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226B1 - 깁스용 신발 - Google Patents

깁스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226B1
KR101397226B1 KR1020120050693A KR20120050693A KR101397226B1 KR 101397226 B1 KR101397226 B1 KR 101397226B1 KR 1020120050693 A KR1020120050693 A KR 1020120050693A KR 20120050693 A KR20120050693 A KR 20120050693A KR 101397226 B1 KR101397226 B1 KR 101397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foot
fixed
present
velcro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8786A (ko
Inventor
송기명
Original Assignee
송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명 filed Critical 송기명
Priority to KR1020120050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2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8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hook-and-loop typ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6Elastic ban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에 깁스를 한 환자의 좌우 발에 호환성 있게 사용이 가능하며, 마사이족 보행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깁스용 신발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솔 상부에 발등부가 개폐되는 좌우 갑피에 의해 발 수용부가 형성되는 깁스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발등부 좌우로 각각 고정되는 수 벨크로 테이프와; 상기 벨크로 테이프가 고정되도록 반대측 좌우로 각각 고정되는 암 벨크로 테이프; 상기 솔 하부에는 마사이족 보행을 위한 서포터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갑피 부위에 좌우 방향에서 발등 부위를 결속 고정할 수 있도록 암수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착탈부재를 사용함으로서 환자의 좌우 발을 구분하지 않고 호환성 있게 사용이 가능하며, 깁스를 한 발의 부피가 환자에 따라 차이가 나더라도 간편하게 길이 조절하여 결속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주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솔 하부에 마사이족 보행을 위한 서포터를 끼움 착탈부재를 사용하여 결합 및 분리토록 하여 환자가 보행 시 근력 증강 및 완충, 균형감각을 향상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깁스용 신발{shoes for gips}
본 발명은 깁스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발에 깁스를 한 환자의 좌우 발에 호환성 있게 사용이 가능하며, 마사이족 보행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깁스용 신발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에 골절상을 입어 소석고 분말과 물을 사용하여 경화시킨 후 발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깁스를 한 경우에는 평소 착용하던 신발을 착용할 수 없어 외출시엔 깁스용 신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09-0003279 호에는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발과 발목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깁스 환자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앞부분은 환자의 발이 착탈되도록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뒷부분 하부는 환자의 발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하단 테두리 주위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그 환자의 발 뒤꿈치가 노출되어 외부로 개방되는 주름방지부를 구비한 깁스용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발등 부위를 고정하기 위해 복수개의 벨크로 테이프를 한 방향으로 고정하고 있어 환자의 좌우 발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없어 좌우가 구분된 깁스용 신발을 별도로 제작, 보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바닥과 접하는 밑창(=아웃솔)과 발이 접하는 안창(=이너솔)이 별도로 제작,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어 제작과정이 번거롭고, 원가앙등은 물론 사용 중 밑창과 안창이 쉽게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 제 10-1113291 호에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발이 노출되게 감싸면서 수용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통풍구를 구비하되, 상기 통풍구는 그 형상이 원형, 타원형, 각형, 십자가형 및 하트형 중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구비하는 덮개편 및 상기 덮개편의 양측에 환자의 발을 손쉽게 착용 가능하도록 벨크로를 구비하고, 일단의 통공상에 결착구와 고정구로 장착되어 방향전환이 가능한 결착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과 덮개편은 우수한 탄성력과 복원력을 지닌 연질의 PVC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한 깁스용 신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벨크로(테이프)가 좌우 방향 전환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결착구와 고정구로 이루어진 결착편을 별도로 부착하여야 하므로 제작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결착편의 추가 사용으로 인한 원가부담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깁스를 한 환자가 보행을 할 수 있을 때 빠른 재활을 위한 발 주위의 근력향상이나 균형감각 증대에는 기여를 하지 못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깁스용 신발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던 것이다.
KR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09-0003279 호 KR 등록특허 제 10-1113291 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깁스용 신발은 환자의 좌우 발에 구분하지 않고 착용이 가능하며, 깁스를 한 상태에 따라 길이조절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갑피의 결속이 용이하고 원가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깁스용 신발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깁스를 한 환자가 보행이 가능할 시에 빠른 재활을 위한 발 주위의 근력향상, 충격완화, 균형감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사이족 보행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깁스용 신발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깁스용 신발은 솔 상부에 발등부가 개폐되는 갑피에 의해 발 수용부가 형성되는 깁스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발등부 좌우로 각각 고정되는 수 벨크로 테이프와;
상기 수 벨크로 테이프가 고정되도록 반대측 좌우로 각각 고정되는 암 벨크로 테이프;
상기 솔 하부에는 마사이족 보행을 위한 서포터를 끼움 착탈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깁스용 신발은 갑피 부위에 좌우 방향에서 발등 부위를 결속 고정할 수 있도록 암수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착탈부재를 사용함으로서 환자의 좌우 발을 구분하지 않고 호환성 있게 사용이 가능하며, 깁스를 한 발의 부피가 환자에 따라 차이가 나더라도 간편하게 길이 조절하여 결속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주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솔 하부에 마사이족 보행을 위한 서포터를 끼움 착탈부재를 사용하여 결합 및 분리토록 하여 환자가 보행 시 근력 증강 및 완충, 균형감각을 향상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깁스용 신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깁스용 신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깁스용 신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깁스용 신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서포터 분해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깁스용 신발은 발에 깁스를 한 환자의 좌우 발에 호환성 있게 사용이 가능하며, 제작시 원가절감, 마사이족 보행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깁스용 신발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깁스용 신발은 환자의 발등 부위를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갑피(upper)의 발등부 좌우로 각각 착탈부재 중 하나인 암수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중 착탈이 되는 수(male) 벨크로 테이프를 고정하고, 상기 수 벨크로 테이프와 대응하여 이를 고정하기 위한 암(female) 벨크로 테이프를 좌우 반대측 대응 갑피 부위에 각각 고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솔(sole)의 하부에는 환자의 빠른 재활을 위해 마사이족 보행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개략 라운드형의 역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는 서포터(supporter)를 끼움 착탈부재를 사용하여 끼움 고정 및 분리가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적용된 깁스용 신발(1)의 사시도를 보인 것이며, 도 2는 서포터(7)를 분해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의 깁스용 신발(1)는 솔(2) 상부에 환자의 발등부가 안치된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 좌우 착탈부재(3)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 좌우 갑피(4,5)에 의해 발 수용부(6)가 형성되는 깁스용 신발(1)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3)는 암수 벨크로 테이프(3a,3b) 2개를 각각 좌우 방향을 다르게 고정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솔(2)의 하부에는 마사이족 보행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개략 라운드형 역 사다리꼴로 이루어진 서포터(7)를 끼움 착탈부재(8)를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솔(2)과 좌우 갑피(4,5)는 EVA, PVC, 우레탄 등 다양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발포)성형되며, 착탈부재(3)인 암수 벨크로 테이프(3a,3b)는 재봉, 접착 등의 방법으로 좌우 갑피(4,5)에 복수개가 각각 방향이 다르게 고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깁스용 신발(1)의 평면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즉, 여기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갑피(4,5)에 암수 벨크로 테이프(3a,3b)를 설치하되, 수 벨크로 테이프(3b)를 기준으로 할 시에 하나는 좌측에 고정하고, 또 하나는 우측에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이에 대응하는 암 벨크로 테이프(3a) 역시 수 벨크로 테이프(3b)가 고정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의 갑피(4,5)에 대응 고정되어 환자의 발을 수용부(6)에 삽입시킨 후 갑피(4,5)에 고정된 암수 벨크로 테이프(3a,3b)로 발등 부위를 고정시켜 깁스용 신발(1)이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깁스용 신발(1)에 있어서, 솔(2) 하부에 끼움 착탈부재(8)에 의해 착탈될 수 있는 마사이족 보행을 행하기 위한 서포터(7)를 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보는 바와 같이 솔(2)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요홈(9)이 형성되는 바, 상기 요홈(9)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돌기(10)를 서포터(7)의 상면부에 대응 형성하여 상기 돌기(10)가 요홈(9)에 끼움 결합되면 서포터(7)가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이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서포터(7)를 분리하면 된다.
이러한 요홈(9)과 돌기(10)로 이루어지는 끼움 착탈부재(8)는 솔(2)이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성형되므로 요홈(9)과 돌기(10)의 치수를 유격없이 성형 할 경우 빡빡한 상태로 결합되어 임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요홈(9)과 돌기(10)의 형상은 도시한 형상과 다른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개수 등으로 가변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돌기(10)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갖도록 언더컷(under cut)을 형성하고, 요홈(9)에 언더컷 부위가 끼움걸림될 수 있는 걸림홈을 갖는 언터컷을 형성하여 상호 끼움상태에서 걸림되도록 하거나, 상기 요홈(9)을 상하로 관통시켜 돌기(10)의 언더컷이 솔(2)의 상부에서 걸림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깁스용 신발(1)은 주로 발에 골절을 당하여 깁스를 한 환자가 이동을 할 시에 발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좌우 갑피(4,5)에 복수개의 암수 벨크로 테이프(3a,3b)가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좌우 발에 호환성 있게 착용이 가능하며, 환자에 따라 발등의 굵기 등이 달라도 수 벨크로 테이프(3b)가 암 벨크로 테이프(3a)에 부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타이트한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솔(2) 하부에는 마사이족 보행을 행하기 위하여 라운드형 역 사다리꼴 형태로 제작된 서포터(7)를 착탈할 수 있어 환자가 보행을 어느 정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을 시에는 서포터(7)를 끼움 착탈부재(8)를 사용하여 솔(2) 하부에 고정시킨 후 보행을 하게 되면 보다 많은 발 주변의 근육을 사용하여 근력을 증강시키고 충격완화 및 균형감각 향상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깁스용 신발 2: 솔(sole)
3: 착탈부재 3a,3b: (암수)벨크로 테이프
4,5: (좌우)갑피 6: (발)수용부
7: 서포터 8: 끼움 착탈부재
9: 요홈 10: 돌기

Claims (2)

  1. 솔 상부에 발등부가 개폐되는 좌우 갑피에 의해 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갑피의 발등부 좌우로 각각 고정되는 수 벨크로 테이프와, 상기 수 벨크로 테이프가 고정되도록 반대측 좌우로 각각 고정되는 암 벨크로 테이프 및 상기 솔 하부에는 마사이족 보행을 위한 서포터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한 깁스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솔 하부에 착탈되는 서포터는 요홈과 돌기로 이루어진 끼움 착탈부재에 의해 착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신발.
  2. (삭제)
KR1020120050693A 2012-05-14 2012-05-14 깁스용 신발 KR10139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693A KR101397226B1 (ko) 2012-05-14 2012-05-14 깁스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693A KR101397226B1 (ko) 2012-05-14 2012-05-14 깁스용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786A KR20120068786A (ko) 2012-06-27
KR101397226B1 true KR101397226B1 (ko) 2014-05-20

Family

ID=4668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693A KR101397226B1 (ko) 2012-05-14 2012-05-14 깁스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2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799B1 (ko) * 2020-09-18 2021-09-15 한병훈 보호커버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깁스용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3098U (ko) * 1989-09-28 1991-05-22
KR20100115162A (ko) * 2009-04-17 2010-10-27 정동문 간이신발을 구비한 양말
KR20110006128U (ko) * 2009-12-11 2011-06-17 우영제 깁스 환자용 신발
KR101113291B1 (ko) * 2010-12-09 2012-03-13 (주)보고엠앤티 깁스용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3098U (ko) * 1989-09-28 1991-05-22
KR20100115162A (ko) * 2009-04-17 2010-10-27 정동문 간이신발을 구비한 양말
KR20110006128U (ko) * 2009-12-11 2011-06-17 우영제 깁스 환자용 신발
KR101113291B1 (ko) * 2010-12-09 2012-03-13 (주)보고엠앤티 깁스용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799B1 (ko) * 2020-09-18 2021-09-15 한병훈 보호커버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깁스용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786A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6422A1 (en) Shoe sole with compressible protruding element
TW200946049A (en) Customisable inserts, footwear for use with same and a method of selecting an insert for footwear
KR101096561B1 (ko) 아치지지부의 셀프 포지셔닝 시스템 장착 인솔
US11337489B2 (en) Modular orthotic footwear system
JP2012527961A (ja) 弓形の底面を備えた積層された履物組立体
KR20120101776A (ko)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밑창
KR100947670B1 (ko) 스프링 신발
KR20110103030A (ko) 신발 깔창
KR101397226B1 (ko) 깁스용 신발
KR100830124B1 (ko)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20150019768A (ko) 높이조절 가능한 깁스용 신발
KR20130039251A (ko) 깁스용 신발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KR101157454B1 (ko) 간이신발을 구비한 양말
JP2012527297A (ja) O脚またはx脚を予防して使用者体重に合うクッションを提供する人体均衡履物
KR20120108527A (ko) 다기능 조립식 신발
RU2395222C2 (ru) Обувь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CN213785678U (zh) 核心训练鞋
KR101101415B1 (ko) 신발 중창
JP2006006577A (ja) 身体障害者用シューズ、およびシューズ、並びにサンダル
KR20110008749U (ko) 다기능성 신발
KR101066592B1 (ko) 스프링 신발
KR20130030516A (ko) 신발용 중창
JP3070739U (ja) 矯正中敷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