제1영역의 일부인 제2영역에 대응되도록 입력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영역은 제1영역 내에서 가변된다.
입력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제2영역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입력영역의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와; 터치감지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영역의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은 입력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한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부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드래그 입력의 거리 및 속도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 내지 도 8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입력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 설정된 커맨드(command)/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하는 입력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TV로, 입력장치(200)가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각각 구현된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이하, GUI(graphic user interface) 라고도 함)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본 실시예와 상이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컴퓨터 본체에 접속된 모니터이며, 입력장치(200)가 해당 컴퓨터 본체와 통신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이하 설명할 실시예는 시스템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사항이 아님을 밝힌다.
입력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이며,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 RF 통신 등을 포함한다. 입력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210)를 포함한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입력장치(200)에는 터치감지부(210) 외에, 사용자에 의한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미도시)와, 숫자키, 메뉴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입력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모션감지부는 자이로센서, 각속도센서, 지자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의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10)와, 영상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외부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14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150)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한편, 입력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210)와, 외부와 통신하는 제2통신부(24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240)와, 터치감지부(21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24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200)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는 마련되지 않는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며,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예컨대, 영상신호는 PC, AV기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제1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제1저장부(150)가 연결되는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서, 입력장치(200)의 터치감지부(210)를 이용하는 사용자 입력의 편의를 위한 가상입력부(30)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가상 입력부(30)를 보면서 터치감지부(210)를 조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상에서 가상입력부(30)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1영역이라고 한다.
가상입력부(30)는 문자, 숫자, 기호 및 특수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 가상 키패드 등을 포함하며, 가상 키보드는 후술하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쿼티 키보드(qwerty keyboard)로 구현될 수 있다.
제1통신부(14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한다. 또한, 제1통신부(140)는 제1제어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입력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제1통신부(140)는 입력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위치정보와, 터치감지부(210)의 입력영역 크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되는 터치입력 위치정보는 좌표정보로서, 제1통신부(140)는 후술하는 제1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입력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통신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200) 간의 통신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등을 포함한다.
제1통신부(140)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커넥터(미도시)에 착탈될 수도 있다.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1저장부(1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된다.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6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1제어부(16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제1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1저장부(150)에는 가상입력부(30)가 표시되는 제1영역 및 제1영역 내에서 가변되며 후술하는 터치감지부(120)의 입력영역에 대응하도록 설정되는 제2영역에 대한 영역정보, 좌표정보가 더 저장된다.
제1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제어부(160)는 영상처리부(1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입력장치(11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제1제어부(160)는 도 2와 같이, 영역설정부(161), 좌표설정부(163) 및 가속처리부(165)를 포함한다.
영역설정부(161)는 터치감지부(210)의 입력영역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터치감지부(210)의 입력영역이 제2영역에 대응되도록 입력영역을 설정한다. 설정된 제2영역은 터치감지부(210)의 입력영역을 소정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한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영역 크기정보는 제1통신부(140)를 통해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되거나, 제1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좌표설정부(163)는 영역설정부(161)에서 설정된 입력영역에 기초하여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대한 좌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좌표정보는 제1저장부(151)에 저장된다. 여기서, 제2영역은 제1영역 내에서 가변되므로, 영역설정부(161) 및 좌표설정부(163)는 가변되는 제2영역의 정보를 수시로 제1저장부(151)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통신부(140)를 통해 입력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가 수신되면, 좌표설정부(163)는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위치를 제2영역의 좌표에서 산출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0)는 산출된 사용자의 입력위치를 제1영역 및 제2영역과 구별되게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가속처리부(165)는 입력장치(200)로부터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드래그 입력(터치감지부(210)에 대한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소정 거리를 이동)에 대응하는 커맨드가 수신되면, 해당 커맨드의 드래그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가속 커맨드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가속처리부(165)는 수신된 커맨드의 드래그 입력이 기설정된 거리 이상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제2영역을 가속 커맨드로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판단기준이 되는 거리 및 시간 정보는 제1저장부(150)에 미리 설정 및 저장될 수 있다.
가속처리부(165)는 가속 커맨드를 인식하면, 그 결과를 영역설정부(161)와 좌표설정부(163)로 전달한다. 영역설정부(161)는 드래그 거리 및 방향에 대응하여 제2영역을 이동시켜 제2영역을 재설정하고, 좌표설정부(163)는 이동된 제2영역에 대한 좌표를 설정한다.
가속처리부(165)는 수신된 드래그 입력 커맨드가 가속 커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그 결과를 좌표설정부(163)로 전달한다. 좌표설정부(163)는 현재 설정된 제2영역 내에서 드래그 거리 및 방향에 대응하도록 사용자의 선택위치를 산출한다. 여기서, 가속 커맨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속도 별 이동거리, 시간 별 이동거리, 기준속도 등에 대한 테이블 또는 그래프)는 제1저장부(150)에 저장되며, 가속 처리부(163)는 저장된 정보를 로드하여 가속 커맨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가속처리부(165)는 드래그 입력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속도를 연산하고, 이를 기설정된 기준속도와 비교하여 가속 커맨드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기준속도는 제1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입력이 기준속도 이상이면, 영역설정부(161)이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여 제2영역을 이동하고, 좌표설정부(163)는 이동된 제2영역에 대한 좌표를 설정한다.
반대로, 드래그 입력이 기준속도 미만이면, 좌표설정부(163)는 현재 설정된 제2영역 내에서 드래그 거리 및 방향에 대응하도록 사용자의 선택위치를 산출한다.
제1제어부(160)는 이렇게 이동된 제2영역 또는 사용자 선택위치를 가상입력부(30) 상에 구별되게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이하, 입력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200)는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모드(touch mode)로 동작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입력장치(200)의 동작모드는 버튼입력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일반모드, 입력장치의 모션(motion)(움직임)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제스처모드(gesture mode)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가 복수인 경우, 기설정된 사용자 조작(예를 들어, 소정 키버튼의 조작, 소정 강도 또는 거리 이상의 터치입력 등)에 대응하여 입력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외에도 다양한 사용자입력에 의한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터치감지부(21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상부에는 입력영역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터치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입력은 다양할 수 있으며, 탭(tap), 탭보다 강하게 터치하는 클릭(click), 더블 클릭, 드래그(drag), 슬라이드(slide), 플리킹(flicking) 등을 모두 포함한다. 터치감지부(210)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제2제어부(260)는 감지된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제2통신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터치감지부(210)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펜 등을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2통신부(2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제1통신부(140)에 대응하는 통신규격을 가진다. 예컨대, 제2통신부(220)는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소정 커맨드를 송수신하며,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등을 포함한다.
제2저장부(250)에는 제2제어부(260)에 의해 액세스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제2저장부(250)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감지를 위한 터치감지부(210)의 입력영역의 크기정보, 입력영역에 대하여 설정된 좌표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제2저장부(250)에는 입력장치(200)의 현재 입력모드에 관한 정보가 더 저장 및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2저장부(2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된다. 제2저장부(250)는 제2제어부(26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2제어부(26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제2제어부(260)는 입력장치(2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2제어부(260)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제2통신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함으로써, 입력장치(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해당 커맨드에 대응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제어부(250)는 터치감지부(210)의 입력영역이 제2영역에 대응되도록 입력영역의 좌표정보를 설정하고, 터치감지부(210)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를 산출한다. 제2제어부(260)는 산출된 좌표정보를 소정 커맨드로서 제2통신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제2제어부(260)는 터치감지부(210)의 입력영역의 크기 정보를 더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수신된 입력영역의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설정하여 제1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에는 입력장치(200)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의 편의를 위한 가상 입력부(30)가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130)의 전체 화면 영역 중에서 가상 입력부(30)가 표시된 영역을 제1영역이라고 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제1영역에 표시된 가상 입력부(30)가 쿼티 키보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하며, 본 발명의 가상 입력부(30)는 쿼티 키보드 뿐 아니라 문자, 숫자, 기호 및 특수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가상 키보드 또는 가상 키패드(도 8의 50)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제1제어부(160)는 가상 입력부(30) 상에 사용자의 선택위치(31)가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선택위치를 포커스, 포인트, 커서, 하이라이트, 깜빡임 처리 등에 의해 강조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가상 입력부(30) 상에 강조 표시된 사용자의 선택위치(31)는 입력장치(200)의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위치(41)에 대응한다. 또한, 가상 입력부(30)는 사용자의 입력결과가 표시되는 표시창(39)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터치입력에 의해 특정 문자나 숫자 등을 선택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특정 버튼(예를 들어, 엔터키를 선택)하는 등의 입력 확정으로 설정된 선택을 하면, 표시창(39)에는 입력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2영역에 대한 영역 및 좌표설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의 터치감지부(210)의 소정 위치(41)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제2제어부(260)는 입력영역 상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위치(41)의 좌표정보 (x, y)를 제2통신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2통신부(240)는 터치감지부(210)의 입력영역 전체 크기의 좌표정보 (X, Y)를 더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좌표설정부(163)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위치(41)의 좌표정보 (x, y)와 입력영역의 크기 좌표정보 (X, Y)를 소정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x', y') 및 (X', Y')로 변환한다. 그리고, 영역설정부(161)는 변환된 (0, 0) ~ (X', Y') 좌표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제2영역(32)을 설정한다. 여기서,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은 제1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되며, 경우에 따라 터치감지부(210)의 입력영역의 크기 정보도 제1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좌표설정부(163)는 변환된 좌표 (x', y')를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31)로 설정하며, (x', y')를 제2영역(32)을 구성하는 (X', Y') 좌표의 중심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좌표설정부(163)는 좌표의 중심 (x', y')에 따른 2영역(32) 전체 즉, (0, 0) ~ (X', Y')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31)를 먼저 설정하고, 설정된 터치입력 위치(31) (x', y')를 중심으로 하는 좌표 (0, 0) ~ (X', Y')의 영역을 제2영역(32)이 되게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입력 위치(31) (x', y')는 이전(바로 직전)에 선택되었던 선택위치 또는 미리 정해진 디폴트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렇게 제2영역(32)이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해제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영역설정부(161)는 제2영역(32)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커맨드를 수신하면, 제2영역이 다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제2영역(32)이 터치입력의 해제로 설정 해제된 상태에서 다시 입력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영역설정부(161)는 도 4와 같이 이전(바로 직전)에 설정되었던 영역을 제2영역(32)으로 다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서는 영역설정의 해제 이후에 새로운 터치입력 감지 시 이전의 영역설정과 관계없이 소정의 디폴트 영역을 제2영역(34)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설정된 제2영역(32)이 터치입력의 해제로 설정 해제된 상태에서 다시 입력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된 커맨드를 수신하면, 영역설정부(161)는 도 5와 같이 미리 정해진 디폴트 영역을 제2영역(34)으로 설정하고, 좌표 설정부(163)는 설정된 디폴트 영역에 따라 제2영역(34) (0, 0) ~ (X', Y')의 좌표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입력위치(33) (x', y')의 좌표를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위치(33) (x', y')의 좌표는 터치감지부(210)의 입력영역 (X, Y)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위치(43) (x, y)를 제2영역(34) (X', Y')에 대응시켜 결정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0)는 도 4 및 도5 와 같이, 가상 입력부(30) 상에 영역설정부(161)에서 설정된 제2영역(32)이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60)는 제2영역(32)을 포커스, 포인트, 커서, 하이라이트, 깜빡임 처리 등에 의해 강조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제2영역(32)과 사용자 선택위치(31)가 상호 구별되도록, 서로 다른 종류 또는 색으로 강조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제어부(16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가 수신되면 드래그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가속 커맨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장치(200)의 제2제어부(260)는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드래그 입력의 거리 및 속도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4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160)는 드래그 입력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에 따른 속도를 기준속도와 비교하여, 기준속도 이상인 경우 가속 커맨드로 결정한다. 영역설정부(131)는 드래그 입력 커맨드가 가속 커맨드로 결정되면 제2영역을 드래그 방향 및 거리에 대응시켜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제2영역(34) 및 사용자 입력위치(33)가 설정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우측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고, 감지된 드래그 입력이 가속 커맨드로 결정되면, 제2영역(36)이 드래그 방향 및 거리에 대응하여 이동된다. 또한, 제2영역(36)의 변경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위치(35)도 이동된다.
제1제어부(160)는 도 6과 같이 이동된 입력위치(35)와, 제2영역(36)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한편, 제1제어부(160)는 드래그 입력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에 따른 속도를 기준속도와 비교하여, 기준속도 미만인 경우 가속 커맨드가 아닌 것으로 결정한다. 영역설정부(131)는 드래그 입력 커맨드가 가속 커맨드가 아닌 경우, 사용자의 입력위치를 드래그 방향 및 거리에 대응시켜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사용자 입력위치(33)가 설정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우측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고, 감지된 드래그 입력이 가속 커맨드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기설정된 제2영역(34)의 내에서 사용자의 입력위치(37)가 드래그 방향 및 거리에 대응하여 이동된다.
제1제어부(160)는 도 7과 같이 이동된 입력위치(37)를 변경되지 않은 제2영역(34)와 함께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과 같은 채널 선택을 위한 가상 키패드를 가상 입력부(50)로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장치(200)는 입력장치(200)의 터치감지부(210)의 소정 위치(61)에 대한 사용자 터치입력을 수신하고, 제2제어부(260)는 수신된 입력위치의 좌표 (x, y) 및 입력영역 전체좌표 (X, Y)의 크기정보를 제2통신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1제어부(160)는 입력영역 크기정보 및 입력위치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도 8과 같이 가상 입력부(50)가 표시된 제1영역 내에 제2영역(32)와, 사용자 입력위치(51) 및 각각의 좌표값을 설정하여, 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도 8의 가상 키패드(50)는 사용자의 채널 선택의 편의를 위한 이전 선택 채널 목록이 표시되는 채널 목록창(58), 채널 선택 결과가 표시되는 표시창(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실시예에서도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커맨드의 가속 커맨드 여부를 결정하여, 제2영역 및 사용자 입력위치를 변경하거나, 기설정된 제2영역 내에서 사용자 입력위치만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2영역은 가상 키패드(50)내의 숫자 버튼 영역뿐 아니라, 채널 목록창(58)으로 이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입력장치(20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200)는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702).
제2제어부(260)는 단계 S702의 감지에 대응하여, 터치감지부(210)의 입력영역의 전체 좌표 (X, Y')를 설정한다(S704).
또한, 제2제어부(260)는 단계 S704에서 설정된 좌표 영역 내에 사용자 입력위치의 좌표 (x, y)를 설정한다(S706).
제2제어부(260)는 단계 S704 및 단계 S706에서 설정된 입력위치 정보(좌표 (x, y))및 입력영역의 크기정보(좌표 (0, 0) ~ (X, Y)의 크기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40)를 제어한다(S708). 여기서, 입력위치 및 입력영역의 크기 정보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제2제어부(260)는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드래그 입력의 감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710).
단계 S710의 모니터링 결과,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제2제어부(260)는 드래그 입력의 거리 및 속도정보(또는, 거리 및 시간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2통신부(240)를 제어한다(S712).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문자입력에 대한 커맨드는 수신할 수 있다(S802).
제1제어부(160)는 단계 S802에서 수신된 커맨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30)의 제1영역에 가상 입력부(30)를 표시한다(S804).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터치감지부(2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위치 정보(좌표 (x, y)) 및 입력영역의 크기 정보(좌표 (0, 0) ~ (X, Y)의 크기정보)를 수신한다(S806). 여기서, 수신되는 정보는 도 9의 단계 S708에서 입력장치(200)로부터 송신된 정보가 된다.
제1제어부(160)는 단계 S806에서 수신된 (x, y) 및 (X, Y)를 소정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x', y') 및 (X', Y')로 변환한다(S808).
그리고, 제1제어부(160)는 (x', y')를 (X', Y') 좌표의 중심에 할당하고 (0, 0) ~ (X', Y')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감지부(210)의 입력영역에 대응하는 제2영역(32)으로 설정한다(S810).
제1제어부(160)는 단계 S810에서 설정된 제2영역(32) 및 사용자 입력위치(31)를 가상 입력부(30) 상이 구별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S812).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장치(200)로부터 드래그 입력의 커맨드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814). 여기서, 수신되는 드래그 입력의 커맨드는 도 9의 단계 S712에서 입력장치(200)로부터 송신된 커맨드가 된다.
단계 S814의 모니터링 결과, 드래그 입력의 커맨드가 수신되면, 제1제어부(160)는 수신된 드래그 입력이 기준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16).
단계 S816에서 기준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제어부(160)는 (x', y')와 (X', Y')를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및 거리에 대응시켜 이동하는 방식으로 제2영역을 변경하여 재설정한다(S818).
그리고, 제2제어부(160)는 단계 S818에서 변경된 제2영역에 대응하여, 제2영역 및 사용자 입력위치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S820).
한편, 단계 S816에서 기준속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제어부(160)는 현재 설정된 제2영역 (X', Y') 내에서 (x', y')를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및 거리에 대응시켜 이동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위치를 변경하여 재설정한다(S822).
그리고, 제2제어부(160)는 현재 설정된 제2영역 내에서 단계 S822에서 변경된 사용자 입력위치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S82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탑재되지 않은 입력장치(200)에서 터치감지부(210)의 입력영역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가상 입력부(30)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도록 설정하여, 각 버튼에 해당하는 공간이 넓어져 터치입력 오류를 줄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수신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1통신부
150 : 제1저장부
160 : 제1제어부
161 : 영역 설정부
162 : 좌표 설정부
163 : 가속 처리부
200 : 입력장치
210 : 터치감지부
240 : 제2통신부
250 : 제2저장부
260 : 제2제어부

Claims (34)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된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터치감지부의 입력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제1영역의 일부인 제2영역에 대응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내에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영역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영역의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터치감지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를 상기 제2영역의 좌표의 중심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입력영역의 크기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한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는 문자, 숫자, 기호 및 특수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입력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영역, 제2영역 및 사용자의 선택위치가 구별되도록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터치감지부에 대한 드래그 입력 커맨드가 수신되면 드래그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가속 커맨드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 커맨드가 가속 커맨드로 결정되면 상기 제2영역이 이동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 커맨드가 가속 커맨드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영역 내에서 상기 선택위치가 이동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해제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상기 제2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의 설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상기 제1영역 내의 디폴트 영역 또는 이전에 제2영역으로 설정되었던 영역을 제2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와;
    상기 터치감지부의 입력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제1영역의 일부인 제2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내에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영역의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터치감지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영역의 크기정보를 더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입력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한 크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감지부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의 거리 및 속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8.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가 마련된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대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감지부의 입력영역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제1영역의 일부인 제2영역에 대응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역을 상기 제1영역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내에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영역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영역의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감지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를 상기 제2영역의 좌표의 중심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역의 크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한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는 문자, 숫자, 기호 및 특수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입력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5.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위치가 더 구별되도록 표시하며,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터치감지부에 대한 드래그 입력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드래그의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가속 커맨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드래그 입력 커맨드가 가속 커맨드로 결정되면 상기 제2영역을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입력 커맨드가 가속 커맨드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영역 내에서 상기 선택위치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7.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해제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설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역 내의 디폴트 영역 또는 이전에 제2영역으로 설정되었던 영역을 제2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9.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터치감지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감지부의 입력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제1영역의 일부인 제2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내에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역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영역의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감지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역의 크기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입력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한 크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입력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4.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부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드래그 입력의 거리 및 속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021885A 2013-02-28 2013-02-28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07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885A KR20140107829A (ko) 2013-02-28 2013-02-28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3198233.2A EP2772842A1 (en) 2013-02-28 2013-12-18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410068817.2A CN104020874A (zh) 2013-02-28 2014-02-27 显示装置、输入装置及其控制方法
US14/193,726 US20140240263A1 (en) 2013-02-28 2014-02-28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885A KR20140107829A (ko) 2013-02-28 2013-02-28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829A true KR20140107829A (ko) 2014-09-05

Family

ID=4992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885A KR20140107829A (ko) 2013-02-28 2013-02-28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240263A1 (ko)
EP (1) EP2772842A1 (ko)
KR (1) KR20140107829A (ko)
CN (1) CN1040208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2524A (zh) * 2018-12-21 2020-06-30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信息输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637A (ko) * 2013-11-05 2015-05-13 (주)휴맥스 디스플레이 창 크기 또는 위치 조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6071866B2 (ja) * 2013-12-18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撮像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468182A (zh) * 2014-09-09 2016-04-0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虚拟键盘显示系统及方法
US9454224B2 (en) 2014-09-26 2016-09-27 Intel Corporation Remote wearable input source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771837B1 (ko) * 2016-02-17 2017-08-25 (주)휴맥스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포스 입력을 제공하는 리모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80014923A (ko) * 2016-08-02 201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8810592A (zh) * 2017-04-28 2018-11-13 数码士有限公司 在媒体系统中提供强力输入的遥控器及其驱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9902B2 (ja) * 2002-05-27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070083028A (ko) * 2006-02-20 2007-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JP4364273B2 (ja) * 2007-12-28 2009-1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表示制御プログラム
FR2941546B1 (fr) * 2009-01-27 2011-02-04 Wyplay Procede optimise de saisie de caracteres alphanumeriques a partir d'une telecommande
WO2011158475A1 (ja) * 2010-06-16 2011-1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442305B (zh) * 2010-07-30 2014-06-21 Kye Systems Corp 多點控制的操作方法及其控制系統
US8610684B2 (en) * 2011-10-14 2013-12-17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sensitive non-display area
JP5226142B1 (ja) * 2012-02-29 2013-07-03 株式会社東芝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5906984B2 (ja) * 2012-07-30 2016-04-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2524A (zh) * 2018-12-21 2020-06-30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信息输入装置
CN111352524B (zh) * 2018-12-21 2024-02-23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信息输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20874A (zh) 2014-09-03
EP2772842A1 (en) 2014-09-03
US20140240263A1 (en)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52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07829A (ko)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437378B2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receives an input to an input area of the input apparatus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using the input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ensor
KR10196931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89849B1 (ko) 원격조정제어장치, 영상처리장치, 이를 포함하는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342168B2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KR2013008089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198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43419B1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30176223A1 (en) Display apparatus, user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2017009142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4810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US9753561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input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KR2017000930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314377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入力装置及びこの制御方法
US20150009143A1 (en) Operating system
KR2013008143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MX2014015378A (es) Aparato de entrada, aparato de despliegue, metodo de control de los mismos y sistema de despliegue.
KR2013010393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5158928A (ja) 画像提供機器、制御方法、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14209335A (ja) 外部機器、制御方法、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