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600A -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 Google Patents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600A
KR20130038600A KR1020110103045A KR20110103045A KR20130038600A KR 20130038600 A KR20130038600 A KR 20130038600A KR 1020110103045 A KR1020110103045 A KR 1020110103045A KR 20110103045 A KR20110103045 A KR 20110103045A KR 20130038600 A KR20130038600 A KR 20130038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uenza virus
swine
virus
treating
swine influenz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9162B1 (ko
Inventor
강보규
문형준
송대섭
Original Assignee
녹십자수의약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녹십자수의약품(주) filed Critical 녹십자수의약품(주)
Priority to KR102011010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1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8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45Orthomyxoviridae, e.g. influenza vir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신규한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swine/Korea/GCVP-KS01/2009 (H1N1) 및 상기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용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Method of preventing or treating the swine influenza virus infection}
본 발명은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swine/Korea/GCVP-KS01/2009 (H1N1)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범유행 (pandemic) H1N1"으로도 알려진, 돼지 기원 게놈을 포함하는, 인간 인플루엔자 A H1N1 바이러스는 2009년 4월부터 전세계적으로 출현 (outbreaks)하고 있다. 상기 범유행 H1N1의 돼지 기원에 대한 유전적 증거가 있지만, 역학적 증거는 보고된 바 없다. 돼지 집단을 감염한 범유행 H1N1은 Alberta에서 4월 28일, Manitoba에서 5월, 2009년에 카나다에서 보고된 바 있다. 2009년 5월 2일에, 범유행 H1N1의 첫번째 한국 케이스가 2009년 4월 26일 멕시코 시티로부터 도착한 사람에서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 범유행 H1N1은 돼지 농장에 출현하였고, 상기 바이러스는 2009년 돼지로부터 분리되었다. 상기 범유행 H1N1 출현으로부터, 범유행 H1N1 인간 분리주를 사용하여 돼지에서 여러 실험적 감염 연구가 있었다. 이들 실험은 음상적 증상은 고전적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된 돼지의 증상과 유사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알려진 바 없는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을 한국 돼지 농장으로부터 분리하여 그 유전적 실체를 규명하고, 상기 분리주의 병원성이 무특정병원체 (SPF) 돼지에서 재현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신규한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시료 중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돼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수탁번호 KCTC 11848BP의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swine/Korea/GCVP-KS01/2009 (H1N1)를 제공한다. 상기 바이러스는 한국 돼지로부터 분리된 것이며, SPF 돼지에서 그 병원성이 재생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러스는 SPF 돼지를 이용하여 생산 및 약독화될 수 있다. 상기 바이러스는 일부 유전자에 대하여, A/California/04/2009 스트레인과 부분적 및 완전한 유전자 서열이 99% 이상 유사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상기 바이러스를 약독화 또는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약독화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독화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화학물질 처리 예를 들면, 포르말린 처리에 의하여 약독화되거나, 자외선 조사 또는 계대배양에 의하여 약독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독화"란 돼지에게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지만 돼지에게 백신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치명적이지 않은 정도의 독성을 갖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약독화는 "불활성화"와 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상기 약독화는 바이러스의 증식 능력이 약화된 것뿐만 아니라 증식능력이 완전하게 상실된 것도 포함한다. 약독화된 바이러스는 상기 바이러스의 서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유닛"이란 전체 바이러스가 아닌 바이러스의 일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서브유닛은 단백질 예를 들면, HA 또는 NA와 같은 개별 단백질 뿐만 아니라 이들의 복합체도 포함한다. 상기 복합체는 예를 들면, 바이러스 입자에 에테르를 처리하여 외피만을 분쇄 및 수득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약독화 바이러스는 예를 들면, (a) 상기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MDCK 세포주에 주입하여 증식시키는 단계; (b) 상기 세포로부터 수득하여 여기에 포르말린, 베타프로피오락톤 (betapropiolactone: BPL) 또는 비나리에틸렌이민 (binary ethylenimine: BEI)를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처리된 혼합물로부터 불활화된 바이러스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수득된 바이러스는 수산화알루미나 겔에 흡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약독화 또는 불활성화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용매, 면역증강제, 및 부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생리식염수, 증류수 또는 PBS와 같은 버퍼일 수 있다. 상기 면역증강제는 프로인트 완전 또는 불완전 어주반트,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겔 및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또는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 (alum)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26 HAU (hemagglutination unit: 혈구응집 단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형 또는 비경구형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형 제제의 예로는, 주사액제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진피내, 근육내, 복막내, 정맥내, 피하, 비강 또는 경막외 (eidural) 경로로 투여될 수 있는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조성물을 돼지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의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돼지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거나 감염이 의심되는 돼지일 수 있다. 상기 돼지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상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부비강염, 발작적 천식, 중이염, 낭성 섬유종, 기관지염, 폐렴 및 설사로부터 선택되는 증상을 보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감염된 바이러스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투여는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은 진피내, 근육내, 복막내, 정맥내, 피하, 비강 또는 경막외 (eidural)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돼지로부터 분리된 시료 중의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검출은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또는 그에 결합하는 항체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돼지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돼지일 수 있다. 상기 돼지는 예를 들면, 중증 호흡기질환을 앓고 있는 돼지일 수 있다. 상기 시료는 돼지로부터 분리된 것이면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료는 혈액, 혈청 또는 혈장일 수 있다.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당업계에 알려진 바이러스 검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원 항체 반응을 이용하거나, 핵산 증폭 반응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검출은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직접 검출하거나 간접적으로 그 존재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직접 검출하는 것은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직접 분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간접 검출하는 것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항원 및 그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게놈 서열, mRNA 또는 그로부터 발현된 산물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면, 돼지로부터 분리된 시료 중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돼지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3N2 항원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돼지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을 돼지로부터 분리된 시료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과 항-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의 복합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시료는 항-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항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복합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시료는 항-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항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로부터 분리된 시료 중의 항-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을 돼지로부터 분리된 시료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은 액체 매질 중에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과 시료를 혼합시키고 배양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액체 매질은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및 항체를 불안정화시키지 않고 항원-항체 반응을 위한 매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 매질은 PBS 버퍼와 같은, 버퍼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은 항원과 항체의 복합체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당업계에 알려진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촉은 4 내지 37℃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은 교반 또는 교반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은 고체 기판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기판은 웰, 플레이트 및 비드 형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웰은 마이크로 웰일 수 있다. 상기 돼지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돼지일 수 있다. 상기 돼지는 예를 들면, 중증 호흡기질환을 앓고 있는 돼지일 수 있다. 상기 시료는 돼지로부터 분리된 것이면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료는 돼지 혈액, 혈청 또는 혈장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과 항-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의 복합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은 당업계에 알려진 항원-항체 복합체 검출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검출은 예를 들면, 전기적 방법, 분광학적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은 알려진 ELISA 분석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검출가능한 표지로 표지된 항-돼지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를 상기 항체와 결합시키고, 결합된 산물의 상기 표지로부터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검출가능한 표지는 형광표지, 전기적 표지, 방사성 물질, 기질을 분광학적으로 분석가능한 물질로 전환시키는 활성을 가진 효소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효소는 알칼리포스파타제, 호스래디쉬퍼옥시다제 및 베타-갈락토시다제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복합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시료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복합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시료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은 바이러스 입자 자체 또는 그의 표면 단백질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고체 기판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항-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와 돼지로부터 분리된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항체와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의 복합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시료는 상기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복합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시료는 상기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로부터 분리된 시료 중의 제1항의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은 바이러스 입자 자체 또는 그의 표면 단백질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와 돼지로부터 분리된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는 상기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촉은 액체 매질 중에서 상기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와 시료를 혼합시키고 배양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액체 매질은 상기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 및 시료를 불안정화시키지 않고 항원-항체 반응을 위한 매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 매질은 PBS 버퍼와 같은, 버퍼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은 항원과 항원의 복합체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당업계에 알려진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촉은 4 내지 37℃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은 교반 또는 교반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고체 기판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기판은 웰, 플레이트 및 비드 형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웰은 마이크로 웰일 수 있다. 상기 시료는 돼지 유래의 시료이면 어느 것이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료는 돼지 혈액, 혈청 또는 혈장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항체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의 복합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은 당업계에 알려진 항원-항체 복합체 검출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검출은 예를 들면, 전기적 방법, 분광학적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은 알려진 ELISA 분석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검출가능한 표지로 표지된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상기 항원과 결합시키고, 결합된 산물의 상기 표지로부터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검출가능한 표지는 형광표지, 전기적 표지, 방사성 물질, 기질을 분광학적으로 분석가능한 물질로 전환시키는 활성을 가진 효소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효소는 알칼리포스파타제, 호스래디쉬퍼옥시다제 및 베타-갈락토시다제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복합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시료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복합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시료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탁번호 KCTC 11848BP의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swine/Korea/GCVP-KS01/2009 (H1N1)는 SPF 돼지에서 그 병원성이 재생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러스는 SPF 돼지를 이용하여 생산 및 약독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면,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의하면,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돼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에 의하면, 돼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A/swine/Korea/ GCVP-KS01/2009(H1N1)의 HA (도 1a) 및 NA (도 1b) 유전자 서열의 발생계통적 분석을 나타낸다. 참조 스트레인은 다음과 같다: A/Gangwon/1805/2009(H1N1): CY060460/CY060461; A/California/04/2009(H1N1): GQ280797/FJ969517; A/Texas/ 44312415/2009(H1N1): CY052338/CY052340; A/Singapore/ ON355 /2009(H1N1): CY049372/CY049374; A/Australia/4/2009(H1N1): CY055067 /CY055069; A/Paris/ 2629/2009(H1N1): GQ249337 /GQ254714; A/Kobe/1/2009(H1N1): GQ219577/GQ 220733; A/Netherlands/2009(H1N1): CY039527/CY039528; A/Beijing/01/2009(H1N1): GQ 183617 /GQ183619; A/MexicoCity /MCIG01/2009(H1N1): CY054296/CY054297; A/swine /Indiana/1726/1998(H1N1): CY039925/CY039927; A/swine/Memphis/1/1990(H1N1) : CY035070/CY035072; A/ swine/Iwoa/24297/1991(H1N1): CY027155/CY027157; A/swine/ Shanghai/2/2005(H1N1): EU502885/FJ789827. A/swine/Korea/SCJ01/2009 (H1N1): HM189542/HM189430. * 스트레인: HA/NA에 대한 허가번호 (accession No.)임.
도 2a는 바이러스 접종군 (VI)과 비접종군 (NI)에서 평균 체온 (BT) 및 바이러스 흘림 (Virus)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VI 군의 체온은 NI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더 높았다. VI 군에서 비 스왑은 DPI 1일로부터 바이러스 흘림이 검출된 반면, NI 군에서는 바이러스 검출이 관찰되지 않았다. 회색 막대는 VI 군의 체중을 흰색 막대는 NI 군의 체중을 나타낸다. 삼각형을 가진 대시 선(dashed line)은 VI 군에서 바이러스 흘림을, 다이아몬드는 NI 군에서 바이러스 흘림을 나타낸다.
도 2b는 중증 suppurative necrotizing bronchopneumonia를 보이는, A/swine/GCVP-KS01/2009(H1N1) 바이러스로 감염된 돼지의 폐를 나타내고 (1), 또는 감염되지 않은 돼지의 정상 상흔 (lesion)을 나타낸다. H&E 염색. 원 확대 (original magnification), x200.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돼지 인플루엔자 A H1N1 바이러스의 분리 및 서열분석
2009년 12월 중 한국 돼지 농장에서 첫번째 범유행 (pandemic) H1N1 발병 (outbreak) 후 범유행 H1N1의 모니터링한 후, 약 6000 두의 돼지를 가진 육종 농장 (breeding farm)으로부터의 표본에 대하여 범유행 H1N1에 특이적인 실시간 RT-PCR (Bionote, Hwasung, Korea)을 사용하여 범유행 H1N1 바이러스를 시험하였고 그 결과는 양성이었다.
흥미롭게도, 감염된 돼지는 뚜렷한 호흡기 증상이 없었다. 또한 상기 농장은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PRRSV)에 대하여 바이러스적으로 음성으로 알려졌다. 마딘-다르비 개 신장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세포 및 부화란 (embryonated eggs)을 이용하여 폐 시료 균질물 (homogenate)로부터 바이러스 분리를 시도하였다. 상기 바이러스는 두번째 계대 후 MDCK 세포주에서만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바이러스를 A/swine/Korea/GCVP-KS01/2009 (H1N1) (이하 "GCVP-KS01"라고도 함)라고 명명하였다. 본 분리주는 부타페스트 조약에 따른 국제기탁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소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RIBB)에 2011.1.21일자로 수탁번호 KCTC 11848BP로 수탁되었다.
분리된 범유행 H1N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HA (hemagglutinin) (772 bp), NA (neuraminidase) (791 bp), NP (nucleoprotein) (1226 bp), NS (non-structural protein) (562 bp) 및 PA (RNA polymerase) (637 bp) 유전자에 대하여는 부분적으로, M (matrix protein) 유전자에 대하여는 완전하게 서열확인되었다. 확인된 HA, NA, PA, NS, NP 및 M의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 내지 6에 나타내었다. 서열확인 분석은 분리된 바이러스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업적으로 수행되었다 (Genotech, Daejon, Korea). GCVP-KS0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다른 범유행 H1N1 및 고전적 돼지 H1N1 바이러스의 것과 비교하였고, MEGA 4.0 프로그램의 이웃연결법 (neighbor joining method)을 사용하여 HA 및 NA 유전자에 대하여 발생계통도를 작성하였다.
GCVP-KS0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HA, NA, M, NS, NP, 및 PA에 대하여, A/California/04/2009 스트레인에 대하여 99%, 99.3%, 99.6%, 99.1%, 99.1%, 및 99.5% 유사도(similarity)를 보였다. 상기 분리주의 NA, HA, PA, NS, NP 및 M 유전자의 대응되는 서열을 포함하는, A/California/04/2009 스트레인의 NA, HA, PA, NS, NP 및 M 유전자의 부분 서열은 서열번호 7 내지 12에 각각 나타내었다. HA 및 NA 뉴클레오티드에 대한 발생계통적 분석에 따르면, GCVP-KS01은 2009년 내지 2010년의 인간으로부터 분리된 범유행 H1N1 바이러스와 함께 분류되었다 (clustered). 흥미롭게도, 한국의 인간으로부터 분리된 범유행 H1N1 바이러스의 HA 유전자는 본 발명의 분리주 (isolate)의 그것에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또한 돼지에서 분리된 이전에 보고된 범유행 H1N1 스트레인, A/swine/Korea/SCJ01/2009도 같은 그룹에 분류되었다 (Song MS 등, J Clin Microbiol. 2010; 48: 3204-3211). 반면, 2009년 이전에 돼지에서 분리된 고전적 돼지 H1N1 바이러스는 다른 그룹의 범유행 H1N1 바이러스에 분류되었다 (도 1). 이 연구에서 유전적 분석의 한계는 전장 게놈의 완전한 서열분석이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타입을 확인하기 위하여는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유전자, HA 및 NA가 포함되었고, 부분적 서열분석은 거의 99% 유사도를 입증하였다. 이들 주의사항 (caveats)에도 불구하고, 뉴클레오티드 분석으로부터의 데이터는 돼지 기원의 상기 인플루엔자 H1N1 한국 분리주는 고전적 돼지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아닌, 범유행 H1N1에 밀접하게 관련되었다는 것을 제시한다.
실시예 2: 무특정병원체 ( specific pathogen free : SPF ) 돼지에서 돼지 인플루엔자 A H1N1 바이러스의 변원성 ( pathogenicity ).
A/swine/ Korea/GCVP-KS01/2010 (H1N1)로 명명된 상기 분리주를 SPF 미니어처 돼지 (miniature pigs) (Medipig, South Korea)에 비강으로 접종하였다. 3개 5주령 신클레어 미니어처 돼지들 (Sinclair miniature pigs)을 본 실시예에 사용하였다. 이들 중 2개는 바이러스 접종군 (virus inoculation: VI)에 대하여 사용하고, 한 돼지는 비접종 (no inoculation: NI)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2mL의 바이러스 (27HAU의 바이러스, 계대수준 4(passage level 4)을 비강 경로를 통하여 VI 군에 비강내로 접종하였다. 동일 부피의 통상 염수 (normal saline)를 대조군 돼지에 동일한 방식으로 투여하였다. 온도 및 비 분비물 (nasal discharge) 중의 바이러스 흘림(viral shedding)의 양을 포함한 임상증상을 매일 접종후 (days post-inoculation :DPI) 8일 동안 모니터링하였다. 비 스왑(nasal swab)을 양 코 트릴 (nose trills) 중의 멸균도니 면 스왑을 사용하여 수집하고, 2mL의 포스페이트 버퍼된 염수 (PBS) 중에서 현탁시키고, 실시간 RT-PCR에 사용하여 바이러스 흘림의 양 (load)을 검사하였다. DPI 9일에, 모든 실험 돼지는 안락사시키고 부검하여 병리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DPI 9일에 수집된 혈액 시료의 혈청학적 분석은 마트릭스 단백질에 대한 상업적 ELISA kit (Bionote, South Kore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적 과정은 독립적 동물 관리 및 사용 위원회 (independent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에 의하여 승인되었고, 돼지 병리의 재생산에 대한 녹십자수의약품의 기준 (guidelines from the Green Cross Veterinary Products for the reproduction of pathogenesis in pigs)은 존중되었다.
바이러스로 접종된 돼지는 DPI 2일부터 기침과 나른함 (lethargy)을 보인 반면, 접종되지 않은 돼지는 실험 동안 어떠한 임상적 증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VI 군의 직장 온도는 NI 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P<0.01, Tukey's tes). 열성 반응 (febrile response)은 VI 군에서 DPI 1일부터 발견되었다 (>39℃). 특히, DPI 2일에 모든 접종된 돼지에서 직장 온도는 39.5℃까지 급상승하였다 (도 2). VI 군에서 바이러스 흘림은 DPI 1 내지 DPI 7에서 비강 스왑에서 관찰되었다. 부검 중 gross lesions가 조사된 경우 바이러스 접종된 돼지의 폐에서 Focal reddish consolidation가 나타났고 현미경적 상흔 (lesions) 중에서 심한 suppurative necrotizing bronchopneumonia가 발견되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또한 VI 군에서 검출되었고, NI 동물에서는 항체에 대한 혈청학적 증거는 없었다 (데이터는 보이지 않음).
이전의 연구에 기초하여 예측된 바와 같이, 발열 및 gross-조직병리학적 상흔 (gross-histopathological lesions)을 포함한, 임상증상은 범유행 H1N1 접종된 SPF 돼지의 폐에서 성공적으로 재생산되었다 (reproduced). 본 실시예는 돼지-분리된 범유행 H1N1 바이러스의 SPF 돼지에서의 병원성 재생산 (pathogenicity reproduction)을 검증하였고, 돼지군 (pig herds) 중에 범유행 H1N1의 바이러스 순환의 잠재적 우려 및 돼지 집단 중에서 새로운 변이체의 출현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848BP 20110121
<110> GREEN CROSS VETERINARY PRODUCTS., LTD. <120> Method of preventing or treating the swine influenza virus infection <130> PN094817 <160> 1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776 <212> DNA <213> Swine influenza virus A H1N1: A/swine/Korea/GCVP-KS01/2010(H1N1) <220> <221> misc_feature <222> (1)..(776) <223> partial sequence of hemagluttination (HA) gene : 730-1505 <400> 1 atggactatt actggacact agtagagccg ggagacaaaa taacattcga agcaactgga 60 aatctagtgg taccgagata tgcattcgca atggaaagaa atgctggatc tggtattatc 120 atttcagata caccagtcca cgattgcaat acaacttgtc agacacccaa gggtgctata 180 aacaccagcc tcccatttca gaatatacat ccgatcacaa ttggaaaatg tccaaaatat 240 gtaaaaagca caaaattgag actggccaca ggattgagga atgtcccttc tactcaatct 300 agaggcctat ttggggccat tgccggtttc attgaggggg ggtggacagg gatggtagat 360 ggatggtacg gttatcacca tcaaaatgag caggggtcag gatatgcagc cgacctgaag 420 agcacacaga atgccattga cgagattact aacaaagtaa attctgttat tgaaaagatg 480 aatacacagt tcacagcagt aggtaaagag ttcaaccacc tggaaaaaag aatagagaat 540 ttaaataaaa aagttgatga tggtttcctg gacatttgga cttacaatgc cgaactgttg 600 gttctattgg aaaatgaaag aactttggac taccacgatt caaatgtgaa gaacttatat 660 gaaaaggtaa gaagccagtt gaaaaacaat gccaaggaaa ttggaaacgg ctgctttgaa 720 ttttaccaca aatgcgataa cacgtgcatg gaaagtgtca aaaatgggac ttatga 776 <210> 2 <211> 791 <212> DNA <213> Swine influenza virus A H1N1 : A/swine/Korea/GCVP-KS01/2010(H1N1) <220> <221> misc_feature <222> (1)..(791) <223> Partial sequence of neuraminidase (NA) gene : 536-1326 <400> 2 ggtcagcaag cgcatgtcat gatggcatca attggctaac aattggaatt tctggcccag 60 acaatggggc agtggctgtg ttaaagtaca acggcataat aacagacact atcaagagtt 120 ggagaaacaa catattgaga acacaagagt ctgaatgtgc atgtgtaaat ggttcttgct 180 ttactgtaat gaccgatgga ccaagtgatg gacaggcctc atacaagatc ttcagaatag 240 aaaagggaaa gatagtcaaa tcagtcgaaa tgaatgcccc taattatcac tatgaggaat 300 gctcctgtta tcctgattct agtgaaatca catgtgtgtg cagggataac tggcatggct 360 cgaatcgacc gtgggtgtct ttcaaccaga atctggaata tcagatagga tacatatgca 420 gtgggatttt cggagacaat ccacgcccta atgataagac aggcagttgt ggtccagtat 480 cgtctaatgg agcaaatgga gtaaaaggat tttcattcaa atacggcaat ggtgtttgga 540 tagggagaac taaaagcatt agttcaagaa acggttttga gatgatttgg gatccgaacg 600 gatggactgg gacagacaat aacttctcaa taaagcaaga tatcgtagga ataaatgagt 660 ggtcaggata tagcgggagt tttgttcagc atccagaact aacagggctg gattgtataa 720 gaccttgctt ctgggttgaa ctaatcagag ggcgacccaa agagaacaca atctggacta 780 gcgggagcag c 791 <210> 3 <211> 661 <212> DNA <213> Swine influenza virus A H1N1 : A/Korea/GCVP-KS01/2010(H1N1) <220> <221> misc_feature <222> (1)..(661) <223> Partial sequence of PA gene : <400> 3 agcgaaagca ggtactgatc caaaatggaa gactttgtgc gacaatgctt caatccaatg 60 atcgtcgagc ttgcggaaaa ggcaatgaaa gaatatgggg aagatccgaa aatcgaaact 120 aacaagcttg ctgcaatatg cacacatttg gaagtttgtt tcatgtattc ggatttccat 180 ttcatcgacg aacggggtga atcaataatt gtagaatctg gtgacccgaa tgcactattg 240 aagcaccgat ttgagataat tgaaggaaga gaccgaatca tggcctggac agtggtgaac 300 agtatatgta acacaacagg ggtagagaag cctaaatttc ttcctgattt gtatgattac 360 aaagagaacc ggttcattga aattggagta acacggaggg aagtccacat atattaccta 420 gagaaagcca acaaaataaa atctgagaag acacacattc acatcttttc attcactgga 480 gaggagatgg ccaccaaagc ggactacacc cttgacgaag agagcagggc aagaatcaaa 540 actaggcttt tcactataag acaagaaatg gccagtagga gtctatggga ttcctttcgt 600 cagtccgaaa gaggcgaaga gacaattgaa gaaaaatttg agatcacagg aaccatgcgc 660 a 661 <210> 4 <211> 562 <212> DNA <213> Swine influenza virus A H1N1: A/Korea/GCVP-KS01/2010(H1N1) <220> <221> misc_feature <222> (1)..(562) <223> Partial sequence of NS gene <400> 4 gactggttca tgctcatgcc taggcaaaag ataataggcc ctctttgcgt gcgatcggac 60 caggcggtca tgggagagaa catagtactg agagcgaact tcagtgtaat ctttaaccga 120 ttagagacct tgatactact aagggctttc actgaggagg gagcaatagt tggagaaatt 180 tcaccattac cttctcttcc aggacatact tatgaggatg tcaaaaatgc agttggggtc 240 ctcatcggag gacttgaatg gaatggtaac acggttcgag tctctgaaaa tatacagaga 300 ttcgcttgga gaaactgtga tgagaatggg agaccttcac tacctccaga gcagaaatga 360 aaagtggcga gagcaattgg gacagaaatt tgaggaaata aggtggttaa ttgaagaaat 420 gcggcacaga ttgaaagcga cagagaatag tttcgaacaa ataacattta tgcaagcctt 480 acaactactg cttgaagtag aacaagagat aagagctttc tcgtttcagc ttatttaatg 540 ataaaaaaca cccttgtttc ta 562 <210> 5 <211> 1260 <212> DNA <213> Swine influenza vrius A H1N1: A/Korea/GCVP-KS01/2010(H1N1) <220> <221> misc_feature <222> (1)..(1260) <223> Partial sequence of NP gene <400> 5 agtagaaaca ggaggaccca tatatagaag aataaacgga aagtggatga gagagctcat 60 cctttatgac aaagaagaaa taaggagagt ttggcgccaa gcaaacaatg gcgaagatgc 120 aacagcaggt cttactcata tcatgatttg gcattccaac ctgaatgatg ccacatatca 180 gagaacaaga gcgcttgttc gcaccggaat ggatcccaga atgtgctctc taatgcaagg 240 ttcaacactt cccagaaggt ctggtgccgc aggtgctgcg gtgaaaggag ttggaacaat 300 agcaatggag ttaatcagaa tgatcaaacg tggaatcaat gaccgaaatt tctggagggg 360 tgaaaatgga cgaaggacaa gggttgctta tgaaagaatg tgcaatatcc tcaaaggaaa 420 atttcaaaca gctgcccaga gggcaatgat ggatcaagta agagaaagtc gaaacccagg 480 aaacgctgag attgaagacc tcattttcct ggcacggtca gcactcattc tgagggaatc 540 agttgcacat aaatcctgcc tgcctgcttg tgtgtatggg cttgcagtag caagtgggca 600 tgactttgaa agggaagggt actcactggt tgggatagac ccattcaaat tactccaaaa 660 cagccaagtg gtcagcctga tgaggccaaa tgaaaaccca gctcacaaga gtcaattggt 720 gtggatggca tgccactctg ctgcatttga agatttaaga gtatcaagtt tcataagagg 780 aaagaaagtg attccaggag gaaagctttc cacaagaggg gtccagattg cttcaaatga 840 gaatgtggaa accatggact ccaataccct ggaactaaga agcagatact gggccataag 900 gaccaggagt ggaggaaata ccaatcaaca aaaggcatcc gcaggccaga tcagtgtgca 960 gcctacattc tcagtgcagc gaaatctccc ttttgaaaga gcaaccgtta tggcagcatt 1020 cagcgggaac aatgaaggac ggacatccga catgcgaaca gaagttataa gaatgatgga 1080 aaatgcaaag ccagaagatt tgtccttcca ggggcgggga gtcttcgagc tctcggacga 1140 aaaggcaacg aacccgatcg tgccttcctt tgacatgagt aatgaagggt cttatttctt 1200 cggagacaat gcagaggagt atgacagttg agaaaaaaca cccttgtttc tactgaccac 1260 1260 <210> 6 <211> 982 <212> DNA <213> Swine influenza virus A H1N1: A/Korea/GCVP-KS01/2010(H1N1) <220> <221> misc_feature <222> (1)..(982) <223> complete sequence of M gene <400> 6 atgagtcttc taaccgaggt cgaaacgtac gttctttcta tcatcccgtc aggccccctc 60 aaagccgaga tcgcgcagag actggaaagt gtctttgcag gaaagaacac agatcttgag 120 gctctcatgg aatggctaaa gacaagacca atcttgtcac ctctgactaa ggggatttta 180 ggatttgtgt tcacgctcac cgtgcccagt gagcgaggac tgcagcgtag acgctttgtc 240 caaaatgccc taaatgggaa tggggacccg aacaacatgg atagagcagt taaactatac 300 aagaagctca aaagagaaat aacgttccat ggggccaagg aggtgtcact aagctattca 360 actggtgcac ttgccagttg catgggcctc atatacaaca ggatgggaac agtgaccaca 420 gaagctgctt ttggtctagt gtgtgccact tgtgaacaga ttgctgattc acagcatcgg 480 tctcacagac aaatggctac taccaccaat ccactaatca ggcatgaaaa cagaatggtg 540 ctggctagca ctacggcaaa ggctatggaa cagatggctg gatcgagtga acaggcagca 600 gaggccatgg aggttgctaa tcagactagg cagatggtac atgcaatgag aactattggg 660 actcatccta gctccagtgc tggtctgaaa gatgaccttc ttgaaaattt gcaggcctac 720 cagaagcgaa tgggagtgca gatgcagcga ttcaagtgat cctctcgtca ttgcagcaaa 780 tatcattggg atcttgcacc tgatattgtg gattactgat cgtctttttt tcaaatgtat 840 ttatcgtcgc tttaaatacg gtttgaaaag agggccttct acggaaggag tgcctgagtc 900 catgagggaa gaatatcaac aggaacagca gagtgctgtg gatgttgacg atggtcattt 960 tgtcaacata gagctagagt aa 982 <210> 7 <211> 1410 <212> DNA <213> A/California/04/2009(H1N1) <220> <221> misc_feature <222> (1)..(1410) <223> sequence of NA gene <400> 7 atgaatccaa accaaaagat aataaccatt ggttcggtct gtatgacaat tggaatggct 60 aacttaatat tacaaattgg aaacataatc tcaatatgga ttagccactc aattcaactt 120 gggaatcaaa atcagattga aacatgcaat caaagcgtca ttacttatga aaacaacact 180 tgggtaaatc agacatatgt taacatcagc aacaccaact ttgctgctgg acagtcagtg 240 gtttccgtga aattagcggg caattcctct ctctgccctg ttagtggatg ggctatatac 300 agtaaagaca acagtgtaag aatcggttcc aagggggatg tgtttgtcat aagggaacca 360 ttcatatcat gctccccctt ggaatgcaga accttcttct tgactcaagg ggccttgcta 420 aatgacaaac attccaatgg aaccattaaa gacaggagcc catatcgaac cctaatgagc 480 tgtcctattg gtgaagttcc ctctccatac aactcaagat ttgagtcagt cgcttggtca 540 gcaagtgctt gtcatgatgg catcaattgg ctaacaattg gaatttctgg cccagacaat 600 ggggcagtgg ctgtgttaaa gtacaacggc ataataacag acactatcaa gagttggaga 660 aacaatatat tgagaacaca agagtctgaa tgtgcatgtg taaatggttc ttgctttact 720 gtaatgaccg atggaccaag taatggacag gcctcataca agatcttcag aatagaaaag 780 ggaaagatag tcaaatcagt cgaaatgaat gcccctaatt atcactatga ggaatgctcc 840 tgttatcctg attctagtga aatcacatgt gtgtgcaggg ataactggca tggctcgaat 900 cgaccgtggg tgtctttcaa ccagaatctg gaatatcaga taggatacat atgcagtggg 960 attttcggag acaatccacg ccctaatgat aagacaggca gttgtggtcc agtatcgtct 1020 aatggagcaa atggagtaaa agggttttca ttcaaatacg gcaatggtgt ttggataggg 1080 agaactaaaa gcattagttc aagaaacggt tttgagatga tttgggatcc gaacggatgg 1140 actgggacag acaataactt ctcaataaag caagatatcg taggaataaa tgagtggtca 1200 ggatatagcg ggagttttgt tcagcatcca gaactaacag ggctggattg tataagacct 1260 tgcttctggg ttgaactaat cagagggcga cccaaagaga acacaatctg gactagcggg 1320 agcagcatat ccttttgtgg tgtaaacagt gacactgtgg gttggtcttg gccagacggt 1380 gctgagttgc catttaccat tgacaagtaa 1410 <210> 8 <211> 1701 <212> DNA <213> A/California/04/2009(H1N1) <220> <221> misc_feature <222> (1)..(1701) <223> Partial sequence of HA gene <400> 8 atgaaggcaa tactagtagt tctgctatat acatttgcaa ccgcaaatgc agacacatta 60 tgtataggtt atcatgcgaa caattcaaca gacactgtag acacagtact agaaaagaat 120 gtaacagtaa cacactctgt taaccttcta gaagacaagc ataacgggaa actatgcaaa 180 ctaagagggg tagccccatt gcatttgggt aaatgtaaca ttgctggctg gatcctggga 240 aatccagagt gtgaatcact ctccacagca agctcatggt cctacattgt ggaaacacct 300 agttcagaca atggaacgtg ttacccagga gatttcatcg attatgagga gctaagagag 360 caattgagct cagtgtcatc atttgaaagg tttgagatat tccccaagac aagttcatgg 420 cccaatcatg actcgaacaa aggtgtaacg gcagcatgtc ctcatgctgg agcaaaaagc 480 ttctacaaaa atttaatatg gctagttaaa aaaggaaatt catacccaaa gctcagcaaa 540 tcctacatta atgataaagg gaaagaagtc ctcgtgctat ggggcattca ccatccatct 600 actagtgctg accaacaaag tctctatcag aatgcagata catatgtttt tgtggggtca 660 tcaagataca gcaagaagtt caagccggaa atagcaataa gacccaaagt gagggatcaa 720 gaagggagaa tgaactatta ctggacacta gtagagccgg gagacaaaat aacattcgaa 780 gcaactggaa atctagtggt accgagatat gcattcgcaa tggaaagaaa tgctggatct 840 ggtattatca tttcagatac accagtccac gattgcaata caacttgtca aacacccaag 900 ggtgctataa acaccagcct cccatttcag aatatacatc cgatcacaat tggaaaatgt 960 ccaaaatatg taaaaagcac aaaattgaga ctggccacag gattgaggaa tatcccgtct 1020 attcaatcta gaggcctatt tggggccatt gccggtttca ttgaaggggg gtggacaggg 1080 atggtagatg gatggtacgg ttatcaccat caaaatgagc aggggtcagg atatgcagcc 1140 gacctgaaga gcacacagaa tgccattgac gagattacta acaaagtaaa ttctgttatt 1200 gaaaagatga atacacagtt cacagcagta ggtaaagagt tcaaccacct ggaaaaaaga 1260 atagagaatt taaataaaaa agttgatgat ggtttcctgg acatttggac ttacaatgcc 1320 gaactgttgg ttctattgga aaatgaaaga actttggact accacgattc aaatgtgaag 1380 aacttatatg aaaaggtaag aagccagcta aaaaacaatg ccaaggaaat tggaaacggc 1440 tgctttgaat tttaccacaa atgcgataac acgtgcatgg aaagtgtcaa aaatgggact 1500 tatgactacc caaaatactc agaggaagca aaattaaaca gagaagaaat agatggggta 1560 aagctggaat caacaaggat ttaccagatt ttggcgatct attcaactgt cgccagttca 1620 ttggtactgg tagtctccct gggggcaatc agtttctgga tgtgctctaa tgggtctcta 1680 cagtgtagaa tatgtattta a 1701 <210> 9 <211> 2151 <212> DNA <213> A/California/04/2009(H1N1) <220> <221> misc_feature <222> (1)..(2151) <223> Partial sequence of PA gene <400> 9 atggaagact ttgtgcgaca atgcttcaat ccaatgatcg tcgagcttgc ggaaaaggca 60 atgaaagaat atggggaaga tccgaaaatc gaaactaaca agtttgctgc aatatgcaca 120 catttggaag tttgtttcat gtattcggat ttccatttca tcgacgaacg gggtgaatca 180 ataattgtag aatctggtga cccgaatgca ctattgaagc accgatttga gataattgaa 240 ggaagagacc gaatcatggc ctggacagtg gtgaacagta tatgtaacac aacaggggta 300 gagaagccta aatttcttcc tgatttgtat gattacaaag agaaccggtt cattgaaatt 360 ggagtaacac ggagggaagt ccacatatat tacctagaga aagccaacaa aataaaatct 420 gagaagacac acattcacat cttttcattc actggagagg agatggccac caaagcggac 480 tacacccttg acgaagagag cagggcaaga atcaaaacta ggcttttcac tataagacaa 540 gaaatggcca gtaggagtct atgggattcc tttcgtcagt ccgaaagagg cgaagagaca 600 attgaagaaa aatttgagat tacaggaact atgcgcaagc ttgccgacca aagtctccca 660 ccgaacttcc ccagccttga aaactttaga gcctatgtag atggattcga gccgaacggc 720 tgcattgagg gcaagctttc ccaaatgtca aaagaagtga acgccaaaat tgaaccattc 780 ttgaggacga caccacgccc cctcagattg cctgatgggc ctctttgcca tcagcggtca 840 aagttcctgc tgatggatgc tctgaaatta agtattgaag acccgagtca cgagggggag 900 ggaataccac tatatgatgc aatcaaatgc atgaagacat tctttggctg gaaagagcct 960 aacatagtca aaccacatga gaaaggcata aatcccaatt acctcatggc ttggaagcag 1020 gtgctagcag agctacagga cattgaaaat gaagagaaga tcccaaggac aaagaacatg 1080 aagagaacaa gccaattgaa gtgggcactc ggtgaaaata tggcaccaga aaaagtagac 1140 tttgatgact gcaaagatgt tggagacctt aaacagtatg acagtgatga gccagagccc 1200 agatctctag caagctgggt ccaaaatgaa ttcaataagg catgtgaatt gactgattca 1260 agctggatag aacttgatga aataggagaa gatgttgccc cgattgaaca tatcgcaagc 1320 atgaggagga actattttac agcagaagtg tcccactgca gggctactga atacataatg 1380 aagggagtgt acataaatac ggccttgctc aatgcatcct gtgcagccat ggatgacttt 1440 cagctgatcc caatgataag caaatgtagg accaaagaag gaagacggaa aacaaacctg 1500 tatgggttca ttataaaagg aaggtctcat ttgagaaatg atactgatgt ggtgaacttt 1560 gtaagtatgg agttctcact cactgacccg agactggagc cacacaaatg ggaaaaatac 1620 tgtgttcttg aaataggaga catgctcttg aggactgcga taggccaagt gtcgaggccc 1680 atgttcctat atgtgagaac caatggaacc tccaagatca agatgaaatg gggcatggaa 1740 atgaggcgct gccttcttca gtctcttcag cagattgaga gcatgattga ggccgagtct 1800 tctgtcaaag agaaagacat gaccaaggaa ttctttgaaa acaaatcgga aacatggcca 1860 atcggagagt cacccagggg agtggaggaa ggctctattg ggaaagtgtg caggacctta 1920 ctggcaaaat ctgtattcaa cagtctatat gcgtctccac aacttgaggg gttttcggct 1980 gaatctagaa aattgcttct cattgttcag gcacttaggg acaacctgga acctggaacc 2040 ttcgatcttg gggggctata tgaagcaatc gaggagtgcc tgattaatga tccctgggtt 2100 ttgcttaatg catcttggtt caactccttc ctcacacatg cactgaagta g 2151 <210> 10 <211> 863 <212> DNA <213> A/California/04/2009(H1N1) <220> <221> misc_feature <222> (1)..(863) <223> Partial sequence of NS gene <400> 10 atggactcca acaccatgtc aagctttcag gtagactgtt tcctttggca tatccgcaag 60 cgatttgcag acaatggatt gggtgatgcc ccattccttg atcggctccg ccgagatcaa 120 aagtccttaa aaggaagagg caacaccctt ggcctcgata tcgaaacagc cactcttgtt 180 gggaaacaaa tcgtggaatg gatcttgaaa gaggaatcca gcgagacact tagaatgaca 240 attgcatctg tacctacttc gcgctacctt tctgacatga ccctcgagga aatgtcacga 300 gactggttca tgctcatgcc taggcaaaag ataataggcc ctctttgcgt gcgattggac 360 caggcgatca tggaaaagaa catagtactg aaagcgaact tcagtgtaat ctttaaccga 420 ttagagacct tgatactact aagggctttc actgaggagg gagcaatagt tggagaaatt 480 tcaccattac cttctcttcc aggacatact tatgaggatg tcaaaaatgc agttggggtc 540 ctcatcggag gacttgaatg gaatggtaac acggttcgag tctctgaaaa tatacagaga 600 ttcgcttgga gaaactgtga tgagaatggg agaccttcac tacctccaga gcagaaatga 660 aaagtggcga gagcaattgg gacagaaatt tgaggaaata aggtggttaa ttgaagaaat 720 gcggcacaga ttgaaagcga cagagaatag tttcgaacaa ataacattta tgcaagcctt 780 acaactactg cttgaagtag aacaagagat aagagctttc tcgtttcagc ttatttaatg 840 ataaaaaaca cccttgtttc tac 863 <210> 11 <211> 1497 <212> DNA <213> A/California/04/2009(H1N1) <220> <221> misc_feature <222> (1)..(1497) <223> Partial sequence of NP gene <400> 11 atggcgtctc aaggcaccaa acgatcatat gaacaaatgg agactggtgg ggagcgccag 60 gatgccacag aaatcagagc atctgtcgga agaatgattg gtggaatcgg gagattctac 120 atccaaatgt gcactgaact caaactcagt gattatgatg gacgactaat ccagaatagc 180 ataacaatag agaggatggt gctttctgct tttgatgaga gaagaaataa atacctagaa 240 gagcatccca gtgctgggaa ggaccctaag aaaacaggag gacccatata tagaagagta 300 gacggaaagt ggatgagaga actcatcctt tatgacaaag aagaaataag gagagtttgg 360 cgccaagcaa acaatggcga agatgcaaca gcaggtctta ctcatatcat gatttggcat 420 tccaacctga atgatgccac atatcagaga acaagagcgc ttgttcgcac cggaatggat 480 cccagaatgt gctctctaat gcaaggttca acacttccca gaaggtctgg tgccgcaggt 540 gctgcggtga aaggagttgg aacaatagca atggagttaa tcagaatgat caaacgtgga 600 atcaatgacc gaaatttctg gaggggtgaa aatggacgaa ggacaagggt tgcttatgaa 660 agaatgtgca atatcctcaa aggaaaattt caaacagctg cccagagggc aatgatggat 720 caagtaagag aaagtcgaaa cccaggaaac gctgagattg aagacctcat tttcctggca 780 cggtcagcac tcattctgag gggatcagtt gcacataaat cctgcctgcc tgcttgtgtg 840 tatgggcttg cagtagcaag tgggcatgac tttgaaaggg aagggtactc actggtcggg 900 atagacccat tcaaattact ccaaaacagc caagtggtca gcctgatgag accaaatgaa 960 aacccagctc acaagagtca attggtgtgg atggcatgcc actctgctgc atttgaagat 1020 ttaagagtat caagtttcat aagaggaaag aaagtgattc caagaggaaa gctttccaca 1080 agaggggtcc agattgcttc aaatgagaat gtggaaacca tggactccaa taccctggaa 1140 ctgagaagca gatactgggc cataaggacc aggagtggag gaaataccaa tcaacaaaag 1200 gcatccgcag gccagatcag tgtgcagcct acattctcag tgcagcggaa tctccctttt 1260 gaaagagcaa ccgttatggc agcattcagc gggaacaatg aaggacggac atccgacatg 1320 cgaacagaag ttataagaat gatggaaagt gcaaagccag aagatttgtc cttccagggg 1380 cggggagtct tcgagctctc ggacgaaaag gcaacgaacc cgatcgtgcc ttcctttgac 1440 atgagtaatg aagggtctta tttcttcgga gacaatgcag aggagtatga cagttga 1497 <210> 12 <211> 982 <212> DNA <213> A/California/04/2009(H1N1) <220> <221> misc_feature <222> (1)..(982) <223> Partial sequence of M gene <400> 12 atgagtcttc taaccgaggt cgaaacgtac gttctttcta tcatcccgtc aggccccctc 60 aaagccgaga tcgcgcagag actggaaagt gtctttgcag gaaagaacac agatcttgag 120 gctctcatgg aatggctaaa gacaagacca atcttgtcac ctctgactaa gggaatttta 180 ggatttgtgt tcacgctcac cgtgcccagt gagcgaggac tgcagcgtag acgctttgtc 240 caaaatgccc taaatgggaa tggggacccg aacaacatgg atagagcagt taaactatac 300 aagaagctca aaagagaaat aacgttccat ggggccaagg aggtgtcact aagctattca 360 actggtgcac ttgccagttg catgggcctc atatacaaca ggatgggaac agtgaccaca 420 gaagctgctt ttggtctagt gtgtgccact tgtgaacaga ttgctgattc acagcatcgg 480 tctcacagac agatggctac taccaccaat ccactaatca ggcatgaaaa cagaatggtg 540 ctggctagca ctacggcaaa ggctatggaa cagatggctg gatcgagtga acaggcagcg 600 gaggccatgg aggttgctaa tcagactagg cagatggtac atgcaatgag aactattggg 660 actcatccta gctccagtgc tggtctgaaa gatgaccttc ttgaaaattt gcaggcctac 720 cagaagcgaa tgggagtgca gatgcagcga ttcaagtgat cctctcgtca ttgcagcaaa 780 tatcattggg atcttgcacc tgatattgtg gattactgat cgtctttttt tcaaatgtat 840 ttatcgtcgc tttaaatacg gtttgaaaag agggccttct acggaaggag tgcctgagtc 900 catgagggaa gaatatcaac aggaacagca gagtgctgtg gatgttgacg atggtcattt 960 tgtcaacata gagctagagt aa 982

Claims (3)

  1. 약독화 또는 불활성화된 수탁번호 KCTC 11848BP의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swine/Korea/GCVP-KS01/2009 (H1N1) 또는 그의 면역원성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돼지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swine/Korea/GCVP-KS01/2009 (H1N1)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독화된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포르말린 처리에 의하여 약독화되거나, 계대 배양에 의하여 약독화된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닛은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3N2의 외표면 단백질인 것인 조성물.
KR1020110103045A 2011-10-10 2011-10-10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KR101339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045A KR101339162B1 (ko) 2011-10-10 2011-10-10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045A KR101339162B1 (ko) 2011-10-10 2011-10-10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600A true KR20130038600A (ko) 2013-04-18
KR101339162B1 KR101339162B1 (ko) 2013-12-09

Family

ID=4843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045A KR101339162B1 (ko) 2011-10-10 2011-10-10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897A (ko) * 2013-09-26 2015-04-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h3n2 혈청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390A (ko) * 2005-02-04 2006-08-09 주식회사 중앙백신연구소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swine/korea/s10/2004(h1n1) 및 이의백신
KR100913425B1 (ko) * 2007-05-14 2009-08-21 녹십자수의약품(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그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R101093510B1 (ko) * 2010-01-13 2011-12-14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돼지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한 세포 기원 불활화 백신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897A (ko) * 2013-09-26 2015-04-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h3n2 혈청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162B1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llo et al. Diagnostic and vaccination approaches for Newcastle disease virus in poultry: The current and emerging perspectives
US11160859B2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respiratory disease control in canines
JP6663416B2 (ja) イヌにおける呼吸器疾患管理のための材料および方法
Liu et al. A duck enteritis virus-vectored bivalent live vaccine provides fast and complete protection against H5N1 avian influenza virus infection in ducks
CN101563361B (zh) 能够感染犬科动物的流感病毒及其用途
JP5404636B2 (ja) 新規のイヌ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及びこのワクチン
Kapczynski et al. Vaccination with virus-like particles containing H5 antigens from three H5N1 clades protects chickens from H5N1 and H5N8 influenza viruses
CN104962581A (zh) 一种表达非洲猪瘟病毒p72蛋白的重组病毒疫苗株
Salaheldin et al. Isolation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a novel 2.2. 1.2 a H5N1 virus from a vaccinated meat-turkeys flock in Egypt
JP2014511119A (ja) H1n1亜型インフルエンザパンデミックウイルスに対する新型ワクチン
AU2018203186A1 (en) Influenza viruses able to infect canids, uses thereof
Chen et al. Constr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improved DNA-launched infectious clone of duck hepatitis a virus type 1
KR101908905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h9 및 h5의 다중 아형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신규한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KR101339162B1 (ko)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KR101345787B1 (ko) 신규한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h1n1 및 그의 용도
KR101390554B1 (ko) 신규한 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h3n2),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및 h3n2 바이러스 검정 키트
TWI620819B (zh) 抗大流行性感冒病毒a/h1n1之新穎疫苗
US11865172B2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respiratory disease control in canines
KR101490292B1 (ko) 신규한 h3n8 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Wu et al. Generation and evaluation of an H9N1 influenza vaccine derived by reverse genetics that allows utilization of a DIVA strategy for control of H9N2 avian influenza
KR20120082796A (ko) 고양이에게 감염성을 갖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그의 용도
Huang Development of a recombinant avian Metapneumovirus (rAMP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