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555A - 전기자동차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555A
KR20130040555A KR1020110105405A KR20110105405A KR20130040555A KR 20130040555 A KR20130040555 A KR 20130040555A KR 1020110105405 A KR1020110105405 A KR 1020110105405A KR 20110105405 A KR20110105405 A KR 20110105405A KR 20130040555 A KR20130040555 A KR 20130040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front side
electric vehicle
crash box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균
Original Assignee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10105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0555A/ko
Publication of KR20130040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의 둘레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비드부가 형성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비드부에 대응되게 돌출된 제2비드부가 형성되는 프론트 크래쉬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크래쉬 박스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맴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보다 인장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에너지흡수가 일정한 프론트 크래쉬 박스와 프론트 사이드 멤버를 포함한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량의 전방 충돌사고 발생을 대비하여 전방으로부터 외부 물체와 충격되는 충격량을 흡수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이는, 외부 물체가 전달하는 충격량이 완충되지 않고 그대로 승객에게 전달될 경우 승객의 상해가 커지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는 전방부 차체 하부를 지지하도록 프론트 크로스 멤버가 상기 차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 크로스 멤버의 양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어 차체 전방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가 각각 배치된다.
프론트 사이드 멤버는 충돌사고 발생시 후방으로 전달되는 소정 이상의 충격량에 의하여 쉽게 찌그러지는 재질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적어도 전방부 차체 하부를 지지하기에 부족함이 없도록 설계 제작된다.
또한 프론트 사이드 맴버는 전방에 프론트 크래쉬 박스가 배치되며, 프론트크래쉬 박스는 브라켓에 의해 프론트 사이드 맴버의 전방에 고정된다.
프론트 크래쉬 박스는 충돌사고 발생시 후방으로 전달되는 소정 이상의 충격량에 의해 쉽게 찌그러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크래쉬 박스는 둘레면의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의 노치가 구비되며, 충돌사고 발생시 단계적인 찌그러짐을 유도하여 충격량을 흡수하여 충격량의 흡수가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론트 크래쉬 박스를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전방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 필요한바 고중량과 고비용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충돌사고로 인해 발생한 충격량을 일정하게 흡수하는 전기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차체의 중량과 비용을 절감시킨 전기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의 둘레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비드부가 형성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비드부에 대응되게 돌출된 제2비드부가 형성되는 프론트 크래쉬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크래쉬 박스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맴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보다 인장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프론트 크래쉬 박스를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고정시키는 부품을 생략하여 중량과 비용을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프론트 크래쉬 박스와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비드를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에너지를 일정하게 흡수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차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전방차체의 외관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전방차체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전방차체의 내부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전방차체의 내부 일부분의분해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전방차체의 내부 일부분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2비드부가 a의 높이를 가지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2비드부가 b의 높이를 가지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a와 도 10b에 나타난 제2비드부의 높이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기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차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모터 및 동력전달 계통의 부품을 탑재하는 전방 차체(100)와, 탑승자가 승차하여 착석할 수 있는 중앙 차체(200), 스페어 타이어 및 기타 물건 등을 보관할 수 있는 후방 차체(300)를 포함한다.
차체는 닫힌 공간을 만들어 그 내부에 각종 장치를 배치하고 탑승자나 화물을 수용한다. 일부를 개폐시켜 탑승자나 화물의 출입, 각종 장치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도 있다. 외부의 비나 바람, 먼지 등에서 탑승자나 화물,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것도 중요한 작용이다. 또한, 차체는 외관으로서 차체의 형상은 그대로 자동차의 형상으로 된다.
전방 차체(100)는 우물 정(井)자를 형성하며 모터 및 변속기가 구비된다. 전방 차체(100)에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앞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 장치(110)와, 노면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전륜 현가 장치(120)가 구비된다.
전방 차체(100)는 모터나 변속기, 각종 보조 기구류 등의 중량물이 집중되어 탑재되는 것을 비롯하여 전륜 현가 장치(120)의 앞바퀴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륜 구동 자동차에서는 구동력도 전방 차체(100)가 담당한다.
전방 차체(100)는 사고 등으로 말미암아 강아 충격을 받을 경우 파손되어 충격을 흡수하여 차실에 강한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전방 차체(100)의 각 부품은 전방 차체(100)에 볼트 또는 너트로 고정되거나 용접되어 있으며, 프론트 펜더, 후드 등 외판 부품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향 장치(110)는 자동차를 운전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하여 앞바퀴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전륜 현가 장치(120)는 차체에 대하여 앞바퀴를 상하 이외의 방향에는 적당한 강성에 의하여 지지하고, 상하 방향은 스프링, 감쇠 기구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중앙 차체(200)는, 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로어(210)와, 프론트 플로어(210) 가운데 구비되며 배터리(600)가 장착되는 터널(230)과, 프론트 플로어(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하부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실 패널(229)을 포함한다. 중앙 차체(200)는 대부분 차실, 즉 탑승자 등이 탑승하는 장소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은 될수록 크게 한다.
프론트 플로어(210)는 차실 내의 바닥으로서 강도가 높고 면적이 넓은 패널이다. 프론트 플로어(210)의 좌우에는 각 필러의 베이스가 되는 사이드 실 패널(229)이 앞에서 뒤까지 연결되어 있다. 프론트 플로어(210)의 가운데에는 터널(230)이 구비된다.
터널(230)은 배터리(600)가 장착되도록 프론트 플로어(2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인입되어 형성된다. 터널(230)의 양측은 프론트 플로어(210)와 결합된다. 터널(230)과 프론트 플로어(210)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널(230)의 양측 가장자리 하측에는 배터리(600)을 지지하는 배터리 캐리어(700)가 결합된다. 배터리 캐리어(700)는 볼트 또는 너트로 터널(230)에 결합된다.
사이드 실 패널(229)은 사각 단면 구조로서 프론트 필러(미도시), 센터 필러(미도시) 또는 리어 휠 하우스(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실 패널(229)은 프론트 플로어(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후방 차체(300)는 후방측 바닥을 형성하는 리어 플로어(310)를 포함한다. 후방 차체(300)에는 노면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후륜 현가장치(330)가 구비된다.
후방 차체(300)는 후륜 현가 장치(330)의 뒷바퀴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후륜 구동 자동차에서는 구동력도 후방 차체(300)가 담당한다.
후륜 현가 장치(330)는 차체에 대하여 뒷바퀴를 상하 이외의 방향에는 적당한 강성에 의하여 지지하고, 상하 방향은 스프링, 감쇠 기구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배터리(600)는 상기 모터에 전류를 공급한다. 배터리(600)는 전류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과,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을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50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400)은 배터리 케이스(500)내에 서로 연결되어서, 자동차를 운행시킬 수 있는 크기의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모터로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전방차체의 외관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전방차체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전방 차체(100)의 외부 구성품은, 좌우측에 배치되는 휀더 쉴드(10)와, 휀더 쉴드(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범퍼커버(12)와, 휀더 쉴드(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모터룸(15)을 개폐시키는 후드 및 윈드 쉴드를 지지하는 프론트 필라(18)를 포함한다.
또한, 전방 차체(100)의 내부 구성품은 자동차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모터룸(15)과 차실(17)을 구분하는 대쉬패널(20)과, 대쉬패널(20)의 전방 하단에 배치된 대쉬 크로스 멤버(30)와, 모터룸(15)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대쉬 크로스 멤버(30)와 결합된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와 프론트 사이드 멤버(40) 및 대쉬패널(20)에 결합되어 그 하측에 바퀴가 수용되는 휠 하우스(50)를 포함한다.
대쉬페널(20)은 전기자동차의 전방충돌시에 차실(17)을 향해 밀리거나 변형되어 탑승자를 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대쉬패널(20)의 전방에는 대쉬패널(2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대쉬 크로스 멤버(30)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프론트 사이드 멤버(40)는 전기자동차의 전방충돌시에 충격 에너지가 대쉬패널(20)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대쉬 크로스 멤버(30)와 결합된다. 즉 대쉬 크로스 멤버(30)는 양단이 모터룸(15)의 좌우측에 배치된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에 각각 결합된다.
프론트 사이드 멤버(40)는 별도의 부재없이 대쉬 크로스 멤버(30)에 의해 직접 지지되기 때문에, 전기자동차 전방충돌시에 충격 에너지가 프론트 사이드 멤버(40)를 타고 대쉬 크로스 멤버(30)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어서, 대쉬패널(20)이 차실(17)로 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의 전방측에는 프론트 크래쉬 박스(60)가 결합된다. 프론트 크래쉬 박스(60)는 전기자동차의 전방충돌시에 충격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한다. 따라서, 프론트 크래쉬 박스(60)는 전기자동차의 전방충돌시 큰 충격 에너지가 바로 프론트 사이드 멤버(4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와 프론트 크래쉬 박스(60)의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전방차체의 내부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전방차체의 내부 일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전방차체의 내부 일부분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2비드부가 a의 높이를 가지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2비드부가 b의 높이를 가지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a와 도 10b에 나타난 제2비드부의 높이에 따른 충격에너지 흡수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프론트 사이드 멤버(40)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중공부(42)를 구비하고, 일측의 둘레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비드부(41)가 형성된다. 여기서의 일측은 전방측이 될 것이다. 제1비드부(41)는 만곡하게 돌출 형성된다.
프론트 사이드 멤버(40)는 프론트 크래쉬 박스(60)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중공부(42)에 프론트 크래쉬 박스(60)의 삽입부(62)가 삽입된다. 프론트 사이드 멤버(40)는 다각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40)는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40)는 육각 박스형, 팔각 박스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사이드 멤버(40)는 내측패널(40a)과 외측패널(40b)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보통 내측패널(40a)과 외측패널(40b)은 용접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패널(40a)과 외측패널(40b)은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패널(40a)과 외측패널(40b)이 결합되면 내측에 중공을 형성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내측패널(40a)과 외측패널(40b)은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론트 사이드 멤버(40)는 압출 성형에 의해 내측에 중공을 형성하는 다각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론트 크래쉬 박스(60)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다.
내측패널(40a)은 모터룸(15)측으로 배치되고 외측패널(40b)은 차량의 외부측으로 배치된다. 내측패널(40a)은 외측패널(40b)에 비해 단면적이 크다.
내측패널(40a)과 외측패널(40b)은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면이 절곡 형성되며, 절곡된 양단면이 결합되어 프론트 사이드 멤버(40)를 이룬다. 일반적으로 절곡된 양단면은 용접 결합되며, 구조용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프론트 크래쉬 박스(60)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차량의 충돌사고시 충격을 흡수하면서 충격을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프론트 크래쉬 박스(60)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의 중공부(42)에 삽입되는 삽입부(62)를 구비하며, 삽입부(62)의 둘레면에는 제1비드부(41)에 대응되게 돌출된 제2비드부(62a)가 형성된다.
프론트 크래쉬 박스(60)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에 대응되는 다각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육각 박스형, 팔각 박스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크래쉬 박스(60)는 이너 플레이트(60a)와 아우트 플레이트(60b)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박스부(61)와 박스부(61)의 전방에 결합되는 커버부(62)를 구비한다.
이너 플레이트(60a)와 아우트 플레이트(60b)는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너 플레이트(60a)와 아우트 플레이트(60b)는 보통 용접 결합된다.
박스부(61)는 이너 플레이트(60a)와 아우트 플레이트(60b)가 결합되어 전후방측이 개구된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아우트 플레이트(60a)와 이너 플레이트(60b)는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박스부(61)의 후방측에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의 중공부(42)에 삽입되는 삽입부(62)가 구비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박스부(61)는 압출 성형에 의해 내측에 중공을 형성하는 다각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부(6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제2비드부(62a)가 형성된다. 제2비드부(62a)는 만곡하게 돌출 형성된다. 제2비드부(62a)는 제1비드부(41)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사고시, 프론트 크래쉬 박스(60)가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의 후방측으로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며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비드부(62a)는 제1비드부(41)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비드부(62a)는 제1비드부(41)에 결합되기에 차량의 충돌사고시 가해지는 소정의 충격을 견딜 수 있다.
삽입부(62)의 크기는 삽입부(62)가 중공부(4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42)보다 작게 형성된다. 다만, 삽입부(62)의 제2비드부(62a)가 형성된 부분의 크기는 삽입부(62)가 중공부(4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부(42)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삽입부(62)는 박스부(61)의 전방부분과 연결되는 부분과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62)는 박스부(61)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커버부(62)는 프론트 범퍼(미도시)의 좌/우측 선단부에서 프론트 범퍼(미도시)의 배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62)는 전방측에 프론트 범퍼(미도시)와 결합시키는 전방 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프론트 크래쉬 박스(60)는 차량의 충돌사고시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의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해, 프론트 사이드 멤버(40)보다 인장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프론트 크래쉬 박스(60)는 차량의 충돌사고시 가해지는 충격에도 쉽게 찌그러지지 않는다.
도 10a, 도 10b와 도 11을 참조하면, 제1비드부(41)와 제2비드부(62a)는 돌출된 높이가 크면, 프론트 크래쉬 박스(60)가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의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될 때, 시간 대비 흡수되는 충격 에너지 흡수량이 커진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난 그래프와 같이 제1비드부(41)와 제2비드부(62a)의 돌출된 높이가 큰 a의 경우, 돌출된 높이가 작은 b에 비해 시간대비 충격에너지 흡수량이 크다. 또한, 충격 에너지는 일정하게 흡수되기에 도 11에 나타난 그래프는 리니어(linear)하게 나타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프론트 범퍼(미도시)를 통해 프론트 크래쉬 박스(60)에 충격이 가해진다.
프론트 크래쉬 박스(60)의 제2비드부(62a)가 프론트 사이드 맴버의 제1비드부(41)에 결합되어 있어, 소정의 충격에 대해 서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와 프론트 크래쉬 박스(60)가 변형없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다만, 소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프론트 크래쉬 박스(60)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의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프론트 크래쉬 박스(60)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제2비드부(62a)는 제1비드부(41)와의 결합을 이탈하게 되며,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의 크기를 소성 변형시킨다. 이때 프론트 사이드 멤버(40)의 크기를 소성 변형시키는 힘은 차량의 충격 에너지이다. 따라서, 프론트 크래쉬 박스(60)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차량의 충격 에너지가 흡수된다.
또한, 제2비드부(62a)의 돌출된 높이가 큰 경우, 시간대비 흡수하는 충격 에너지의 크기도 커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휀더 쉴드 15: 모터룸
17: 차실 18: 프론트 필라
20: 대쉬패널 30: 대쉬 크로스 멤버
40: 프론트 사이드 멤버 40a: 내측패널
40b: 외측패널 41: 제1비드부
42: 중공부 50: 휠 하우스
60: 프론트 크래쉬 박스 61: 박스부
61a: 이너 플레이트 61b: 아우트 플레이트
62: 삽입부 62a: 제2비드부
63: 커버부 70: 휀더 쉴드 보강부재
100: 전방 차체 110: 조향 장치
120: 전륜 현가 장치 200: 중앙 차체
210: 프론트 플로어 229: 사이드 실 패널
230: 터널 300: 후방 차체
310: 리어 플로어 330: 후륜 현가 장치
400: 배터리 모듈 500: 배터리 케이스
600: 배터리 700: 배터리 캐리어

Claims (5)

  1.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의 둘레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비드부가 형성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제1비드부에 대응되게 돌출된 제2비드부가 형성되는 프론트 크래쉬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크래쉬 박스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맴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보다 인장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기자동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크래쉬 박스는 상기 삽입부의 크기가 상기 중공부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크래쉬 박스는 상기 제2비드부가 형성된 부분의 크기가 상기 중공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전기자동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드부는 상기 일측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비드부는 상기 삽입부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전기자동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는 다각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톤트 크래쉬 박스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대응되는 다각 박스형으로 형성되는 전기자동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드부와 상기 제2비드부는 만곡하게 돌출 형성되는 전기자동차.
KR1020110105405A 2011-10-14 2011-10-14 전기자동차 KR20130040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405A KR20130040555A (ko) 2011-10-14 2011-10-14 전기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405A KR20130040555A (ko) 2011-10-14 2011-10-14 전기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555A true KR20130040555A (ko) 2013-04-24

Family

ID=4844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405A KR20130040555A (ko) 2011-10-14 2011-10-14 전기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05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79899B (zh) 具有碰撞能量吸收结构的机动车
US11235807B2 (en) Rear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US11577787B2 (en) Rear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US11926226B2 (en) Vehicle body
CN113302114B (zh) 用于机动车辆的车身的结构框架
KR20130101892A (ko) 자동차
KR20130040555A (ko) 전기자동차
KR20130025991A (ko) 전기자동차
US20230264557A1 (en) Vehicle-body front structure with side frame support
KR20130068969A (ko) 전기자동차
US20230097956A1 (en) Vehicle-body structure that supresses damage from a collision
US20230264755A1 (en) Vehicle-body front structure including a reinforcement structure with a rear portion mounted to a floor panel
EP4159545B1 (en) Vehicle-body front structure
US20230264751A1 (en) Vehicle-body front structure
EP4234302A1 (en) Vehicle-body front structure
EP4159548A1 (en) Vehicle-body structure
EP4159544A1 (en) Vehicle-body front structure
CN115891886A (zh) 车体前部构造
JP2023051648A (ja) 車体前部構造
JP2023122908A (ja) 車体前部構造
KR20110081618A (ko) 자동차
KR20110115422A (ko) 자동차
KR20110081621A (ko) 자동차
KR20110081620A (ko) 자동차
KR20110115424A (ko)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