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251A - 깁스용 신발 - Google Patents

깁스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251A
KR20130039251A KR1020110103790A KR20110103790A KR20130039251A KR 20130039251 A KR20130039251 A KR 20130039251A KR 1020110103790 A KR1020110103790 A KR 1020110103790A KR 20110103790 A KR20110103790 A KR 20110103790A KR 20130039251 A KR20130039251 A KR 20130039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ole
cast
variabl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5186B1 (ko
Inventor
추윤경
문진복
배태용
황진국
김성구
송세훈
유창재
이승백
Original Assignee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18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6Concave end portions, e.g. with a cavity or cut-ou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6Elastic ba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깁스한 발의 하부를 받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뒤축은 지면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밑창; 지면과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밑창의 뒤축에 설치되고 회전가능한 볼; 및, 상기 밑창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깁스한 발의 형상의 길이, 너비 및 높이에 대응되게 가변되어 고정할 수 있는 가변외피;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깁스한 환자를 위해 발 보호뿐만 아니라 충격흡수를 향상시키고 외부활동 시 편리하고 안전하게 착화를 도와 주는 깁스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깁스용 신발{Shoes for leg cast}
본 발명은 깁스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발의 부상으로 깁스한 환자를 위해 발 보호뿐만 아니라 충격흡수를 향상시키고 외부활동 시 편리하고 안전하게 착화를 도와 주는 깁스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깁스용 신발은 깁스한 다리에 충격을 최소한으로 하여 2차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용신발이다.
이러한 깁스용 신발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4709 '다리 깁스용 보조신발'에 개시되어 있다.
위의 종래 기술은 다리 깁스용 보조 신발에 있어서, 지면과 맞닿은 부분에 바퀴가 달려있어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하는 서스펜션 구조를 취하고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지면에 닿는 부분에 바퀴가 있음으로 해서, 이동은 쉽지만 미보행시에도 바퀴의 미끌림에 의해서 균형 유지가 어려워 2차 상해를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의 발에 정확하게 맞추지 못해 고정하는 부분이 헐거워 지는 문제점과, 여러 사람의 발에 맞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미보행시에는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고, 보행시에는 보다 쉽고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깁스용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깁스한 발의 크기에 상관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깁스용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깁스한 발의 하부를 받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뒤축은 지면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밑창; 지면과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밑창의 뒤축에 설치되고 회전가능한 볼; 및 상기 밑창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깁스한 발의 형상의 길이, 너비 및 높이에 대응되게 가변되어 고정할 수 있는 가변외피;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외피는, 상기 밑창의 테두리 전측과 후측을 신축성 있게 연결하여 깁스한 발의 길이와 높이에 대응되게 가변되는 밴드 형상의 주외피와, 상기 주외피를 따라 구비되어 깁스한 발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지퍼와, 상기 주외피의 양측과 상기 밑창의 테두리 양측과 결합되어 깁스한 발의 너비와 높이에 대응되게 가변되는 밴드 형상의 보조외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외피와, 보조외피의 재질은, 신축성 있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외피에는, 후측에 끈 형태의 고리와, 상기 고리와 연결되어 사람의 다리에 고정하는 지지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밑창의 뒤축이 상향되게 경사져 미보행시에는 바르게 착지할 수 있고, 보행시에는 뒤축에 360도로 회전할 수 있는 볼이 설치되어 발에 힘을 주지않고도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신고 벗기 편리하도록 주외피에 지퍼가 설치되어 원터치로 간단히 신고 벗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른 깁스의 크기가 다양해도, 가변외피에 의해 서 깁스한 발 크기인 길이, 너비, 높이에 상관없이 신축성 있도록 하여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고리와 지지밴드를 활용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배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밑창(10), 볼(20) 및 가변외피(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상기 밑창(10)은 깁스한 발의 하부를 받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밑창(10)의 재질은 가벼운 재질인 EVA소재로 사용하게 된다.
즉, 통상의 신발 밑창처럼 충격흡수를 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시간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발포성형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밑창(10)의 하부를 나타낸 도 2(a)는 도 1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바닥면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물결무늬의 홈(14)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밑창(10)의 뒤축(12)은 지면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게 되어 지면과 일정한 공간이 있도록 제작하여 상기 볼(20)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밑창(10)의 앞축도 지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하여 구름 운동을 도와 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살펴보기 위해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볼(20)은 지면과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밑창(10)의 뒤축(12)에 설치되고 회전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볼(20)은 36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밑창(10)의 내부에 고정되게 볼가이드(22)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볼가이드(22)는 상기 볼(20)을 지지하고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여, 상기 밑창(10)의 뒤축(12)이 상향되게 경사져 미보행시에는 바르게 착지할 수 있고, 보행시에는 상기 뒤축(12)에 360도로 회전할 수 있는 볼(20)이 설치되어 발에 힘을 주지않고도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마지막 구성인 상기 가변외피(30)를 살펴보기 위해서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가변외피(30)는 상기 밑창(10)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깁스한 발의 형상의 길이, 너비 및 높이에 대응되게 가변되어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변외피(30)는 크게, 주외피(32), 지퍼(34), 보조외피(36)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주외피(32)는 상기 밑창(10)의 테두리 전측과 후측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밑창(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외피(32)는 신축성 있는 밴드 형상으로 연결되어 깁스한 발의 길이와 높이에 대응되게 가변되게 된다.
상기 주외피(32) 안으로 깁스한 발을 넣고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퍼(34)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지퍼(34)는 상기 주외피(32)를 따라 구비되어 깁스한 발을 삽입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지퍼(34)는 상기 주외피(32)는 상기 밑창(1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의 지퍼(34) 사이에 깁스한 발을 넣어 상기 지퍼(34)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외피(36)는 상기 주외피(32)와 밑창(10) 사이에 구비되어 가변되는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주외피(32)의 양측과 상기 밑창(10)의 테두리 양측과 결합되고, 신축성있는 밴드에 의해 깁스한 발의 너비와 높이에 대응되게 가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외피(32)와 보조외피(36)의 재질은 신축성 있는 고무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여,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른 깁스의 크기가 다양해도, 깁스한 발의 크기에 따라 길이, 너비, 높이에 자유롭게 가변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은 도 1의 착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깁스용 신발에 깁스한 발을 신을 상태이다.
즉, 한 쌍의 지퍼(34)를 전,후측으로 열어서 주외피(32)를 개구하고, 깁스한 발을 삽입하여 밑창(10)에 안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퍼(34)로 잠가서 깁스한 발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외피(32)와 보조외피(36)는 신축성 있는 고무 밴드이므로 깁스한 발의 길이, 너비 및 높이에 맞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밑창(10)의 뒤축(12)에 볼(20)이 있는데, 지면에 착지시에는 상기 볼(20)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고, 보행시에는 상기 밑창(10)을 뒤축(12)으로 기울여 뒤축(12)에 있는 볼(20)을 이용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에서 고리와 지지밴드를 활용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깁스용 신발에 고리(42)와 지지밴드(44)가 더 구비되게 된 것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주외피(32)에는, 후측에 끈 형태의 고리(42)와, 상기 고리(42)와 연결되어 사람의 다리에 고정하는 지지밴드(4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깁스용 신발을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고정할 수 있는데, 이는 보행시 깁스용 신발이 지면 또는 턱에 부딪혀 2차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깁스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밑창 12: 뒤축
14: 홈 20: 볼
22: 볼가이드 30: 가변외피
32: 주외피 34: 지퍼
36: 보조외피 42: 고리
44: 지지밴드

Claims (4)

  1. 깁스한 발의 하부를 받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뒤축은 지면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밑창;
    지면과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밑창의 뒤축에 설치되고 회전가능한 볼; 및
    상기 밑창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깁스한 발의 형상의 길이, 너비 및 높이에 대응되게 가변되어 고정할 수 있는 가변외피;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외피는,
    상기 밑창의 테두리 전측과 후측을 신축성 있게 연결하여 깁스한 발의 길이와 높이에 대응되게 가변되는 밴드 형상의 주외피와, 상기 주외피를 따라 구비되어 깁스한 발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지퍼와, 상기 주외피의 양측과 상기 밑창의 테두리 양측과 결합되어 깁스한 발의 너비와 높이에 대응되게 가변되는 밴드 형상의 보조외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외피와, 보조외피의 재질은,
    신축성 있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신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외피에는,
    후측에 끈 형태의 고리와, 상기 고리와 연결되어 사람의 다리에 고정하는 지지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신발.
KR1020110103790A 2011-10-11 2011-10-11 깁스용 신발 KR101255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790A KR101255186B1 (ko) 2011-10-11 2011-10-11 깁스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790A KR101255186B1 (ko) 2011-10-11 2011-10-11 깁스용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251A true KR20130039251A (ko) 2013-04-19
KR101255186B1 KR101255186B1 (ko) 2013-04-22

Family

ID=4843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790A KR101255186B1 (ko) 2011-10-11 2011-10-11 깁스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410B1 (ko) 2014-08-04 2015-01-19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깁스용 신발
KR101694792B1 (ko) 2016-03-16 2017-01-10 김충환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KR102506592B1 (ko) 2016-03-16 2023-03-03 김충환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KR101996622B1 (ko) 2017-03-14 2019-07-04 김충환 다리 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3098U (ko) * 1989-09-28 1991-05-22
KR20050058953A (ko) * 2003-12-13 2005-06-17 이권도 바퀴달린 깁스용 신발
KR200362045Y1 (ko) * 2004-06-28 2004-09-16 문창환 다리운동용 운동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186B1 (ko)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4137T3 (es) Calzado
KR101423025B1 (ko) 무릎 부하를 경감시키는 미드솔
KR101073810B1 (ko) 충격분산과 구름보행을 위한 추진식 신발창
KR101178266B1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US20110126422A1 (en) Shoe sole with compressible protruding element
KR101371005B1 (ko) 탈착이 용이한 기능성 신발
US10609981B1 (en) Insole sandal and shoe system
KR101255186B1 (ko) 깁스용 신발
KR101509711B1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신발 깔창
US9370220B2 (en) Boot with modified orientation in toe region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KR101791188B1 (ko) 기능성 깔창
KR101263614B1 (ko) 신발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JP2004057582A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サンダル
KR101435757B1 (ko) 신발깔창
KR101946349B1 (ko) 뒤꿈치 마사지 기능용 신발
CN216165573U (zh) 一种适合小朋友足部发育的鞋底
KR200388747Y1 (ko) 건강 신발
KR101397226B1 (ko) 깁스용 신발
KR102175626B1 (ko) 건강 신발
CN202341004U (zh) 一种吸震鞋底
JP2006006577A (ja) 身体障害者用シューズ、およびシューズ、並びにサンダル
KR200475925Y1 (ko) 깁스 환자용 신발
US20210045490A1 (en) Protector for bare f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