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637A - 서프 바이크 - Google Patents

서프 바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637A
KR20130038637A KR1020110103112A KR20110103112A KR20130038637A KR 20130038637 A KR20130038637 A KR 20130038637A KR 1020110103112 A KR1020110103112 A KR 1020110103112A KR 20110103112 A KR20110103112 A KR 20110103112A KR 20130038637 A KR20130038637 A KR 20130038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
bike
buoyancy body
variabl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선
Original Assignee
유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선 filed Critical 유기선
Priority to KR1020110103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8637A/ko
Publication of KR2013003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1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sliding or pivoting handle or pedal, i.e. the motive force being transmitted to a propelling means by means of a lever operated by the hand or foot of the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2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addle wheels, e.g. of stern whe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프 바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부력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조부력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속도에 따라 보조부력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주행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조부력체를 절첩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서프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선형으로 설치되는 메인부력체와, 상기 메인부력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메인부력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조부력체와, 상기 메인부력체와 보조부력체를 연결하는 가변암과, 상기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되는 수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프 바이크{surf-bike}
본 발명은 서프 바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부력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조부력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속도에 따라 보조부력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주행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조부력체를 절첩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메인부력체의 후부에는 가변날개 수차형 프로펠러가 설치되어 페달을 밟아 동력을 발생시킬 때에는 가변날개가 펼쳐지고 서프 바이크가 관성에 의해 전진할 때는 가변날개가접혀져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서프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보트는 노를 저어 보트를 움직이게 되는데,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물놀이를 즐기기 위해 보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팔을 사용하여 노를 젓는 동작에 많은 힘이 들기 때문에 보트를 타는 즐거움보다 힘이 많이 들어 보트 타기를 꺼려하게 된다.
그래서, 발로 페달을 밟아 이동하는 수상 레저 기구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수상 레저 기구는 수차에 크랭크축 및 페달을 설치하여 인력으로 수차나 스크류를 회전시켜 추진력을 얻는 것으로서, 모터 등의 동력을 사용하는 보트에 비하여 속도가 느리고 효율이 떨어지므로 수상교통 및 운송수단으로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구조 및 작동방법이 간단하고 발을 사용하여 추진하는 독특한 재미로 인하여 유원지나 해수욕장 등에서 레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력선의 일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개특허 제10-2003-0090952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격자형 구조의 폴(10)에 끼워져 조립되어 좌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좌우측 2개의 튜브(11)와, 상기 폴(10)의 각 모서리에서 윗쪽으로 연장되는 4개의 포스트(12)에 의해 지지되면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베이스(13) 및 이곳에 설치되는 의자(14)와 보트의 방향조종을 위해 의자(14)의 전방으로 베이스(13) 상의 프레임(15)에 설치되는 핸들(16) 및 보트의 후미에 설치되는 조타장치와, 보트의 구동을 위해 의자(14)의 전방 아래쪽으로 베이스(13) 상의 프레임(15)에 설치되는 페달(18) 및 기어박스(19)와 상기 기어박스(19)에서 발생된 동력을 받아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류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전술된 공개특허 제10-2003-0090952호에 기재된 기술은 의자(14)의 높이와 튜브(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바람이나 물결의 세기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 하였으나, 여전히 부피가 커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지 않아 일반인이 소유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부피가 커서 물에 대한 저항력이 크기 때문에 속도를 일정 이상 높일 수 없어 스피드를 즐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부력체에 설치된 가변모듈을 사용하여 메인부력체와 보조부력체를 연결하는 가변암의 각도를 조절하여, 메인부력체와 보조부력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속도가 빠를 때는 보조부력체를 메인부력체에 가까이 위치하게 하여 용이하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게 하고, 저속으로 운항하거나 정지시에는 보조부력체를 메인부력체와 멀리 위치하게 하여 안정성을 높이게 됨으로써 서프 바이크가 전복되어 사용자가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가변암을 접어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서프 바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부력체의 후단에 설치되는 수차에 절첩되도록 가변날개를 형성함으로써, 수차를 회전시켜 동력을 발생시킬 때는 가변날개가 펼쳐져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수차를 회전시키지 않을 때에는 가변날개가 접혀지게 되어 물의 저항을 줄여주게 되어 적은 힘으로 보다 멀리 주행할 수 있게 하는 서프 바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변암이 연결되는 가변모듈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변암을 접을 경우 보조부력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수면에 닿지 않게 위치함으로써 물의 저항을 줄여주게 되어 보다 빠른 속도를 즐길 수 있게 하는 서프 바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선형으로 설치되는 메인부력체와, 상기 메인부력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메인부력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조부력체와, 상기 메인부력체와 보조부력체를 연결하는 가변암과, 상기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되는 추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부력체에는 상기 가변암을 제어하는 가변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변모듈은 상기 메인부력체에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듈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과 모듈몸체는 전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모듈몸체의 후단부에는 각도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모듈몸체에는 측부에 형성된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작동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작동바 멈춤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듈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작동바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부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의 양측면에는 렉기어가 형성되고, 상부에 형성된 구동부 가이드홈의 내측면에는 고정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톱니에 대응되도록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레버와,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설치되어 걸림레버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후단과 모듈몸체의 후단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레버의 후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제어홈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작동바 멈춤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 내측에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제1회동바와, 상기 제1회동바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회동바와, 상기 제2회동바의 상단과 힌지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과 고정브라켓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회동바의 측부에 설치되는 멈춤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암은 상기 모듈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변암 결합부와 연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는 종동풀리가 구비되며, 상기 종동풀리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변암에는 메인부력체와 보조부력체의 평행을 유지하기 위한 평행 유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평행 유지부는 상기 가변암 결합부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풀리와, 보조부력체에 설치되는 회동봉에 설치된 회동풀리와, 상기 고정풀리와 회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암의 후단에는 상기 회동봉과 회동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케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동봉의 하단에는 회동판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은 상기 보조부력체에 체결되는 체결판의 전단부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회동판의 후단에는 각도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추진체는 수차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차는 방사형으로 휠대가 형성된 휠과, 상기 휠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가변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조향부의 손잡이에 펼침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펼침레버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과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조향부의 손잡이에 접힘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접힘레버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전단과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부력체에는 조절나사와 레버가 구비된 탄성부제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나사의 전단은 상기 작동바의 후단에 연결되는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는 페달이 설치된 페달축이 구비되고, 상기 페달축에는 구동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풀리는 상기 추진체의 측부에 형성되는 종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부력체에 설치된 가변모듈을 사용하여 메인부력체와 보조부력체를 연결하는 가변암의 각도를 조절하여, 메인부력체와 보조부력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속도가 빠를 때는 보조부력체를 메인부력체에 가까이 위치하게 하여 용이하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게 하고, 저속으로 운항하거나 정지시에는 보조부력체를 메인부력체와 멀리 위치하게 하여 안정성을 높이게 됨으로써 서프 바이크가 전복되어 사용자가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가변암을 접어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부력체의 후단에 설치되는 수차에 절첩되도록 가변날개를 형성함으로써, 수차를 회전시켜 동력을 발생시킬 때는 가변날개가 펼쳐저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수차를 회전시키지 않을 때에는 가변날개가 접혀지게 되어 물의 저항을 줄여주게 되어 적은 힘으로 보다 멀리 주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암이 연결되는 가변모듈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변암을 접을 경우 보조부력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수면에 닿지 않게 위치함으로써 물의 저항을 줄여주게 되어 보다 빠른 속도를 즐길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상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수상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프레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제1프레임 고정브라켓의 확대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수차의 날개부가 펼쳐진 상태의 확대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수차의 날개부가 접혀진 상태의 확대도이고, 도 6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수차의 날개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가변모듈과 가변암의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를 제거한 서프 바이크의 가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가변모듈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작동바와 작동바 멈춤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작동바 멈춤부의 멈춤날개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탄성부재 제어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구동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높이 조절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가변암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보조 부력체의 결합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프레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제1프레임 고정브라켓의 확대도이고,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수차의 날개부가 펼쳐진 상태의 확대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수차의 날개부가 접혀진 상태의 확대도이고, 도 6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수차의 날개부의 확대도이고,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가변모듈과 가변암의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를 제거한 서프 바이크의 가변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가변모듈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작동바와 작동바 멈춤부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작동바 멈춤부의 멈춤날개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탄성부재 제어부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구동부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높이 조절부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가변암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바이크의 보조 부력체의 결합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서프 바이크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부력체(100)와 상기 메인부력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300)과 상기 메인부력체(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조부력체(200)와 상기 메인부력체(100)와 보조부력체(200)를 연결하는 가변암(500)과 상기 메인부력체(100)의 후부에 설치되는 추진체(부호 미도시)와 상기 가변암(500)을 제어하는 가변모듈(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300)은 통상적인 자전거의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프레임(300)의 중심부의 하단에는 제1프레임 고정브라켓(320)이 구비되고 후부 하단 양측에는 제2프레임 고정브라켓(330)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부력체(1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 고정브라켓(320)은 상기 메인부력체(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부력체 결합부(322)와 상기 프레임(100)의 하단을 삽입 고정하기 위하여 서로 힌지결합되는 하부 고정부(323)와 상부 고정부(324), 그리고, 하부 고정부(323)과 상부 고정부(324)의 전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32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305)가 구비되고, 전부에는 조향부(3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조향부(310)는 상기 프레임(300)의 전부에 설치되는 조향봉(312)과 상기 조향봉(312)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311)와 상기 조향봉(312)의 하단에 설치되는 연결바(313)와 상기 연결바(313)의 하단에 설치되는 조향타(31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바(313)의 상부에는 단턱부(314)가 형성되는데, 상기 메인부력체(100)에는 지지판(316)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314)가 지지판(316)의 상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조향봉(312)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11)의 양단부에는 각각 접힘레버(311a)와 펼침레버(311b)가 구비되고, 상기 접힘레버(311a)와 펼침레버(311b)에는 와이어(w)가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w)는 가변모듈(400)과 연결되어 접힘레버(311a)와 펼침레버(311b)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변암(500)을 펼치거나 접혀지게 한다.
그래서, 서프 바이크의 속도에 따라 가변암(5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속도가 빠를 때는 가변암(500)을 접어 물의 저항을 줄여 보다 빠른 속도로 주행할 수 있게 하고, 속도가 느릴 때는 가변암(500)을 펼쳐 서프 바이크가 넘어지지 않게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의 후부에는 수차(600)로 이루어지는 추진체가 설치되는데, 상기 메인부력체(100)의 후부에는 수차 설치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수차(600)가 삽입되어, 메인부력체(100)의 하부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의 중심부에는 페달부(130)가 형성되는데, 상기 페달부(130)는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페달축(131)과 상기 페달축(131)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크랭크암(132)과 상기 크랭크암(132)에 설치되는 페달(1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페달축(131)의 일측에는 구동풀리(134)가 구비되고, 상기 수차(600)의 측부에는 종동풀리(610)이 설치되어, 벨트(660)를 사용하여 상기 구동풀리(134)와 종동풀리(610)를 연결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페달(133)을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풀리(134)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풀리(134)의 회전력을 벨트(660)가 종동풀리(610)로 전달하게 되어, 상기 수차(600)를 회전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게 된다.
이때, 상기 수차(600)는 뼈대를 형성하는 휠(620)과 상기 휠(620)의 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휠대(630)와 상기 휠대(630)에 설치되는 가변날개(6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변날개(650)는 'ㄷ'자 형상의 결합부재(640)의 단부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640)를 상기 휠대(630)에 체결함으로서 휠(620)에 설치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페달부(130)를 작동시켜 수차(6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가변날개(650)는 휠(6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펼쳐지게 되어, 물을 후부로 밀어냄으로써,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되어 서프 바이크는 전진하게 되고, 서프 바이크의 속도가 물의 흐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하고 있을 때 페달부(130)의 작동을 멈추게 되면 상기 수차(600)의 회전 또한 멈추게 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던 물속의 잠긴 상태의 가변달개(650)가 물의 저항에 의해 접혀짐으로써, 물속 진행 방향 단면적을 최소화하여 서프 바이크의 관성력으로 나아감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서프 바이크의 무동력 진행거리를 늘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추진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차(600)를 사용할 수도 있고, 프로펠러나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추진력을 얻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모듈(400)은 상기 메인부력체(100)에 설치되는 바닥판(420)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듈몸체(430)와 상기 모듈몸체(4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4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420)과 모듈몸체(430)는 전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모듈몸체(430)의 후단부에는 각도조절부(43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부(438)에는 조절나사(438a)가 구비되는데, 상기 조절나사(438a)는 상기 바닥판(420)의 후단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조절나사(438a)를 조절하여 모듈몸체(430)의 후단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모듈몸체(43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가변모듈(40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변모듈(400)의 양측부에 설치된 가변암(5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가변암(500)을 절첩할 때 물과의 접촉정도를 조절하여 서프 바이크의 최고 주행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듈몸체(430)에는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작동바 가이드홈(431)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 가이드홈(431)의 양측에는 피니언기어(480)가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기어(480)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바(440)가 상기 작동바 가이드홈(431)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바(440)의 내측에는 상기 작동바(44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450)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바 가이드홈(431)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작동바(4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작동바 멈춤부(46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모듈몸체(430)의 하부 즉, 상기 작동바 가이드홈(431)의 하부에는 상기 작동바(440)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4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432)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부(450)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43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바(440)의 양측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480)에 대응되도록 렉기어(443)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바(440)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480)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듈몸체(430)의 양측단에는 가변암 결합부(470)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암(500)의 단부에는 상기 가변암 결합부(470)와 연결되는 결합부(510)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변암 결합부(470)의 상부에는 종동풀리(51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480)의 상부에는 상기 종동풀리(512)와 벨트(484)로 연결되는 구동풀리(482)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430)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가변암(500)이 절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440)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부(450)가 설치되는 구동부 가이드홈(444)이 형성되는데, 상기 구동부 가이드홈(444)의 내측면에는 고정톱니(44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450)는 상기 고정톱니(445)에 대응되도록 양측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돌출 설치되는 걸림레버(453)와 상기 구동부(45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452)에 상기 걸림레버(453)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재(454)와 상기 슬라이딩부재(454)의 후단과 모듈몸체(430)의 후단을 연결하는 탄성부재(45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림레버(453)의 후단에는 걸림부(453a)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454)에는 상기 걸림부(453a)가 삽입되는 제어홈(454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454)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453)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재(454)의 전단에는 와이어(w)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311)에 형성된 접힘레버(311a)에는 와이어(w)의 타측단부가 연결되는데, 상기 모듈몸체(430)의 전단에는 와이어 가이드부(435)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435)에는 상기 와이어(w)를 지지하는 제2롤러(437)가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w)가 보다 안정적으로 당겨질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접힘레버(311a)를 당기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454)가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453)는 구동부(450)의 양측부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톱니(445)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재(454)는 계속 전부로 당겨지게 되어, 상기 구동부(450) 전체가 전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톱니(445)에 걸린 걸림레버(453)에 의해 상기 작동바(440)가 전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힘레버(311a)를 놓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454)의 후단에 설치된 탄성부재(456)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454)는 후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453)는 구동부(45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고정톱니(445)와 이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재(454)가 계속 후부로 당겨지게 되는데, 상기 작동바(440)는 작동바 멈춤부(46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450)만 후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바 멈춤부(460)는 상기 작동바 가이드홈(431)의 양측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461)과 상기 고정브라켓(461)의 상부 내측에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제1회동바(462)와 상기 제1회동바(462)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회동바(463)와 상기 제2회동바(463)의 상단과 힌지결합되는 연결부재(464)와 상기 연결부재(464)의 상단과 고정브라켓(461)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464a)와 상기 제1회동바(462)의 측부에 설치되는 멈춤날개(46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멈춤날개(465)는 상기 제1회동바(462)의 외측면에 힌지결합되는데, 상기 제1회동바(462)의 측부에는 전단에는 상기 멈춤날개(465)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66)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67)가 형성되고, 측부 후단에는 상기 멈춤날개(465)를 지지하는 날개 지지부(469)가 형성된다.
그래서, 전술한 구동부(450)에 의해 상기 작동바(440)가 전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작동바(440)의 구동부 가이드홈(444)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톱니(445)에 의해 상기 멈춤날개(465)가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어, 상기 작동바(440)가 전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440)의 후단에는 탄성부재 연결부(446)가 형성되어 탄성부재(170)의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부력체(100)의 중심부 상부에는 탄성부재 제어부(160)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170)의 후단이 연결되어 상기 작동바(440)가 후부로 당겨지게 되는데, 상기 작동바 멈춤부(460)의 멈춤날개(465)가 탄성부재(466)에 의해 펼쳐지게 되어 상기 고정톱니(445)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작동바(440)가 후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접힘레버(311a)를 작동시킬 때마다, 작동바(440)가 조금씩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가변암(500)이 조금씩 접히게 된다.
따라서, 서프 바이크가 일정 이상의 속도가 되면, 사용자가 접힘레버(311a)를 작동시켜 가변암(500)을 접음으로써, 보조부력체(200)가 수면과 접하는 부분을 줄여 물의 저항을 줄이게 되어 서프 바이크의 속도를 높이게 되며, 회전시 서프 바이크가 양측으로 쉽게 기울어지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바 멈춤부(460)의 연결부재(464)의 상단(즉, 탄성부재(464a)의 내측)에는 와이어(w)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311)에 형성된 펼침레버(311b)에는 와이어(w)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펼침레버(311b)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464)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회동바(463)와 제1회동바(462)의 하단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회동바(462)의 외측에 설치된 멈춤날개(465)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멈춤날개(465)가 작동바(440)의 고정톱니(445)와 이격되게 되어, 상기 작동바(440)는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 후부로 이동하게 되어, 가변암(500)이 순간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서프 바이크의 속도가 일정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펼침레버(311b)를 작동시켜 가변암(500)을 순간적으로 펼치게 함으로써, 보조부력체(200)에 의해 서프 바이크의 양측을 지지하게 되어 서프 바이크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듈몸체(430)의 전단에는 와이어 가이드부(435)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435)에는 상기 와이어(w)를 지지하는 제1롤러(436)가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w)가 보다 안정적으로 당겨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변암(500)에는 상기 메인부력체(100)와 보조부력체(200)의 평행을 유지하기 위한 평행 유지부(520)가 구비되는데, 상기 평행 유지부(520)는 결합부(510)의 내측, 즉, 상기 가변암 결합부(470)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풀리(514)와 상기 보조부력체(200)에 설치되는 회동봉(531)에 고정 설치된 회동풀리(532)와 상기 고정풀리(514)와 회동풀리(532)를 연결하는 벨트(539)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변암(500)의 후단에는 결합케이스(540)가 삽입 고정되는데, 상기 결합케이스(540)에는 상기 회동봉(531)과 회동풀리(5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풀리(532)의 상, 하부에는 각각 베어링(533)이 구비되어 상기 회동풀리(532)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가변암(500)이 펼쳐지고 접혀질 때, 상기 메인부력체(100)와 보조부력체(200)가 평행을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풀리(514)는 가변암 결합부(470)의 내측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어, 가변암(500)이 회전하여 펼쳐지게 되면, 상기 고정풀리(514)는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고정풀리(514)에 연결된 벨트(539)는 가변암(50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그래서, 상기 벨트(539)의 타측단에 연결된 회동풀리(532)를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회동풀리(532)가 설치된 회동봉(531)과 함께 보조부력체(200)를 회전시키게 되어 메인부력체(100)와 보조부력체(200)가 평행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변암(500)을 펼친 상태에서도 보조부력체(200)가 메인부력체(100)와 평행을 유지하게 되어 물의 저항을 줄여 주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봉(531)의 하단에는 회동판(534)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534)은 상기 보조부력체(200)에 체결되는 체결판(535)의 전단부와 힌지결합되는데, 상기 회동판(534)의 후단에는 각도조절부(540)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판(534)와 체결판(535)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부(540)의 후단에는 조절나사(541)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나사(541)의 하단은 상기 체결판(53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조절나사(54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동판(534)와 체결판(535)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보조부력체(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전술한 가변모듈(400)의 각도를 조절할 때, 보조부력체(200)의 각도를 동일하게 조절함으로써, 가변암(500)이 펼쳐질 때, 보조부력체(200)의 하면 전체가 고르게 수면과 접하게 되어 서프 바이크의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한편, 전술한 탄성부재 제어부(160)에는 탄성부재(170)의 후단이 연결되는 조절나사(162)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나사(162)에는 레버(164)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나사(162)를 회전 이동시켜, 상기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을 강하게 하여, 상기 펼침레버(311b)를 작동시키게 되면 보다 빠르게 가변암(500)이 펼쳐지게 되고, 탄성력을 약하게 하면 가변암(500)이 천천히 펼져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나사(162)를 완전히 풀게 되면, 탄성력이 완전히 사라지게 되어, 작동바(440)는 후부로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서프 바이크의 가변암(500)을 접은 상태로 보관할 경우 탄성부재(170)의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펼침레버(311b)가 작동된 경우에도 가변암(500)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가변암(500)이나 보조부력체(200)가 측부의 물체와 부딛히게 되어 서프 바이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서프 바이크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프레임(300)에 설치된 페달부(130)를 회전시키게 되면, 페달부(130)의 구동풀리(134)에 의해 벨트(66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차(600)에 설치된 종동풀리(610)가 회전하게 되어, 수차(600)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방향을 조절할 때에는 조향부(3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조향부(310)의 하단에 형성된 조향타(315)를 회전시키게 되어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일정 이상으로 속도를 올리게 되면, 손잡이(311)에 설치된 접힘레버(311a)를 작동시키게 되면, 접힘레버(311a)와 연결된 와이어(w)가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450)의 슬라이딩부재(454)가 당겨지게 되어, 걸림레버(453)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작동바(440)의 고정톱니(445)에 걸리게 됨으로써, 구동부(450)와 함께 작동바(44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바(440)의 양측에 형성된 렉기어(443)과 맞물리는 피니언기어(480)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피니언기어(480)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풀리(48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풀리(482)와 가변암(500)의 결합부(510) 상부에 설치된 종동풀리(512)가 벨트(484)에 의해 회전하게 되어, 가변암(500)이 조금씩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변모듈(400)에 설치된 작동바 멈춤부(460)의 멈춤날개(465)가 상기 고정톱니(445)에 걸리게 되어, 작동바(440)가 작동바(440)의 후단에 구비된 탄성부재(170)에 의해 후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펼침레버(311b)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펼침레버(311b)와 연결된 와이어(w)가 당겨지게 되고, 상기 와이어(w)의 단부에 연결된 작동바 멈춤부(460)의 연결부재(464)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회동바(463)과 제1회동바(462)의 하단이 내측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회동바(462)의 외측에 설치된 멈춤날개(465)가 작동바(440)의 고정톱니(445)와 이격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작동바(440)는 작동바(440)의 후단에 설치된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 후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바(440)의 렉기어(443)와 피니언기어(480), 그리고, 구동풀리(482)와 종동풀리(512), 벨트(484)의 작용에 의해 가변암(500)이 펼쳐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프 바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부력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조부력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속도에 따라 보조부력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주행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조부력체를 절첩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서프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100 : 메인부력체 200 : 보조부력체
300 : 프레임 310 : 조향부
400 : 가변모듈 410 : 커버
420 : 바닥판 430 : 모듈몸체
440 : 작동바 450 : 구동부
460 : 작동바 멈춤부 500 : 가변암
510 : 결합부 520 : 수평 유지부
600 : 수차

Claims (20)

  1. 유선형으로 설치되는 메인부력체와,
    상기 메인부력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메인부력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조부력체와,
    상기 메인부력체와 보조부력체를 연결하는 가변암과,
    상기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되는 추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력체에는 상기 가변암을 제어하는 가변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모듈은 상기 메인부력체에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듈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모듈몸체는 전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모듈몸체의 후단부에는 각도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몸체에는 측부에 형성된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작동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작동바 멈춤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작동바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부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의 양측면에는 렉기어가 형성되고,
    상부에 형성된 구동부 가이드홈의 내측면에는 고정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톱니에 대응되도록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레버와,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설치되어 걸림레버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후단과 모듈몸체의 후단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레버의 후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제어홈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 멈춤부는 상기 모듈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 내측에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제1회동바와,
    상기 제1회동바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회동바와,
    상기 제2회동바의 상단과 힌지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과 고정브라켓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회동바의 측부에 설치되는 멈춤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암은 상기 모듈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변암 결합부와 연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는 종동풀리가 구비되며,
    상기 종동풀리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암에는 메인부력체와 보조부력체의 평행을 유지하기 위한 평행 유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유지부는 상기 가변암 결합부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풀리와,
    보조부력체에 설치되는 회동봉에 설치된 회동풀리와,
    상기 고정풀리와 회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암의 후단에는 상기 회동봉과 회동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케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봉의 하단에는 회동판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은 상기 보조부력체에 체결되는 체결판의 전단부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회동판의 후단에는 각도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체는 수차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차는 방사형으로 휠대가 형성된 휠과,
    상기 휠대에 설치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에 결합되는 가변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조향부의 손잡이에 펼침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펼침레버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과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조향부의 손잡이에 접힘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접힘레버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전단과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력체에는 조절나사와 레버가 구비된 탄성부제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나사의 전단은 상기 작동바의 후단에 연결되는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페달이 설치된 페달축이 구비되고,
    상기 페달축에는 구동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풀리는 상기 추진체의 측부에 형성되는 종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프 바이크.
KR1020110103112A 2011-10-10 2011-10-10 서프 바이크 KR20130038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112A KR20130038637A (ko) 2011-10-10 2011-10-10 서프 바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112A KR20130038637A (ko) 2011-10-10 2011-10-10 서프 바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637A true KR20130038637A (ko) 2013-04-18

Family

ID=4843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112A KR20130038637A (ko) 2011-10-10 2011-10-10 서프 바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863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212B1 (ko) * 2017-06-20 2018-03-22 조선기 아쿠아 바이크
KR102178902B1 (ko) * 2020-08-11 2020-11-13 신재근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이동되는 서핑 보드
WO2021261958A1 (ko) * 2020-06-25 2021-12-30 (주) 모션파이브 간격 조절이 가능한 쌍동선
JP2022079158A (ja) * 2020-11-16 2022-05-26 有限会社チェスト 船体取り付け用浮き具装置及び浮き具システム
KR102505413B1 (ko) * 2022-09-07 2023-03-06 유기완 부력휠체어를 이용한 바다 유영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212B1 (ko) * 2017-06-20 2018-03-22 조선기 아쿠아 바이크
WO2021261958A1 (ko) * 2020-06-25 2021-12-30 (주) 모션파이브 간격 조절이 가능한 쌍동선
KR20220000197A (ko) * 2020-06-25 2022-01-03 (주) 모션파이브 간격 조절이 가능한 쌍동선
KR102178902B1 (ko) * 2020-08-11 2020-11-13 신재근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이동되는 서핑 보드
WO2022034994A1 (ko) * 2020-08-11 2022-02-17 신재근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이동되는 서핑 보드
JP2022079158A (ja) * 2020-11-16 2022-05-26 有限会社チェスト 船体取り付け用浮き具装置及び浮き具システム
KR102505413B1 (ko) * 2022-09-07 2023-03-06 유기완 부력휠체어를 이용한 바다 유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8637A (ko) 서프 바이크
US4496325A (en) Collapsible paddle boat
CA2087736A1 (fr) Byciclette nautique
US9061557B1 (en) Amphibious bicycle float attachment and lift system
CN207374190U (zh) 一种电动折叠隐藏桌板
US20200391830A1 (en) Drive module for a boat-like buoyancy body, and buoyancy body equipped therewith
JP5735641B2 (ja) 水上オートバイ
ES2764769T3 (es) Vehículo acuático con accionamiento por esfuerzo muscular
JP5135685B2 (ja) 揺動式横ヒレ推進人力船
US20110275255A1 (en) Personal marine transporter capable of offering the rider the exhilarating feeling of steering a very maneuverable water craft by the direction of his body motion
US3394673A (en) Water ski scooter
KR101221015B1 (ko) 수 바이크
WO2020225802A2 (fr) Engin marin
WO2005054051A1 (en) Watercraft with propulsion by muscle power
US11498651B2 (en) Personal hand and foot operated watercraft
KR101723486B1 (ko) 휴대용 접이식 무동력 보트
US5409408A (en) Sailboard with reciprocating fins and umbrella type rotary parafoil sail
WO2018151697A1 (ru) Водный велосипед
CN2375552Y (zh) 房式自行车
KR20110000990U (ko) 자전거의 페달 동력을 이용한 자전거배
FR2725419A1 (fr) Appareil destine a propulser et a diriger des vehicules grace a la force musculaire, transformee en force motrice
CN214930459U (zh) 一种新型便携式车载组合艇
US4662848A (en) Swing-operated paddle-wheel water-craft
JPH09277990A (ja) 水上サイクルボ−ト
RU2485004C2 (ru) Водный велосипе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