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098A -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 - Google Patents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098A
KR20130039098A KR1020110103562A KR20110103562A KR20130039098A KR 20130039098 A KR20130039098 A KR 20130039098A KR 1020110103562 A KR1020110103562 A KR 1020110103562A KR 20110103562 A KR20110103562 A KR 20110103562A KR 20130039098 A KR20130039098 A KR 20130039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urniture
mounting plate
cushioning
hing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호
Original Assignee
신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호 filed Critical 신창호
Priority to KR1020110103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9098A/ko
Publication of KR20130039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6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hinge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배치되는 가구에 적용되는 것으로, 완충체의 완충 실린더를 힌지 몸체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직접 설치함으로써, 탄성 링크의 완충편에 의해 완충 실린더의 압축 로드가 완충 제어토록 하여 구성의 단순함은 물론, 공간상의 제약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소음 방지 및 가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이 개시된다. 가구 본체와 도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구용 경첩은, 도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힌지 몸체는 가구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마운팅 플레이트가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에는 결합공이 수직으로 관통된다. 연결 링크는 힌지 몸체와 제1 마운팅 플레이트가 각각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양단으로 제1,2 힌지에 의해 각각 힌지 결합된다. 탄성 링크는 연결링크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도록 힌지 몸체와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제1,2 힌지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일단으로 완충편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완충체는 힌지 몸체의 결합공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완충 실린더와 완충 실린더에 끼워져 강제로 압축되고 그 압축력에 의해 돌출되어 완충편을 받쳐주는 압축 로드를 포함한다. 제1 마운팅 플레이트가 힌지 몸체의 방향으로 젖혀질 때, 탄성 링크의 완충편은 압축 로드의 선단을 밀어 완충 기능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Hinge for funiture having buffer function}
본 발명은 가구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배치되는 가구에 적용되는 것으로, 완충체의 완충 실린더를 힌지 몸체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직접 설치함으로써, 탄성 링크의 완충편에 의해 완충 실린더의 압축 로드가 완충 제어토록 하여 구성의 단순함은 물론, 공간상의 제약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소음 방지 및 가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문짝과 문틀로 구성된 여닫이 방식의 문 구성에서 문틀과 문짝에 양측이 결합되어 문짝이 문틀에 대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경첩은 문의 크기나 문이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많은 종류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경첩들이 싱크대와 같은 주방용 가구 및 일반 가구 등에 주로 적용된다. 이러한 경첩은 내부에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이 적용되어 구성된다. 특히, 상기 탄성구조는 사용자가 문짝을 일정한 각도까지만 열게 되면, 나머지 구간은 탄성수단에 의해 완전히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문짝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까지만 닫게 되면, 나머지 구간이 탄성수단에 의해 완전히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경첩은 일측이 가구 본체 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문짝과 결합되어 구성되며, 일측과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문짝과 결합된 타측이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탄성수단은 경첩의 일측과 타측이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축에 토션스프링 등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탄성수단을 갖는 경첩은 문을 여닫을 때에 일정한 각도에서 자동으로 여닫혀지는데, 토션 스프링 등의 특성상 문짝의 회전속력이 가속 회전되기 때문에 문짝과 문틀이 서로 강하게 충돌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강한 충돌이 반복되면, 상기 문짝 또는 문짝이 접촉되어 닫히게 되는 문틀이나 가구 본체는 쉽게 파손되고, 특히 상기 강한 충돌에 의해 경첩과 문짝, 경첩과 문틀 또는 가구 본체의 결합지점이 이탈되어, 제품의 보수 또는 문짝을 새것으로 교환해야 하는 시간적/경제적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문짝의 강한 충돌시 발생되는 소음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당한 불쾌감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에 대해 의구심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완충기능을 갖는 경첩장치가 다방면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종래 완충기능을 갖는 경첩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764630호(발명의 명칭: 완충기능을 갖는 경첩장치)가 특허권자 (주)미리텍에 의해 2007년 10월 01자로 등록된 바 있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문짝(도시안됨)에 회전플레이트(12)가 고정 결합되고, 문짝이 열고 닫히는 문틀 또는 제품의 본체(도시안됨)에 베이스(11)가 결합되며, 이러한 회전플레이트(12)와 베이스(11)가 힌지 결합되어 문짝이 열고 닫힐 때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이 내장된 경첩(10)과; 그 경첩(10)의 베이스(11)에 설치되며 회전플레이트(12) 측으로 완충력이 부여된 끝단이 돌출 형성되어, 문짝이 닫힐 때 문짝과 접촉되어 닫히는 속도를 감속시키는 완충유닛(20);을 포함하며,
그 완충유닛(20)은, 베이스(1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24)와; 커버(24)의 일측에 설치되어 문짝이 닫힐 때 베이스(11)에서 힌지 회전된 회전플레이트(12)와 접촉되는 램(21)이 돌출되고, 램(21)이 내측으로 인입되며 문짝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실린더(22);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유닛(20)은, 실린더(22)의 램(21)이 회전플레이트(12)에 접촉되는 지점을 설정하기 위해 커버(24)와 베이스(11)의 사이에 설치된 스페이서(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완충 기능을 갖는 경첩장치는 가구용 경첩은 완충유닛이 설치됨에 의해 문짝이 문틀 또는 제품의 본체와 접촉될 때 가속 회전되며 닫히는 속도를 감소시켜 충돌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문짝 또는 문틀이나 제품의 본체의 파손우려 해소 및 문짝이나 경첩이 위치 이탈하는 현상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완충유닛을 베이스에 결합시키기 위해, 스페이서 및 볼트와 같은 다양한 부품이 필요하게 된다. 게다가, 베이스에 넓은 범위에 걸쳐 결합시키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 공간상 많이 차지하는 문제 등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구성의 단순함과 아울러 공간상 제약을 최다한 피하기 위한 가구용 경첩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충체의 완충 실린더를 힌지 몸체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탄성 링크의 완충편에 의해 완충 실린더의 압축 로드가 완충 제어토록 하여 구성의 단순함은 물론, 공간상의 제약을 해결할 수 있는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체 및 완충편에 의해 충격에 의한 소음 방지 및 가구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는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구 본체와 도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구용 경첩으로서,
상기 도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가구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가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에는 결합공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힌지 몸체;
상기 힌지 몸체와 제1 마운팅 플레이트가 각각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양단으로 제1,2 힌지에 의해 각각 힌지 결합되는 연결 링크;
상기 연결링크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도록 상기 힌지 몸체와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제1,2 힌지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일단으로 완충편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탄성 링크; 및
상기 힌지 몸체의 결합공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완충 실린더와 상기 완충 실린더에 끼워져 강제로 압축되고 그 압축력에 의해 돌출되어 상기 완충편을 밀어주는 압축 로드를 포함하는 완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가 힌지 몸체의 방향으로 젖혀질 때, 상기 탄성 링크의 완충편이 상기 압축로드의 선단을 밀어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압축 로드의 선단에는 완충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체의 완충 실린더는 상기 힌지 몸체의 결합공에 나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몸체의 결합공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회동에 의해 상기 힌지 몸체의 저면에 걸리도록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몸체의 상면에 걸리도록 끼움턱이 형성되는 것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 실린더는 1.5mm 내지 2.5mm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 로드는 2mm 내지 5mm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에 의하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배치되는 가구에 적용되는 것으로, 완충체의 완충 실린더를 힌지 몸체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직접 설치함으로써, 탄성 링크의 완충편에 의해 완충 실린더의 압축 로드가 완충 제어토록 하여 구성의 단순함은 물론, 공간상의 제약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완충체의 압축 로드가 탄성 링크의 완충편에 접촉되는 것으로 소음 방지 및 가구 파손 방지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로, 힌지 몸체로부터 제1 마운팅 플레이트가 서로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의 사진;
도 2는 도 1에서 힌지 몸체로부터 제2 마운팅 플레이트가 서로에 대하여 접혀진 상태의 사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로, 완충체의 압축 로드가 탄성 링크의 완충편에 접촉된 상태의 사진;
도 5는 도 4에서 완충편에 의해 압축 로드가 완충 실린더의 안으로 밀려 들어가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의 사진;
도 6은 도 4에서 압축 로드가 완충편에 의해 밀리기 이전의 사진;
도 7은 도 4에서 압축 로드가 완충편에 의해 밀려 압축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의 사진;
도 8은 도 1에서 힌지 몸체에 형성된 결합공 및 끼움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3에서 완충편의 평면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완충기능을 갖는 경첩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도 11은 도 9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가 힌지 몸체(120)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 및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경첩(100)은 가구 본체(도시안됨)와 도어(도시안됨)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가구용 경첩(100)은 힌지 몸체(120),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 연결 링크(130) 및 탄성 링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힌지 몸체(120)에는 완충체(15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100)을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는 도어(도시안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 몸체(120)는 가구 본체(도시안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 몸체(120)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가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공(122)은 힌지 몸체(120)의 표면으로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다. 힌지 몸체(120)의 타단에는 다른 마운팅 플레이트(도시안됨)가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링크(130)는 힌지 몸체(120)와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가 각각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양단으로 제1,2 힌지(132)(134)에 의해 각각 힌지 결합된다.
탄성 링크(140)는 연결 링크(130)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도록 힌지 몸체(120)와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사이에서 제1,2 힌지(132)(134)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일단으로 완충편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완충체(150)는 힌지 몸체(120)의 결합공(122)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완충 실린더(152)와 그 완충 실린더(152)에 끼워져 강제로 압축되고, 실린더의 압축력에 의해 돌출되어 완충편(142)을 받쳐주는 압축 로드(1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완충 실린더(152)는 원통형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사각형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이 힌지 몸체(120)의 방향으로 젖혀질 때, 탄성 링크(140)의 완충편(142)은 압축 로드(154)의 선단을 밀어 완충 기능을 수행한다(도 9 참조).
여기서, 압축 로드(154)의 선단에는 완충재(156)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재(156)는 고무와 같은 충격 흡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체(150)의 완충 실린더(152)는 힌지 몸체(120)의 결합공(122)에 나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힌지 몸체(120)의 결합공(122)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124)이 형성되고, 완충 실린더(152)의 외주면에는 끼움홈(124)에 끼워져 힌지 몸체의 저면에 걸리도록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152a)가 형성되고, 힌지 몸체(120)의 상면에 걸리도록 끼움턱(15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완충 실린더(152)는 1.5mm 내지 2.5mm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축 로드(154)는 2mm 내지 5mm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완충 실린더(152)와 압축 로드(154)가 상기한 길이로 형성될 때 완충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100)의 작용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힌지 몸체(120)의 일단에는 제2 힌지(134)에 의해 연결 링크(13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연결 링크(130)의 타단은 제1 힌지(132)에 의해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에 연결된다.
탄성 링크(140)은 연결 링크(130)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도록 힌지 몸체(120)과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때 연결 수단은 제1,2 힌지(132)(134)를 이용한다.
여기서, 힌지 몸체(120)는 도시되지 않은 마운팅 플레이트에 의해 가구 본체(도시안됨)에 결합된다. 이에 비해,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는 도시되지 않은 도어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SP)은 연결 링크(130)과 탄성 링크(140) 사이에 제공되어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가 힌지 몸체(120)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탄성 링크(140)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가 힌지 몸체(120)에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다가 임계점이 넘었을 때,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즉,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가 힌지 몸체(120)의 방향으로나 대향된 방향으로 회동될 때 임계점이 넘게 되면, 그 회동 방향으로 급격하게 밀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힌지 몸체(120)이 결합공(122)에는 완충체(150)가 제공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탄성 링크(140)에 의한 급격한 회동 작동은 완충체(150)의 완충 실린더(152)에 제공된 압축 로드(154)에 의해 서서히 저지되는 것이다. 특히, 완충체(150)의 완충 실린더(152)의 고정 돌기(152a)는 힌지 몸체(120)의 끼움홈(124)에 끼워진 다음, 완충 실린더(152) 자체가 회동되었을 때 힌지 몸체(120)의 배면에서 걸려 고정됨과 동시에, 완충 실린더(152)의 끼움턱(152b)은 힌지 몸체(120)의 상면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즉, 힌지 몸체(120)는 고정 돌기(152a)와 끼움턱(152b)에 의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도 6과 도 7 참조).
다시 말해, 도 2와 도5를 다시 참조하면, 제1 마운팅 플레이트(110)가 힌지 몸체(120)에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탄성 링크(140)가 힌지 몸체(120)에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도어가 닫히는 경우). 이 순간, 완충 실린더(152)의 압축 로드(154)는 탄성 링크(140)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완충 실린더(152)의 내부로 밀려서 들어가며 완충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압축 로드(154)의 선단은 탄성 링크(140)의 완충편(142)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는 도 1과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완충 실린더(152)의 압축 로드(154)는 탄성 링크(140)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에 따라, 완충 실린더(152)의 내부로 밀려서 들어가며 완충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압축 로드(154)의 선단은 탄성 링크(140)의 완충편(142)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가구용 경첩 110 : 제1 마운팅 플레이트
120 : 힌지 몸체 122 : 결합공
124 : 끼움홈 130 : 연결 링크
132, 134 : 제1,2 힌지 140 : 탄성 링크
142 : 완충편 150 : 완충체
152 : 완충 실린더 152a : 고정돌기
152b : 끼움턱 154 : 압축 로드
156 : 완충재

Claims (6)

  1. 가구 본체와 도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구용 경첩으로서,
    상기 도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가구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가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에는 결합공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힌지 몸체;
    상기 힌지 몸체와 제1 마운팅 플레이트가 각각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양단으로 제1,2 힌지에 의해 각각 힌지 결합되는 연결 링크;
    상기 연결링크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도록 상기 힌지 몸체와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제1,2 힌지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일단으로 완충편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탄성 링크; 및
    상기 힌지 몸체의 결합공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완충 실린더와 상기 완충 실린더에 끼워져 강제로 압축되고, 실린더의 압축력에 의해 돌출되어 상기 완충편을 받쳐주는 압축 로드를 포함하는 완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가 힌지 몸체의 방향으로 젖혀질 때, 상기 탄성 링크의 완충편은 상기 압축 로드의 선단을 밀어서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로드의 선단에는 완충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체의 완충 실린더는 상기 힌지 몸체의 결합공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몸체의 결합공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회동에 의해 상기 힌지 몸체의 저면에 걸리도록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몸체의 상면에 걸리도록 끼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실린더는 1.5mm 내지 2.5mm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로드는 2mm 내지 5mm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
KR1020110103562A 2011-10-11 2011-10-11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 KR20130039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562A KR20130039098A (ko) 2011-10-11 2011-10-11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562A KR20130039098A (ko) 2011-10-11 2011-10-11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098A true KR20130039098A (ko) 2013-04-19

Family

ID=4843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562A KR20130039098A (ko) 2011-10-11 2011-10-11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90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4785A (zh) * 2019-05-30 2019-09-27 东莞市楷模家居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家具上翻支撑的可调节省力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4785A (zh) * 2019-05-30 2019-09-27 东莞市楷模家居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家具上翻支撑的可调节省力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2885B2 (ja) 緩衝機能を有するマルチリンクヒンジ
JP6871939B2 (ja) 家具の扉に用いる弾性的開放手段を有するヒンジ
JP3156516U (ja) 蝶番
KR101244792B1 (ko) 안전 여닫이문
CN110080643B (zh) 铰链及具有该铰链的家居装置
CN206513184U (zh) 自动缓冲开关烤箱门铰链
KR101920970B1 (ko) 도어 힌지
JP2013500410A (ja) ヒンジを備えた旋回可能に支承されたドア
TW201311991A (zh) 鉸鏈
TW201542922A (zh) 用於家具之具有獨立阻尼元件的鉸鏈
KR20130039098A (ko) 완충 기능을 갖는 가구용 경첩
KR101654051B1 (ko) 공동주택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609872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20200018329A (ko) 미닫이용 완충장치
CN107989503B (zh) 一种缓冲铰链
US10344511B2 (en) Hinge damper
JP5591660B2 (ja) 建具
KR20110011128U (ko) 여닫이문의 완충장치
KR100764630B1 (ko) 완충기능을 갖는 경첩장치
CN211081433U (zh) 二段力缓冲铰链和柜体组件
KR101576248B1 (ko) 마찰 로터리 댐퍼 및 이를 장착한 힌지
CN210659631U (zh) 阻尼铰链
JP4999001B2 (ja) 折戸装置
KR20170115915A (ko) 문 닫힘 소음 방지 경첩
CN215776527U (zh) 一种嵌入式酒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