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765A -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 Google Patents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765A
KR20130038765A KR1020110103303A KR20110103303A KR20130038765A KR 20130038765 A KR20130038765 A KR 20130038765A KR 1020110103303 A KR1020110103303 A KR 1020110103303A KR 20110103303 A KR20110103303 A KR 20110103303A KR 20130038765 A KR20130038765 A KR 20130038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adsorption
hold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임순
김웅태
Original Assignee
최임순
김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임순, 김웅태 filed Critical 최임순
Priority to KR1020110103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8765A/ko
Publication of KR2013003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전자기기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보호캡을 통해 사용자 실수로 휴대 전자기기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는 보호캡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중 실수로 흡착부재가 휴대 전자기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착부 내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내부 보조 흡착부를 구비하여 흡착부와 내부 보조 흡착부를 통해 2중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흡착 결합함으로써 안전하게 휴대 전자기기를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는 흡착부의 단면 길이를 중앙으로 갈수록 또는 단차로 작게 형성하여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흡착부재가 휴대 전자기기에 흡착 결합시 안착홈에 내부 보조 흡착부를 안착시켜 흡착부재와 휴대 전자기기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Finger-holdable hold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전자기기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보호캡을 통해 사용자 실수로 휴대 전자기기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로, 휴대폰, 스마트폰, 테블릿 폰, 테블릿 PC, 개인휴대 단말기(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등이 있다. 최근에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강력한 프로세서, 풍부한 메모리, 큰 화면, 개방형 운영 체제를 갖춘 스마트폰, 태블릿 폰, 태블릿 PC 등의 무선 네트워킹이 가능한 고급 휴대 전자기기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기본적인 무선 통화 기능 이외에 종래 휴대폰에 비해 대용량 메모리를 채택하고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사용이 가능하고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추가와 삭제가 가능하며,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태블릿 PC는 터치 스크린을 주 입력장치로 장착한 휴대용 PC로, 개인이 갖고 다니면서 조작할 수 있다. 태블릿 PC는 인터넷을 위한 무선 어댑터를 갖추고 있다. 태블릿 폰은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전화 이외에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하고, 스마트폰보다 큰 화면을 갖추고 있다.
이들 스마트폰, 태블릿 PC, 태블릿 폰 등 최근의 휴대 전자기기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제품은 인터넷 검색,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동영상 재생, 이북, 문서 작성, SMS, 이메일 등 기존 PC에서 수행되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어서 그 활용도가 높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 휴대 전자기기를 이동 중에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휴대 전자기기는 입력장치로 터치 스크린과 조작 버튼을 주로 이용한다. 이동 중에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는 휴대 전자기기를 고정하고 다른 손으로 휴대 전자기기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이나 조작 버튼을 조작해야 한다. 따라서 이동 중에 휴대 전자기기를 이용할 경우 휴대 전자기기를 손에서 놓치기 쉽고, 이로 인한 파손의 위험이 따른다. 특히 대형 화면을 갖는 제품의 경우 이를 잡기가 불편하고, 손에 힘이 많이 들어가며, 손에서 놓칠 위험은 더욱 크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의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보호캡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사용중 실수로 흡착부재가 휴대 전자기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흡착부 내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내부 보조 흡착부를 구비하여 흡착부와 내부 보조 흡착부를 통해 2중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흡착 결합함으로써 안전하게 휴대 전자기기를 휴대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흡착부의 단면 길이를 중앙으로 갈수록 또는 단차로 작게 형성하여 안착홈을 형성하고 흡착부재가 휴대 전자기기에 흡착 결합시 안착홈에 내부 보조 흡착부를 안착시켜 흡착부재와 휴대 전자기기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입력장치로 터치 스크린과 조작 버튼을 주로 이용한다. 이동 중에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는 휴대 전자기기를 고정하고 다른 손으로 휴대 전자기기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이나 조작 버튼을 조작해야 한다. 따라서 이동 중에 휴대 전자기기를 이용할 경우 휴대 전자기기를 손에서 놓치기 쉽고, 이로 인한 파손의 위험이 따른다. 특히 대형 화면을 갖는 제품의 경우 이를 잡기가 불편하고, 손에 힘이 많이 들어가며, 손에서 놓칠 위험은 더욱 크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의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보호캡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사용중 실수로 흡착부재가 휴대 전자기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흡착부 내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내부 보조 흡착부를 구비하여 흡착부와 내부 보조 흡착부를 통해 2중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흡착 결합함으로써 안전하게 휴대 전자기기를 휴대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흡착부의 단면 길이를 중앙으로 갈수록 또는 단차로 작게 형성하여 안착홈을 형성하고 흡착부재가 휴대 전자기기에 흡착 결합시 안착홈에 내부 보조 흡착부를 안착시켜 흡착부재와 휴대 전자기기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는 휴대 전자기기에 결합된 후 그 결합 링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사용자가 휴대 전자기기를 손에서 놓쳐 휴대 전자기기를 떨어뜨리는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는 사용자가 손에 지속적으로 힘을 주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잡지 않아도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자 손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므로, 휴대 전자기기의 파지에 따른 사용자의 피로를 크게 덜어준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는 보호캡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중 실수로 흡착부재가 휴대 전자기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는 흡착부 내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내부 보조 흡착부를 구비하여 흡착부와 내부 보조 흡착부를 통해 2중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흡착 결합함으로써 안전하게 휴대 전자기기를 휴대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는 흡착부의 단면 길이를 중앙으로 갈수록 또는 단차로 작게 형성하여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흡착부재가 휴대 전자기기에 흡착 결합시 안착홈에 내부 보조 흡착부를 안착시켜 흡착부재와 휴대 전자기기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및 휴대 전자기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가 휴대 전자기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의 홀더를 이용하여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의 홀더를 이용하여 휴대 전자기기를 바닥면에 세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가 휴대 전자기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를 벽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 200)의 흡착부재의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및 휴대 전자기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2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가 휴대 전자기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는 휴대 전자기기(1)에 흡착되는 흡착부재(10), 흡착부재(10)를 덮는 보호캡(20) 및 결합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는 흡착부(10)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1)의 외면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 사용자가 자유롭게 휴대 전자기기(1)에 결합하거나 휴대 전자기기(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흡착부재(10)는 통상의 것과 같이 실리콘이나 고무 등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휴대 전자기기(1)의 평평하고 매끄러운 표면에 흡착된다. 흡착부재(10)는 휴대 전자기기(1)에 흡착될 수 있는 흡착부(11), 흡착부(11)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보조 흡착부(13), 흡착부(11)의 외면 중앙에 마련되는 결합부(15)를 구비한다. 결합부(15)는 흡착부(11)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구멍(17)을 갖는다. 결합구멍(17)은 결합부(15)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부(15)의 중간에 형성된다. 결합구멍(17)은 모서리 부분이 둥근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흡착부(11) 내부 전면에는 내부 보조 흡착부(13)가 배치되는데, 내부 보조 흡착부(13)는 흡착부(11)와 동일 중심으로 흡착부(11) 내부 전면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거나 흡착부(11)와 중심을 달리하여 흡착부(11) 내부 전면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흡착부(11) 또는 내부 보조 흡착부(13)에는 중간부 둘레를 따라 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휴대 전자기기(1)에 부착되어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1)를 소지하고 이용하는 경우, 돌출부(19)는 휴대 전자기기(1)로부터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분산 지지하여 흡착부(11)가 휴대 전자기기(1)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보호캡(20)은 흡착부재(10)를 덮을 수 있도록 속이 빈 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호캡(20)의 끝단 중앙에는 흡착부재(10)의 결합부(15)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21)이 마련된다. 보호캡(20)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흡착부재(10)보다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흡착부재(10)를 덮어 흡착부(11)가 외력을 받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보호캡(20)의 배면에는 분리 돌출부(19)에 상응하는 위치에 분리 돌출부(19)가 삽입되는 돌출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보호캡(20)은 적어도 1개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흡착부재(10)에 외력이 가해져 흡착부재(10)와 휴대 전자기기(1) 사이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간에 공기 유동이 발생하면 흡착부재(10)의 흡착력이 제거되어 흡착부재(10)가 휴대 전자기기(1)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를 이용하여 휴대 전자기기(1)를 파지한 상태에서 흡착부재(10)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가해져 흡착부(11)가 변형되면, 휴대 전자기기(1)와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가 분리되면서 휴대 전자기기(1)가 사용자의 손에서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는 보호캡(20)이 흡착부재(10)를 덮어 보호함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흡착부재(10)를 휴대 전자기기(1)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결합부(15) 위로 보호캡(20)을 임의로 들어올려 흡착부(11)를 변형시킴으로써 흡착부재(11)의 흡착력을 제거할 수 있다.
결합부재(3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링(31)을 구비하며 결합링(31)을 결합부(15)에 결합시키는데, 결합링(31)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정 크기의 내경을 갖는 통상적인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흡착부재(10)의 결합구멍(17)에 삽입 결합된다. 결합 링(31)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흡착부재(10)보다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물론,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 링(31)을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연질의 소재로 만들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링(31)의 단면 형상은 흡착부재(10)의 결합구멍(17)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결합 링(31)은 결합부(15)로부터 쉽게 회전하지 못한다. 그러나 결합 링(31)의 단면 폭은 결합구멍(17)의 폭보다 작고 결합부(15)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결합 링(31)에 힘을 가하면 결합 링(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 링(31)을 흡착부재(10)로부터 쉽게 회전하지 못하게 하면,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로 휴대 전자기기(1)를 사용자의 손에 고정할 때 휴대 전자기기(1)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어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도면에는 결합 링(31)의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결합 링(31)의 단면 형상은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결합 링(31)의 단면은 사각형 이외에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비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착부재(10)의 결합구멍(17) 형상도 결합 링(31)의 단면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구멍(17)과 결합 링(31)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의 홀더를 이용하여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를 휴대 전자기기(1)에 흡착하고 결합 링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우면 사용자가 휴대 전자기기(1)를 손가락으로 잡지 않더라도 휴대 전자기기(1)가 사용자의 손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결합링(31)은 흡착부재(10)로부터 쉽게 회전하지 않으므로 휴대 전자기기(1)의 흔들림이 적고, 사용자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1)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의 홀더를 이용하여 휴대 전자기기를 바닥면에 세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를 휴대 전자기기(1)에 흡착하고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의 결합 링을 휴대 전자기기(1)와 수직이 되도록 하면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를 지지대로 이용하여 휴대 전자기기(1)를 바닥면에 세울 수 있다. 이렇게 휴대 전자기기(1)를 바닥면에 세워두면 휴대 전자기기(1)를 눕히는 경우에 비해 휴대 전자기기(1)의 화면을 보기가 쉬워진다.
즉, 휴대 전자기기(1)를 바닥에 눕히면 사용자는 고개를 바닥을 향해 숙여서 휴대 전자기기(1)의 화면을 봐야 하지만, 휴대 전자기기(1)를 바닥면에 세워두면 사용자는 고개를 많이 숙이지 않고 휴대 전자기기(1)의 화면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의 결합 위치는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1)의 세워진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가 휴대 전자기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200)는 휴대 전자기기(1)에 흡착되는 흡착부재, 흡착부재(10)를 덮는 보호캡(20) 및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링(31)을 구비하며 결합링(31)을 흡착부재(1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200)는 흡착부재(10)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1)의 외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휴대 전자기기(1)를 손에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흡착부재는 휴대 전자기기(1)에 흡착될 수 있는 흡착부(11), 흡착부(11)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보조 흡착부(13), 흡착부(11)의 외면 중앙에 마련되는 결합부(15)를 구비한다. 결합부(15)는 흡착부(11)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구멍(17)을 갖는다. 결합구멍(17)은 결합부(15)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부(15)의 중간에 형성된다. 한편, 결합부(15)를 사이에 두고 흡착부(11)와 마주하도록 흡착부(11)의 일단에 배치되는 외부 보조 흡착부(18)를 포함한다.
결합 링(31)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정 크기의 내경을 갖는 것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의 결합 링과 같다. 결합 링(31)의 단면 형상은 흡착부재(21)의 결합구멍(17)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200)는 흡착부재를 통해 휴대 전자기기(1)의 후면이나 휴대 전자기기(1)의 후면을 감싸는 보호 케이스의 외면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200)를 휴대 전자기기(1)에 결합하고 결합 링(31)에 손가락을 끼움으로서 휴대 전자기기(1)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200)는 휴대 전자기기(1)에 결합되어 휴대 전자기기(1)를 유리창 등에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전자기기(1)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 흡착부(18)가 평평한 면에 흡착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1)를 평평한 벽면에 부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200)를 이용하여 휴대 전자기기(1)를 평평한 벽면(5)에 부착해 놓고 편리하게 휴대 전자기기(1)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 200)의 흡착부재의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흡착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도 9(a)를 참고로 살펴보면, 흡착부(11)의 양끝단의 휴대 전자기기(1)와의 결합면은 휴대 전자기기(1)와 넓은 면에서 접촉하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길이(L) 이상 경사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경사 평면의 일정길이(L)는 요구되는 휴대 전자기기(1)와의 결합력에 따라 달리 제작될 수 있는데, 경사 평면의 일정길이(L)가 길수록 휴대 전자기기 홀더(100, 200)와 휴대 전자기기(1)의 강한 결합력을 유지한다.
한편, 흡착재(11)의 단면 두께는 중앙으로 갈수록 서서히 또는 단차를 두어 작게 제작되어 보조 흡착부(13)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2)을 형성한다. 도 9(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100, 200)가 휴대 전자기기(1)에 흡착 결합시, 먼저 내부 보조 흡착부(13) 내부에 있는 공기는 내부 보조 흡착부(13)로부터 흡착부(11)로 방출되어 내부 보조 흡착부(13)를 휴대 전자기기(1)에 흡착 결합시킨다. 흡착부(11) 내부에 있는 공기가 흡착부(11) 외부로 방출시 안착홈(12)으로 내부 보조 흡착부(13)가 안착되어 흡착부(11) 내부 공기 배출을 최대화시키며 이로 인해 흡착부(11)를 완벽하게 휴대 전자기기(1)의 표면에 흡착시켜 흡착부(11)와 휴대 전자기기(1)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는 사용자가 휴대 전자기기(1)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1)가 사용자 손에서 미끄러지는 위험을 줄여준다. 또한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도 휴대 전자기기(1)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저감시키고 사용자의 인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준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200 :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10 : 흡착부재 11: 흡착부
12 : 안착홈 13: 내부 보조 흡착부
15: 결합부 17 : 결합구멍
18: 외부 보조 흡착부 19 : 돌출부
20 : 보호캡 23 : 삽입구멍
30 : 결합부재 31 : 결합링

Claims (7)

  1. 휴대 전자기기에 흡착 결합될 수 있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갖는 흡착부재;
    상기 흡착부재의 흡착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흡착부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캡; 및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링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링을 상기 결합부에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흡착부의 전면 또는 배면에 상기 흡착부의 중간부 둘레 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흡착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보조 흡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단면 두께는 중앙으로 갈수록 서서히 또는 단차로 작아져 안착홈을 형성하며,
    흡착부재가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흡착 결합시 상기 내부 보조 흡착부는 상기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조 흡착부는
    상기 흡착부 내부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는
    상기 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흡착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흡착부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는 외부 보조 흡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상기 흡착부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KR1020110103303A 2011-10-10 2011-10-10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KR20130038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303A KR20130038765A (ko) 2011-10-10 2011-10-10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303A KR20130038765A (ko) 2011-10-10 2011-10-10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765A true KR20130038765A (ko) 2013-04-18

Family

ID=4843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303A KR20130038765A (ko) 2011-10-10 2011-10-10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87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056A (ko) 2017-02-20 2018-08-29 여창기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JP2020043529A (ja) * 2018-09-13 2020-03-19 エレコム株式会社 携帯端末用把持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056A (ko) 2017-02-20 2018-08-29 여창기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JP2020043529A (ja) * 2018-09-13 2020-03-19 エレコム株式会社 携帯端末用把持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04185A1 (en) Portable computer holder
US9049792B2 (en) Protection cover and portable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80013463A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an angle adjustable phone hanger ring
KR101563058B1 (ko) 스마트폰 거치대
JP2016019010A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US20150189781A1 (en) Multi-position stand for electronic display devices
KR200470332Y1 (ko)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101273260B1 (ko) 핸드폰용 손가락 거치대
KR200464283Y1 (ko) 휴대폰 케이스용 손가락 거치구
KR101390427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핸드그립
KR20130038765A (ko)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KR101753173B1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102451592B1 (ko)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KR101967449B1 (ko)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130001879U (ko)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CN105491197A (zh) 翻折伸缩杆防滑落手机后盖壳
KR200492512Y1 (ko)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CN105577862A (zh) 可折叠夹扣防滑落手机后盖壳
JP3163103U (ja) 携帯端末機器用スタンド
KR20130008698A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261334B1 (ko) 쿠션에 감아서 사용할 수 있는 영상기기 거치대
KR200460542Y1 (ko) 다용도 거치대
KR200484140Y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023

Effective date: 2014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